KR20220002572U - Kettle - Google Patents

Ke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572U
KR20220002572U KR2020210001237U KR20210001237U KR20220002572U KR 20220002572 U KR20220002572 U KR 20220002572U KR 2020210001237 U KR2020210001237 U KR 2020210001237U KR 20210001237 U KR20210001237 U KR 20210001237U KR 20220002572 U KR20220002572 U KR 202200025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tle
ring
water outlet
li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2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6851Y1 (en
Inventor
여상우
여규평
Original Assignee
여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우 filed Critical 여상우
Priority to KR2020210001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51Y1/en
Publication of KR20220002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7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5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액체를 담아 보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주전자 본체, 상기 주전자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액체의 냉각을 지연시키는 돌출몸체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ttle, wherein an opening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 kettle body having a receiving part for storing liquid, and a water outlet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to the outsid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kettle body an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a protruding bod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to delay cooling of th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Description

주전자{KETTLE}kettle {KETTLE}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kettle.

주전자는 여러 가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면서, 용기나 그릇 등에 손쉽게 따르도록 하는 도구로서 종래부터 사용되어 왔던 용기 중 하나이다. A kettle is one of the container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ast as a tool for easily pouring various liquids into a container or bowl, while keeping it.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주전자는 액체를 소정 용량 담아 보관하는 몸체 부분(이하, 주전자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가진다. As is well known, a conventional kettle has a body part (hereinafter, kettle body) that contains and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liquid, and a lid that is opened and closed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body.

주전자 본체에는 내부에 담긴 액체를 찻잔 등의 용기로 부을 수 있도록 출수용 주둥이가 구비되고, 주전자 본체의 상부에는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주전자 본체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손잡이가 마련된다. The kettle body is provided with a water spout for pouring the liquid contained therein into a container such as a teacup, and a handle formed apart from the kettle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kettle body to lift the kettle body.

뚜껑 이외에 별도의 주둥이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한 종류. 내부에는 물이나 술 등의 액체를 주로 담으며, 손잡이를 잡고 주둥이 쪽으로 용기 전체를 기울이는 등의 조작으로 내부의 액체 물질을 따라낼 수 있다.A type of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parate spout in addition to the lid. Liquids such as water or alcohol are mainly contained inside, and liquid substances inside can be poured out by manipulation such as holding the handle and tilting the entire container toward the spout.

특히, 차나 커피를 마시기 위해 물을 끓이는 용도로 주전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차를 우리는 용도로 이용되는 찻주전자가 소개되어 있다. In particular, teapots are widely used for boiling water for drinking tea or coffee, and teapots used for making tea are introduced.

그런데, 찻주전자의 경우 재질상 보온성이 우수해야 하며 일정 시간 이상 뜨거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 온도 유지를 위한 대류 등의 흐름을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teapot, it is necessary to use a flow such as convection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in order to maintain a hot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또한, 찻주전자의 경우 보온성 확보를 위해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리는 손잡이 부위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일 측으로 꺾이게 되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eapot, it is often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to ensure heat retention. However, when the user's hand for lifting the kettle body is deflected to either side while the user pours tea, the user's hand is bent to one sid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837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급속 가열 주전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74837, and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technique for a rapid heating kett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837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74837

본 고안의 목적은, 재질상 보온성이 우수해야 하며 일정 시간 이상 뜨거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ttle which must be excellent in heat retention in terms of material and can maintain a hot temperature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리는 손잡이 부위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어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찻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when a heavy metal material (eg, silver material) is used, the handle portion that lifts the kettle body is biased to one side while the user pours tea, causing inconvenience in use It is to provide a teapot that can be used.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온성이 우수하며,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고온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을 지연시킬 수 있는 주전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ttle that has excellent heat retention and can delay cooling to maintain a high temperature for a relatively long time.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의 주전자로서,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리는 손잡이 부위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상사점(즉, 주전자의 상부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는 주전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heavy metal kettle (eg, silver material, etc.), so that the handle for lifting the kettle body is not deflected to either side while the user pours tea. A kettle that can be placed in the upper center) is provid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상단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액체를 담아 보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주전자 본체; 상기 주전자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액체의 냉각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두께에 편차를 주는 돌출몸체;를 포함한다.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ttle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end, an accommodating part for storing liquid, and a water outlet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outside; a li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kettle body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a protruding bod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to delay cooling of th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giving a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주전자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출수부 입구단부;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출수시키는 출수부 출구단부; 및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와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액체의 출수 유로를 형성하는 넥 연결부;를 포함한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outlet port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kettle body, the water outlet inlet end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 water outlet outlet end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outlet inlet end to the outside of the kettle body, and for draining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o the outside; and a neck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forming a water outlet flow path of the liquid.

여기서,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는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에 비해 단면이 축소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는 상기 개방부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에 보관된 고온의 액체, 예를 들면 차의 온도를 따듯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ere,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may have a reduced cross-section compared to the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pen portion. Accordingly, the high temperatur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unit,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ar can be kept warm,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oling rate can be delay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 중앙 부위에서 설정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몸체가 형성된 중앙 부위와, 상기 바닥부의 나머지 부위 간에 두께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body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a set heigh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and the thickness betwee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body is formed and the rest of the bottom portion may cause deviations.

본 고안은, 이러한 바닥부 두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가 대류 방식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대류 흐름을 이용하여 차가 잘 우려날 수 있으며, 보온성능도 커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can flow in a convection manner by using this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art. By using this convection flow, tea can be brewed well, an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을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cross-shap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from the bottom portion.

여기서,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마다 마련된 복수의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rotrud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이와 같이, 복수의 돌기부가 주전자 본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주전자 본체 내부의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 각각의 형성 위치에서 바닥부 두께 편차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주전자 본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대류 흐름이 복합적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온성능 향상 및 차를 우려내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홈부는 복수의 돌기부와 달리 나머지 바닥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대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는 주전자 본체, 더 구체적으로는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와 동일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의 내부에는 바닥부와 이종의 소재가 더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빈 공간을 갖는 챔버부를 형성하여, 주전자 본체의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돌출몸체의 돌출된 형상과 두께 증가를 통해 액체의 냉각을 억제하고, 바닥부의 두께 편차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in a cross shap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nside the kettle body has a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at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respectively. As is generated, a convection flow may be induced complexly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in the accommodating part,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brewing tea. Also, unlik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downwar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bottom portions, through which the convection flow may be more smoothly induced. In addition, the protruding body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kettle body,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part of the kettle body.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body may be further embedded with a different type of material from the bottom. In addition, by forming a chamber part having an empty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protruding body, the weight of the kettle body is reduced while suppressing the cooling of the liquid through the protruding shape and thickness increase of the protruding body, and the thickness deviation of the bottom part is possible can make you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뚜껑은, 상기 개방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원형의 뚜껑 본체; 및 상기 뚜껑 본체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과 상기 개방부 간의 결합 부위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may include a circular lid body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opening; and a handl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id body, wherein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lid and the open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복수의 돌기는 상하로 교차하여 상기 뚜껑과 상기 개방부 사이의 틈새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 예를 들어 차인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 그대로의 순수한 향이 우러날 수 있게 해준다.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cross vertically to close a gap between the lid and the opening in a zigzag shap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suppresses the release of a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for example, tea in the case of tea to the outside, thereby allowing the pure flavor of tea to be exuded.

여기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 본체의 테두리인 제1 위치에서 하향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뚜껑의 결합 시 상기 주전자 본체에 밀착되는 제1 절곡돌기; 및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으로 이격한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절곡돌기에 대응하는 길이로 하향 절곡되어 돌출되며, 상기 뚜껑의 결합 시 상기 제1 절곡돌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에 밀착되는 제2 절곡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곡돌기와 상기 제2 절곡돌기 사이에는 끼움홈이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lid is bent downward at a first position that is the edge of the lid body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rst bending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ettle body when the lid is coupled; and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inwardly of the lid body to protrude downwar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and when the lid is coupled, the kettle body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and a second bending protrus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 A fitting groo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ent protrusion and the second bent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주전자 본체는, 상기 개방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며, 상기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끼움홈에 삽입하여 틈새를 차단하는 끼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kettl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up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to block the gap when the lid is coupled.

이와 같이, 제1, 2 절곡돌기와 주전자 본체 간의 이중 밀착 구조와, 끼움홈과 끼움돌기 간의 밀착 구조에 의해 뚜껑과 개방부 사이의 틈새는 지그재그 형태로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틈새를 통해 수용부 내의 액체가 뚜껑이 결합된 부위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차 등을 우려낼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s such, the gap between the lid and the opening part may have a complex shape in a zigzag form due to the double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and the kettle body and the close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fitting groove and the fitting protrus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from leaking out through the gap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lid is coupled,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trinsic flavor of tea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when brewing tea or the like.

다시 말해, 복수의 돌기는 상하로 교차하여 상기 뚜껑과 상기 개방부 사이의 틈새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 예를 들어 차인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 그대로의 순수한 향이 우러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cross vertically to close a gap between the lid and the opening in a zigzag shap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suppress the release of a tea-specific flavor to the outside in the case of a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for example, tea, so that the pure flavor of tea can be exuded.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상기 주전자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수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할 때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리;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kettle body, when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a ring formed so as to be gripped by hand; it further include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고리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원형 단면을 갖는 고리 본체; 상기 고리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제1 위치에 연결되는 제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고리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제2 위치에 연결되는 제2 고리 연결부;를 포함한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has an arc shape, the ring body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first ring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body and connected to a first position of the kettle body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and a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ing body and connected to a second position of the kettle body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opening.

여기서,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와 상기 제1, 2 고리 연결부는 일직선상에 위치 정렬될 수 있다. Here, the water outlet outlet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s may be aligned on a straight lin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상기 고리 본체를 따라 소정 길이로 결합되는 그립몸체;를 더 포함한다. 그립몸체는 상기 고리 본체의 길이 중앙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하여 연장된 길이를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ip body coupl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ring body. The grip body may be coupled to have a length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ring body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ar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그립몸체는, 상기 고리 본체의 길이 중앙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해 연결되며, 상기 고리 본체를 둘러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body is connected from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ring body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art, and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ring body.

여기서,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가 하향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며, 상기 출수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가 외부로 공급될 때, 상기 그립몸체는 상기 주전자의 상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Here, when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maintains a downward inclined posture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on unit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the grip body may be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그립몸체는, 일단부는 상기 고리의 전후 폭 길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하여 상기 고리의 상하 높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리 본체를 라운드지게 둘러 감싸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외형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제1 그립몸체; 상기 제1 그립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고리 연결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 그립몸체; 및 상기 제1 그립몸체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3 그립몸체;를 포함한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body, one e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width length of the ring,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height of the ring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art. a first grip body that surrounds the body in a round shape and has an outer shape that is gradually reduced from one end to the other; a second grip body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toward the first ring connection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third grip bod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여기서, 상기 제3 그립몸체는 상기 제1 그립몸체의 타단부보다 아래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어 라운드지게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그립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주전자 본체를 경사지게 기울여 액체를 출수부로 따를 경우에, 제1 그립몸체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third grip body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of the third grip body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in a round shape. Accordingly, when the user tilts the kettle body in a state of holding the first grip body and pours the liquid into the water outl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hand holding the first grip body from sliding backwards.

본 고안에 의하면, 주전자를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로 하는 동시에, 바닥부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 동안 내부 수용 액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찻주전자 등의 용도로 사용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ttl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g, silver material, etc.),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ottom part are improv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ontained inside can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There are advantages to improving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부에 소정의 돌기(또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바닥부 형상 및 두께 차이로 인한 열전도 차에 의해 바닥부의 근접한 위치에서 데워진 고온의 액체가 위로 순환하는 대류의 흐름이 강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주전자에 비해 보다 긴 시간 동안 내부 수용 액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대류의 흐름을 이용하여 찻물을 보다 진하게 우려낼 수 있어 순수한 차 그대로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redetermined protrusion (or groove) in the bottom part, the convection flow in which the hot liquid heated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part circulates upward is forcibly due to the difference in heat condu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bottom part. can be creat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ontained inside can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kettle, and the tea water can be brewed thicker using the flow of convection, so that the taste and aroma of pure tea can be felt. There is this.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의 주전자의 사용상 불편을 해소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using a kettle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만일, 보온성 확보를 위해 주전자의 재질을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린 손잡이 부위가 한쪽으로 편향되게 되면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는 사용자의 손이 일 측으로 꺾이게 되어 불편이 따를 수 있다. If the material of the kettle is made of heavy metal (eg, silver, etc.) to ensure heat retention, if the handle that lifts the kettle body is deflected to one side while the user is pouring tea, the kettle while pouring tea The user's hand, which h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evice, is bent to one sid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 고리에서 실제로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는 그립부를 주둥이(즉, 출수부)에서 먼 후방으로 위치시켜, 차를 천천히 오래 따르는 찻주전자로 사용시 주전자를 기울여 차를 따르는 동안 그립부가 상사점(즉, 주전자 고리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전자의 사용 시 안정감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art actually gripped by the user's hand in the handle ring is positioned far behind the spout (that is, the water outlet), and when used as a teapot for pouring tea slowly and for a long time, the grip part is superior while pouring tea by tilting the kettle. It can be placed at a point (ie,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r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when using the kettle, and to provide comfort 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han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뚜껑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와 돌출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lid of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portion and the protruding body of the kett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n area "A" of FIG. 5;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may be “interposed” or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고안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ices or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by being divided into .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뚜껑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와 돌출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주전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In the drawings, FIGS. 1 and 2 are perspective and front views briefly illustrating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lid of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portion and the protruding body of the kett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partial enlarged view of an area "A" of FIG. 5,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kettl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찻주전자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찻주전자로 사용 시 보온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데,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고온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차 온도의 냉각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teapot or the like. When used as a teapot,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heat retention, and it can maintain a high temperature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reby delaying the cooling rate of the tea temperatur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중량감이 있는 은 등의 금속재질을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릴 때, 손으로 잡고 있는 그립몸체 부위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상사점, 즉 주전자 본체의 상부 중앙에 위치될 수 있게 해준다. 이로써, 차를 따르는 동안 무게 중심이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지 않아 중량감이 있는 주전자의 사용 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such as silver with a sense of weight. In this case, when the user lifts the kettle body while pouring tea, the grip body part held by the hand can be positioned at top dead center, that is, in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body, so that it is not deflected to either side. Accordingly, the center of gravity is not deflected to either side while pouring tea, thereby providing a sense of stability when using a kettle with a sense of weigh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kett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100)는 주전자 본체(110), 뚜껑(150), 돌출몸체(1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kett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ttle body 110 , a lid 150 , and a protruding body 130 .

주전자 본체(110)는 상단에 개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11)를 통해 액체를 내부에 담아 보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수용부(112)가 마련된다. The kettle body 110 may have an opening 111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he liquid can be stored therein through the opening 111, and for this purpose, a receiving part 112 of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inside.

또한, 주전자 본체(110)는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의 찻잔 등의 용기로 배출시키도록 공급할 수 있는 주둥이, 즉 출수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ttle body 110 may include a spout, that is, the water outlet 120 , which can supply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112 to be discharged to an external container such as a teacup.

뚜껑(150)은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lid 1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kettle body 110 .

뚜껑(150)은 상기 개방부(111)를 개폐할 수 있으며, 주전자 본체(110)와 동일한 금속재질, 예를 들어 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d 150 may open and close the opening 111 ,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kettle body 110 , for example, a silver material.

돌출몸체(130)는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바닥부(113)에서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된 부위를 말한다. The protruding body 130 refers to a portion protruding upw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113 of the kettle body 110 .

주전자 본체(110)의 바닥부(113)는 돌출몸체(130)의 유무에 따라 두께 편차(및 상단 높이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돌출몸체(130)의 주변에서 액체는 다른 주변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온도 차에 의해 액체는 대류 흐름이 유발될 수 있다. The bottom 113 of the kettle body 110 may have a thickness deviation (and a height difference at the top)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truding body 130 . For this reason, the liquid in the vicinity of the protruding body 130 may maintain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other peripheral portions, and the liquid may induce convective flow by this temperature difference.

예를 들어, 돌출몸체(130)에 인접한 위치에서는 고온의 액체가 위로 상승하고, 주전자 본체(110)의 측면 부위에서는 액체가 하강하는 대류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를 통해 수용부(112)에 보관된 고온의 액체의 냉각속도는 지연될 수 있으며, 보다 긴 시간 동안 액체의 보온이 가능해 질 수 있다. For example,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protruding body 130 , a high-temperature liquid rises upward, and a convective flow in which the liquid descends may appear at a side portion of the kettle body 110 . Accordingly, the cooling rate of the high-temperatur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may be delayed through this, and it may be possible to keep the liquid warm for a longer period of time.

출수부(120)는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출수부(120)는 출수부 입구단부(123)와, 출수부 출구단부(121), 및 넥 연결부(125)를 포함한다. 출수부 입구단부(123)는 상기 수용부(112)와 연통하여 형성된다. 출수부 출구단부(121)는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123)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출수시킨다. 그리고 넥 연결부(125)는 출수부 입구단부(123)와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121) 사이를 연결하며 액체의 출수 유로를 형성한다. The water outlet 12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kettle body 110 . For example, the water outlet 120 includes a water outlet inlet end 123 , a water outlet outlet end 121 , and a neck connection part 125 . The water outlet inlet end 123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112 . The water outlet outlet end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outlet inlet end 123 to the outside of the kettle body 110 , and discharges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112 to the outside. And the neck connection part 125 connects between the water outlet inlet end 123 and the water outlet outlet end 121 to form a water outlet flow path of the liquid.

여기서,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121)는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123)에 비해 단면이 축소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121)는 상기 개방부(111)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12)에 보관된 고온의 액체, 예를 들면 차의 온도를 따듯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ere, the water outlet outlet end 121 has a reduced cross-section compared to the water outlet inlet end 123 , and the water outlet outlet end 121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pen portion 111 . can Accordingly, the high temperatur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ar can be kept warm,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oling rate can be delayed.

한편, 돌출몸체(130)는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바닥부(113) 중앙 부위에서 설정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돌출몸체(130)가 형성된 중앙 부위와, 상기 바닥부(113)의 나머지 부위 간에 두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13) 두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112)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가 대류 방식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대류 흐름을 이용하여 차가 잘 우려날 수 있으며, 보온성능도 커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body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a set heigh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113 of the kettle body 110 . Accordingly, a thickness deviation may occur betwee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body 130 is form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13 . Using this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art 113 , the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112 may flow in a convection manner. By using this convection flow, tea can be brewed well, an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몸체(130)는 상기 바닥부(113)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을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를 포함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protruding body 13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protruding in a cross shap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110 from the bottom portion 113 : 1311, 1312, 1313, 1314).

또한, 돌출몸체(130)는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 사이마다 마련된 복수의 홈부(133: 1331, 1332, 1333, 1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body 13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133 (1331, 1332, 1333, 1334)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1, 1312, 1313, 1314).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가 주전자 본체(11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주전자 본체(110) 내부의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는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 각각의 형성 위치에서 바닥부(113) 두께 편차가 발생되어, 수용부(112) 내에서 주전자 본체(11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대류 흐름이 복합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대류 흐름으로 인해 보온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류 흐름으로 인해 차를 우려내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A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1, 1312, 1313, 1314 protrude in a cross shap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110, The stored liquid has a thickness deviation of the bottom 113 at each of the form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1, 1312, 1313, and 1314, so that before and after the kettle body 110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is , convective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induced complexly. The heat retention performance may be improved due to this convection flow, and the effect of brewing tea may be improved due to this convection flow.

또한, 복수의 홈부(133: 1331, 1332, 1333, 1334)는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와 달리 나머지 바닥부(113)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홈부(133: 1331, 1332, 1333, 1334)는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만 형성된 경우에 비해 보다 복합적인 대류 흐름을 발생시켜 보온 성능을 향상시키고, 차를 우려내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rooves (133: 1331, 1332, 1333, 1334) is recessed downwar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bottom portion (113), unlik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1, 1312, 1313, 1314).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grooves (133: 1331, 1332, 1333, 1334) generates a more complex convective flow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onl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1, 1312, 1313, 1314) are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 can improve the effect of brewing tea.

또한, 돌출몸체(130)는 주전자 본체(110), 더 구체적으로는 주전자 본체(110)의 바닥부(113)와 동일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body 130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kettle body 110 ,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113 of the kettle body 110 .

또한, 돌출몸체(130)의 내부에는 바닥부(113)와 이종의 소재가 더 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113 and a different material may be further built in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body 130 .

또한, 돌출몸체(130)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챔버부(140)는 주전자 본체(110)의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돌출몸체(130)의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두께 비율을 조절할 수 있어 액체의 보온 효과 강화 및, 대류 흐름 유도에 따른 차를 우려내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chamber unit 140 forming an empty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provided inside the protruding body 130 (see FIG. 6 ). The chamber unit 140 maintains the protruding shape of the protruding body 130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kettle body 110, and can selectively adjust the thickness ratio as needed, thereby enhancing the thermal effect of the liquid and inducing convective flow.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rewing tea according to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뚜껑(150)은 뚜껑 본체(1501)와, 손잡이(151)를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the lid 150 includes a lid body 1501 and a handle 151 .

뚜껑 본체(1501)는 상기 개방부(11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lid body 1501 may have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opening 111 .

손잡이(151)는 뚜껑 본체(150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The handle 151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id body 1501 .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can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리고 뚜껑(150)과 개방부(111) 간의 결합 부위에는, 복수의 돌기 구조물(1502, 1503, 1111)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구조물(1502, 1503, 1111)은 서로 상하로 교차하여 뚜껑(150)과 개방부(111) 사이의 틈새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밀폐시킨다. 복수의 돌기 구조물(1502, 1503, 1111)은 수용부(112)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 예를 들어 차인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 그대로의 순수한 향이 우러날 수 있게 해준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 structures 1502 , 1503 , and 1111 may be provided at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lid 150 and the opening 111 . The plurality of protrusion structures 1502 , 1503 , and 1111 cross each other up and down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lid 150 and the opening 111 in a zigzag shape. The plurality of protrusion structures 1502 , 1503 , and 1111 suppress the release of the inherent flavor of tea to the outside in the case of a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 for example, tea. makes it possible

예를 들어, 뚜껑(150)은 제1 절곡돌기(1502)와, 제2 절곡돌기(1503)를 포함한다. 제1 절곡돌기(1502)는 뚜껑 본체(1501)의 테두리인 제1 위치에서 하향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For example, the lid 150 includes a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and a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3 .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is bent downward at a first position, which is the edge of the lid body 1501 , and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length.

제1 절곡돌기(1502)는 상기 뚜껑(150)의 결합 시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개방부(111)를 둘러싼 외측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ortion surrounding the opening 111 of the kettle body 110 when the lid 150 is coupled.

제2 절곡돌기(1503)는 제1 절곡돌기(1502)가 형성된 제1 위치보다 뚜껑 본체(1501)의 내측으로 이격한 제2 위치에서 제1 절곡돌기(1502)에 대응하는 길이로 하향 절곡되어 돌출된다. The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3 is bent downwar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lid body 1501 from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is formed. protrude

제2 절곡돌기(1503)는 상기 뚜껑(150)의 결합 시 상기 제1 절곡돌기(1502)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110)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제1, 2 절곡돌기(1502, 1503)가 이중으로 주전자 본체(110)에 밀착됨에 따라 개방부(111) 주변의 밀봉 구조가 강화될 수 있다. The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ettle body 1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when the lid 150 is coupled. In this way, as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1502 and 150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kettle body 110 double, the sealing structure around the opening 111 can be strengthened.

또한, 뚜껑(150)의 경우, 제1 절곡돌기(1502)와 제2 절곡돌기(1503) 사이에 끼움홈(150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d 150 , a fitting groove 1504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and the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3 .

그리고 주전자 본체(110)는 상기 개방부(111)에 인접한 위치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는 끼움돌기(1111)를 구비할 수 있다. 끼움돌기(1111)는 상기 뚜껑(150)의 결합 시 뚜껑(150)에 구비된 끼움홈(1504)에 삽입되어, 뚜껑(150)과 개방부(111) 사이의 틈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ttle body 110 may include a fitting protrusion 1111 protruding up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ing 111 . The fitting protrusion 111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504 provided in the cover 150 when the cover 150 is coupled, thereby sealing the gap between the cover 150 and the opening 111 more effectively. .

이와 같이, 제1, 2 절곡돌기(152, 1503)와 주전자 본체(110) 간의 이중 밀착 구조와, 끼움홈(1504)과 끼움돌기(1111) 간의 밀착 구조에 의해 뚜껑(150)과 개방부(111) 사이의 틈새는 지그재그 형태로 복잡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틈새를 통해 수용부(112) 내의 액체가 뚜껑(150)이 결합된 개방부(1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차 등을 우려낼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lid 150 and the opening part ( 111) can be complexly sealed in a zigzag form. Accordingly, the liqui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through the gap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opening 111 to which the lid 150 is coupled. can be restrained

다시 말해, 복수의 돌기 구조물(1502, 1503, 1111)은 상하로 교차하여 상기 뚜껑(150)과 상기 개방부(111) 사이의 틈새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밀폐시켜,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 그대로의 순수한 향이 우러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protrusion structures 1502 , 1503 , 1111 cross vertically to seal the gap between the lid 150 and the opening 111 in a zigzag shape, so that the unique flavor of tea is emitted to the outside. It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pure flavor of the tea can be released.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상기 주전자 본체(110)에 연결되며, 상기 출수부(120)를 통해 상기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할 때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리(170)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kettle body 110, and can be gripped by hand when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112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part 120. It further includes a ring 170 is formed.

고리(170)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주전자 본체(110)의 상부에서 개방부(111)를 사이에 두고 전, 후 방향으로 둥글게 연결될 수 있다. 고리(170)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ring 170 may have an arc shape, and may be connected in a circ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the opening 111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upper part of the kettle body 110 . The ring 17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고리(170)는 원호 형상의 고리 몸체(171)와, 고리 몸체(171)의 전, 후단에 연결되는 제1, 2 고리 연결부(173, 175)를 포함한다. The ring 170 includes an arc-shaped ring body 171 and first and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s 173 and 175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ing body 171 .

예를 들어, 제1 고리 연결부(173)는 고리 본체(17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주전자 본체(110)의 제1 연결부(118)에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1 연결부(118)는 개방부(111)의 전단에 근접한 주전자 본체(110)의 제1 위치에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17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body 171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8 of the kettle body 110 (see FIG. 2 ).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8 is form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kettle body 110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portion 111 .

제2 고리 연결부(175)는 고리 본체(17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주전자 본체(110)의 제2 연결부(119)에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2 연결부(119)는 상기 개방부(111)의 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제2 위치에 형성된다.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175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ing body 171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19 of the kettle body 110 (see FIG. 2 ).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9 is formed at a second position of the kettle body 110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opening part 111 .

예를 들어, 출수부 출구단부(121)와 상기 제1, 2 고리 연결부(173, 175)는 일직선상에 위치 정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ter outlet outlet end 121 and the first and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s 173 and 175 may be aligned in a straight line.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100)는 고리(170)에 결합된 그립몸체(190)를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kett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ip body 190 coupled to the ring 170 .

그립몸체(190)는 고리 본체(171)를 따라 소정 길이로 결합될 수 있다. The grip body 190 may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ring body 171 .

구체적인 예로서, 그립몸체(190)는 고리 본체(171)의 길이 중앙에서 제2 고리 연결부(175)를 향해 연결되며, 상기 고리 본체(171)를 둘러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주전자 본체(110) 및 고리(170)와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립몸체(190)는 열전도율이 낮은 목재 또는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경량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grip body 190 is connected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art 175 from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ring body 171 , and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ring body 171 , the kettle body 110 . ) and the ring 170 and may have a different material. For example, the grip body 190 may be made of wood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or a lightweight material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또한, 그립몸체(190)는 필요에 따라 고리 본체(171)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그립 몸체(190)는 고리 본체(171)의 임의의 위치로 위치 조절되어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한 위치로 그립 몸체(190)의 위치를 조절시켜 결합 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p body 19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detachably coupled to the ring body 171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grip body 19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detachably coupled by being adjust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ring body 171 .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grip body 190 to a required position and use it after coupling.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100)에서, 그립몸체(190)의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자(100)로부터 액체, 예를 들어 차 등을 외부로 따를 경우 주전자(100)의 상부 중앙, 즉 상사점에 위치하도록 선정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in the kett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grip body 190 is as shown in FIG. 7 , when liquid, for example, tea, etc. is poured from the kettle 100 to the outside. It is better to select it to be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100), that is, top dead center.

도 7을 참조하면, 주전자(100)의 출수부(120)를 통해 차 등을 따를 경우, 출수부 출구단부(121)가 하향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게 되며, 출수부(120)를 통해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가 외부로 공급될 때, 그립몸체(190)는 주전자(10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when tea is pour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of the kettle 100 , the outlet end 121 of the water outlet maintains a downward inclined posture, and the receiving unit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 When the liquid stored in the 112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e grip body 190 may be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100 .

구체적이 예로서, 그립몸체(190)는 제1 그립몸체(191), 제2 그립몸체(193), 및 제3 그립몸체(195)를 포함한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grip body 190 includes a first grip body 191 , a second grip body 193 , and a third grip body 195 .

제1 그립몸체(191)는 일단부는 상기 고리(170)의 전후 폭 길이의 중앙(L/2, 에 위치(P1)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고리 연결부(173)를 향하여 상기 고리(170)의 상하 높이 중앙(H/2)에 위치한다(도 2 참조).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is located in the center (L/2, P1) of the front and rear width length of the ring 170, and the other end of the ring 170 is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173. ) is located at the center (H/2) of the upper and lower heights (see FIG. 2).

제1 그립몸체(191)는 고리 본체(171)를 라운드지게 둘러 감싸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외형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grip body 191 roundly surrounds the ring body 171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outer shape is gradually reduc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제2 그립몸체(191)는 상기 제1 그립몸체(191)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고리 연결부(173)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몸체(191)는 제1 그립몸체(191)의 일단부에 비해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 등을 따를 경우 쉽게 앞으로 기울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second grip body 19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toward the first ring connection part 173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econd grip body 191 may have an expanded shape compared to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 and thus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tilted forward when following a car.

제3 그립몸체(195)는 상기 제1 그립몸체(191)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175)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된다. The third grip body 195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art 175 by a predetermined length.

여기서, 상기 제3 그립몸체(195)는 상기 제1 그립몸체(191)의 타단부보다 아래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어 라운드지게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그립몸체(191)를 파지한 상태에서 주전자 본체(110)를 경사지게 기울여 액체를 출수부(120)로 따를 경우에, 제1 그립몸체(191)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제3 그립몸체(195)를 통해 후방으로 슬립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 등을 따를 경우 그립몸체(190)를 잡은 사용자의 손에 안정감을 줄 수 있다.Here, the third grip body 195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third grip body 191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to protrude outwardly in a round manner. Accordingly, when the user tilts the kettle body 110 in a state of holding the first grip body 191 and pours the liquid into the water outlet 120, the user's hand holding the first grip body 191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backward through the third grip body 195 , and when following a c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o the user's hand holding the grip body 19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주전자를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로 하는 동시에, 바닥부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 동안 내부 수용 액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찻주전자 등의 용도로 사용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ttl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g, silver material, etc.)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ottom part are improv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liquid can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Thus, the quality can be improved when used for purposes such as teapots.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 의하면 바닥부에 소정의 돌기(또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바닥부 형상 및 두께 차이로 인한 열전도 차에 의해 바닥부의 근접한 위치에서 데워진 고온의 액체가 위로 순환하는 대류의 흐름이 강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주전자에 비해 보다 긴 시간 동안 내부 수용 액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대류의 흐름을 이용하여 찻물을 보다 진하게 우려낼 수 있어 순수한 차 그대로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kett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redetermined protrusion (or groove) in the bottom portion, the high-temperature liquid heated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by the difference in heat condu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bottom circulates upward. Convection currents can be forc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ontained inside can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kettle, and the tea water can be brewed thicker using the flow of convection, so that the taste and aroma of pure tea can be felt. There is this.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 의하면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의 주전자의 사용상 불편을 해소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kett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using a kettle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and improve convenience.

만일, 보온성 확보를 위해 주전자의 재질을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린 손잡이 부위가 한쪽으로 편향되게 되면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는 사용자의 손이 일 측으로 꺾이게 되어 불편이 따를 수 있다. If the material of the kettle is made of heavy metal (eg, silver, etc.) to ensure heat retention, if the handle that lifts the kettle body is deflected to one side while the user is pouring tea, the kettle while pouring tea The user's hand, which h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evice, is bent to one sid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본 고안에 의하면 은 재질 등의 금속 재질의 주전자를 사용할 경우 열 전도의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물이 연수로 변하여 차 맛을 부드럽게 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kettl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ilver material is used, it not only increases the effect of heat conduction,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softening the taste of tea by turning water into soft water.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 고리에서 실제로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는 그립부를 주둥이(즉, 출수부)에서 먼 후방으로 위치시켜, 차를 천천히 오래 따르는 찻주전자로 사용시 주전자를 기울여 차를 따르는 동안 그립부가 상사점(즉, 주전자 고리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전자의 사용 시 안정감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art actually gripped by the user's hand in the handle ring is positioned far behind the spout (ie, the water outlet), so that when using as a teapot for slowly pouring tea for a long time, the grip part is superior while pouring tea by tilting the kettle. It can be placed at a point (ie,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r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when using the kettle,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hand can provide comfort.

100: 주전자
110: 주전자 본체
111: 개방부
1111: 끼움돌기
112: 수용부
113: 바닥부
118: 제1 연결부
119: 제2 연결부
120: 출수부
121: 출수부 출구단부
123: 출수부 입구단부
125: 넥 연결부
130: 돌출몸체
131(1311, 1312, 1313, 1314): 돌기부
133(1331, 1332, 1333, 1334): 홈부
140: 챔버부
150: 뚜껑
1501: 뚜껑 본체
1502: 제1 절곡돌기
1503: 제2 절곡돌기
1504: 끼움홈
151: 손잡이
170: 고리
171: 고리 본체
173: 제1 고리 연결부
175: 제2 고리 연결부
190: 그립몸체
191: 제1 그립몸체
193: 제2 그립몸체
195: 제3 그립몸체
100: kettle
110: kettle body
111: opening
1111: fitting projection
112: receptacle
113: bottom
118: first connection part
119: second connection part
120: water outlet
121: water outlet outlet end
123: water outlet inlet end
125: neck connection
130: protruding body
131 (1311, 1312, 1313, 1314): projection
133 (1331, 1332, 1333, 1334): groove
140: chamber unit
150: lid
1501: lid body
1502: first bending protrusion
1503: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4: fitting groove
151: handle
170: ring
171: ring body
173: first ring connection part
175: second ring connection part
190: grip body
191: first grip body
193: second grip body
195: third grip body

Claims (10)

상단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액체를 담아 보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주전자 본체;
상기 주전자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액체의 냉각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두께에 편차를 주는 돌출몸체;
를 포함하는 주전자.
A kettle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end, a accommodating part for storing liquid, and a water outlet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outside;
a li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kettle body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a protruding bod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to delay cooling of th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the protruding body giving a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Kettle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주전자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출수부 입구단부;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출수시키는 출수부 출구단부; 및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와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액체의 출수 유로를 형성하는 넥 연결부;
를 포함하는 주전자.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an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located on one side of the kettle body and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 water outlet outlet end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outlet inlet end to the outside of the kettle body, and for draining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o the outside; and
a neck connection part connecting between the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forming a water outlet flow path of the liquid;
Kettle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 중앙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몸체가 형성된 중앙 부위와, 상기 바닥부의 나머지 부위 간에 두께 편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body,
It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kett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deviation is generat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in which the protruding body is form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kett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바닥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from the bottom portion.
kett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개방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원형의 뚜껑 본체; 및
상기 뚜껑 본체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주전자.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is
a circular lid body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opening; and
a handl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id body;
Kettle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자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수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할 때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리;
를 더 포함하는 주전자.
According to claim 1,
a ring connected to the kettle body and formed to be gripable by hand when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Kettle further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원형 단면을 갖는 고리 본체;
상기 고리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제1 위치에 연결되는 제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고리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제2 위치에 연결되는 제2 고리 연결부;
를 포함하는 주전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ing is
Has a circular arc shape, a ring body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first ring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body and connected to a first position of the kettle body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and
a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ing body and connected to a second position of the kettle body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opening;
Kettle contain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본체를 따라 소정 길이로 결합되는 그립몸체;
를 더 포함하는 주전자.
8. The method of claim 7,
a grip body coupl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ring body;
Kettle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몸체는,
상기 고리 본체의 둘레 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rip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body
kett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몸체는,
상기 고리 본체의 길이 중앙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rip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from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ring body
kettle.
KR2020210001237U 2021-04-20 2021-04-20 Kettle KR2004968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237U KR200496851Y1 (en) 2021-04-20 2021-04-20 Ke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237U KR200496851Y1 (en) 2021-04-20 2021-04-20 Ke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72U true KR20220002572U (en) 2022-10-27
KR200496851Y1 KR200496851Y1 (en) 2023-05-10

Family

ID=8379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237U KR200496851Y1 (en) 2021-04-20 2021-04-20 Ke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51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72U (en) * 1994-06-25 1996-01-17 임충묵 Removable outlet kettle
KR200157561Y1 (en) * 1997-04-22 1999-10-01 박찬의 Rice cooker
KR200342105Y1 (en) * 2003-11-27 2004-02-14 김홍배 Boiling kettle
KR200374837Y1 (en) 2004-11-15 2005-02-03 문준영 A Quick Heating Kettle
KR200420742Y1 (en) * 2006-04-26 2006-07-05 주기중 Cooking p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72U (en) * 1994-06-25 1996-01-17 임충묵 Removable outlet kettle
KR200157561Y1 (en) * 1997-04-22 1999-10-01 박찬의 Rice cooker
KR200342105Y1 (en) * 2003-11-27 2004-02-14 김홍배 Boiling kettle
KR200374837Y1 (en) 2004-11-15 2005-02-03 문준영 A Quick Heating Kettle
KR200420742Y1 (en) * 2006-04-26 2006-07-05 주기중 Cooking 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51Y1 (en)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7719A (en) Container for collecting, preserving, and serving hot beverages
KR101269219B1 (en)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US20150053090A1 (en) Portable cup lid assembly with a d-shaped infuser basket or strainer
KR20170095476A (en) cup lid
KR101252443B1 (en)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CN110035956B (en) Disposable lid for beverage container
KR200496851Y1 (en) Kettle
KR20170052358A (en) Tumbler
JPH02283309A (en) Water bottle with straw and straw
EP2797466B1 (en)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1978816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the function of self-heating
JP2021053275A (en) Heat-retention cooking device
JP3206626U (en) Tea brewer set
KR20130114010A (en) A tea tray
CN221758300U (en) Self-heating soup box
CN220308863U (en) Wine warming pot for individuals
JP2007260370A (en) Set of wide-mouthed sake bottle and sake cup
TWM539888U (en) Improved structure of teapot
JP7253299B2 (en) beverage extractor
US4419927A (en) Decanter for reducing oxidation and evaporation of coffee
US10895485B2 (en) Container with metering cap
JP2021142160A (en) pot
JP2024118277A (en) Dispensing tool
KR101831836B1 (en) Cookware with a corner
KR20100081199A (en) Receptac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