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51Y1 - Kettle - Google Patents

Ke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51Y1
KR200496851Y1 KR2020210001237U KR20210001237U KR200496851Y1 KR 200496851 Y1 KR200496851 Y1 KR 200496851Y1 KR 2020210001237 U KR2020210001237 U KR 2020210001237U KR 20210001237 U KR20210001237 U KR 20210001237U KR 200496851 Y1 KR200496851 Y1 KR 200496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tle
ring
water outlet
grip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2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2572U (en
Inventor
여상우
여규평
Original Assignee
여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우 filed Critical 여상우
Priority to KR2020210001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51Y1/en
Publication of KR20220002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7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5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액체를 담아 보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주전자 본체, 상기 주전자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액체의 냉각을 지연시키는 돌출몸체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ttle, which has an opening at the top, a container body for storing and storing liquid, and a kettle body having a water outlet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kettle body. an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portion, and a protruding body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kettle body to delay cooling of th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Description

주전자{KETTLE}Kettle {KETTLE}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kettle.

주전자는 여러 가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면서, 용기나 그릇 등에 손쉽게 따르도록 하는 도구로서 종래부터 사용되어 왔던 용기 중 하나이다. BACKGROUND ART A kettle is one of the containers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tool that can be easily poured into a container or bowl while containing and storing various liquids.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주전자는 액체를 소정 용량 담아 보관하는 몸체 부분(이하, 주전자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가진다. As is well known, a typical kettle has a body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ettle body) for storing and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liquid, and a lid coupled to be opened and closed so as to cover the open top of the body.

주전자 본체에는 내부에 담긴 액체를 찻잔 등의 용기로 부을 수 있도록 출수용 주둥이가 구비되고, 주전자 본체의 상부에는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주전자 본체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손잡이가 마련된다. The kettle body is provided with a spout for pouring liquid contained therein into a container such as a teacup, and a handle spaced apart from the kettle body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kettle body to lift the kettle body.

뚜껑 이외에 별도의 주둥이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한 종류. 내부에는 물이나 술 등의 액체를 주로 담으며, 손잡이를 잡고 주둥이 쪽으로 용기 전체를 기울이는 등의 조작으로 내부의 액체 물질을 따라낼 수 있다.A type of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parate spout in addition to the lid. It mainly contains liquids such as water or alcohol, and liquid substances can be poured out by holding the handle and tilting the entire container toward the spout.

특히, 차나 커피를 마시기 위해 물을 끓이는 용도로 주전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차를 우리는 용도로 이용되는 찻주전자가 소개되어 있다. In particular, kettles are widely used for boiling water for drinking tea or coffee, and teapots used for brewing tea are introduced.

그런데, 찻주전자의 경우 재질상 보온성이 우수해야 하며 일정 시간 이상 뜨거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 온도 유지를 위한 대류 등의 흐름을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teapot, it is necessary to have excellent heat retention in terms of material, and it is necessary to use a flow such as convection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so as to maintain a hot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또한, 찻주전자의 경우 보온성 확보를 위해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리는 손잡이 부위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일 측으로 꺾이게 되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eapot, it is often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to secure heat retention. However, when the handle part for lifting the kettle body is deflected to one side while the user is pouring tea, the user's hand is bent to one sid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837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급속 가열 주전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4837, and a technology related to a rapid heating kettle is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837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74837

본 고안의 목적은, 재질상 보온성이 우수해야 하며 일정 시간 이상 뜨거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ttle capable of maintaining a hot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which should have excellent heat retention due to its material.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리는 손잡이 부위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어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찻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when a heavy metal material (eg, silver material, etc.) is used, the handle portion for lifting the kettle body is biased to one side while the user pours tea, causing inconvenience in use. It is to provide a teapot that can be used.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온성이 우수하며,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고온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을 지연시킬 수 있는 주전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ttle having excellent heat retention and delaying cooling to maintain a high temperature for a relatively long time is provided.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의 주전자로서,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리는 손잡이 부위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상사점(즉, 주전자의 상부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는 주전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kettle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eg, silver material, etc.), the top dead center (i.e., the kettle's It provides a kettle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upper cent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상단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액체를 담아 보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주전자 본체; 상기 주전자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액체의 냉각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두께에 편차를 주는 돌출몸체;를 포함한다. A kett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at the top, a receiving part for storing and storing liquid, and a water outlet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to the outside; 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kettle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a protruding body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to vary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to delay cooling of th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주전자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출수부 입구단부;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출수시키는 출수부 출구단부; 및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와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액체의 출수 유로를 형성하는 넥 연결부;를 포함한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outle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kettle body, the water outlet inlet end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positioned away from the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to the outside of the kettle body and dispens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neck connection connecting between an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an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forming a water outlet flow path for liquid.

여기서,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는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에 비해 단면이 축소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는 상기 개방부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에 보관된 고온의 액체, 예를 들면 차의 온도를 따듯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ere,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may have a reduced cross section compared to the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emperature of a high-temperature liquid, for example, tea, stored in the accommodating unit can be kept warm, and the cooling rate can be delay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 중앙 부위에서 설정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몸체가 형성된 중앙 부위와, 상기 바닥부의 나머지 부위 간에 두께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body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kettle body to a set height, and the thickness betwee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body is formed and the rest of the bottom portion may cause deviations.

본 고안은, 이러한 바닥부 두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가 대류 방식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대류 흐름을 이용하여 차가 잘 우려날 수 있으며, 보온성능도 커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unit may flow in a convective manner by using the bottom thickness variation. Using this convective flow, tea can be brewed well, and the heat preservation performance can also be increas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을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a cross shap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from the bottom portion.

여기서,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마다 마련된 복수의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rotrud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이와 같이, 복수의 돌기부가 주전자 본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주전자 본체 내부의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 각각의 형성 위치에서 바닥부 두께 편차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주전자 본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대류 흐름이 복합적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온성능 향상 및 차를 우려내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홈부는 복수의 돌기부와 달리 나머지 바닥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대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는 주전자 본체, 더 구체적으로는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와 동일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의 내부에는 바닥부와 이종의 소재가 더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빈 공간을 갖는 챔버부를 형성하여, 주전자 본체의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돌출몸체의 돌출된 형상과 두께 증가를 통해 액체의 냉각을 억제하고, 바닥부의 두께 편차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In this way, a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in a cross shap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inside the kettle body has a bottom thickness deviation at the form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is generated, convective flows can be complexly induc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with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rough this, the effect of brewing tea and improving the heat preserv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unlik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downwar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bottom portions, through which convection flow may be more smoothly induced. In addition, the protruding body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kettle body,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In addition, a bottom portion and a different material may be further embedded inside the protruding body. In addition, a chamber having an empty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side the protruding body to lighten the weight of the kettle body, suppress cooling of the liquid through the protruding shape and increase in thickness of the protruding body, and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can make i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뚜껑은, 상기 개방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원형의 뚜껑 본체; 및 상기 뚜껑 본체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과 상기 개방부 간의 결합 부위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includes a circular lid body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opening; and a handle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lid body,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t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lid and the opening.

복수의 돌기는 상하로 교차하여 상기 뚜껑과 상기 개방부 사이의 틈새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 예를 들어 차인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 그대로의 순수한 향이 우러날 수 있게 해준다.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cross each other vertically to seal a gap between the lid and the opening in a zigzag shap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case of a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container, for example, tea, inhibits the release of tea-specific fragrance to the outside, allowing the pure fragrance of tea to emerge.

여기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 본체의 테두리인 제1 위치에서 하향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뚜껑의 결합 시 상기 주전자 본체에 밀착되는 제1 절곡돌기; 및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뚜껑 본체의 내측으로 이격한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절곡돌기에 대응하는 길이로 하향 절곡되어 돌출되며, 상기 뚜껑의 결합 시 상기 제1 절곡돌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에 밀착되는 제2 절곡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곡돌기와 상기 제2 절곡돌기 사이에는 끼움홈이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lid is bent downward at a first position, which is the rim of the lid body, and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es a first bending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ettle body when the lid is coupled; And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lid body from the first position, the kettle body is bent downwar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and protrudes, and when the lid is coupled, the kettle body is adjacent to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It includes; a second bending protrusion in close contact with. A fitting groo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bending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주전자 본체는, 상기 개방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며, 상기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끼움홈에 삽입하여 틈새를 차단하는 끼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kettle body may protrude up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ing, and may include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to block the gap when the lid is coupled.

이와 같이, 제1, 2 절곡돌기와 주전자 본체 간의 이중 밀착 구조와, 끼움홈과 끼움돌기 간의 밀착 구조에 의해 뚜껑과 개방부 사이의 틈새는 지그재그 형태로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틈새를 통해 수용부 내의 액체가 뚜껑이 결합된 부위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차 등을 우려낼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ap between the lid and the open portion may have a complex shape in a zigzag form due to the double close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rotrusions and the kettle body and the close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fitting groove and the fitting protrus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in the accommodation unit from leaking out through the gap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lid is coupled, and to suppress the release of the unique flavor of tea to the outside when tea is brewed.

다시 말해, 복수의 돌기는 상하로 교차하여 상기 뚜껑과 상기 개방부 사이의 틈새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 예를 들어 차인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 그대로의 순수한 향이 우러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intersect vertically to seal a gap between the lid and the opening in a zigzag shap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suppress the discharge of a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container, for example, tea, so that the pure fragrance of the tea can be brewed.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상기 주전자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수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할 때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리;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kettle body, and is formed to be gripped by hand when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further include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고리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원형 단면을 갖는 고리 본체; 상기 고리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제1 위치에 연결되는 제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고리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제2 위치에 연결되는 제2 고리 연결부;를 포함한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has a circular arc shape, the ring body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body and connected to a first position of the kettle body close to a front end of the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ring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ing body and connected to a second position of the kettle body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opening part.

여기서,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와 상기 제1, 2 고리 연결부는 일직선상에 위치 정렬될 수 있다. Here,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the first and second ring connection parts may be aligned in a straight lin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상기 고리 본체를 따라 소정 길이로 결합되는 그립몸체;를 더 포함한다. 그립몸체는 상기 고리 본체의 길이 중앙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하여 연장된 길이를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kett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ip body coupl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ring body. The grip body may be coupled to have a length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ring body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그립몸체는, 상기 고리 본체의 길이 중앙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해 연결되며, 상기 고리 본체를 둘러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body may be connected from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ring body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and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ring body.

여기서,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가 하향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며, 상기 출수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가 외부로 공급될 때, 상기 그립몸체는 상기 주전자의 상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Here, when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maintains a downwardly inclined posture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on unit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the grip body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서, 상기 그립몸체는, 일단부는 상기 고리의 전후 폭 길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하여 상기 고리의 상하 높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리 본체를 라운드지게 둘러 감싸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외형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제1 그립몸체; 상기 제1 그립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고리 연결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 그립몸체; 및 상기 제1 그립몸체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3 그립몸체;를 포함한다. In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body has one e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ring,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ring. A first grip body that surrounds the main body in a round shape and has a gradually reduced shap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 second grip body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toward the first ring connect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third grip bod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여기서, 상기 제3 그립몸체는 상기 제1 그립몸체의 타단부보다 아래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어 라운드지게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그립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주전자 본체를 경사지게 기울여 액체를 출수부로 따를 경우에, 제1 그립몸체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third grip body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of the third grip body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and protrudes outward in a round shape. Accordingly, when the user pours the liquid into the water outlet by inclining the kettle body while holding the first grip body, the user's hand holding the first grip body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backward.

본 고안에 의하면, 주전자를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로 하는 동시에, 바닥부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 동안 내부 수용 액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찻주전자 등의 용도로 사용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po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g, silver material, etc.),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ottom portion are improv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ontained inside can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so that the quality when used for teapots, etc.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부에 소정의 돌기(또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바닥부 형상 및 두께 차이로 인한 열전도 차에 의해 바닥부의 근접한 위치에서 데워진 고온의 액체가 위로 순환하는 대류의 흐름이 강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주전자에 비해 보다 긴 시간 동안 내부 수용 액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대류의 흐름을 이용하여 찻물을 보다 진하게 우려낼 수 있어 순수한 차 그대로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redetermined protrusion (or groove) on the bottom, the convective flow in which the high-temperature liquid warmed up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circulates upward is forced by the difference in heat condu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shape and thickness of the bottom. can be creat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ontained inside can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compared to conventional kettles, and the tea water can be brewed more intensely using the flow of convection, allowing you to feel the taste and aroma of pure tea. there is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의 주전자의 사용상 불편을 해소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eliminating inconvenience and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of a heavy metal kettle.

만일, 보온성 확보를 위해 주전자의 재질을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린 손잡이 부위가 한쪽으로 편향되게 되면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는 사용자의 손이 일 측으로 꺾이게 되어 불편이 따를 수 있다. If the kettle is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e.g., silver) to secure warmth, if the handle part that lifts the kettle body is deflected to one side while the user is pouring tea, the kettle The hand of the user who h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hand is bent to one sid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 고리에서 실제로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는 그립부를 주둥이(즉, 출수부)에서 먼 후방으로 위치시켜, 차를 천천히 오래 따르는 찻주전자로 사용시 주전자를 기울여 차를 따르는 동안 그립부가 상사점(즉, 주전자 고리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전자의 사용 시 안정감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art actually gripped by the user's hand in the handle ring is located far from the spout (ie, the outlet) to the rear, so that when used as a teapot for slowly pouring tea, the grip part is superior while pouring tea by tilting the kettle You can position it at the dot (i.e., the top center of the kettle r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a sense of stability when using the kettle, and to provide comfort 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han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뚜껑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와 돌출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kettl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and protruding body of the kett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region "A" of FIG. 5;
Figure 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at other element, but intervenes between each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고안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devices or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by dividing into .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뚜껑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와 돌출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주전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In the drawings, FIGS. 1 and 2 are perspective and front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kettl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and protruding body of the kett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 area “A” in FIG. 5,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kettl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찻주전자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찻주전자로 사용 시 보온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데,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고온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차 온도의 냉각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The kett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teapot or the like. When used as a teapot,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heat preservation, and can maintain a high temperature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reby delaying the cooling rate of the tea temperatur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중량감이 있는 은 등의 금속재질을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릴 때, 손으로 잡고 있는 그립몸체 부위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상사점, 즉 주전자 본체의 상부 중앙에 위치될 수 있게 해준다. 이로써, 차를 따르는 동안 무게 중심이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지 않아 중량감이 있는 주전자의 사용 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heavy metal material such as silv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lifts the kettle body while pouring tea, the grip body part held by the hand can be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that is,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body, so that it is not biased to one side. As a result, the center of gravity is not biased to one side while pouring tea, so that a sense of stability can be provided when using a kettle having a sense of weigh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kett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100)는 주전자 본체(110), 뚜껑(150), 돌출몸체(1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kett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ttle body 110, a lid 150, and a protruding body 130.

주전자 본체(110)는 상단에 개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11)를 통해 액체를 내부에 담아 보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수용부(112)가 마련된다. An opening 111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kettle body 110 . The liquid can be stored inside through the opening 111, and for this purpose, a receiving portion 11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therein.

또한, 주전자 본체(110)는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의 찻잔 등의 용기로 배출시키도록 공급할 수 있는 주둥이, 즉 출수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ttle body 110 may include a spout, that is, a water outlet 120 that can supply th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2 to be discharged to an external container such as a teacup.

뚜껑(150)은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lid 15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kettle body 110 .

뚜껑(150)은 상기 개방부(111)를 개폐할 수 있으며, 주전자 본체(110)와 동일한 금속재질, 예를 들어 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d 150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111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kettle body 110, for example, a silver material.

돌출몸체(130)는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바닥부(113)에서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된 부위를 말한다. The protruding body 130 refers to a portion protruding upw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113 of the kettle body 110.

주전자 본체(110)의 바닥부(113)는 돌출몸체(130)의 유무에 따라 두께 편차(및 상단 높이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돌출몸체(130)의 주변에서 액체는 다른 주변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온도 차에 의해 액체는 대류 흐름이 유발될 수 있다. The bottom portion 113 of the kettle body 110 may have a thickness deviation (and a top he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truding body 130 . Because of this, the liquid around the protruding body 130 can maintain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other surrounding areas, and convective flow can be induced in the liquid due to this temperature difference.

예를 들어, 돌출몸체(130)에 인접한 위치에서는 고온의 액체가 위로 상승하고, 주전자 본체(110)의 측면 부위에서는 액체가 하강하는 대류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를 통해 수용부(112)에 보관된 고온의 액체의 냉각속도는 지연될 수 있으며, 보다 긴 시간 동안 액체의 보온이 가능해 질 수 있다. For example, a convective flow in which high-temperature liquid rises upward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protruding body 130 and the liquid descends at a side portion of the kettle body 110 may appear. Accordingly, the cooling rate of the high-temperature liqui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unit 112 may be delayed through this, and the liquid may be kept warm for a longer time.

출수부(120)는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출수부(120)는 출수부 입구단부(123)와, 출수부 출구단부(121), 및 넥 연결부(125)를 포함한다. 출수부 입구단부(123)는 상기 수용부(112)와 연통하여 형성된다. 출수부 출구단부(121)는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123)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출수시킨다. 그리고 넥 연결부(125)는 출수부 입구단부(123)와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121) 사이를 연결하며 액체의 출수 유로를 형성한다. The water outlet 12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kettle body 110. For example, the water outlet 120 includes a water outlet inlet end 123, a water outlet outlet end 121, and a neck connection portion 125. The water outlet inlet end 123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112 . The outlet end 121 of the water outlet is positioned away from the inlet end 123 of the water outlet to the outside of the kettle body 110, and discharges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2 to the outside. Also, the neck connection part 125 connects the water outlet inlet end 123 and the water outlet outlet end 121 to form a liquid outlet flow path.

여기서,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121)는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123)에 비해 단면이 축소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121)는 상기 개방부(111)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12)에 보관된 고온의 액체, 예를 들면 차의 온도를 따듯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ere,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121 has a reduced cross section compared to the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123, and the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121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11.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warm temperature of a high-temperature liquid, for example, tea, stored in the accommodating unit 112, and has an advantage of delaying a cooling rate.

한편, 돌출몸체(130)는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바닥부(113) 중앙 부위에서 설정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돌출몸체(130)가 형성된 중앙 부위와, 상기 바닥부(113)의 나머지 부위 간에 두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13) 두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112)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가 대류 방식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대류 흐름을 이용하여 차가 잘 우려날 수 있으며, 보온성능도 커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body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13 of the kettle body 110 to a set height. Accordingly, a thickness deviation may occur betwee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body 130 is formed and the rest of the bottom portion 113 . Using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bottom portion 113, the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2 may flow in a convective manner. Using this convective flow, tea can be brewed well, and the heat preservation performance can also be increased.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몸체(130)는 상기 바닥부(113)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을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를 포함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protruding body 13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protruding in a cross shap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110 from the bottom portion 113: 1311, 1312, 1313, 1314).

또한, 돌출몸체(130)는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 사이마다 마련된 복수의 홈부(133: 1331, 1332, 1333, 1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body 13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133: 1331, 1332, 1333, 1334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1, 1312, 1313, and 1314.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가 주전자 본체(11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주전자 본체(110) 내부의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는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 각각의 형성 위치에서 바닥부(113) 두께 편차가 발생되어, 수용부(112) 내에서 주전자 본체(11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대류 흐름이 복합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대류 흐름으로 인해 보온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류 흐름으로 인해 차를 우려내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A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 1311, 1312, 1313, 1314) protrude in a cross shap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110, The stored liquid is a plurality of projections (131: 1311, 1312, 1313, 1314) at each formation 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113 is uneven, so that the front and rear of the kettle body 110 in the receiving portion 112 , convective flow can be induced in a complex mann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ue to this convective flow, the heat preserv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effect of brewing tea can be improved due to this convective flow.

또한, 복수의 홈부(133: 1331, 1332, 1333, 1334)는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와 달리 나머지 바닥부(113)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홈부(133: 1331, 1332, 1333, 1334)는 복수의 돌기부(131: 1311, 1312, 1313, 1314)만 형성된 경우에 비해 보다 복합적인 대류 흐름을 발생시켜 보온 성능을 향상시키고, 차를 우려내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1, 1312, 1313, 1314, the plurality of grooves 133 (1331, 1332, 1333, 1334) are recessed downwar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bottom portion 113.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grooves (133: 1331, 1332, 1333, 1334) generate a more complex convection flow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1311, 1312, 1313, 1314) are formed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 can improve the effect of brewing tea.

또한, 돌출몸체(130)는 주전자 본체(110), 더 구체적으로는 주전자 본체(110)의 바닥부(113)와 동일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body 130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kettle body 110,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portion 113 of the kettle body 110.

또한, 돌출몸체(130)의 내부에는 바닥부(113)와 이종의 소재가 더 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ttom portion 113 may be further embedded in the protruding body 130 .

또한, 돌출몸체(130)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챔버부(140)는 주전자 본체(110)의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돌출몸체(130)의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두께 비율을 조절할 수 있어 액체의 보온 효과 강화 및, 대류 흐름 유도에 따른 차를 우려내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chamber portion 140 forming an empty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provided inside the protruding body 130 (see FIG. 6). The chamber part 140 maintains the protruding shape of the protruding body 130 while lightening the weight of the kettle body 110, and selectively adjusts the thickness ratio as needed to enhanc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liquid and induce convective flow.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rewing tea according to.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뚜껑(150)은 뚜껑 본체(1501)와, 손잡이(151)를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the lid 150 includes a lid body 1501 and a handle 151 .

뚜껑 본체(1501)는 상기 개방부(11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lid body 1501 may have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opening 111 .

손잡이(151)는 뚜껑 본체(150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The handle 151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lid body 1501.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can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리고 뚜껑(150)과 개방부(111) 간의 결합 부위에는, 복수의 돌기 구조물(1502, 1503, 1111)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구조물(1502, 1503, 1111)은 서로 상하로 교차하여 뚜껑(150)과 개방부(111) 사이의 틈새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밀폐시킨다. 복수의 돌기 구조물(1502, 1503, 1111)은 수용부(112)에 보관된 소정 온도를 갖는 고온의 액체, 예를 들어 차인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 그대로의 순수한 향이 우러날 수 있게 해준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 structures 1502 , 1503 , and 1111 may be provided at a joint between the lid 150 and the opening 111 . The plurality of protrusion structures 1502 , 1503 , and 1111 cross each other vertically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lid 150 and the opening 111 in a zigzag shap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structures 1502, 1503, and 1111 suppress the discharge of a high-temperatur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112, for example, tea, so that the pure fragrance of the tea is released. allows you to

예를 들어, 뚜껑(150)은 제1 절곡돌기(1502)와, 제2 절곡돌기(1503)를 포함한다. 제1 절곡돌기(1502)는 뚜껑 본체(1501)의 테두리인 제1 위치에서 하향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For example, the lid 150 includes a first bending projection 1502 and a second bending projection 1503 .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is bent downward at the first position, which is the edge of the lid body 1501, and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length.

제1 절곡돌기(1502)는 상기 뚜껑(150)의 결합 시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개방부(111)를 둘러싼 외측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When the lid 150 is coupled,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an outer portion surrounding the opening 111 of the kettle body 110 .

제2 절곡돌기(1503)는 제1 절곡돌기(1502)가 형성된 제1 위치보다 뚜껑 본체(1501)의 내측으로 이격한 제2 위치에서 제1 절곡돌기(1502)에 대응하는 길이로 하향 절곡되어 돌출된다. The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3 is bent downwar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is formed to the inside of the lid body 1501. protrudes out

제2 절곡돌기(1503)는 상기 뚜껑(150)의 결합 시 상기 제1 절곡돌기(1502)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110)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제1, 2 절곡돌기(1502, 1503)가 이중으로 주전자 본체(110)에 밀착됨에 따라 개방부(111) 주변의 밀봉 구조가 강화될 수 있다. The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ettle body 1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when the lid 150 is coupled. In this way, as the first and second bent protrusions 1502 and 1503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kettle body 110 in double, the sealing structure around the opening 111 can be strengthened.

또한, 뚜껑(150)의 경우, 제1 절곡돌기(1502)와 제2 절곡돌기(1503) 사이에 끼움홈(150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d 150, a fitting groove 1504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bending protrusion 1502 and the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3.

그리고 주전자 본체(110)는 상기 개방부(111)에 인접한 위치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는 끼움돌기(1111)를 구비할 수 있다. 끼움돌기(1111)는 상기 뚜껑(150)의 결합 시 뚜껑(150)에 구비된 끼움홈(1504)에 삽입되어, 뚜껑(150)과 개방부(111) 사이의 틈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ttle body 110 may include a fitting protrusion 1111 protruding up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ing 111 . The fitting protrusion 111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504 provided in the lid 150 when the lid 150 is coupl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lid 150 and the opening 111 can be more effectively sealed. .

이와 같이, 제1, 2 절곡돌기(152, 1503)와 주전자 본체(110) 간의 이중 밀착 구조와, 끼움홈(1504)과 끼움돌기(1111) 간의 밀착 구조에 의해 뚜껑(150)과 개방부(111) 사이의 틈새는 지그재그 형태로 복잡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틈새를 통해 수용부(112) 내의 액체가 뚜껑(150)이 결합된 개방부(1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차 등을 우려낼 경우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lid 150 and the opening ( 111) may be complicatedly sealed in a zigzag shape. Accordingly, the liquid in the accommodation part 112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art 111 to which the lid 150 is coupled through the gap, and when tea is brewed, the unique flavor of the tea is released to the outside. can suppress

다시 말해, 복수의 돌기 구조물(1502, 1503, 1111)은 상하로 교차하여 상기 뚜껑(150)과 상기 개방부(111) 사이의 틈새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밀폐시켜, 차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 그대로의 순수한 향이 우러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protruding structures 1502, 1503, and 1111 intersect vertically to seal the gap between the lid 150 and the opening 111 in a zigzag shape, thereby preventing the unique flavor of tea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It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pure fragrance of the tea can be brewed.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는 상기 주전자 본체(110)에 연결되며, 상기 출수부(120)를 통해 상기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할 때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리(170)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kettle body 110, and can be gripped by hand when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112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It further includes a ring 170 formed.

고리(170)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주전자 본체(110)의 상부에서 개방부(111)를 사이에 두고 전, 후 방향으로 둥글게 연결될 수 있다. 고리(170)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ring 170 may have an arc shape, and may be connected round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the opening 111 interposed therebetween at the top of the kettle body 110. Ring 170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고리(170)는 원호 형상의 고리 몸체(171)와, 고리 몸체(171)의 전, 후단에 연결되는 제1, 2 고리 연결부(173, 175)를 포함한다. The ring 170 includes an arc-shaped ring body 171 and first and second ring connection parts 173 and 175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ing body 171.

예를 들어, 제1 고리 연결부(173)는 고리 본체(17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주전자 본체(110)의 제1 연결부(118)에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1 연결부(118)는 개방부(111)의 전단에 근접한 주전자 본체(110)의 제1 위치에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17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body 17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8 of the kettle body 110 (see FIG. 2 ).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8 is form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kettle body 110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portion 111 .

제2 고리 연결부(175)는 고리 본체(17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주전자 본체(110)의 제2 연결부(119)에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2 연결부(119)는 상기 개방부(111)의 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110)의 제2 위치에 형성된다.The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175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ing body 17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9 of the kettle body 110 (see FIG. 2).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9 is formed at a second position of the kettle body 110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opening part 111 .

예를 들어, 출수부 출구단부(121)와 상기 제1, 2 고리 연결부(173, 175)는 일직선상에 위치 정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let end 121 of the water outlet and the first and second ring connection parts 173 and 175 may be aligned in a straight line.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100)는 고리(170)에 결합된 그립몸체(190)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kett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ip body 190 coupled to the ring 170.

그립몸체(190)는 고리 본체(171)를 따라 소정 길이로 결합될 수 있다. The grip body 190 may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ring body 171 .

구체적인 예로서, 그립몸체(190)는 고리 본체(171)의 길이 중앙에서 제2 고리 연결부(175)를 향해 연결되며, 상기 고리 본체(171)를 둘러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주전자 본체(110) 및 고리(170)와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립몸체(190)는 열전도율이 낮은 목재 또는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경량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grip body 190 is connected from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ring body 171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175, and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ring body 171, the kettle body 110 ) and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ring 170. For example, the grip body 190 may use wood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or a lightweight material having similar properties.

또한, 그립몸체(190)는 필요에 따라 고리 본체(171)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그립 몸체(190)는 고리 본체(171)의 임의의 위치로 위치 조절되어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한 위치로 그립 몸체(190)의 위치를 조절시켜 결합 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p body 19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ring body 171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grip body 19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detachably coupled by adjusting the position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ring body 171.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grip body 190 to a required position and use it after coupling.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100)에서, 그립몸체(190)의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자(100)로부터 액체, 예를 들어 차 등을 외부로 따를 경우 주전자(100)의 상부 중앙, 즉 상사점에 위치하도록 선정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in the kett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grip body 190 is, as shown in FIG. 7, when pouring liquid, for example tea, etc. from the kettle 100 to the outside. It is good to select it to be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100), that is, the top dead center.

도 7을 참조하면, 주전자(100)의 출수부(120)를 통해 차 등을 따를 경우, 출수부 출구단부(121)가 하향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게 되며, 출수부(120)를 통해 수용부(112)에 보관된 액체가 외부로 공급될 때, 그립몸체(190)는 주전자(10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when tea is pour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of the kettle 100, the outlet end 121 of the water outlet maintains a downwardly inclined posture, and the water outlet 120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When the liquid stored in 112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e grip body 190 may be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100.

구체적이 예로서, 그립몸체(190)는 제1 그립몸체(191), 제2 그립몸체(193), 및 제3 그립몸체(195)를 포함한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grip body 190 includes a first grip body 191 , a second grip body 193 , and a third grip body 195 .

제1 그립몸체(191)는 일단부는 상기 고리(170)의 전후 폭 길이의 중앙(L/2)에 위치(P1)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고리 연결부(173)를 향하여 상기 고리(170)의 상하 높이 중앙(H/2)에 위치(P2)한다(도 2 참조). The first grip body 191 has one end positioned at the center (P1) of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ring 170 (P1),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173 to form the ring 170. ) is positioned (P2)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height (H/2) (see FIG. 2).

제1 그립몸체(191)는 고리 본체(171)를 라운드지게 둘러 감싸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외형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grip body 191 surrounds the ring body 171 in a round shape,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outer shape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제2 그립몸체(193)는 상기 제1 그립몸체(191)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고리 연결부(173)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몸체(193)는 제1 그립몸체(191)의 일단부에 비해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 등을 따를 경우 쉽게 앞으로 기울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second grip body 193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toward the first ring connection part 173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econd grip body 193 may have an extended shape compared to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and thus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tilted forward when following a car.

제3 그립몸체(195)는 상기 제1 그립몸체(191)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175)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된다. The third grip body 195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ortion 175 by a predetermined length.

여기서, 상기 제3 그립몸체(195)는 상기 제1 그립몸체(191)의 타단부보다 아래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어 라운드지게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그립몸체(191)를 파지한 상태에서 주전자 본체(110)를 경사지게 기울여 액체를 출수부(120)로 따를 경우에, 제1 그립몸체(191)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제3 그립몸체(195)를 통해 후방으로 슬립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 등을 따를 경우 그립몸체(190)를 잡은 사용자의 손에 안정감을 줄 수 있다.Here, the third grip body 195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of the third grip body 195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191 and protrudes outward in a round shape. Accordingly, when the user pours liquid into the water outlet 120 by inclining the kettle body 110 while holding the first grip body 191, the user's hand holding the first grip body 191 Through the third grip body 195, slipping backward can be prevented, and a sense of stability can be given to the user's hand holding the grip body 190 when following a ca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주전자를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로 하는 동시에, 바닥부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 동안 내부 수용 액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찻주전자 등의 용도로 사용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ttl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g, silver material, etc.),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ottom part are improv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ly contained liqui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quality can be improved when used for purposes such as teapots.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 의하면 바닥부에 소정의 돌기(또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바닥부 형상 및 두께 차이로 인한 열전도 차에 의해 바닥부의 근접한 위치에서 데워진 고온의 액체가 위로 순환하는 대류의 흐름이 강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주전자에 비해 보다 긴 시간 동안 내부 수용 액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대류의 흐름을 이용하여 찻물을 보다 진하게 우려낼 수 있어 순수한 차 그대로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ke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protrusion (or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o that the high-temperature liquid warmed up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is circulated upward due to the difference in heat conduction due to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bottom. Convective flow can be forc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ontained inside can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compared to conventional kettles, and the tea water can be brewed more intensely using the flow of convection, allowing you to feel the taste and aroma of pure tea. there is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전자에 의하면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의 주전자의 사용상 불편을 해소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kett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and improve convenience in use of the heavy metal kettle.

만일, 보온성 확보를 위해 주전자의 재질을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질(예: 은 재질 등)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 본체를 들어 올린 손잡이 부위가 한쪽으로 편향되게 되면 차를 따르는 동안 주전자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는 사용자의 손이 일 측으로 꺾이게 되어 불편이 따를 수 있다. If the kettle is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e.g., silver) to secure warmth, if the handle part that lifts the kettle body is deflected to one side while the user is pouring tea, the kettle The hand of the user who h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hand is bent to one sid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본 고안에 의하면 은 재질 등의 금속 재질의 주전자를 사용할 경우 열 전도의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물이 연수로 변하여 차 맛을 부드럽게 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kettle made of a metal such as silver is used, the effect of heat conduction is increased, and the water is changed into soft water to soften the taste of tea.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 고리에서 실제로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는 그립부를 주둥이(즉, 출수부)에서 먼 후방으로 위치시켜, 차를 천천히 오래 따르는 찻주전자로 사용시 주전자를 기울여 차를 따르는 동안 그립부가 상사점(즉, 주전자 고리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전자의 사용 시 안정감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주어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art that the user's hand actually grips in the handle ring is located far from the spout (ie, the outlet) to the rear, so that when used as a teapot for slowly pouring tea, the grip part is superior while pouring tea by tilting the kettle You can position it at the dot (i.e., the top center of the kettle r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a sense of stability when using the kettle, and to provide comfort 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hand.

100: 주전자
110: 주전자 본체
111: 개방부
1111: 끼움돌기
112: 수용부
113: 바닥부
118: 제1 연결부
119: 제2 연결부
120: 출수부
121: 출수부 출구단부
123: 출수부 입구단부
125: 넥 연결부
130: 돌출몸체
131(1311, 1312, 1313, 1314): 돌기부
133(1331, 1332, 1333, 1334): 홈부
140: 챔버부
150: 뚜껑
1501: 뚜껑 본체
1502: 제1 절곡돌기
1503: 제2 절곡돌기
1504: 끼움홈
151: 손잡이
170: 고리
171: 고리 본체
173: 제1 고리 연결부
175: 제2 고리 연결부
190: 그립몸체
191: 제1 그립몸체
193: 제2 그립몸체
195: 제3 그립몸체
100: kettle
110: kettle body
111: opening
1111: fitting protrusion
112: receiving part
113: bottom
118: first connection
119: second connection part
120: exit part
121: exit end of the outlet
123: inlet end of the outlet
125: neck connection
130: protruding body
131 (1311, 1312, 1313, 1314): projection
133 (1331, 1332, 1333, 1334): groove
140: chamber part
150: lid
1501: lid body
1502: first bending protrusion
1503: second bending protrusion
1504: fitting groove
151: handle
170: ring
171: ring body
173: first ring connection
175: second ring connection
190: grip body
191: first grip body
193: second grip body
195: third grip body

Claims (10)

상단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액체를 담아 보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주전자 본체;
상기 주전자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돌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주전자 본체의 바닥부 중앙 부위에서 설정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몸체가 형성된 중앙 부위와 상기 바닥부의 나머지 부위 간에 두께 편차를 발생시키고,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십자 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전자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수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공급할 때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원형 단면을 갖는 고리 본체;
상기 고리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제1 위치에 연결되는 제1 고리 연결부;
상기 고리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후단에 근접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제2 위치에 연결되는 제2 고리 연결부; 및
상기 고리 본체를 따라 소정 길이로 결합되는 그립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가 외부로 공급될 때 상기 그립몸체는 주전자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그립몸체는, 일단부는 상기 고리의 전후 폭 길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하여 상기 고리의 상하 높이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고리 본체를 라운드지게 둘러 감싸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외형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제1 그립몸체;
상기 제1 그립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고리 연결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립몸체의 일단부에 비해 확장된 형상을 갖는 제2 그립몸체; 및
상기 제1 그립몸체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2 고리 연결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립몸체의 타단부보다 아래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어 라운드지게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3 그립몸체;
를 포함하는 주전자.
A kettle body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a receiving portion for containing and storing liquid, and a water outlet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outside;
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kettle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Including; a protruding body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kettle body,
The protruding body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kettle body to a set height, and causes a thickness deviat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body is formed and the rest of the bottom portion,
The protruding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a cross shap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kettle body from the bottom portion,
It is connected to the kettle body and is formed to be gripped by hand when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further comprising,
The ring has a circular arc shape, the ring body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first ring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body and connected to a first position of the kettle body close to a front end of the opening portion;
a second ring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ing body and connected to a second position of the kettle body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opening part; and
Including; a grip body coupl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ring body;
When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outlet, the grip body is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kettle,
The grip body, one e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ring, the other e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ring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on portion, surrounds the ring body in a round shape, and at one end A first grip body having a shape whose outer shape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other end;
a second grip body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toward the first ring connection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shape extended compared to one end of the first grip body; and
It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toward the second ring connecting part,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expa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ip body and protrudes outward in a round shape. 3 grip body;
Kettl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주전자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출수부 입구단부;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에서 상기 주전자 본체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출수시키는 출수부 출구단부; 및
상기 출수부 입구단부와 상기 출수부 출구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액체의 출수 유로를 형성하는 넥 연결부;
를 포함하는 주전자.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part,
Located on one side of the kettle body, the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positioned away from the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to the outside of the kettle body and dispensing the liquid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neck connector connecting an in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an outlet end of the water outlet and forming a water outlet flow path for liquid;
Kettle contain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개방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원형의 뚜껑 본체; 및
상기 뚜껑 본체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주전자.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a circular lid body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opening; and
a handle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lid body;
Kettle contain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10001237U 2021-04-20 2021-04-20 Kettle KR2004968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237U KR200496851Y1 (en) 2021-04-20 2021-04-20 Ke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237U KR200496851Y1 (en) 2021-04-20 2021-04-20 Ke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72U KR20220002572U (en) 2022-10-27
KR200496851Y1 true KR200496851Y1 (en) 2023-05-10

Family

ID=8379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237U KR200496851Y1 (en) 2021-04-20 2021-04-20 Ke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51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561Y1 (en) * 1997-04-22 1999-10-01 박찬의 Rice cooker
KR200342105Y1 (en) * 2003-11-27 2004-02-14 김홍배 Boiling kettle
KR200420742Y1 (en) 2006-04-26 2006-07-05 주기중 Cooking po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72U (en) * 1994-06-25 1996-01-17 임충묵 Removable outlet kettle
KR200374837Y1 (en) 2004-11-15 2005-02-03 문준영 A Quick Heating Kett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561Y1 (en) * 1997-04-22 1999-10-01 박찬의 Rice cooker
KR200342105Y1 (en) * 2003-11-27 2004-02-14 김홍배 Boiling kettle
KR200420742Y1 (en) 2006-04-26 2006-07-05 주기중 Cooking 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72U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2102A1 (en) Glass with the drinking plane not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ntainer
KR101269219B1 (en)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US4526797A (en) Decanter for reducing oxidation and evaporation of coffee
KR200496851Y1 (en) Kettle
KR20170095476A (en) cup lid
CN110035956B (en) Disposable lid for beverage container
CN100405958C (en)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baffle arrangement for liquid cooling
KR200441078Y1 (en) lid for cooking vessel
JPH02283309A (en) Water bottle with straw and straw
GB2417670A (en) Liquid heating vessel partitioned to control temperature
US4419927A (en) Decanter for reducing oxidation and evaporation of coffee
JP3551902B2 (en) Beverage extraction and warming method using a vacuum insulated container and beverage extraction and warming device
US10895485B2 (en) Container with metering cap
US200600431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carafe splashing
JP4725851B2 (en) Sake set for shochu
JP2021142160A (en) pot
WO2003041543A1 (en) Beverage container
JP3708933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KR200212959Y1 (en) Spout for pouch drink receptacle
JP3046725B2 (en) Insulated liquid container
JP5075367B2 (en) Beverage extractor
KR20100081199A (en) Receptacle apparatus
JPS624228Y2 (en)
KR200167429Y1 (en) A keeping warm boiled rice container
AU773129B2 (en) Beve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