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836B1 - Cookware with a corner - Google Patents

Cookware with a co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836B1
KR101831836B1 KR1020160035936A KR20160035936A KR101831836B1 KR 101831836 B1 KR101831836 B1 KR 101831836B1 KR 1020160035936 A KR1020160035936 A KR 1020160035936A KR 20160035936 A KR20160035936 A KR 20160035936A KR 101831836 B1 KR101831836 B1 KR 10183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groove
delete delete
presen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1113A (en
KR101831836B9 (en
Inventor
김요한
Original Assignee
김요한
김사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요한, 김사무엘 filed Critical 김요한
Priority to KR102016003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836B1/en
Publication of KR2017011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836B1/en
Publication of KR10183183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836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구 안에 담겨있는 음식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하며, 조리기구를 가스레인지 위에 올려놓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transferred more easily and safely, and the cooking appliance is prevented from slipping when put on the gas range.

Description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 {Cookware with a corner}Cookware with a corner}

본 발명은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구의 안쪽에 내 각을 추가하여 조리기구에 조리된 음식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하며, 조리기구의 밑면에 미끄럼방지홈을 구성하여 가스레인지에 조리기구를 올려 놓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More specifically, the inner angle is add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cooked food can be transferred more easily and safely, and the non-slip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cooking appliance is placed in the gas ran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which is intended to prevent slippage when cooking.

종래의 조리기구 기술의 한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6278호 "국물 넘치지 않는 간편냄비"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상기 선행기술의 간편냄비의 몸체부분을 나타낸 단면도로,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냄비몸체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냄비높이의 2/5~4/5 지점 가장자리에 곡선형인 걸림턱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끓어 넘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를 제안한다.Korean Patent Laid-Open No. 2011-0116278 entitled " Simple pot that does not overflow broth "has been proposed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okware technology.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dy portion of the simple po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curved hook is formed at the edge of 2/5 to 4/5 of the pot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ot body, Is prevented from being boiled.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조리기구 안에 담겨있는 음식을 쉽게 덜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제안되어 있지 않다.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from boiling over, but it has not been suggested in an effective way to easily remove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ware.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46526호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가 제안되었는데, 도 2는 상기 선행기술의 사시도로, 상기 선행기술은 내측용기본체와 외측용기본체를 이격되게 결합시켜 각종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내측으로 조리대상물이 수납되는 내측용기본체의 외측에 하부 가운데에 화기가 유입되는 화기유입공이 형성된 외측용기본체를 결합 구성하되, 내측용기본체와 외측용기본체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화기유도로가 생성되게 내측용기본체의 외측 또는 외측용기본체의 내측에 수개의 간격유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화기유입공과 화기유도로를 거쳐 내입된 화기가 내측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측용기본체의 상단에 가운데가 높은 호형의 뚜껑을 안치 결합하며, 뚜껑의 상부에 내측용기본체 내부를 거쳐서 상부 가운데로 상승하는 화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기를 유입 후 재가열토록 유도시켜 배출되도록 해서 이중구조의 조리기구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므로 높은 온도로 신속히 조리할 수 있으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편의성 및 청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으며, 조리 시 안전성을 부여하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ove prior art, wherein the prior art is constructed to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main body and the outer container main body from each other by separating various foods from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ouble structure which can be quickly and easily cook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ouble structure in which cooking utensils are housed in an outer side of an inner container body, A plurality of spacing retain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so as to generate a fire inducing furnace so as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inner container body and the outer container body,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main body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lid so as to discharge a firearm rising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to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maximiz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cooker of the dual structure. Therefore, the cooker can be cooked at a high temperature quickly, and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to improve convenience and cleanliness. .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조리기구의 이중구조를 통해 조리 시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음식을 쉽게 옮겨 담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제안되어 있지 않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double structure of the cooking device can provide safety during cooking, but there is no proposal for an effective method for easily transferring food.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467550호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분리형 조리기구"가 제안되었는데, 도 3은 상기 선행기술의 사시도로, 상기 선행기술은 동일한 열원에서 여러 가지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며 조리된 음식 별로 분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조리기구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다수개의 분할 용기를 갖는 분리형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조리부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일측에는 손잡이부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결합프레임이 형성되고 타측은 다각형의 둘레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할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외형프레임; 및 외형프레임에 얹혀지는 다수개의 분할용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467550 "Separate Cookware with Separate Culver for Cooking and Storage" has been propos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or art, wherein the prior art is capable of cooking various foods in the same heat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cooking utensil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containers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cooking utensil so that the cooked food can be separated and stor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handle and a cooking cavity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 coupling fram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oking cavity, A plurality of outer frames formed by dividing frames formed in a polygonal perimeter shape; And a plurality of divided containers mounted on the outer frame.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조리기구 안에 담겨있는 음식을 쉽게 덜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제안되어 있지 않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is no proposal for an effective method to easily remove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utensil.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463341호 "음식물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기구"가 제안되었는데, 도 4는 상기 선행기술의 사시도로, 상기 선행기술은 음식물 유출방지수단의 단부에 구비된 자성체를 통해 음식물 조리 시 개폐부를 폐쇄하여 음식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용기본체 일측에 상향으로 만곡 되게 형성된 흘림방지부를 구비하여 음식물의 넘침을 방지함과 아울러 국자 없이 그릇에 음식물을 부을 때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or ar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ood is cooked through the magnetic material provided at the end of the food spill prevention mean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losed to prevent the foo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and the spill prevention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so as to be curved upwardly to prevent overflow of the food and to prevent the food from being poured at once when the food is poured into the bowl without a lad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food overflow prevention function.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음식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음식을 쉽게 옮겨 담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from overflowing, but there is no effective method for easily transferring food.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472073호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가 제안되었는데, 도 5는 상기 선행기술의 사시도로, 상기 선행기술은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본체;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냄비본체의 높이를 연장시켜 끓는 물이나, 식재료가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방지수단; 및 상기 넘침방지수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or art. The prior art relates to a pot having an overflow preven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t having an overflow prevention structure, ; An overflow preventing mean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n body by a fastening means to prevent the boiling water or the foodstuff from boiling over by extending the height of the pan body; And a pack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overflow prevention means.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음식을 쉽게 옮겨 담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In the prior art, there is no effective method for easily transferring food.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019279호 "후라이팬이 부설된 전기냄비"가 제안되었는데, 도 6은 상기 선행기술의 평면도로, 상기 선행기술은 양측이 개방된 동체의 내부일측에 냄비부를 착설하고 그 타측에는 후라이팬부를 냄비부와 서로 상치되게 착설하며, 냄비부와 후라이팬부의 각 저면사이에 연결부를 돌설하여 그 내부에 전열선을 매설하여서된 후라이팬이 부설된 전기냄비에 관한 것이다.6 is a plan view of the prior art. In the prior art, a po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a body where both sides are open, and the other po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ot in which a frying pan is installed so as to oppose to a pot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of the pot portion and the frying pan portion and a heating wire is embedded in the pot.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후라이팬과 냄비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음식을 쉽게 옮겨 담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In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an can be used together with a pan, but an effective method for easily transferring food is not proposed.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019279호 "탈부착 가능한 칸막이가 구비된 후라이팬"이 제안되었는데, 도 7은 상기 선행기술의 평면도로, 상기 선행기술은 원주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홈, 제2 홈, 제3 홈, 제4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3 홈은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간의 거리와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3 홈 간의 거리가 동일하게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소정 외측면에 나사 결합된 손잡이; 상기 본체의 제1 홈 및 제3 홈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며, 중앙 양 측면에 각각 세로 길이 방향의 제5 홈 및 제6 홈이 구비된 스테인레스 강 재질의 제1 칸막이;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5 홈에 각각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강 재질의 제2 칸막이; 상기 제4 홈 및 상기 제6 홈에 각각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강 재질의 제3 칸막이를 구성한다.7 is a plan view of the prior art, wherein the prior art includes a first groov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a second groov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A third groove, and a fourth groove, wherein the first groove and the third groove are provided at mutually opposite position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groove and the fourth groove are provided at mutually opposing positions, A main body in which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equal to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oove and the third groove; A handle screwed to a predetermined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partition made of stainless steel and fitted in and fixed to the first and third grooves of the main body and having fifth and sixth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 second partition made of stainless steel and fitted and fixed to the second groove and the fifth groove, respectively; And a third partition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fourth groove and the sixth groove, respectively.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후라이팬 내에 칸막이를 구비하여 여러 음식을 한번에 조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리된 음식을 쉽게 옮겨 담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In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artition is provided in the frying pan so that various foods can be cooked at once, but an effective method for easily transferring the cooked food is not proposed.

따라서 상기 한국 선행기술들을 살펴본 바, 종래의 기술들은 조리된 음식을 흘리지 않고 쉽고 안전하게 그릇에 옮겨 담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어있지 않고, 더불어 가스레인지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Therefore, in the prior arts, there is no effective method of transferring cooked food into a bowl easily and safely without shedding food, and there is no proposed method for preventing slippage on the gas range.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6278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6278 한국등록특허 제1546526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546526 한국등록특허 제1467550호Korea Patent No. 1467550 한국등록특허 제0463341호Korea Patent No. 0463341 한국등록특허 제0472073호Korean Patent No. 0472073 한국등록특허 제0019279호Korean Patent No. 0019279 한국등록특허 제0019279호Korean Patent No. 001927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조리기구에 조리된 음식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그릇에 옮겨 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method of easily and safely transferring cooked food to a cooking vessel.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구를 가스레인지 위에 올려놓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oking utensil from slipping when the cooker is placed on the gas ran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원형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d body, A first handle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handl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조리기구에 조리된 음식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옮겨 담을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device which can more easily and safely transfer cooked food.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구를 가스레인지 위에 올려놓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slip when the cooking utensil is placed on the gas range.

도 1은 종래 선행기술의 간편냄비의 몸체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선행기술의 조리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선행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선행기술의 음식물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선행기술의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는 종래 선행기술의 후라이팬이 부설된 전기냄비의 단면도이다.
도 7는 종래 선행기술의 탈부착 가능한 칸막이가 구비된 후라이팬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밑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밑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dy portion of a conventional simple po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rior art cooking apparatus.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ivid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prior ar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ood overflow prevention function of the prior ar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t having an overflow prevention structure of the prior art of the prior art.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pot in which a conventional frying pan is installed.
7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frying pan equipped with a detachable partition.
8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 예에 불과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values are only exampl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1)는 겉면부(200)와 속면부(300)로 구성된 몸체부(100), 겉면부(200)의 가상의 중심(210)을 관통하며 존재하는 가상의 직선(220)의 일단에 위치하고 가상의 직선(220)과 연장되어 연결되는 제1 손잡이(400) 및 가상의 직선(220)의 타단에 위치하고 가상의 직선(220)과 연장되어 연결되는 제2 손잡이(500)로 구성된다. 겉면부(200)는 일반적인 조리기구인 냄비의 겉모양과 유사한 모양으로 둥근 원형 형태이며, 속면부(300)는 제1 면(310), 제2 면(320), 제3 면(330), 제4 면(340), 제1 따르기홈(350), 제2 따르기홈(360), 제1 곡면(370) 및 제2 곡면(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손잡이(400) 및 제2 손잡이(500)는 겉면부(200)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0 formed of a table portion 200 and a surface portion 300, a virtual center 210 of the table portion 200 A first handle 400 extending through the imaginary straight line 220 at one end of the imaginary straight line 220 passing through the imaginary straight line 220 and a virtual straight line 220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imaginary straight line 220, And a second handle 500 extend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500. The inner surface portion 300 has a first surface 310, a second surface 320, a third surface 330, a third surface 330, and a third surface 330. The outer surface portion 300 has a circular shape similar to that of a pot, And includes a fourth surface 340, a first penetrating groove 350, a second penetrating groove 360, a first curved surface 370, and a second curved surface 380. The first handle 400 and the second handle 50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portion 200.

속면부(300)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 면(310)은 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해 있고, 제2 면(320)은 제1 면(310)의 일단에 일정한 내각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있다. 상기 내각은 제1 따르기홈(3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따르기홈(350)을 이용해 조리기구(1)에 담겨있는 음식을 다른 곳에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제1 면(310)의 타단에는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1 곡면(370)이 구성되어 있고, 제1 곡면(370)의 타단에는 제2 면(320)과 평행한 제3 면(330)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4 면(340)은 제3 면(330)의 타단에 일정한 내각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내각은 제2 따르기홈(3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 따르기홈(360)을 이용해 조리기구(1)에 담겨있는 음식을 다른 곳에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제2 면(320)의 타단과 제4 면(340)의 타단은 곡선을 이루며 제2 곡면(380)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따르기홈(350)과 제2 따르기홈(360)의 각도는 90° 초과 180° 미만의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제1 따르기홈(350)과 제2 따르기홈(360)의 목적에 따라 조리기구(1)에 담겨있는 음식을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각의 범위에 해당한다.The first face 31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face 3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face 310 to form a constant angle. . The interior angle is a first penetration groove 350. The first penetration groove 350 allows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utensil 1 to be easily transferred elsewhere. A third curved surface 37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310 and a third surface 330 parallel to the second surface 3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rved surface 370 Extended. The fourth surface 3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rface 330 and forms a constant angle of the interior, and the interior angle is a second penetrating groove 360, So that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utensil 1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320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340 are curved and extend to the second curved surface 380. The angle of the first through-hole 350 and the second through-hole 360 is characterized by an angle greater than 9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And corresponds to an angle range that allows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utensil 1 to be efficiently and smoothly transferred according to purposes.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1)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조리기구(1)는 도 8에서 언급한 몸체부(100) 및 가상의 직선(220)의 일단에 위치하며 겉면부(20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손잡이(600)로 구성된다.9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liance 1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other cooking applian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virtual straight line 220 referred to in FIG. 8 a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part 200 And a third handle (600).

도 10은 도 8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1)의 밑면을 도시한 평면도로, 도 8에서 언급된 몸체부(100)의 밑면에 미끄럼방지홈(7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끄럼방지홈(700)은 조리기구(1)를 가스레인지에 올려놓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가상의 직선(220)상에 2개, 가상의 중심(210)을 기준으로 가상의 직선(220)과 수직이 되는 제2 가상의 직선(230) 상에 2개가 구비되고,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어, 이에 따라 미끄럼방지홈(70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utensil 1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Referring to FIG. 8, a slip prevention groove 7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 The slip prevention grooves 700 allow the cooking utensil 1 to be fixed so as not to slip when the cooking utensil 1 is placed on the gas range. The slip prevention grooves 700 are formed on the hypothetical straight line 220, The number of the anti-slip grooves 700 is not limited to two, and may be two or more on the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230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220.

도 11은 도 9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1)의 밑면을 도시한 평면도로, 도 7에서 언급된 몸체부(100)의 밑면에 미끄럼방지홈(7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끄럼방지홈(700)은 조리기구(1)를 가스레인지에 올려놓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가상의 직선(220) 상에 2개, 가상의 중심(210)을 기준으로 가상의 직선(220)과 수직이 되는 제2 가상의 직선(230) 상에 2개가 구비되고,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미끄럼방지홈(70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utensil 1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wherein a slip prevention groove 700 ). The slip prevention grooves 700 allow the cooking utensil 1 to be fixed so as not to slip when the cooking utensil 1 is placed on the gas range. The slip prevention grooves 700 are formed on the hypothetical straight line 220, The number of the anti-slip grooves 700 is not limited to two, and may be two or more on the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230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220.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조리기구(1)는 몸체부(100)의 속면부(300)에 제1 따르기홈(350) 및 제2 따르기홈(360)을 구성하여 조리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조리기구(1) 내에 담겨있는 음식을 다른 곳에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12 and 13, the cooking utensil 1 includes a first pouring groove 350 and a second pouring groove 360 formed in the fastening surface 300 of the body 100, The user of the cooking appliance 1 can easily move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appliance 1 to another place.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4 and 15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돌기(8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돌기(800)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밥주걱에 구성되어 있는 돌기와 같은 형태를 나타내며, 조리기구(1) 내에 담겨있는 음식의 점성에 따라 음식의 양을 조절하며 다른 곳에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점성이 낮은 물과 흡사한 국물 같은 경우에, 조리기구(1)를 들어서 음식을 옮길 때 한번에 쏟아져 나와 음식을 쏟을 위험이 있어, 돌기(800)를 사용하여 점성이 낮은 음식도 양을 조절하며 다른 곳에 옮길 수 있도록 한다. 돌기(800)의 경우, 제 1면 및 제 2면 또는 제 3면 및 제 4면 중 한 곳에만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조리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음식의 점성에 따라 돌기(800)가 있는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을 선택하여 음식을 옮길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800. 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800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protrusion formed on a general plastic rice bobbin, and controls the amount of food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utensil 1 so that it can be moved to another place. In the case of soup similar to low-viscosity water, there is a risk of spilling out food at the same time when lifting the cooking utensil (1) and moving the food, so that the low viscosity food can be controlled using the protuberance (800) So that they can be moved. In the case of the projection 800, only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r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may be provided, and a user using the cooking utensil 1 may be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800, You can move food by selecting sides with and without sides.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6 and 17 are perspective views of cooking appliances having ang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구(1)에 담겨진 음식의 점성에 따라 사용자가 각을 선택해서 음식을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몸체부(100), 겉면부(200), 속면부(300), 제1 손잡이(400) 및 제2 손잡이(500)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5 면(910), 제 6면(920), 제 7면(930), 제 8면(940), 제 9면(950), 제 10면(960), 제 11면(970), 제 12면(980)과 제3 따르기홈(990), 제4 따르기홈(991), 제5 따르기홈(992), 제6 따르기홈(993), 제7 따르기홈(994), 제8 따르기홈(995), 제9 따르기홈(996), 제10 따르기홈(997)이 포함하여 구성된다.16,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an angle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utensil 1 to transfer the food. In this embodiment, A first handle 400 and a second handle 500. The fifth surface 910, the sixth surface 920, the second surface 920, The seventh surface 930, the eighth surface 940, the ninth surface 950, the tenth surface 960, the eleventh surface 970, the twelfth surface 980, the third penetrating groove 990, 4 following groove 991, a fifth through groove 992, a sixth through groove 993, a seventh through groove 994, an eighth through groove 995, a ninth through groove 996, And a groove 997.

제5 면(910) 내지 제12 면(980) 서로의 일단과 타단이 맞닿아 8각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면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각의 형태는 일정하지 않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5 면(910)의 일단과 제6 면(920)의 일단이 이어져 제3 따르기홈(990)이 형성되며, 제6 면(920)의 타단과 제7 면(930)의 일단이 이어져 제4 따르기홈(991)이 형성된다. 또한, 제7 면(930)의 타단과 제8 면(940)의 일단이 이어져 제5 따르기홈(992)이 형성되며, 제8 면(940)의 타단과 제9 면(950)의 일단이 이어져 제6 따르기홈(993)이 형성된다. 또한, 제9 면(950)의 타단과 제10 면(960)의 일단이 이어져 제7 따르기홈(994)이 형성되며, 제10 면(960)의 타단과 제11 면(970)의 일단이 이어져 제8 따르기홈(995)이 형성된다. 또한, 제11 면(970)의 타단과 제12 면(980)의 일단이 이어져 제9 따르기홈(996)이 형성되며, 제12 면(980)의 타단과 제5 면(910)의 타단이 이어져 제10 따르기홈(997)이 형성된다.The fifth surface 910 to the twelfth surface 980 are in contact with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form an octagonal shape. The number of the surfaces is not limited, and the shape of the angle is not constant. A third concave groove 990 is formed by connecting one end of the fifth surface 910 and one end of the sixth surface 920 and the other end of the sixth surface 92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venth surface 930 And one end is formed to form the fourth follow groove 991. [ The other end of the seventh surface 930 and one end of the eighth surface 940 form a fifth penetration groove 992. The other end of the eighth surface 940 and one end of the ninth surface 950 And a sixth through groove 993 is formed. The other end of the ninth surface 950 and one end of the tenth surface 960 are connected to form a seventh penetration groove 994 and the other end of the tenth surface 960 and one end of the eleventh surface 970 And an eighth through groove 995 is formed. A ninth penetrating groove 996 is formed by connecting one end of the eleventh surface 970 and one end of the twelfth surface 980 and the other end of the twelfth surface 980 and the other end of the fifth surface 910 A tenth following groove 997 is formed.

제3 따르기홈(990) 내지 제10 따르기홈(997)의 각도는 일정하지 않으며, 최소 각은 90° 내지 120°이고, 최대 각은 140° 내지 170°이다. 조리기구(1)에 담긴 음식의 점성이 낮으면 비교적 좁은 각을 선택해 음식을 옮겨 담을 수 있고, 음식의 점성이 높으면 비교적 넓은 각을 선택해 음식을 옮겨 담을 수 있다. 최소 각을 90° 내지 120°으로 하는 이유는, 점성이 낮은 음식을 옮겨 담을 때 음식의 양을 조절하며 안전하게 옮겨 담을 수 있는 각의 수치이며, 최대 각은 140° 내지 170°로 하는 이유는, 점성이 높은 음식을 옮겨 담을 때 사용자가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조리기구(1)만으로도 음식을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각의 수치이기 때문이다.The angles of the third through 990 to the tenth following grooves 997 are not constant, the minimum angle is 90 to 120, and the maximum angle is 140 to 170 deg. If the viscosity of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utensil (1) is low, a relatively narrow angle can be selected to transfer the food, and if the viscosity of the food is high, a relatively wide angle can be selected to transfer the food. The reason why the minimum angle is 90 ° to 120 ° is that the angle is a value at which the amount of food can be controlled and transferred safely when the food having a low viscosity is transferred and the maximum angle is from 140 ° to 170 °, This is because it is a figure that allows food to be transferred with only the cooking utensil (1) even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utensil when transferring the viscous food.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3 손잡이(600)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음식의 점성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기구의 각을 선택해 손쉽게 음식을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7, there is shown the same internal structur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6, and a third handle 600 is includ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select the angl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viscosity of the food so that the food can be easily transfer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nstituent elem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몸체부
200: 겉면부 210: 가상의 중심
220: 가상의 직선 230: 제2 가상의 직선
300: 속면부 310: 제1 면
320: 제2 면 330: 제3 면
340: 제4 면 350: 제1 따르기홈
360: 제2 따르기홈 370: 제1 곡면
380: 제2 곡면
400: 제1 손잡이
500: 제2 손잡이
600: 제3 손잡이
700: 미끄럼방지홈
800: 돌기
100:
200: table portion 210: imaginary center
220: imaginary straight line 230: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300: Velcro portion 310: First side
320: second side 330: third side
340: fourth face 350: first follow groove
360: second following groove 370: first curved surface
380: second curved surface
400: first handle
500: second handle
600: Third handle
700: Non-slip groove
800: projection

Claims (19)

각을 가지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원형 형태의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설정된 범위의 각도를 갖는 제1 면, 제2 면, 제3 면, 제4 면, 제1 따르기홈, 제2 따르기홈, 제1 곡면 및 제2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면은 상기 제1 면의 일단에 90° 초과 180° 미만의 각도를 가지며 연장되며,
상기 제1 따르기홈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이루는 상기 90° 초과 180° 미만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제1 면의 타단에 연장되며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곡면의 타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평행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4면은 상기 제3 면의 일단에 90° 초과 180° 미만의 각도를 가지며 연장되며, 상기 제1 면과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따르기홈은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이 이루는 상기 90° 초과 180° 미만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곡면은 상기 제4 면의 타단과 상기 제2 면의 타단을 연장시키며 곡선 형태로 이루어 지고,
상기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에는 점성이 낮은 음식을 다른 곳으로 옮길 때 사용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조리기구.
In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angle,
A circular shaped body portion capable of containing food;
Lt; / RTI >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a third surface, a fourth surface, a first penetrating groove, a second penetrating groove, a first curved surface, and a second curved surface,
Wherein the first surface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second surface extending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 And less than 180 [deg.] At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The first penetrating groove is configured to have an angle of more than 90 [deg.] And less than 180 [deg.]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Wherein the first curved surface extends in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and is curved,
The third surface extends i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is configur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urface,
The fourth surfa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surface with an angle of more than 90 DEG and less than 180 DEG and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penetrating groove is configured to have an angle of more than 90 [deg.] And less than 180 [deg.]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The second curved surface is formed in a curved shap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Wherein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urface,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for use in transferring food having low viscosity to another lo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둥근 원형 형태로 구성되는 겉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 tapered outer surface;
And a cooking cavity for cooking the fo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35936A 2016-03-25 2016-03-25 Cookware with a corner KR101831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36A KR101831836B1 (en) 2016-03-25 2016-03-25 Cookware with a co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36A KR101831836B1 (en) 2016-03-25 2016-03-25 Cookware with a corner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13A KR20170111113A (en) 2017-10-12
KR101831836B1 true KR101831836B1 (en) 2018-03-05
KR101831836B9 KR101831836B9 (en) 2021-08-19

Family

ID=6014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36A KR101831836B1 (en) 2016-03-25 2016-03-25 Cookware with a co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83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777Y1 (en) * 2006-04-27 2006-08-01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The cooking receptacle which has a polygonal bottom structure of cooking receptacle
JP2014168598A (en) * 2013-03-05 2014-09-18 Shiho Nozawa Frying pa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777Y1 (en) * 2006-04-27 2006-08-01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The cooking receptacle which has a polygonal bottom structure of cooking receptacle
JP2014168598A (en) * 2013-03-05 2014-09-18 Shiho Nozawa Frying p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13A (en) 2017-10-12
KR101831836B9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7642B1 (en) Heating apparatus with removable container, such as for foodstuffs, and features for moderating heat flux to the removable container
US20150196157A1 (en) Methods and systems to sectional cooking and storage solutions
ES2245422T3 (en) HIGH FUNCTIONALITY CUENCO STRUCTURE.
EP0022830A4 (en) Insulated dish and lid for microwave cooking.
JP2018525183A (en) Cooking splash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US20090158940A1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US4323167A (en) Insulating container for cooking food
KR101831836B1 (en) Cookware with a corner
FI77970B (en) LOCKFOERSETT KAERL MED REGLERBAR OEPPNING.
EP3058856A1 (en) Multifunction cooking device
US20170245684A1 (en) Cooking Utensil With Divider System
KR200472073Y1 (en) Pot for preventing overflow
JP2012225606A (en) Cooking device
KR101605612B1 (en) Direct heating roast lid of pot
KR200467703Y1 (en) Lid for cooker
JP4959829B2 (en) Poached egg microwave cooking container
KR200473141Y1 (en) Gas Oven Steam Pot
KR20190064952A (en) Cooking container
CN215777269U (en) Improved structure type combined multipurpose health preserving pot
KR101406492B1 (en) cooking vessel
CN213786794U (en) Pot component
CN217161806U (en) Smoldering cup
KR101280021B1 (en) Multi-Function Roast Pan
CN207734040U (en) Lid and the cooking apparatus for including the lid
KR20180006002A (en) An earthen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