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505U -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505U
KR20220002505U KR2020210001139U KR20210001139U KR20220002505U KR 20220002505 U KR20220002505 U KR 20220002505U KR 2020210001139 U KR2020210001139 U KR 2020210001139U KR 20210001139 U KR20210001139 U KR 20210001139U KR 20220002505 U KR20220002505 U KR 202200025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n
connection
charg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1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6378Y1 (en
Inventor
이강호
유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젠
유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젠, 유재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젠
Priority to KR2020210001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78Y1/en
Publication of KR20220002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0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실장되어 차량의 전원인가부와 연결되어 구동을 구현하는 장치부를 포함하며, 장치부는 전원인가부의 직접적 연결되는 직접 연결모드와 중간 커넥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간접 연결모드 여부를 인지하고, 직접적 연결모드와 간접 연결모드에 따라 장치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차량용 전자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nd includes a device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to implement driving, and the device un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direct connection mode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directly connected and an intermediate connector It may be provided to recognize whether there is an indirect connection mode or not, and to control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direct connection mode and the indirect connection mode.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mbodiments.

Description

차량용 전자장치{Electronic device for vehicle}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전자장치, 예컨대 블랙박스와 같은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때, 안정적인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의 용량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black box, is connected to a vehicle to receive power, a stable charging current or/and a capacity of a charging voltage can be transmitted.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시 연결된 전자장치의 목적이나 구성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general,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o a vehicle, and various functions and role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urpose or configuration of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 when the vehicle is driven.

예를 들어, 차량용 전자장치는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차량용 스피커, 전후방 카메라, 차량 인테리어를 위한 LED 장치 등, 차량에 장착되는 목적과 기능, 역할 등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전자장치는 별도의 전원 공급받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차량의 전원을 통해 전력 충전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ypes of electronic devices for vehicles may be varied according to purposes, functions, roles, etc., mounted in a vehicle, such as a black box, a navigation system, a vehicle speaker, a front and rear camera, an LED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and the like. Such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separate power supply, and may be provided to receive power using a power source of the vehicle or to implement power charging through a power source of the vehicle.

특히, 상기 차량용 전자장치 중 예컨대 블랙박스와 같은 전자장치는 주행 시는 물론 비 주행시에도 촬상을 구현하여 차량의 주행 시는 물론 주차시에도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촬상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다. In particular,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for vehicles,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black box is provided to capture vari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not only when the vehicle is driving but also when it is parked by realizing imaging not only when driving but also when not driving.

이러한 차량용 전자장치는 차량의 전원 인가 장치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시거잭이나 단자 등의 중간 커넥터를 통해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Such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may be provid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ehicle's power applying device, or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vehicle's power source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or such as a cigar jack or a terminal.

이러한 차량용 전자장치는 대부분 10~12A (또는/및 12 볼트) 정도의 충전 용량을 전달받아 구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Most of these vehicle electronic devices may be provided to be driven by receiving a charging capacity of about 10 to 12A (or/and 12 volts).

차량용 전자장치가 차량의 전원 인가 장치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중이나 주차 중에 차량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는데, 차량의 주행 중이던 주차 중이던 상기 차량의 전원으로부터 10~12A(또는/및 12볼트) 정도의 충전 용량을 상시 인가받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주차 중에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게 되면, 차량의 배터리는 방전과 충전이 반복되어 배터리 성능의 저하의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vehicle, the vehicle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or parked. 12 volts) of charging capacity is always authorized and used. However, if power is applied from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parked, the battery of the vehicle may be repeatedly discharged and charg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battery performance.

차량의 전자장치가 시거잭이나 단자 등의 중간 커넥터를 통해 차량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 중이나 주차 중에 차량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중간 커넥터를 이용하는 경우, 차량의 전원으로부터 10~12A(또는/및 12볼트) 정도의 출력을 제공받아 차량용 전자장치에 인가되도록 구비되나, 일반적으로는 약 7A(또는/ 및 5~6 볼트) 이상의 출력이 인가되면, 중간 커넥터가 충전 전류를 견디지 못하고 타거나 망가지게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심하면 차량의 화재 발생 원인이 될 수도 있게 된다.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or such as a cigar jack or a terminal and receives power, the vehicle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or parked. In the case of using the intermediate connector, it is provided to receive an output of about 10 to 12A (or/and 12 volts) from the vehicle's power source and apply it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but is generally more than about 7A (or/and 5 to 6 volts). When the output is applied, the intermediate connector cannot withstand the charging current and burns or breaks, making it unusable, and in extreme cases, it may cause a fire in the vehicle.

따라서, 차량용 전자장치가 차량의 전원 인가 장치에 연결 시, 직접 연결되는 경우와 시거잭이나 단자와 같은 중간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를 구별하여 차량에서 차량용 전자장치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고,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vehicle's power supply device, the amount of charging current applied from the vehicle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by distinguishing between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and a case in which it is 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or such as a cigar jack or terminal. There is a need for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and can be used stably.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421506호(등록일:2014.07.15)(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No. 10-1421506 (Registration Date: 2014.07.15)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146326호(등록일: 2012.05.08)(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No. 10-1146326 (Registration Date: 2012.05.08)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전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인지, 차량의 전원에 중간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인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직접 연결 및 중간 커넥터의 연결에 따라 안정적으로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 확보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configur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ehicle's power source or the vehicle's power supply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or, and can be stab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direct connection and the intermediate connector connec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realizing reliability by allowing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to be applied.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에 실장되어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와 연결되어 구동을 구현하는 장치부를 포함하며,and a device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to implement driving,

상기 장치부는 상기 전원인가부의 직접적 연결되는 직접 연결모드와 중간 커넥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간접 연결모드 여부를 인지하고, 직접적 연결모드와 간접 연결모드에 따라 상기 장치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device unit recognizes whether a direct connection mode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directly connected and an indirect connection mod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or, and the charging current and/or charging applied to the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direct connection mode and the indirect connection mode It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voltage.

상기 장치부는,The device unit,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인가부를 통해 충전되고, 상기 장치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a battery provided in the device unit, charg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d applying power to the device unit;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충전 회로부;a charg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to control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battery;

상기 전원인가부와 연결되며,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부와 상기 전원인가부와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 유무를 인지하기 위한 보조 단자부를 구비한 연결부;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having a charging terminal unit for charging and an auxiliary terminal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direct or indirect connec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is present;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원인가부의 연결 시 상기 보조 단자부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be provided in the device unit, and may include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 connection state of the auxiliary terminal unit whe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re connected.

상기 보조 단자부는 접지 또는/및 인식용 전압을 감지하도록 감지 핀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auxiliary terminal unit may be provided as a sensing pin to sense a ground and/or a voltage for recognition.

상기 충전 단자부는 입력 전원 핀과, 접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terminal may include an input power pin and a ground pin.

상기 중간 커넥터는,The intermediate connector is

두개 라인을 가진 케이블과 세개의 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t can have a two-line cable and three-pin structure.

상기 중간 커넥터에는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 핀부가 구비되고, The intermediat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연결 핀부는 상기 충전 단자부와 연결되는 충전 핀부 및 상기 보조 단자부와 연결되는 인에이블 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part may include a charging pin part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part and an enable pin connected to the auxiliary terminal part.

상기 충전 핀부는 상기 입력 전원 핀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 핀과, 상기 접지 핀과 연결되는 접지 연결 핀을 포함하고, The charging pin unit includes a power connection pin connected to the input power pin and a ground connection pin connected to the ground pin,

상기 인에이블 핀은 상기 접지 연결 핀에서 연결될 수 있다. The enable pin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i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차량에 실장되어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와 연결되어 구동을 구현하는 장치부를 포함하며,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ed to a power applying unit of the vehicle to implement driving,

상기 장치부는,The device unit,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인가부를 통해 충전되고, 상기 장치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a battery provided in the device unit, charg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d applying power to the device unit;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충전 회로부;a charg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to control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battery;

상기 전원인가부와 연결되며,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부와 상기 전원인가부와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 유무를 인지하기 위한 보조 단자부를 구비한 연결부;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having a charging terminal unit for charging and an auxiliary terminal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direct or indirect connec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is present;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원인가부의 연결 시 상기 보조 단자부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be provided in the device unit, and may include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 connection state of the auxiliary terminal unit whe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re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차량에 실장되어 상기 차량에 실장되는 장치부와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를 연결하는 중간 커넥터를 포함하고,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mediate connector tha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s a device unit mounted on the vehicle and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상기 중간 커넥터는,The intermediate connector is

상기 전원인가부에 접속되는 단자 잭을 구비한 커넥터 본체; a connector body having a terminal jack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커넥터 본체에 연결되는 두 개 라인의 케이블; 및two-line cables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and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어 두 개의 라인에서 전원 연결 핀과 접지 연결 핀 및 상기 접지 연결 핀에서 연결되어 상기 중간 커넥터의 연결을 인가하기 위한 인에이블 핀을 포함하는 연결 핀부를 포함할 수 있다.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ble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pin portion including a power connection pin and a ground connection pin in two lines and an enable pin connected from the ground connection pin to apply the connec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상기 연결 핀부는 상기 장치부의 연결부와 접속되어 상기 전원인가부에서 상기 장치부로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인가하되,The connection pin pa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device part to apply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from the power applying part to the device part,

상기 인에이블 핀의 연결에 따라 상기 장치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은 상기 장치부가 상기 전원인가부에 직접 연결 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및 충전 전압의 5~60%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The charging current and/or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nable pin may be controlled in a range of 5 to 60% of the charging current and charging voltage applied when the device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장치부가 차량의 전원부와 연결 시 인에이블 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차량의 전원에 직접 연결되는지 중간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직접 연결과 중간 커넥터의 연결에 따라 차량에서 장치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whether the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of the vehicle or 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or according to whether the enable pin is in contact when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vehicle, and is directly connect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harging voltage applied from the vehicle to the device uni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or.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차량에서 장치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 및 충전 전압을 제어할 수 있어, 장치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중간 커넥터로 인가되는 충전 전압이 중간 커넥터가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로 인가됨에 따라 중간 커넥터의 안정성 확보 및 신뢰성 확보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charging current and/or the charging voltage applied from the vehicle to the device unit, thereby maintaining stabil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unit, and being appli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or. As the charging voltage is applied in a range acceptable to the intermediate connect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ility and secure reliability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에서, 장치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에서, 중간 커넥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에서, 중간 커넥터의 연결 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에서, 중간 커넥터의 연결 핀부의 상하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에서, 장치부가 차량의 전원인가부 또는 중간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에서, 장치부가 전원인가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에서, 장치부가 중간 커넥터를 통해 전원인가부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에서, 장치부가 차량에 연결될 때, 장치부로 인가되는 전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vice unit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mediate connector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pin portion of an intermediate connector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connection pin portion of an intermediate connector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vice unit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r an intermediate connector of a vehicle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vice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a power applying unit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unit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or i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urrent applied to a device unit when the device unit is connected to a vehicle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includes and/or comprising means not excluding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use it a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cross-sectional, side, and/or schematic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each drawing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전자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장치부(1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용 전자장치(10)는 장치부(100)와 중간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vice unit 100 in an electronic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 the electronic device 1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vice unit 100 and an intermediate connector 200 .

상기 장치부(100)는 차량에 실장되어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20)와 연결되어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장치부(100)는 블랙박스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나, 상기 장치부(1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비게이션과 같은 장치일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차량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구동을 구현하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device unit 100 may be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of the vehicle to implement driv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unit 100 may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black box,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unit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y configuration that implements driving with

이러한, 상기 장치부(100)가 상기 전원인가부(20)에 연결 시 직접적 연결되는 직접 연결모드와 중간 커넥터(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간접 연결모드의 두 가지 연결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부(100)는 상기 직접 연결모드와 간접 연결모드 여부를 인지하고, 직접 연결모드와 간접 연결모드에 따라 상기 장치부(10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게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device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 it may have two connection modes: a direct connection mod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and an indirect connection mode in which 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 . The device unit 100 recognizes whether the direct connection mode and the indirect connection mode exist, and controls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unit 100 according to the direct connection mode and the indirect connection mode. can be provid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부(100)는 배터리(140), 충전 회로부(130), 연결부(120) 및 메인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140 , a charging circuit unit 130 , a connection unit 120 , and a main control unit 110 .

상기 배터리(140)는 상기 장치부(100) 내부에 실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부(100)가 상기 전원인가부(2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140)는 상기 전원인가부(20)를 통해 충전되고, 상기 장치부(1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battery 140 may be provided to be mounted inside the device unit 100 . When the device unit 10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 the battery 140 is charg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 , and the device unit 100 can be driven. It may be provided to apply power so as to

상기 충전 회로부(130)는 상기 배터리(14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14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harging circui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140 , and may be provided to control a charging current (or/and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battery 140 .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장치부(100)의 외측면에서 상기 장치부(100)의 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원인가부(20)와 연결되어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를 상기 장치부(1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120 is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evice part 1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vice part 100 ,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applying part 20 to provide a charging current (or/and a charging voltage). ) may be provided to deliver to the device unit 100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0)는 전원인가부(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부(121, 122)와 상기 전원인가부(20)와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 유무를 인지하기 위한 보조 단자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applying unit 20 ,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units 121 and 122 for charging and the power applying unit 20 . Alternatively, an auxiliary terminal unit 123 for recogni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direct connection may be provided.

상기 충전 단자부(121, 122)는 상기 전원인가부(20)에서 직접 연결되던 간접 연결되던 모두 전기적으로 접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140)로 충전 전류 및/또는 전압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단자부(121, 122)는 +전류를 인가할 수 있는 입력 전원 핀(121)과, 그라운드를 위한 접지 핀(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terminals 121 and 122 may be electrically grounded, whether direct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 , to transmit charging current and/or voltage to the battery 140 . The charging terminal units 121 and 122 may include an input power pin 121 to which a + current can be applied and a ground pin 122 for a ground.

상기 보조 단자부(123)는 접지를 감지하거나, 인식용 전압을 감지하는 감지 핀(1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보조 단자부(123)는 상기 전원인가부(20)를 통해 별도로 상기 배터리(140)로 전류를 인가하는 구성이 아니라,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의 저전류 인가 유무를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중간 커넥터(200)의 접촉 여부만을 감지하기 위한 추가 구성이다. The auxiliary terminal unit 123 may be provided as a sensing pin 123 for sensing a ground or sensing a voltage for recogn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terminal unit 123 is not configured to separately apply a current to the battery 14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 but rather for low current application of a charging current (or/and a charging voltage). As a provided configuration, specifically, it i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detecting only whether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is in contact.

따라서, 상기 보조 단자부(123)는 저전류(또는 저전압) 인가되기 위한 접촉인지 여부만을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접촉 핀은 상기 장치부(100)가 상기 전원인가부(20)와 연결 시 접지 또는/및 인신용 전압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auxiliary terminal unit 123 is configured to only determine whether a contact is for applying a low current (or low voltage), the contact pin is grounded when the device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 or/and may be provided to sense a personal voltage.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마이컴이라고도 하며, 상기 장치부(100)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부(100)의 상기 연결부(120)가 상기 전원인가부(20)의 연결 시 상기 보조 단자부(123)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13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110 is also referred to as a microcomputer, and is provided in the device unit 100 , and the auxiliary terminal unit 123 when the connection unit 120 of the device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applying unit 20 . It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13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중간 커넥터(2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중간 커넥터(200)의 연결 핀부(2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중간 커넥터(200)의 연결 핀부(210)의 상하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mediate connector 200 in the electronic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pin unit 210 of an intermediate connector 200 in the electronic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pin part 210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i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부(100)를 포함하는데, 상기 장치부(100)가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나 상황에 따라 중간 커넥터(200)를 구비할 수 있다. 3 to 5 , the electronic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evice unit 100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device unit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 20), but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connector 200 depending on the case or situation that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커넥터(200)는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20)와 상기 장치부(1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중간 커넥터(200)는 커넥터 본체(230), 케이블(220) 및 연결 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power supply unit 20 of the vehicle and the device unit 100 .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230 , a cable 220 , and a connection pin unit 210 .

상기 커넥터 본체(230)는 일단에는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20)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 잭(231)이 구비되며, 타일단에는 단자 잭(231)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케이블(220)이 연장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or body 23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jack 231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of the vehicle at one end, and the cable 220 extends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from the terminal jack 231 at the tile end. can be provided.

상기 케이블(220)은 상기 커넥터 본체(2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치부(100)까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두 개의 라인(221, 222)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able 220 may be provided with two lines 221 and 222 in a configuration provided to extend from the connector body 230 to be connected to the device unit 100 .

상기 연결 핀부(210)는 상기 케이블(22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부(100)의 연결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인가부(20)에서 충전 전류(또는 충전 전압)를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unit 21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ble 220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20 of the device unit 100 to transmit a charging current (or charging voltage) from the power applying unit 20 . can b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핀부(210)는 전원 연결 핀(211), 접지 연결 핀(222) 및 인에이블 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 핀(211)과 상기 접지 연결 핀(222)은 상기 케이블(220)의 두 개의 라인(221, 222)에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에이블 핀(213)은 상기 전원 연결 핀(211)과 상기 접지 연결 핀(2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에이블 핀(213)은 상기 라인(221, 222)에서 연결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접지 연결 핀(222)에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중간 커넥터(200)의 연결 상태를 인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connection pin 211 , a ground connection pin 222 , and an enable pin 213 . The power connection pin 211 and the ground connection pin 222 may be connected to the two lines 221 and 222 of the cable 220 . Also, the enable pin 21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ower connection pin 211 and the ground connection pin 222 . The enable pin 213 is no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lines 221 and 222, but to be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in 222, and may be provided to apply the connection state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have.

상기 전원 연결 핀(211)은 상기 연결부(120)의 입력 전원 핀(121)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지 연결 핀(222)은 상기 연결부(120)의 접지 핀(122)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에이블 핀(213)은 상기 연결부(120)의 접지 연결 핀(222)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power connection pin 211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input power pin 121 of the connection unit 120 , and the ground connection pin 222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ground pin 122 of the connection unit 120 . can In addition, the enable pin 213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in 222 of the connection unit 120 .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간 커넥터(200)는 두개의 라인(221, 222)을 가진 케이블(220)과 이에 연결되는 세개의 핀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세 개의 핀 구조에서 인에이블 핀(213)은 두 개의 라인(221, 222)의 케이블(220)에서 연결되지 않고, 세 개의 핀 중 접지 연결 핀(222)에서 라인(221, 222)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of a cable 220 having two lines 221 and 222 and three pins connected thereto. In addition, in the three-pin structure, the enable pin 213 is not connected in the cable 220 of the two lines 221 and 222, but connects the lines 221 and 222 in the ground connection pin 222 among the three pins. It ha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hrough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핀부(210)는 상기 장치부(100)의 연결부(120)와 접속되어 상기 전원인가부(20)에서 상기 장치부(100)로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를 인가하는데, 상기 인에이블 핀(213)의 연결에 따라 상기 장치부(10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는 상기 장치부(100)가 상기 전원인가부(20)에 직접 연결 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의 5~60% 범위로 제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i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20 of the device unit 100 to provide a charging current (or/and a charging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 to the device unit 100 .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unit 10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nable pin 213 is applied by the device unit 100 directly to the power supply unit 20 . It may have a structure controlled in a range of 5 to 60% of a charging current (or/and a charging voltage) applied during connection.

상기 인에이블 핀(213)의 연결에 따라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는 직접 연결 시보다 5~60% 범위를 가지게 됨으로, 상기 중간 커넥터(200)로 유입되는 충전 전류나 충전 전압에 의한 손상, 예를 들어 타거나 휴즈가 끊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중간 커넥터(200)의 사용에 따른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nable pin 213, the charging current (or/and the charging voltage) has a range of 5 to 60% compared to that of direct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for example, damage such as burning or breaking of a fuse,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us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

이하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가진 차량용 전자장치(10)가 차량의 전원인가부(20)에 연결될 때, 충전 전류(또는/ 및 충전 전압)를 일반적으로 인가되는 경우(예: 직접 연결)와 저전류(또는/ 및 저전압, 일본 인가되는 충전 전류나 충전 전압 대비 5~60% 범위)로 인가될 때에 따른 장치부(100)의 연결 상태와 구조 등을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Hereinafter, whe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of the vehicle, a charging current (or/and a charging voltage) is generally applied (eg, direct connection) and a low current The connection state and structure of the device unit 100 when applied at a low voltage (or/and a low voltage, in a range of 5 to 60% compared to the charging current or charging voltage applied in Japan) may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장치부(100)가 차량의 전원인가부(20) 또는 중간 커넥터(200)와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장치부(100)가 전원인가부(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장치부(100)가 중간 커넥터(200)를 통해 전원인가부(20)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applying unit 20 or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of the vehicle in the electronic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in the electronic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applying unit 20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i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용 전원장치에서 장치부(100)는 차량의 전원인가부(20)와 직접 또는 중간 커넥터(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6 to 8 , in the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e device unit 1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ehicle power supply unit 20 or indirectly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치부(100)는 전원인가부(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때, 입력 전원 핀(121)과 접지 핀(12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 when the device unit 10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 the input power pin 121 and the ground pin 1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장치부(100)는 상기 전원인가부(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입력 전원 핀(121)과 상기 접지 핀(122)을 통해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를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device unit 10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 it receives a charging current (or/and a charging voltage) through the input power pin 121 and the ground pin 122 . be able to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장치부(100)가 전원인가부(20)와 직접 연결되면, 연결부(120)에서 보조 단자부, 즉 감지 핀(123)은 비 접지된 상태에서 입력 전원 핀(121)과 접지 핀(122)만 접촉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110)에는 상기 입력 전원 핀(121)과 상기 접지 핀(122)의 접촉은 인가되나 상기 감지 핀(123)의 접촉은 비 인가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상기 전원인가부(20)에서 일반 상태의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를 상기 장치부(100)로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인가부(20)에서 상기 입력 전원 핀(121)을 통해 상기 충전 회로부(130)로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가 인가되고, 상기 배터리(140)를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when the device unit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 the auxiliary terminal unit in the connection unit 120 , that is, the sensing pin 123 is connected to the input power pin 121 and the input power supply pin 121 in a non-grounded state. Only the ground pin 122 is provided in a contact state. Accordingly, the contact of the input power pin 121 and the ground pin 122 is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110 , but the contact of the sensing pin 123 is not applied. The main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in a normal state from the power applying unit 20 to be applied to the device unit 100 . A charging current (or/and a charging voltage) is applied from the power applying unit 20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130 through the input power pin 121 , and the battery 140 is charged.

상기와 달리 도 8에서와 같이 장치부(100)가 중간 커넥터(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면, 연결부(120)에서 입력 전원 핀(121)과 접지 핀(122)은 물론 보조 단자부(123), 즉 감지 핀(123)도 중간 커넥터(200)의 연결 핀부(21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전원 핀(121)과 접지 핀(122)은 각각 전원 연결 핀(211)과 접지 연결 핀(222)과 접촉되고, 상기 감지 핀(123)은 인에이블 핀(213)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110)에는 상기 입력 전원 핀(121)과 접지 핀(122)은 물론 감지 핀(123)의 접촉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감지 핀(123)의 접촉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상기 충전 회로부(13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Unlike the above, when the device unit 100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as shown in FIG. 8 , the input power pin 121 and the ground pin 122 as well as the auxiliary terminal unit 123 in the connection unit 120 . , that is, the sensing pin 123 may also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in portion 210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 Specifically, the input power pin 121 and the ground pin 122 are in contact with the power connection pin 211 and the ground connection pin 222 , respectively, and the sensing pin 123 is in contact with the enable pin 213 . . Accordingly, contact of the input power pin 121 and the ground pin 122 as well as the sensing pin 123 may be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110 .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sensing pin 123 , the main control unit 110 is provided to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or/and the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130 .

즉, 상기 충전 회로부(13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의 크기를 기본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의 크기 대비 5~60% 범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예컨대, 직접 연결 시 기본 인가되는 충전 전류가 10A라면, 상기 감지 핀(123)의 접촉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13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의 5~60% 즉 5~6A 정도의 충전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That is, the size of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130 is controlled to be in the range of 5 to 60% compared to the size of the basic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For example, if the charging current applied by default during direct connection is 10A, 5 to 60% of the charging current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130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sensing pin 123, that is, 5 to 6A of charging current is applied to control it as much as possible.

상기와 같이, 상기 보조 단자부(123), 즉 상기 감지 핀(123)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부(10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의 크기를 일반적인, 즉 직접 연결 시 대비하여 5~60% 크기를 가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중간 커넥터(200)로 유입되는 충전 전류(또는/및 충전 전압)의 크기를 낮추어 중간 커넥터(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terminal unit 123, that is, the sensing pin 123 is in contact, the main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amount of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unit 100 . By controlling to have a size of 5 to 60% compared to a normal, that is, direct connection, the size of the charging current (or / and charging voltage) flowing into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is lowered to prevent damage to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 will be able to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장치부(100)가 차량에 연결될 때, 장치부(100)로 인가되는 전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urrent applied to the device 100 when the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vehicle in the electronic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용 전자장치(10)에서 충전 전류(또는/ 및 충전 전압)의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장치부(100)의 연결부(120)에 연결이 발생되면(S10), 상기 메인 제어부(110)에는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 상태가 인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looking at the control method of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i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nection is first generated to the connection unit 120 of the device unit 100 (S10) ),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unit 120 may be applied to the main control unit 110 .

상기 메인 제어부(110)에는 상기 충전 단자부(121, 122)의 연결 상태와 함께 상기 보조 단자부(123)의 연결 상태가 인가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uxiliary terminal unit 123 may be applied to the main control unit 110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harging terminal units 121 and 122 .

즉, 인에이블 핀(213)이 상기 감지 핀(123)에 접촉되었는지의 접촉 유무가 상기 메인 제어부(110)로 인가될 수 있는 것이다(S20). That is, whether or not the enable pin 213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pin 123 may be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110 ( S20 ).

상기 인에이블 핀(213)이 없어 상기 감지 핀(123)의 접촉이 비 인가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상기 충전 회로부(13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 및 충전 전압)를 일반적인 값으로 인가되게 제어할 수 있다(S32). When the contact of the sensing pin 123 is not applied due to the absence of the enable pin 213 , the main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130 in general. It can be controlled to be applied as a value (S32).

이와 달리, 상기 인에이블 핀(213)에 의해 상기 감지 핀(123)의 접촉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상기 충전 회로부(130)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또는/ 및 충전 전압)를 일반적인 값의 5~60% 정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1).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ct of the sensing pin 123 is applied by the enable pin 213 , the main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130 . can be controlled to be about 5 to 60% of the general value (S31).

이로 인해 상기 전원인가부(20)에서 상기 중간 커넥터(200)로 유입되는 충전 전류(또는/ 및 충전 전압)의 크기가 일반적인 값보다 낮아질 수 있어, 상기 중간 커넥터(200)에 일반적인 충전 전류(또는/ 및 충전 전압)가 들어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손상 들을 방지할 수 있고, 중간 커넥터(200)의 사용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ue to this,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or/and charging voltage) flowing into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 may be lower than a general value, and thus the general charging current (or / and charging volt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hat may occur as the input and reliability of use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0 can be secured.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차량용 전자장치
20: 전원인가장치
100: 장치부
110: 메인 제어부
120: 연결부
121: 입력 전원 핀
122: 접지 핀
123: 감지 핀
130: 충전 회로부
140: 배터리
200: 중간 커넥터
210: 연결 핀부
211: 전원 연결 핀
212: 접지 연결 핀
213: 인에이블 핀
220: 케이블
230: 본체
231: 단자 잭
10: vehicle electronics
20: power supply device
100: device unit
110: main control unit
120: connection part
121: input power pin
122: ground pin
123: sense pin
130: charging circuit unit
140: battery
200: middle connector
210: connection pin portion
211: power connection pin
212: ground connection pin
213: enable pin
220: cable
230: body
231: terminal jack

Claims (10)

차량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실장되어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와 연결되어 구동을 구현하는 장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부는 상기 전원인가부의 직접적 연결되는 직접 연결모드와 중간 커넥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간접 연결모드 여부를 인지하고, 상기 직접적 연결모드와 상기 간접 연결모드에 따라 상기 장치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게 구비되는,
차량용 전자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nd a device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to implement driving,
The device unit recognizes whether a direct connection mode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directly connected and an indirect connection mod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te connector, and a charging current or / and to control the charging voltage,
Automotive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는,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인가부를 통해 충전되고, 상기 장치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충전 회로부;
상기 전원인가부와 연결되며,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부와 상기 전원인가부와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 유무를 인지하기 위한 보조 단자부를 구비한 연결부;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원인가부의 연결 시 상기 보조 단자부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vice unit,
a battery provided in the device unit, charg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d applying power to the device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to control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battery;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having a charging terminal unit for charging and an auxiliary terminal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direct or indirect connec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is present;
It is provided in the device unit and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 connection state of the auxiliary terminal unit whe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power applying unit are connected,
Automotive electronic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단자부는 접지 또는/및 인식용 전압을 감지하도록 감지 핀으로 구비되는,
차량용 전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terminal unit is provided as a sensing pin to sense a ground and / and a voltage for recognition,
Automotive electronic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는 입력 전원 핀과, 접지 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harging terminal unit includes an input power pin and a ground pin,
Automotive electronic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커넥터는,
두개 라인을 가진 케이블과 세개의 핀의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전자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intermediate connector,
Having a two-line cable and three-pin structure,
Automotive electronics.
제5 항에 있어서,
기 중간 커넥터에는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 핀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핀부는 상기 충전 단자부와 연결되는 충전핀부 및 상기 보조 단자부와 연결되는 인에이블 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mediat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in part comprises a charging pin part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part and an enable pin connected to the auxiliary terminal part,
Automotive electronic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핀부는 상기 입력 전원 핀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 핀과, 상기 접지 핀과 연결되는 접지 연결 핀을 포함하고,
상기 인에이블 핀은 상기 접지 연결 핀에서 연결되는,
차량용 전자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harging pin unit includes a power connection pin connected to the input power pin and a ground connection pin connected to the ground pin,
The enable pin is connected from the ground connection pin,
Automotive electronics.
차량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실장되어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와 연결되어 구동을 구현하는 장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부는,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인가부를 통해 충전되고, 상기 장치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충전 회로부;
상기 전원인가부와 연결되며,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부와 상기 전원인가부와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 유무를 인지하기 위한 보조 단자부를 구비한 연결부;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원인가부의 연결 시 상기 보조 단자부의 접속 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nd a device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to implement driving,
The device unit,
a battery provided in the device unit, charg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d applying power to the device unit;
a charg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to control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battery;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having a charging terminal unit for charging and an auxiliary terminal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direct or indirect connec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is present;
It is provided in the device unit, and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current and/or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uxiliary terminal unit whe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re connected,
Automotive electronics.
차량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실장되어 상기 차량에 실장되는 장치부와 상기 차량의 전원인가부를 연결하는 중간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커넥터는,
상기 전원인가부에 접속되는 단자 잭을 구비한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연결되는 두 개 라인의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어 두 개의 라인에서 전원 연결 핀과 접지 연결 핀 및 상기 접지 연결 핀에서 연결되어 상기 중간 커넥터의 연결을 인가하기 위한 인에이블 핀을 포함하는 연결 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I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includes an intermediate connector for connecting a device unit mounted on the vehicle and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The intermediate connector is
a connector body having a terminal jack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two-line cables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and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ble and includes a connection pin portion including a power connection pin and a ground connection pin in two lines and an enable pin for applying the connec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by being connected from the ground connection pin,
Automotive electronic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핀부는 상기 장치부의 연결부와 접속되어 상기 전원인가부에서 상기 장치부로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을 인가하되,
상기 인에이블 핀의 연결에 따라 상기 장치부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은 상기 장치부가 상기 전원인가부에 직접 연결 시 인가되는 충전 전류 또는/및 충전 전압의 5~60% 범위로 제어되는,
차량용 전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on pin pa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device part to apply a charging current and/or a charging voltage from the power applying part to the device part,
The charging current and/or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nable pin is controlled in a range of 5 to 60% of the charging current and/or charging voltage applied when the device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
Automotive electronics.
KR2020210001139U 2021-04-12 2021-04-12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KR2004963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139U KR200496378Y1 (en) 2021-04-12 2021-04-12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139U KR200496378Y1 (en) 2021-04-12 2021-04-12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05U true KR20220002505U (en) 2022-10-19
KR200496378Y1 KR200496378Y1 (en) 2023-01-13

Family

ID=8379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139U KR200496378Y1 (en) 2021-04-12 2021-04-12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78Y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533A (en) * 2007-08-31 2009-03-04 엘지노텔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ot-swap function using switching regulator
KR101146326B1 (en) 2010-02-12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n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for vehicle
KR101421506B1 (en) 2013-01-28 2014-07-22 주식회사 동남 Apparatus for power supply of black box for vehicle
KR101609719B1 (en) * 2015-09-16 2016-04-06 이성훈 Apparatus for Sensing Full Charge of Mobile Terminal Battery connected to Vehicle Power Source
KR20160120105A (en)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1702461B1 (en) * 2015-09-04 2017-02-14 (주) 큐알온텍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ing battery of vehicle
KR101920236B1 (en) * 2012-06-19 2018-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harging battery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533A (en) * 2007-08-31 2009-03-04 엘지노텔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ot-swap function using switching regulator
KR101146326B1 (en) 2010-02-12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n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for vehicle
KR101920236B1 (en) * 2012-06-19 2018-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harging battery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421506B1 (en) 2013-01-28 2014-07-22 주식회사 동남 Apparatus for power supply of black box for vehicle
KR20160120105A (en)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1702461B1 (en) * 2015-09-04 2017-02-14 (주) 큐알온텍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ing battery of vehicle
KR101609719B1 (en) * 2015-09-16 2016-04-06 이성훈 Apparatus for Sensing Full Charge of Mobile Terminal Battery connected to Vehicle Power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378Y1 (en)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019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344692B2 (en)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tructure
EP3059114B1 (en) Connection detecting circuit
US20140035512A1 (en) External power supply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US20130099740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JP5206388B2 (en) Plug-in vehicle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control device
US20040239290A1 (en) Combination jump starter and high frequency charger
KR20200075128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or for charging
US10840562B2 (en) Energy storage system, monitoring unit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energy storage device
KR20220002505U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JP5489525B2 (en) Equalization equipment
KR101151573B1 (en) Charging apparatus with charging status display for electric vehicle
JP6167343B2 (en) Multistory parking
US10471842B2 (en) On-vehicle structure of power converter
JP2010165619A (en) On-vehicle charging device
KR102126653B1 (en) Re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67080B2 (en) Charging device
US20200112003A1 (en) Batter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572393A (en) Electric bicycle charging pile
CN207662995U (en) A kind of ECU jumper holders with disconnection detection function
KR20210091000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of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WO2022215154A1 (en) In-vehicle feed system
US20240017631A1 (en) Electrified vehicle charging device
KR101016896B1 (en) Connector having port for setting parameter integrated circuit device of hall sensor module
US20200189499A1 (en) Battery eliminator circui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mode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