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11U -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 Google Patents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11U
KR20220002311U KR2020210000860U KR20210000860U KR20220002311U KR 20220002311 U KR20220002311 U KR 20220002311U KR 2020210000860 U KR2020210000860 U KR 2020210000860U KR 20210000860 U KR20210000860 U KR 20210000860U KR 20220002311 U KR20220002311 U KR 202200023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brush
paint brush
elastic fix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단원
Original Assignee
박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단원 filed Critical 박단원
Priority to KR2020210000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311U/ko
Publication of KR20220002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20Brushes for applying products to surfaces in general
    • A46B2200/202Applicator paint brush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는,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배치되는 붓모,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붓모 사이에 상기 몸체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연결부재를 갖는 페인트 붓의 상기 손잡이에 삽입 고정되는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로서, 상기 손잡이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고정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탄성 바디, 및 상기 탄성 바디의 일 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페인트 통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려 상기 페인트 붓을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바디와 상기 걸이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끝단은 첨단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The elastic fixing material combined to the paint brush}
본 고안은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페인트 작업자가 페인트 붓을 사용하다가 페인트 통에 보관할 때, 페인트 붓에 도료가 과도하게 묻거나 페인트 붓의 손잡이에 페인트가 묻는 것을 방지하고, 붓을 사용 및 거치하기에 용이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탄성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건물, 및 구조물의 실내와 외부를 미려하게 도색함에는 작업자들이 휴대한 페인트 통으로부터 페인트를 붓에 묻혀가면서 도색작업을 하게 되며, 이러한 도색작업 과정에서 휴식 혹은 다른 작업으로 인해 도색작업을 중단해야만 하는 경우, 사용하던 붓 역시 페인트 통에 걸어두거나 혹은 거치하게 되는데 페인트 통에 그냥 붓을 거치하는 경우에 붓의 손잡이에 페인트가 묻고, 장갑에 페인트가 묻어 끈적거리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도색작업 도중 자리를 이동하거나 일시적으로 도색작업을 중단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는 붓모에 묻은 페인트로 인해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페인트 붓을 페인트가 수용된 페인트 통 속에 집어넣게 되는데, 이때는 붓모와 몸체 대부분이 페인트 통 속 페인트에 잠기게 되어 페인트 붓 외면에 다량의 페인트가 묻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다시 페인트 붓을 들고 도색작업을 하게 되면, 페인트 붓에 묻은 많은 양의 페인트가 흘러내리게 되면서 도색작업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장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 10-0860385 (공고일자 2008년 9월 19일)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페인트 통 안에 페인트 붓을 담아두고 사용하는 경우에 붓의 손잡이에 페인트가 묻는 것을 방지하고, 붓을 사용 및 거치하기에 용이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탄성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는,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배치되는 붓모,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붓모 사이에 상기 몸체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연결부재를 갖는 페인트 붓의 상기 손잡이에 삽입 고정되는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로서, 상기 손잡이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고정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탄성 바디, 및 상기 탄성 바디의 일 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페인트 통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려 상기 페인트 붓을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바디와 상기 걸이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끝단은 첨단 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부는 직각 형태의 형상 또는 호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페인트 통 안에 페인트 붓을 담아두고 사용하는 경우에 붓의 사용 및 거치에 있어서 손잡이에 페인트가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가 페인트 붓을 계속하여 사용하면서 붓을 사용 및 거치를 반복할 때 손잡이 부분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페인트 붓이 페인트 통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페인트가 붓의 손잡이를 향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페인트 통 내벽에 묻어서 흘러내리는 페인트가 붓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페인트 붓을 사용하기 위해 거치 중에 페인트 붓모에 다량의 페인트가 묻는 것을 방지하여 페인트 붓모에 묻은 페인트를 털어내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400)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10)은, 손잡이(110)가 형성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끝단에 마련된 붓모(200)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100)와 붓모(200)는 그 사이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연결부재(300)를 통해 상호 연결된 다.
연결부재(300)는 금속재질의 얇은 판재가 통체 형상을 이루도록 감아서 마련되는데, 상기 붓모(200)는 일단부가 이러한 연결부재(300) 내주에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되고, 상기 몸체(100)는 끝단에 붓모(200)가 접착된 연결부재(30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300) 외면을 압착함으로써 연결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고정부재(400)의 바디는 몸체(100)의 손잡이(110)를 통해 삽입고정되며, 손잡이(110)는 후단이 두꺼우며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탄성고정부재(400)의 바디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힘을 가하여 손잡이(110) 후단 부분을 통과하면 몸체(100)의 내측에서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탄성고정부재(400)의 바디의 측면에는 걸이부(410)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걸이부(410)는 페인트 통(P)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려 페인트 붓(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걸이부(410)의 구성은 페인트 붓(10)을 페인트 통(P)에 보관할 경우 페인트 붓(10)에 과도한 량의 도료가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고정부재(400)의 바디뿐만 아니라 걸이부(4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전체로서 탄성을 가지면서 내구성 및 강성을 가져 페인트 통(P)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려 페인트 붓(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색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은 자리를 이동하거나 일시적으로 도색작업을 중단하게 될 경우 붓모(200)에 묻은 도료로 인해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던 페인트 붓(10)을 도료가 수용된 페인트 통(P) 속에 집어넣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이부(410)를 통해 페인트 붓(10)을 페인트 통(P) 상단 입구 둘레에 걸어두게 되면, 페인트 붓(10)과 페인트 통(P) 내부 바닥 사이가 이격되면서, 페인트 붓(10)이 페인트 통(P) 속 도료에 잠기지 않게 되므로, 페인트 붓(10)에 과도한 양의 도료가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재 도색작업시 다량의 도료가 흘러내리게 되면서 도색작업을 어렵게 하거나 작업장 주변이 더럽혀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401)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10)은, 손잡이(110)가 형성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끝단에 마련된 붓모(200)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100)와 붓모(200)는 그 사이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연결부재(30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고정부재(401)의 바디는 몸체(100)의 손잡이(110)를 통해 삽입고정되며, 손잡이(110)는 후단이 두꺼우며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탄성고정부재(401)의 바디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힘을 가하여 손잡이(110) 후단 부분을 통과하면 몸체(100)의 내측에서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탄성고정부재(401)의 바디의 측면에는 걸이부(41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걸이부(411)는 페인트 통(P)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려 페인트 붓(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걸이부(411)의 구성은 페인트 붓(10)을 페인트 통(P)에 보관할 경우 페인트 붓(10)에 과도한 량의 도료가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걸이부(411)는 직각 형태의 형상을 가지며, 걸이부(411)의 끝단은 뾰족한 첨단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페인트 통(P)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리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며, 페인트 붓(10)이 기울어진 상태로 페인트 통(P)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리는 경우 안정적으로 페인트 붓(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402)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10)은, 손잡이(110)가 형성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끝단에 마련된 붓모(200)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100)와 붓모(200)는 그 사이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연결부재(30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고정부재(402)의 바디는 몸체(100)의 손잡이(110)를 통해 삽입고정되며, 손잡이(110)는 후단이 두꺼우며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탄성고정부재(402)의 바디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힘을 가하여 손잡이(110) 후단 부분을 통과하면 몸체(100)의 내측에서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탄성고정부재(402)의 바디의 측면에는 걸이부(41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걸이부(412)는 페인트 통(P)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려 페인트 붓(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걸이부(412)의 구성은 페인트 붓(10)을 페인트 통(P)에 보관할 경우 페인트 붓(10)에 과도한 량의 도료가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걸이부(412)는 호 형태의 형상을 가지며, 걸이부(412)의 끝단은 뾰족한 첨단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페인트 통(P)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리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며, 페인트 붓(10)이 기울어진 상태로 페인트 통(P)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리는 경우 안정적으로 페인트 붓(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400, 401, 402)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10)은 상기 걸이부(410, 411, 412)를 통해 페인트 통(P) 내부 바닥과 이격된 상태에서 페인트 통(P)에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탄성고정부재(400, 401, 402)를 포함하는 페인트 붓(10)을 사용하게 되면, 페인트 통(P)에 페인트 붓(10)을 보관하게 되는 경우에도 페인트 붓(10)이 도료에 잠기지 않게 되어 페인트 붓(10)에 도료가 과도하게 묻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110: 손잡이
200: 붓모
300: 연결부재
400, 401, 402: 탄성고정부재
410, 411, 412: 걸이부

Claims (2)

  1.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배치되는 붓모,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붓모 사이에 상기 몸체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연결부재를 갖는 페인트 붓의 상기 손잡이에 삽입 고정되는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로서,
    상기 손잡이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고정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탄성 바디; 및
    상기 탄성 바디의 일 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페인트 통의 상단 입구 둘레에 걸려 상기 페인트 붓을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바디와 상기 걸이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끝단은 첨단 형상을 갖는,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직각 형태의 형상 또는 호 형태의 형상을 갖는,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KR2020210000860U 2021-03-19 2021-03-19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KR202200023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60U KR20220002311U (ko) 2021-03-19 2021-03-19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60U KR20220002311U (ko) 2021-03-19 2021-03-19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11U true KR20220002311U (ko) 2022-09-27

Family

ID=8344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860U KR20220002311U (ko) 2021-03-19 2021-03-19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31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385B1 (ko) 2007-02-15 2008-09-26 채진석 붓 보관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385B1 (ko) 2007-02-15 2008-09-26 채진석 붓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561B2 (en) Brush apparatus
US20130022386A1 (en) Paint trimmer with edging guide
US7726510B2 (en) Brush wip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220002311U (ko) 페인트 붓용 탄성고정부재
US7909529B2 (en) Painting tool having adjustable masking guide
US20090255844A1 (en) Tool for painters and method for its use
US9993065B2 (en) Magnetic brush apparatus
US20210402426A1 (en) Dispensing paintbrush
US9572420B1 (en) Paint brush attachable edging shield
KR200492876Y1 (ko) 페인트용 붓 거치대
US7383948B1 (en) Paint brush cleaning accessory
CN211242100U (zh) 一种油漆刷
JP3244157U (ja) ペンキ用の刷毛具
JP3845791B2 (ja) 塗布器具
US20240180309A1 (en) Magnetic hair color bowl and brush
JP3229543U (ja) 塗装用具持ち運び用容器
JPH0638662U (ja) タンク付き刷毛
JP3219369U (ja) 塗装用具
JP2006297246A (ja) 防虫・防腐剤塗布用液垂れ防止刷毛装置
CN215125258U (zh) 一种便捷型刷毛油漆刷
CN210783342U (zh) 一种装修用自动上漆的油漆刷
CN213927348U (zh) 一种刷桶
CN217137131U (zh) 一种用于涂刷临边防护钢管的涂刷装置
JP3211570U (ja) 塗装用具保持具
WO2008017729A1 (en) Multi-function handle for a paint can or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