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76U - 배관용 새들 - Google Patents

배관용 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76U
KR20220002076U KR2020210000520U KR20210000520U KR20220002076U KR 20220002076 U KR20220002076 U KR 20220002076U KR 2020210000520 U KR2020210000520 U KR 2020210000520U KR 20210000520 U KR20210000520 U KR 20210000520U KR 20220002076 U KR20220002076 U KR 202200020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pipe
band
ceil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준
Original Assignee
강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준 filed Critical 강희준
Priority to KR2020210000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076U/ko
Publication of KR20220002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새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새들은 밴드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양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밴드 내부로 배관을 삽입하면 걸림돌기가 개구부에 위치한 배관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새들이 임의로 분리되지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천장에 배관을 설치시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새들{SADDLE}
본 고안의 새들은 밴드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양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밴드 내부로 배관을 삽입하면 걸림돌기가 개구부에 위치한 배관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새들이 임의로 분리되지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천장에 배관을 설치시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배관용 새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들(saddle)은 파이프, 케이블, 로프 또는 호스 등을 구조물에 고정시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이다.
한편, 산업 시설·주거 시설 등의 건축물에는 가스 배관·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은 다양한 배관이 설비된다.
이러한 배관은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을 따라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되는데, 특히 건축물의 천장에는 중력에 대항하여 배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새들을 배열하여 삽입한 다음 천장에 고정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배관의 일정 길이와 하중을 갖는 배관의 처짐 및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 또는 천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새들이 고정되며, 이 새들에 의하여 배관이 벽면 또는 천장에 지지됨으로써 배관은 최초 설비된 상태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새들(1)은 전면에 개구부(6)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배관(8)을 삽입할 수 있는 안착홈(12)이 형성된 밴드(2)와, 상기 밴드(2)의 양측에는 천장(11)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대향지게 형성된 날개(3)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새들(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11)에 배관(8)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천장(11)에 새들(1)을 밀착한 다음 밴드(2) 양쪽에 형성된 날개(3)중 하나를 선택하여 날개(3)에 형성된 체결공에 피스(piss)(10)를 삽입한 다음 천장(11)에 고정한 후, 배관(8)을 천장(11)으로 들어올린 다음 한쪽이 고정된 새들(1)을 하부방향으로 벌린후 밴드(2) 상부에 위치하도록 천장(11)에 배관(8)을 밀착한 다음 배관(8)의 저면으로 밴드(2)를 밀어올려 밀착한 다음 나머지 날개(3)를 피스(10)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배관(8)을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 또는 비계위에 올라가 먼저 새들의 한쪽을 부착한 다음 배관을 새들에 결합하고, 새들의 다른쪽을 천장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높은곳에서 새들과 배관을 결합하는 작업공정이 번거롭고 힘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상에서 배관에 새들을 조립한 다음 천장에 배관을 밀착한 후, 새들의 날개를 천장에 피스로 고정하면되나, 배관이 삽입 안착되는 밴드는 배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와 개구부 안쪽에 안착홈이 형성되어있어 밴드에 배관을 삽입하여 천장으로 들어올리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바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 20-2019-0001208 호 "새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은 지상에서 배관에 새들을 조립하여 천장으로 들어올려도 배관에 새들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는 새들의 위치만 조정하여 날개를 천장에 밀착한 다음 피스로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 새들은 밴드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양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밴드 내부로 배관을 삽입하면 걸림돌기가 개구부에 위치한 배관의 외주면에 걸려져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새들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관용 새들은 배관에 새들을 결합하면 임의로 분리되지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인해 종래와 같이 천장에 새들 일부를 부착한 다음 새들에 배관을 결합하지않고, 지상에서 배관에 새들을 결합한 다음 천장에 새들과 배관을 밀착한 다음 새들의 양 날개를 피스로 고정하기때문에 작업공정을 단축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림돌기의 내주면에 미끄럼방지패드를 부착하여 새들과 걸림돌기의 밀착력을 향샹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새들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새들을 이용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고안 새들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새들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새들에 배관을 조립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새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새들에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새들에 배관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새들의 사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새들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새들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새들에 배관을 조립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 새들(1)은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을 따라서 배관을 설치하고 고정할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개구부(6)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6)의 내측으로 배관(8)을 삽입할 수 있도록 안착홈(12)이 형성된 밴드(2)와, 상기 밴드(2)의 개구부(6) 양측에는 내부에 체결공(5)이 형성된 날개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6) 양측으로 걸림돌기(4)가 돌출된 형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밴드(2)의 안착홈으로 배관(8)을 삽입하면 걸림돌기(4)는 개구부(6)로 노출되는 배관(8)의 외주면을 간섭되어 걸려지는 형태로 조립된다.
따라서 새들(1)은 배관(8)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임의로 배관(8)에서 분리되지않는다.
상기 새들(1)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밴드(2)의 좌우 양측을 작업자가 손으로 벌리면 일정 각도로 벌려졌다가 손을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걸림돌기(4)는 배관(8)의 상부 외주면에 걸려져 간섭한다.
또한, 밴드(2)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띠(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띠(7)는 밴드의 안착홈에 배관을 삽입 안착한 경우 배관의 하중에 의해 새들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고안 새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 새들(1)은 걸림돌기(4)의 내주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9)가 부착된다.
상기 걸림돌기(4)의 내주면에 미끄럼방지패드(9)를 부착한 다음 배관(8)을 안착홈(12)에 삽입하면 미끄럼방지패드(9)는 배관(9)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걸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고안 새들에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새들에 배관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 새들의 사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다.
본 고안 새들(1)은 배관(8)의 저면에 밴드(2)의 개구부(6)가 위치한 다음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면 밴드(2)의 좌우 양측이 벌려져 안착홈(12)에 배관(8)이 삽입되고, 걸림돌기(4)는 개구부로 노출된 배관(8)의 표면에 걸려져 임의로 분리되지않고 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새들(1)이 조립된 배관(8)을 들어서 사다리 또는 비계에 올라가 천장에 새들(1)의 날개(3)를 밀착한 다음 날개(3)에 형성된 체결공(5)에 피스(10)를 위치한 다음 천장(11)에 피스(10)를 박아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바닥에서 배관(8)에 새들(1)을 조립한 다음 천장(11)에 새들(1)과 배관(8)을 밀착한 후 새들(1)의 위치만을 조정한 후 날개(3)에 형성된 체결공(5)으로 피스(10)를 삽입하여 천장(11)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작업공정을 단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새들 2: 밴드
3: 날개 4: 걸림돌기
5: 체결공 6: 개구부
7: 보강띠 8: 배관
9: 미끄럼방지패드 10: 피스
11: 천장 12: 안착홈

Claims (3)

  1. 상면에 개구부(6)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6)의 내측으로 배관(8)을 삽입할 수 있도록 안착홈(12)이 형성된 밴드(2)와, 상기 밴드(2)의 개구부(6) 양측에는 내부에 체결공(5)이 형성된 날개(3)가 일체로 형성된 새들(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 양측으로 걸림돌기(4)가 돌출된 형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밴드(2)의 안착홈으로 배관(8)을 삽입하면 걸림돌기(4)는 개구부(6)로 노출되는 배관(8)의 외주면을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새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4)의 내주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9)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새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2)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띠(7)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새들.
KR2020210000520U 2021-02-17 2021-02-17 배관용 새들 KR202200020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20U KR20220002076U (ko) 2021-02-17 2021-02-17 배관용 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20U KR20220002076U (ko) 2021-02-17 2021-02-17 배관용 새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76U true KR20220002076U (ko) 2022-08-24

Family

ID=8306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520U KR20220002076U (ko) 2021-02-17 2021-02-17 배관용 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07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08U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사인디피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08U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사인디피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911B1 (ko) 공동주택 오배수 모듈화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0877149B1 (ko)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JPH04506240A (ja) 床排水施設支持具
US9180323B2 (en) Fall protection tie-off anchor point and method
KR20170004159U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80000556U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US7694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stopping around a water closet drain pipe in a vertical floor opening
US20050069398A1 (en) Fastener
KR20220002076U (ko) 배관용 새들
US3965629A (en) Conduit apparatus
KR100639102B1 (ko) 공동주택 전기설비용 결속행거
US8464985B2 (en) Attachment device for elongated member
US9580920B1 (en) Hardware mountable blockout apparatus and structural member integrating the same
KR101459276B1 (ko) 슬리브를 직관으로 이용하는 직결구조식 에어덕트 직관용 클립형 걸이 및 상기 클립형 걸이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직관으로 이용한 직결구조식 에어덕트 직관의 시공방법
KR101940606B1 (ko) 충진재 일체형 종이슬리브
EP3361132A1 (en) Penetration piece to bring house drainage pipe through the floor vault
KR20110137270A (ko) 슬립방지부가 구비된 배관지지가대
KR100769237B1 (ko) 발코니 난간용 방화유리 고정구
JPH09125672A (ja) プラスチック管の固定方法
KR200496747Y1 (ko)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KR102133937B1 (ko) 설치가 편리한 덕트 지지용 행거 장치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436104Y1 (ko)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GB2428085A (en) Underfloor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