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69U - 캣 워킹 구조를 갖는 주방 싱크대 가구재 - Google Patents

캣 워킹 구조를 갖는 주방 싱크대 가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69U
KR20220002069U KR2020210000517U KR20210000517U KR20220002069U KR 20220002069 U KR20220002069 U KR 20220002069U KR 2020210000517 U KR2020210000517 U KR 2020210000517U KR 20210000517 U KR20210000517 U KR 20210000517U KR 20220002069 U KR20220002069 U KR 202200020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cat
furniture material
spa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우
Original Assignee
김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우 filed Critical 김은우
Priority to KR2020210000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069U/ko
Publication of KR20220002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재; 상기 가구재의 상면에 탈부착 되도록 구성되는 바닥패드; 상기 가구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하이동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단으로 설치되어지되 최상단부 전방이 개구되고 하단으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가구재; 상기 가구재의 상단 공간부를 다수 구획하되, 반려묘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구획재; 상기 가구재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반려묘의 상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하이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반려동물 특히 반려묘를 키우는 가정에서 가구재 특히 싱크대 상단쪽에 설치되는 주방가구재의 상단측을 반려묘의 잠자리 공간, 놀이 공간으로 활용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주방가구의 상단으로 반려묘가 오르내리락 할 수 있는 캣 타워 구조를 구성하여 주방가구의 사용 활용성과 인테리어 효과와, 주방가구재 등의 상단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반려묘의 잠자리 공간이나 캣 타워 등 부가적 구조물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Furniture with Cat Walking Structure}
본 고안은 가정이나 실내 등의 주방에 설치 시공되는 싱크대 수납구조를 변경하여 캣 워킹 구조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반려묘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에 관한 것이다.
소득 수준의 향상과, 점차 1인가족 내지 소규모의 가족 구성원으로 생활하는 가정이나 가구 등, 핵가족 또는 1인 가구, 독신인구, 노년층 증가에 따라, 인간의 반려동물로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일반 주택의 경우 애완동물을 실외에서 기를 수 있지만, 아파트라는 주거 형태의 확산으로 애완동물은 인간과 함께 실내에서 동거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에서 인간과 애완동물이 함께 생활하게 되어 애완동물을 기를 때 보금자리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펫 하우스 등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상기한 펫 하우스 등 반려동물들을 위한 제품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실내 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반려묘(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경우 캣 타워와 같이 위로 오르내리락 하는 운동기구나 놀이기구 등을 함께 갖추어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 실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상기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반려묘 뿐만 아니라 반려견 등의 하우스를 일반 가정에서 통상 사용하는 가구와 접목하는 경우가 있는바, 공지된 선행특허문헌의 경우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 2004-254648 (공개일 2004. 09. 16)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은 주로 반려견을 키우는 가정에서, 일반 가구의 하단부측을 개조하여 애완견의 잠자리와 놀이공간 등을 형성하고 있다.
반려견의 경우에는 주로 낮은 위치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여 가구와 반려견의 생활공간을 함께 구성할 수 있으나, 높은 곳을 좋아하여 자주 가구장 위나 장식장 위쪽을 자주 오르내리는 반려묘의 경우에는 잠자리 구조물 뿐만 아니라, 캣 타워 등의 보조 시설물 등을 설치하게 되므로 전술한 실내 공간 활용도 떨어지는 문제점은 해소할 수 없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 2004-254648(공개일 2004. 09. 16)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반려동물 특히 반려묘를 키우는 가정에서, 가구 등의 상부 공간을 활용하여 반려묘의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캣 타워와 가구등을 접목한 구조 형태를 갖는 가구재 등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구재의 경우 특히 싱크대가 설치되는 주방쪽의 가구재 상단부를 개조하여 캣 타워 구조와 접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주 사용되지 않는 주방 가구재 상단부를 활용하여 실내 공간 활용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구재;
상기 가구재의 상면에 탈부착 되도록 구성되는 바닥패드;
상기 가구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하이동부;
를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단으로 설치되어지되 최상단부 전방이 개구되고 하단으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가구재;
상기 가구재의 상단 공간부를 다수 구획하되, 반려묘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구획재;
상기 가구재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반려묘의 상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하이동부;
를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반려동물 특히 반려묘를 키우는 가정에서 가구재 특히 싱크대 상단쪽에 설치되는 주방가구재의 상단측을 반려묘의 잠자리 공간, 놀이 공간으로 활용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주방가구의 상단으로 반려묘가 오르내리락 할 수 있는 캣 타워 구조를 구성하여, 주방가구의 사용 활용성과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주방가구재 등의 상단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반려묘의 잠자리 공간이나 캣 타워 등 부가적 구조물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은 곳을 선호하는 반려묘의 특성과 높은 곳에 자리를 잡은 상태에서 쉴 때 편안함과 안정감을 갖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반려묘의 특성과 부합되면서도, 활용 빈도수가 낮은 높은 곳의 수납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천정과 접하지 않는 형태의 가구재 또는 싱크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구재 상면측에 바닥패드를 형성하고, 가구재의 상면측으로 반려묘의 이동이 용이한 상하이동부가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천정과 접하는 가구재 또는 싱크대 상부에 구비되는 가구재 상방측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상방의 공간부를 구획하는 구획재 등을 구성하여, 상기 가구재의 공간부측으로 반려묘의 이동이 용이한 상하이동부가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적용되는 가구재의 공간부를 구획하는 구획재 양 표면으로 각각 부착되는 스크래치패드를 분리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고안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주방가구재의 상단 공간을 활용하여 반려묘의 잠자리 공간, 놀이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주방가구재의 상단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반려묘 잠자리, 캣 타워 등의 부대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 없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가구재(100), 상기 가구재(100) 상단의 공간부(110) 전방을 개구하여 다수 구획되도록 하는 구획재(120), 상기 가구재(100)의 측면으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구재(100)는 통상의 가구 형태를 갖는 것으로, 특히 본 고안에서는 주로 싱크대 등 주방 영역에 설치되는 가구재(100)를 일예로 설명한다.
주방에 설치되는 가구는 싱크대(1)를 기준으로 하단과 상단에 각각 조리도구나 그릇, 식기 등의 주방용품이나 주방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주방 수납공간에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수납공간은 싱크대(1)를 기준으로 상단부측에 설치되는 가구재(100)에 한정된다.
즉, 주방 수납공간에서 싱크대(1) 하단쪽은 주로 식기 등의 주방용품 등이 수납되면서도 아래에 구비되어 있어 주부나 사용자들의 사용빈도가 다소 높은 공간이고, 싱크대(1) 상단쪽에 설치되는 가구재(100)는 싱크대(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의 일정 높이에서 실내 천정까지 맞닿아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가구재(100)를 이하에서는 싱크대(1)의 상방측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가구재에 한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구재(100)의 경우, 싱크대(1)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실내 천정까지 설치되는 특성에 따라, 상기 가구재(100)의 최상단 공간은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상단 공간으로 수납되는 주방용품 등은 사용빈도수가 비교적 낮은 주방용품이나 주방도구 등으로 한정되거나, 불필요한 물품등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고 평상시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공간에 해당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상기한 가구재(100)의 상단부를 활용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와 인테리어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 확보를 위한 가구재(100)에서, 도 3 내지 도 5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최상단은 개구되어 개방되는 공간부(110)를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 지칭하는 공간부(110)는 가구재의 최상단 공간만을 의미한다.
통상적인 가구재(100)의 경우 가구재(100) 본체의 전면측에 도어(130)를 형성하여 전면을 모두 개방하거나 또는 개폐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가구재(100)의 최상단은 개방되는 형태로 전면이 개구되고, 그 하단의 영역으로는 종래와 같이 도어(130)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공간부(110)의 바닥면에는 반려묘의 이동시, 미끄러져 낙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바닥패드(111)를 구성한다.
상기 바닥패드(111)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며, 바닥패드(111)의 표면에 요철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무수한 돌기들을 형성할 수 있어, 반려묘가 이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가구재(100)의 최상단 공간부(110)를 다수 구획하는 구획재(120)를 구성한다.
상기 구획재(120)에는 반려묘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121)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구획재(120)의 양표면으로 반려묘의 발톱을 긁을 수 있도록 하는 스크래쳐패드(122)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래쳐패드(122)는 오돌토돌한 돌기 형태가 스크래쳐패드(122)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스크래쳐 가능하도록 스크래쳐밧줄(211) 형태를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상기 구획재(120)에는 반려묘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121)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구획재(120)의 양표면으로 반려묘의 발톱을 긁을 수 있도록 하는 스크래쳐패드(122)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래쳐패드(122)는 오돌토돌한 돌기 형태가 스크래쳐패드(122)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스크래쳐 가능하도록 밧줄 형태를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구재(100)의 측면으로 반려묘가 상기 공간부(110)측으로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하이동부(200)를 구성한다.
상기 상하이동부(200)는 캣 타워 형태로 구성하여 가구재(100)의 측면부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시공시 일체로 제작하여 설치 할 수 있다.
예컨데, 기존의 가구재(100)를 변형하려 할 경우에는 가구재(100)의 측면에 상하이동부(200)를 부가 설치할 수 있으며, 신규 아파트 또는 주택 시공시 새롭게 설치하거나 또는 기존 가구재(100)를 교체하려 할 경우 상하이동부(200)를 일체로 하여 제작,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하이동부(2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둥근 원봉형태의 봉재(210)를 구성하고 상기 봉재(210) 외주면으로 스크래쳐밧줄(211)을 권선하고, 상기 봉재(210)로부터 가구재(100) 측면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20)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하이동부(200)를 계단(230)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각 계단의 표면으로는 상기한 공간부(1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패드(111)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캣 타워를 적용하여 가구재(100)의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패드(111)와 계단(230) 타입으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200)의 바닥패드(111)는 동일 재질 및 동일 구성으로 설치된다.
한편 이와 달리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은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가구재(100)의 상단부분에서 공간부(110)를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가구재(100)의 상단면을 활용할 수 있다.
에컨데 기존 설치된 가구재(100) 특히 주방 영역의 싱크대(1) 상방측에 구비되는 가구재(100)의 경우 실내 천정까지 가구재(100)가 맞닿아 설치되지만, 새롭게 설치되거나 변경 설치할 때, 실내 천정과 이격되도록 가구재(100)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가구재(100)의 상면측으로 상기한 바닥패드(111)를 설치할 수 있으며, 싱크대(1)의 측면으로는 스크래쳐패드(122)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구재(100)의 상면측으로 반려묘가 이동 가능하도록, 캣 타워로 불려지는 상하이동부(2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면과 실내천정간 이격되는 가구재(100)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주방 영역에 설치되는 가구재(100) 뿐만 아니라, 실내에 설치된 장식장이나 수납장 등의 상면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주방의 싱크대(1) 상방측에 설치되는 가구재(100)의 상단은 사용 빈도수가 낮기 때문에 본 고안을 적용하여, 해당 공간부(110)의 전방을 개방시키고 상기 공간부(110)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재(120)를 이용하여 구획시킨 후, 상기 구획재(120)에 천공된 통로(121)를 통하여 반려묘의 이동 용이성을 확보하고, 상기 공간부(110)의 바닥면에는 바닥패드(111)등을 설치함으로써 반려묘의 이동, 활동시 미끄러져 낙하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재(120)의 양측면으로 탈부착 가능한 스크래쳐패드(122)를 구비하고, 가구재(100)의 측면에 반려묘의 상하 이동이 용이한 상하이동부(200)를 구성하여 가구재(100)의 상단 공간부(110)측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반 가구재의 경우에도 전술한 구성들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실내 천정면과 이격되는 일반적인 장식장, 옷장 등의 가구재(100)의 상면으로 상기한 구성의 바닥패드(111)와 측면으로 상하이동부(200)를 구성하여 반려묘의 활동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싱크대
100; 가구재 110; 공간부
111; 바닥패드 120; 구획재
121; 통로 122; 스크래쳐패드
130; 도어 200; 상하이동부
210; 봉재 211; 스크래쳐밧줄
220; 연결부재 230; 계단

Claims (9)

  1. 가구재;
    상기 가구재의 상면에 탈부착 되도록 구성되는 바닥패드;
    상기 가구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하이동부;
    를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2. 다단으로 설치되어지되 최상단부 전방이 개구되고 하단으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가구재;
    상기 가구재의 상단 공간부를 다수 구획하되, 반려묘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구획재;
    상기 가구재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반려묘의 상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하이동부;
    를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탈부탁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닥패드;
    를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재에 반려묘의 공간 이동성을 위한 통로를 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재의 양 표면에 탈부착 되는 스크래쳐패드를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오돌토돌한 돌기 형태 또는 밧줄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며 상기 구획재의 양 표면에 탈부착되는 스크래쳐패드를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원봉 형태의 봉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재 외주면으로 스크래쳐용밧줄이 권선되고, 상기 봉재로부터 상기 가구재 측면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계단 표면에 바닥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측면으로 상기 가구재와 측면 연결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원봉 형태의 봉재;
    상기 봉재를 따라 다수개 상하로 이격되며 구비되는 돌출패널;
    상기 돌출패널 표면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닥패드;
    상기 봉재와 상기 가구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캣 워킹 구조를 갖는 가구재.







KR2020210000517U 2021-02-16 2021-02-16 캣 워킹 구조를 갖는 주방 싱크대 가구재 KR202200020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17U KR20220002069U (ko) 2021-02-16 2021-02-16 캣 워킹 구조를 갖는 주방 싱크대 가구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17U KR20220002069U (ko) 2021-02-16 2021-02-16 캣 워킹 구조를 갖는 주방 싱크대 가구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69U true KR20220002069U (ko) 2022-08-23

Family

ID=8306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517U KR20220002069U (ko) 2021-02-16 2021-02-16 캣 워킹 구조를 갖는 주방 싱크대 가구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06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648A (ja) 2003-02-27 2004-09-16 Sekisui House Ltd ペットルー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648A (ja) 2003-02-27 2004-09-16 Sekisui House Ltd ペットルー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533B2 (en) Multiple function animal furniture system
US6318295B1 (en) Multi-level kennel enclosure with forced ventilation
EP3945791B1 (en) Twelve-device-in-one interchangeable pet crate
US20090031964A1 (en) Combined furniture and animal housing
US20070000448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furniture system
US20100307424A1 (en) Pet accessory
US20150216139A1 (en) Outdoor Pet Enclosure
US20060201441A1 (en) Bird cage
US7878150B2 (en) Multiple function animal training system with extendable ramp
US5431129A (en) Transparent pet cage with pivoting top panels
KR20220002069U (ko) 캣 워킹 구조를 갖는 주방 싱크대 가구재
JP4081388B2 (ja) ペットルーム
US20060162666A1 (en) Decorative animal litter box enclosure
KR101372696B1 (ko) 애완견 하우스
KR102607549B1 (ko) 고양이 이동용 연결구조물 조립체
JP6373199B2 (ja) 猫用踏み台および猫用ケージ
KR102388469B1 (ko) 슬라이드 계단 가변형 조립식 개집
KR102002645B1 (ko) 애완 동물 하우스
WO2007062425A2 (en) Multiple function animal training system with extendable ramp
JP2003265254A (ja) 室内家具及びその家具を固定した建物
JP3214221U (ja) ペット用畳
WO2016162730A1 (en) Enhancement in mobile shelter for dogs
US20060065208A1 (en) Enclosure with floor panel entrance
KR20170000995U (ko) 애완견용 하우스 조립체
KR200493166Y1 (ko) 방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