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597U -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597U
KR20220001597U KR2020200004810U KR20200004810U KR20220001597U KR 20220001597 U KR20220001597 U KR 20220001597U KR 2020200004810 U KR2020200004810 U KR 2020200004810U KR 20200004810 U KR20200004810 U KR 20200004810U KR 20220001597 U KR20220001597 U KR 202200015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laver
cut
rectangular
fixed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911Y1 (ko
Inventor
신범수
신희수
신채호
Original Assignee
신범수
신희수
신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범수, 신희수, 신채호 filed Critical 신범수
Priority to KR2020200004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1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8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cubes or the like
    • B26D3/185Grid lik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26F3/08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 B26F3/12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with heated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단되지 않은 전장 구이김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칼날 대신 안전하고 위치변동 가능한 열선으로 구성한 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는 전장김을 원하는 크기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김 절단에 따른 김가루의 날림이나 불완전 잘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선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선이 더욱 바삭해지는 식감개선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Home Cutting Device for Laver}
본 고안은 절단되지 않은 전장 구이김을 한입에 먹기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하게는 전장 구이김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칼날 대신 안전하고 위치변동 가능한 열선으로 구성한 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반찬이다. 가정용 김은 생김 혹은 날김으로 판매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기름과 소금 등을 가미해 구운 구이김이 묶음 단위로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구이김을 한입에 먹기에 적당한 크기로 잘라 포장한 제품은 일반적으로 도시락김이라고 부르고, 절단하지 않은 김은 전장김이라고 한다. 굽지 않은 생김 또는 날김은 흔히 전장의 크기가 큰 재래김과 전장의 크기가 작은 김밥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도시락김보다 전장김의 식감을 선호하는 등의 이유로 전장김을 준비한 경우 먹기 위해서는 김을 잘라야 하는데, 김을 빼고 자르는 과정에서 손에 기름과 소금이 묻고 김가루가 튀는 등의 번잡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0806호는 [포장김 절단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 기술은 "외부의 포장지는 절단되지 않고 내부의 구은김만 절단하여, 구은김을 포장지에 포장된 상태로 절단할 수 있는 포장김 절단기"를 개시하는데, 탄성부재 위에 김을 포장지 상태로 놓고 커터부재로 포장지는 그대로 둔 채 그 안에 든 전장김을 도시락김으로 절단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회전하는 원형칼날이 절단기 내부에 존재하여, 절단과정에서 원형칼날에 밀린 김포장지가 김을 절단하게 되므로, 절단상태가 고르지 못할 수 있으며 김포장지 재질이 김을 눌러서 자르는 과정에서 포장지가 훼손되거나 김의 모서리가 터지는 경우도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자른 후에 김포장지에서 김을 꺼내는 과정에서 김을 정렬하는 것도 복잡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0806호, 포장김 절단기
본 고안에서는 가정에서 전장김을 안전하고도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는 구이김 절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로, 상기 절단장치는: 바닥면을 이루는 김 절단판; 상기 김 절단판의 상면에서 사각형 구이김의 이웃한 두 측면을 정렬하여 적치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을 이루는 두개의 막대로 구성된 고정 정렬부;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가 서로 이웃하는 양변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받침판 상면에, 김이 적치될 수 있도록 상기 두개의 막대보다 낮은 높이로 복수개의 육면체 형상 돌기부가 나란히 배열된 김 받침판; 상기 김이 적치된 김 받침판의 4측면 중 상기 고정 정렬부와 접하지 않은 2개 측면에서 적치된 김을 정렬하도록 상기 고정 정렬부와 같은 높이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이동 정렬부;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 중 하나와 평행하게 한 변이 상기 절단판에 힌지결합되는 사각형 테두리에,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인 절단날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치된 김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 및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 중 다른 하나와 평행하게 한 변이 상기 절단판에 힌지결합되는 사각형 테두리에,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인 절단날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치된 김을 상기 제1 절단부의 절단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이동 정렬부의 막대는 육면체 형상 돌기부 사이 공간과 평행한 위치에 복수개의 함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날은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을 유지하면서 수평이동하는 열선으로, 상기 열선이 구비된 사각형 테두리는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이동 정렬부가 이루는 사각형보다 크며, 상기 열선의 상기 사각형 테두리와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는 수축가능한 용수철구조이고, 상기 김 절단판에는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열 조절부가 구비된,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는, 상기 사각형 테두리에서 연장된 안전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격형 테두리는 상기 절단날로부터 절단층 두께 이상으로 이격되어 절단날을 보호하는 절단날 보호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각형 테두리의 상기 절단날과 접하는 부위는 절단날에 전기를 흘리도록 연결하되 외부와 절연되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제1 절단부를 덮고 그 위에 상기 제2 절단부를 덮인 상태로 둘 수 있도록,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는 절단날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절단날을 각각 측면 모서리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덮인 상태의 상면에 상기 사각형 테두리를 보호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김 받침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일체형으로, 상기 김 절단판에서 탈착가능한,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열선의 재질은 니크롬선이고, 상기 전원은 전력선 또는 USB연결선으로 이어지는 외부전원이거나, 1차 또는 2차 배터리로 구성된 내부전원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는 전장김을 원하는 크기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김 절단에 따른 김가루의 날림이나 불완전 잘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선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선이 더욱 바삭해지는 식감개선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의 각 구성부와 구이김 적치 전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의 김 받침판 위에 김을 적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김을 적치하고, 이동정렬부로 정렬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김을 적치 및 정렬한 뒤, 제1 절단부로 절단한 상태를 평면도로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김을 적치 및 정렬한 뒤, 제1 절단부로 절단한 상태를 사시도로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김을 적치 및 정렬한 뒤, 제1 절단부로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에서 절단날 및 절단날 보호대를 확대하여 표시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는 김을 절단하는 장치로 표시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젤리, 푸딩, 두부, 묵 등 점성이 있는 고형의 식재료는 물론, 기타 겔(Gel) 또는 콜로이드(Colloid) 상태의 다양한 재료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정에서도 식재료용만으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문방구용품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실험실 등에서 얇은 막으로 된 연성재료를 절단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100) 절단장치의 각 구성부와 구이김 적치 전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로, 상기 절단장치는: 바닥면을 이루는 김 절단판(10); 상기 김 절단판의 상면에서 사각형 구이김의 이웃한 두 측면을 정렬하여 적치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을 이루는 두개의 막대로 구성된 고정 정렬부(20);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가 서로 이웃하는 양변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받침판 상면에, 김이 적치될 수 있도록 상기 두개의 막대보다 낮은 높이로 복수개의 육면체 형상 돌기부가 나란히 배열된 김 받침판(30); 상기 김이 적치된 김 받침판의 4측면 중 상기 고정 정렬부와 접하지 않은 2개 측면에서 적치된 김을 정렬하도록 상기 고정 정렬부와 같은 높이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이동 정렬부(25);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 중 하나와 평행하게 한 변이 상기 절단판에 힌지결합(15)되는 사각형 테두리에,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인 절단날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치된 김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40); 및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 중 다른 하나와 평행하게 한 변이 상기 절단판에 힌지결합되는 사각형 테두리에,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인 절단날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치된 김을 상기 제1 절단부의 절단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부(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받침판은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어서 절연재질로 외부와 기밀상태를 유지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육면체 형상 돌기부는 크기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그 면적도 김의 종류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상기 김의 면적은 상기 이동 정렬부의 위치 조절을 통해서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힌지결합은 경첩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경첩은 상기 제1 절단부와 상기 제2 절단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이동 정렬부의 막대는 육면체 형상 돌기부 사이 공간과 평행한 위치에 복수개의 함몰홈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날(41)은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을 유지하면서 수평이동하는 열선으로, 상기 열선이 구비된 사각형 테두리는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이동 정렬부가 이루는 사각형보다 크며, 상기 열선의 상기 사각형 테두리와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는 수축가능한 용수철구조이고, 상기 김 절단판에는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열 조절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함몰홈부는 상기 절단날이 김 등 절단부를 절단할 때 그 사이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며, 상기 함몰홈부의 바닥부 높이는 상기 받침판 상면 높이와 일치해서 상기 절단날이 상기 받침판 상면까지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선으로 구성된 절단날은 절단을 위해 온도가 올라갈 때 길이팽창을 할 수 있으므로 사각형 테두리와 접하는 절단날의 단부는 용수철 구조로 되어서 절단날이 늘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절단날은 상기 사각형 테두리와 연결된 부위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의 김 받침판 위에 김을 적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김을 적치하고, 이동정렬부로 정렬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김 받침판에 김을 적치할 때는 김의 두 측면이 상기 서로 직각을 이루는 두개의 막대로 구성된 고정 정렬부에 맞추어져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는, 상기 사각형 테두리에서 연장된 안전 손잡이(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격형 테두리는 상기 절단날로부터 절단층 두께 이상으로 이격되어 절단날을 보호하는 절단날 보호대(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각형 테두리의 상기 절단날과 접하는 부위는 절단날에 전기를 흘리도록 연결하되 외부와 절연되는 보호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안전손잡이는 절연부로 구성되거나 금속재질을 절연부로 감싼 재질로 구성하여 전기안전성을 높인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절단부를 덮고 그 위에 상기 제2 절단부를 덮인 상태로 둘 수 있도록,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는 절단날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절단날을 각각 측면 모서리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덮인 상태의 상면에 상기 사각형 테두리를 보호하는 덮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절단부의 크기보다 상기 제2 절단부의 크기를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첩의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의 사각형 테두리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김을 적치 및 정렬한 뒤, 제1 절단부로 절단한 상태를 평면도로 표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김을 적치 및 정렬한 뒤, 제1 절단부로 절단한 상태를 사시도로 표시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김 받침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일체형으로, 상기 김 절단판에서 탈착가능하며, 상기 절단을 위한 구이김 또는 기타 절단물은 상기 김 받침부의 상면에 적치되어 상기 고정정렬부로 정렬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에 김을 적치 및 정렬한 뒤, 제1 절단부로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에서 절단날 및 절단날 보호대를 확대하여 표시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제1 절단부의 절단날이 김 등 절단물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고 절단날 보호대는 김 등 절단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절단날과 절단날 보호대는 제2 절단판과 인접한 고정 정렬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그 위로 상기 제2 절단판이 덮일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선의 재질은 니크롬선이고, 상기 전원은 전력선 또는 USB연결선으로 이어지는 외부전원이거나, 1차 또는 2차 배터리로 구성된 내부전원일 수 있다.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김 받침판 이면에 상기 전원 또는 전원 연결부가 절연구조로 감싼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고안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고안에 도입된다.
10. 김 절단판
15. 힌지결합
20. 고정 정렬부
25. 이동 정렬부
26. 함몰홈부
30. 김 받침판
40. 제1 절단부
41. 절단날
42. 절단날 보호대
50. 제2 절단부
60. 안전 손잡이
70. 덮개부

Claims (5)

  1.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로, 상기 절단장치는:
    바닥면을 이루는 김 절단판;
    상기 김 절단판의 상면에서 사각형 구이김의 이웃한 두 측면을 정렬하여 적치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을 이루는 두개의 막대로 구성된 고정 정렬부;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가 서로 이웃하는 양변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받침판 상면에, 김이 적치될 수 있도록 상기 두개의 막대보다 낮은 높이로 복수개의 육면체 형상 돌기부가 나란히 배열된 김 받침판;
    상기 김이 적치된 김 받침판의 4측면 중 상기 고정 정렬부와 접하지 않은 2개 측면에서 적치된 김을 정렬하도록 상기 고정 정렬부와 같은 높이로 배열되는 막대 형상의 이동 정렬부;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 중 하나와 평행하게 한 변이 상기 절단판에 힌지결합되는 사각형 테두리에,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인 절단날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치된 김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 및
    상기 고정 정렬부의 두개의 막대 중 다른 하나와 평행하게 한 변이 상기 절단판에 힌지결합되는 사각형 테두리에,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인 절단날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치된 김을 상기 제1 절단부의 절단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이동 정렬부의 막대는 육면체 형상 돌기부 사이 공간과 평행한 위치에 복수개의 함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날은 상기 힌지결합된 변과 수직방향을 유지하면서 수평이동하는 열선으로, 상기 열선이 구비된 사각형 테두리는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이동 정렬부가 이루는 사각형보다 크며, 상기 열선의 상기 사각형 테두리와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는 수축가능한 용수철구조이고,
    상기 김 절단판에는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열 조절부가 구비된,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는, 상기 사각형 테두리에서 연장된 안전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격형 테두리는 상기 절단날로부터 절단층 두께 이상으로 이격되어 절단날을 보호하는 절단날 보호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각형 테두리의 상기 절단날과 접하는 부위는 절단날에 전기를 흘리도록 연결하되 외부와 절연되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부를 덮고 그 위에 상기 제2 절단부를 덮인 상태로 둘 수 있도록,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는 절단날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절단날을 각각 측면 모서리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덮인 상태의 상면에 상기 사각형 테두리를 보호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정렬부와 상기 김 받침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일체형으로, 상기 김 절단판에서 탈착가능한,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의 재질은 니크롬선이고,
    상기 전원은 전력선 또는 USB연결선으로 이어지는 외부전원이거나, 1차 또는 2차 배터리로 구성된 내부전원인,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KR2020200004810U 2020-12-24 2020-12-24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KR200495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810U KR200495911Y1 (ko) 2020-12-24 2020-12-24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810U KR200495911Y1 (ko) 2020-12-24 2020-12-24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97U true KR20220001597U (ko) 2022-07-01
KR200495911Y1 KR200495911Y1 (ko) 2022-09-19

Family

ID=8239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810U KR200495911Y1 (ko) 2020-12-24 2020-12-24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1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806B1 (ko) 2017-04-21 2019-01-21 (주)웅비식품 포장김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2858A (en) * 2010-06-22 2012-02-22 Noreen Salador Hot wire food cutter
KR101359328B1 (ko) * 2012-05-30 2014-02-13 김성환 구이김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806B1 (ko) 2017-04-21 2019-01-21 (주)웅비식품 포장김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11Y1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6723A (en) Microwave food heating package with serving tray
EP0627156B1 (en) Microwave food heating package with accordion pleats
CN100581937C (zh) 仅供包装及烘烤玉米用以制作爆米花的装置
US10131492B2 (en) Pizza box
US7342207B2 (en) Elevated microwaveable carton and susceptor portion and methods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US3410700A (en) Package for frozen pizza and the like
KR200495911Y1 (ko) 가정용 구이김 절단장치
EP3178748B1 (en) Pizza box
EP18381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andwich
US11629001B2 (en) Wrapper and three-dimensional package with steam venting feature for hot food items and method
WO200606886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andwich
US20230013836A1 (en) Food cutting assembly
US1708719A (en) Sanitary bread slicer and container
JPS599836Y2 (ja) スライサ−
JPS6121420Y2 (ko)
JPWO2018025553A1 (ja) 冷凍にぎり寿司及び冷凍にぎり寿司の製作方法
JP2983835B2 (ja) 薄片食品包装物
JP2005304408A (ja) 包装食品と食品の包装調理方法
ES2616247B1 (es) Procedimiento de envasado de lonchas de productos alimenticios y producto obtenido
ES1076475U (es) Recipiente culinario con asidero atérmico.
JPH0784226B2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20170099821A (ko) 전자렌지용 견과류 포장용기
TWM545113U (zh) 蛋盒
ES1239199U (es) Sistema de loncheado Montadito/Bocadil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