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518U - 텐트용 환기기구 - Google Patents

텐트용 환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518U
KR20220001518U KR2020200004677U KR20200004677U KR20220001518U KR 20220001518 U KR20220001518 U KR 20220001518U KR 2020200004677 U KR2020200004677 U KR 2020200004677U KR 20200004677 U KR20200004677 U KR 20200004677U KR 20220001518 U KR20220001518 U KR 202200015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torage case
main body
ventilation fan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050Y1 (ko
Inventor
전제헌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뷰
김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뷰, 김진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뷰
Priority to KR2020200004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5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용 환기기구에 관한 것으로, 소형 캠핑용 텐트에 휴대용 환기팬을 수용하는 수납케이스를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 및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텐트용 환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트용 환기기구{Ventilation system for tent}
본 고안은 텐트용 환기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캠핑용 텐트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및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텐트용 환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활동을 위한 캠핑용 텐트는 다양한 이름, 형태 및 용도에 따른 크기가 다르게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텐트의 기능은 외부 바람(냉기 및 온기), 비, 이슬 및 해충 등을 차단하면서 적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여가 활동에 필요한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기존의 캠핑용 텐트는 내부에서 음식을 조리하면 연기 및 습기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텐트에는 자연 배출을 위한 배기창을 만들어 보급하였으나 배출창만으로는 대류 순환이 어려워 환기의 효과가 낮으므로 동력용 환기팬을 통하여 강제로 배출하는 환기기구를 장착하게 되었다.
예컨대 국내 공개실용 제20-1995-0006600호 '환기기구가 설치된 텐트'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환기팬을 프레임으로 제작된 사각틀에 고정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사각틀을 외부에서 텐트에 장착하고, 환기팬의 전동기는 테양열전지를 전원으로 구동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480415호 '텐트 하우스'와, 등록특허 제10-1577968호 '환기기구를 구비한 인디언 텐트' 및 등록특허 제10-2072006호 '조명장치 및 자동 개폐식 환기구'를 구비한 캠핑용 천막' 들이 제안되었으며, 이들 역시 텐트의 상부 꼭짓점 부분에 환기팬을 장착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상기 선행기술들의 환기기구들은 대형의 텐트에 사용하는 용도로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장착 및 분리가 어렵고 부피 역시 크므로 보관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실용 제20-1995-0006600호(1995.03.21.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1480415호(2015.01.13. 공고) 텐트 하우스 국내 등록특허 제10-1577968호(2015.12.16. 공고) 환기기구를 구비한 인디언 텐트 국내 등록특허 제10-2072006호(2020.01.31. 공고) 조명장치 및 자동 개폐식 환기구를 구비한 캠핑용 천막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 캠핑용 텐트에 휴대용 환기팬을 수용하는 수납케이스를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 및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텐트용 환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텐트용 환기기구는 텐트의 상부 일측에 망체로 봉합되어 형성된 배출구와, 이 배출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 및 이 환기팬을 고정하는 수납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환기팬은 휴대용으로 손으로 파지하여 잡을 수 있는 본체와, 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 및 본체에 장착된 스위치의 작동으로 충전용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여 회전 및 정지되는 회전익이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케이스는 환기팬의 본체를 끼워넣어 배치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회전익이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며, 회전익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관통공 상부에 호 형상의 봉합선을 형성하고, 모서리부분에 고정을 위한 아일렛 클립을 다수 결합하며, 테두리가 마감재로 봉합되는 한 조의 전면부 및 배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트의 배출구 외측에 다수의 고정끈 또는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관통공으로 환기팬의 본체를 유입시켜 수용홈에 수용시키고 아일렛 클립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텐트의 체결부재 중 하나인 고정끈에 걸어서 수납케이스를 장착하거나, 수납케이스의 아일렛 클립을 상기 텐트의 체결부재 중 하나인 고정구에 직접 끼워져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납케이스의 아일렛 클립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는 아일렛 클립에 1차적으로 연결되는 오링과, 이 오링에 연결되어 상기 텐트의 고정끈에 걸리는 걸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텐트의 체결부재 중 하나인 고정구는, 플랜지를 기준으로 상기 텐트에 천공된 다수의 구멍으로 끼워지는 숫나사가 일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 중앙에 상기 수납케이스의 아일렛 클립이 끼워진 후 걸리는 홈을 형성하면서 선단 양측에 지지대가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숫나사에 체결되어 텐트를 플랜지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하는 와셔를 밀착시키는 너트와; 상기 고정체의 지지대에 일단이 힌지핀으로 고정되고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타단이 회전되어 수납케이스의 아일렛 클립의 유입 및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정지 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체의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돌기에 접하는 걸림홈을 일단의 둘레 면에 형성한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걸림홈을 고정체의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돌기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작동레버에 중공홀을 형성하고, 이 중공홀에 수용되면서 일단이 힌지핀에 걸리고 타단이 작동레버의 타단 선단에 배치되는 고정핀에 걸려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환기팬의 본체에 있는 스위치가 노출될 수 있도록 수납케이스의 전면부에 통공을 천공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환기기구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적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환기기구는 휴대하여 선풍기로 사용하는 환기팬을 수납쇼케이스에 간편하게 수용하고, 상기 수납케이스 역시 간편하게 텐트의 고정끈 또는 고정구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은 물론 시트 형태의 수납케이스와 환기팬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관 역시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환기기구는 수납케이스에 수용된 환기팬의 스위치를 노출함으로써 회전익의 작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환기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환기기구를 텐트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환기기구가 텐트의 고정구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텐트용 환기기구의 수납케이스의 아일렛 클립이 텐트의 고정구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텐트용 환기기구는 도 2에서와 같이 텐트(100)의 상부 일측에 망체로 봉합되어 형성된 배출구(110)와, 이 배출구(110)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2) 및 이 환기팬(2)을 고정하는 수납케이스(3)로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을 이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텐트용 환기기구(1)는 그 구조를 간단하도록 개량하여 취급 및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 1에서와 상기 환기팬(2)은 휴대용으로 손으로 파지하여 선풍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의 것을 사용하면서 텐트(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용으로 사용는 편리성을 갖는다.
상기 환기팬(2)은 손으로 파지하여 잡을 수 있는 본체(21)와, 이 본체(21) 내부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22) 및 본체(21)에 장착된 스위치(23)의 작동으로 충전용 배터리(22)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여 회전 및 정지되는 회전익(24)이 본체(21)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환기팬(2)을 거치하고 텐트(10)의 배출구(110)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수납케이스(3) 마련된다.
상기 수납케이스(3)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환기팬(2)의 본체(21)를 끼워넣어 배치하는 수용홈(31)이 형성되고 회전익(24)이 노출되도록 관통공(32)을 중앙에 형성하며, 회전익(24)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관통공(32) 상부에 호 형상의 봉합선(33)을 형성하고, 모서리부분에 고정을 위한 아일렛 클립(34)을 다수 결합하며, 테두리가 마감재(35)로 봉합되는 한 조의 전면부(3a) 및 배면부(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케이스(3)의 한 조의 전면부(3a) 및 배면부(3b)는 소재를 면직물, 가죽, 합성섬유 등 유연성을 지니는 소재로 봉제 작업을 통해 만들게 되고, 수용홈(31)은 환기팬(2)의 본체(21)가 유입된 안정적으로 지지가 될 수 있도록 밑변을 위로, 꼭짓점을 아래로 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제조 원가가 절감되므로 바람직하며, 그 형상을 역삼각형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미 도시하였지만 수용홈(31)이 이루어지도록 'U'자 형상으로 봉합선을 형성한 사각,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수납케이스(3)의 모서리부분에 고정된 아일렛 클립(34)을 이용하여 수납케이스(3) 자체를 텐트(100)에 장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끈(4a) 또는 고정구(4b)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4)가 텐트(100)의 배출구(110) 외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3)의 관통공(32)으로 환기팬(2)의 본체(21)를 유입시켜 꼭짓점을 향하여 형성된 수용홈(31)에 본체(21)를 수용시키면 회전익(24)의 위치는 도 2에서와 같이 관통공(32)에 배치되어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3)의 모서리부분에 고정된 아일렛 클립(34)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수납케이스(3)의 모서리부분에 고정된 다수의 아일렛 클립(34)에 1차적으로 연결되는 오링(51)과, 이 오링(51)에 연결되어 상기 텐트(100)의 고정끈(4a)에 걸리는 걸고리(52)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5)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케이스(3)의 모서리부분에 고정된 아일렛 클립(34)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에 의해 상기 텐트(100)의 체결부재(4) 중 하나인 고정끈(4a)에 걸어서 수납케이스(3)를 도 2에서와 같이 편리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환기팬(2)의 회전익(24)을 구동시켜 텐트(100) 내부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 및 습기를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3)의 모서리부분에 고정된 아일렛 클립(34)을 상기 텐트(100)의 체결부재(4) 중 하나인 고정구(4b)에 직접 끼워져 수납케이스(3)를 도 3에서와 같이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텐트(100)의 체결부재(4) 중 하나인 고정구(4b)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고정체(41), 와셔(42), 너트(43) 및 작동레버(4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체(41)는 플랜지(411)를 기준으로 상기 텐트(100)에 천공된 다수의 구멍으로 끼워지는 숫나사(412)가 일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 중앙에 상기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이 끼워진 후 걸리는 홈(413)을 형성하면서 선단 양측에 지지대(414)가 형성된다.
상기 와셔(42) 및 너트(43)는 고정체(41)의 숫나사(412)에 끼워지고 체결되어 텐트(100)를 플랜지(411)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45)는 고정체(41)의 지지대(414)에 일단이 힌지핀(44)으로 고정되고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타단이 회전되어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의 유입 및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정지 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체(41)의 지지대(414) 사이에 형성된 돌기(415)에 접하는 걸림홈(451)을 일단의 둘레 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45)의 걸림홈(451)을 고정체(41)의 지지대(414) 사이에 형성된 돌기(415)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작동레버(45)에 중공홀(442)을 형성하고, 이 중공홀(442)에 수용되면서 일단이 힌지핀(44)에 걸리고 타단이 작동레버(45)의 타단 선단에 배치되는 고정핀(44')에 걸려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용 스프링(6)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체(41)의 지지대(414)에 고정된 힌지핀(44)에 축설되는 작동레버(45)의 축공은 장공(453)으로 형성되어 걸림홈(451)이 고정체(41)의 지지대(414) 사이에 형성된 돌기(415)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하여 작동레버(4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3)의 모서리부분에 고정된 아일렛 클립(34)을 텐트(100)에 고정된 고정구(4b)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수평상태로 작동레버(45)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을 끼워넣어 홈(413)에 안착시킨 후 작동레버(45)를 하향 직교 상태로 힌지핀(44)을 축으로 회전시키면 아일렛 클립(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상태로 수납케이스(3)가 거치된다.
또한, 작동레버(45)의 중공홀(452)에 수용되면서 힌지핀(44) 및 고정핀(44')의 지지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용 스프링(6)의 도움으로 작동레버(45)의 걸림홈(451)이 고정체(41)의 플랜지(411)에 형성된 돌기(415)에 끼워지므로 회전이 일시 정지되므로 아일렛 클립(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반대로 작동레버(45)를 외측으로 당겨 걸림홈(451)을 돌기(415)로부터 이탈시키면서 회전시켜 수평상태로 만들면 다시 스프링(6)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으로 걸림홈(451)이 돌기(415)에 다시 안착되므로 회전이 정지되어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수납케이스(3)의 관통공(32)으로 환기팬(2)의 본체(21)를 유입시켜 수용홈(31)에 수용시키고 아일렛 클립(34)에 결합된 연결부재(5)에 의해 상기 텐트(100)의 체결부재(4) 중 하나인 고정끈(4a)에 걸어서 수납케이스(3)를 장착 및 분리하거나,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을 상기 텐트(100)의 체결부재(4) 중 하나인 고정구(4b)에 직접 끼워져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환기팬(2) 역시 분리하여 휴대용 선풍기로 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보관 및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납케이스(3)에 수용된 환기팬(2)의 스위치(23)를 수납케이스(3)의 전면부(3a)에 천공된 통공(36)으로 노출함으로써 회전익(24)의 작동을 위한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되므로 텐트(100) 내부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 및 습기를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텐트 110: 배출구
2: 환기팬 21: 본체
22: 충전용 배터리 23: 스위치
24: 회전익 3: 수납케이스
3a: 전면부 3b: 배면부
31: 수용홈 32: 관통공
33; 봉합선 34: 아일렛 클립
35: 마감재 36: 통공
4: 체결부재 4a: 고정끈
4b: 고정구 41: 고정체
42: 와셔 43: 너트
44: 힌지핀 44': 고정핀
45: 작동레버 411: 플랜지
412: 숫나사 413: 홈
414: 지지대 415: 돌기
451: 걸림홈 452: 중공홀
453: 장공 5: 연결부재
51: 오링 52: 걸고리
6: 스프링

Claims (4)

  1. 텐트(100)의 상부 일측에 망체로 봉합되어 형성된 배출구(110)와, 이 배출구(110)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2) 및 이 환기팬(2)을 고정하는 수납케이스(3)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2)은 휴대용으로 손으로 파지하여 잡을 수 있는 본체(21)와, 이 본체(21) 내부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22) 및 본체(21)에 장착된 스위치(23)의 작동으로 충전용 배터리(22)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여 회전 및 정지되는 회전익(24)이 본체(21)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케이스(3)는 환기팬(2)의 본체(21)를 끼워넣어 배치하는 수용홈(31)이 형성되고 회전익(24)이 노출되도록 관통공(32)을 형성하며, 회전익(24)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관통공(32) 상부에 호 형상의 봉합선(33)을 형성하고, 모서리부분에 고정을 위한 아일렛 클립(34)을 다수 결합하며, 테두리가 마감재(35)로 봉합되는 한 조의 전면부(3a) 및 배면부(3b)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트(100)의 배출구(110) 외측에 다수의 고정끈(4a) 또는 고정구(4b)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4)가 마련되고;
    상기 수납케이스(3)의 관통공(32)으로 환기팬(2)의 본체(21)를 유입시켜 수용홈(31)에 수용시키고 아일렛 클립(34)에 결합된 연결부재(5)에 의해 상기 텐트(100)의 체결부재(4) 중 하나인 고정끈(4a)에 걸어서 수납케이스(3)를 장착하거나,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을 상기 텐트(100)의 체결부재(4) 중 하나인 고정구(4b)에 직접 끼워져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환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는 아일렛 클립(34)에 1차적으로 연결되는 오링(51)과, 이 오링(51)에 연결되어 상기 텐트(100)의 고정끈(4a)에 걸리는 걸고리(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환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100)의 체결부재(4) 중 하나인 고정구(4b)는,
    플랜지(411)를 기준으로 상기 텐트(100)에 천공된 다수의 구멍으로 끼워지는 숫나사(412)가 일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 중앙에 상기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이 끼워진 후 걸리는 홈(413)을 형성하면서 선단 양측에 지지대(414)가 형성된 고정체(41)와;
    상기 숫나사(412)에 체결되어 텐트(100)를 플랜지(411))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하는 와셔(42)를 밀착시키는 너트(43)와;
    상기 고정체(41)의 지지대(414)에 일단이 힌지핀(44)으로 고정되고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타단이 회전되어 수납케이스(3)의 아일렛 클립(34)의 유입 및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정지 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체(41)의 지지대(414) 사이에 형성된 돌기(415)에 접하는 걸림홈(451)을 일단의 둘레 면에 형성한 작동레버(45); 및
    상기 작동레버(45)의 걸림홈(451)을 고정체(41)의 지지대(414) 사이에 형성된 돌기(415)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작동레버(45)에 중공홀(442)을 형성하고, 이 중공홀(442)에 수용되면서 일단이 힌지핀(44)에 걸리고 타단이 작동레버(45)의 타단 선단에 배치되는 고정핀(44')에 걸려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이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환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2)의 본체(21)에 있는 스위치(23)가 노출될 수 있도록 수납케이스(3)의 전면부(3a)에 통공(36)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환기기구.
KR2020200004677U 2020-12-18 2020-12-18 텐트용 환기기구 KR200496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677U KR200496050Y1 (ko) 2020-12-18 2020-12-18 텐트용 환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677U KR200496050Y1 (ko) 2020-12-18 2020-12-18 텐트용 환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18U true KR20220001518U (ko) 2022-06-27
KR200496050Y1 KR200496050Y1 (ko) 2022-10-21

Family

ID=8221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677U KR200496050Y1 (ko) 2020-12-18 2020-12-18 텐트용 환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50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600U (ko) 1993-08-27 1995-03-21 박진용 환기장치가 설치된 텐트
JP3015765U (ja) * 1995-03-14 1995-09-12 株式会社佐々木 簡易型テントにおけるフライシートの取付構造
JP2008540999A (ja) * 2005-05-11 2008-11-20 ザ・コールマン・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テント用ファン
KR101480415B1 (ko) 2013-07-02 2015-01-13 (주)두리티엔티 텐트 하우스
KR101577968B1 (ko) 2014-06-19 2015-12-16 강영호 환기구조를 구비한 인디언 텐트
KR102072006B1 (ko) 2018-02-05 2020-01-31 권광희 조명장치 및 자동 개폐식 환기구를 구비한 캠핑용 천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765B2 (ja) * 1996-09-06 2000-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600U (ko) 1993-08-27 1995-03-21 박진용 환기장치가 설치된 텐트
JP3015765U (ja) * 1995-03-14 1995-09-12 株式会社佐々木 簡易型テントにおけるフライシートの取付構造
JP2008540999A (ja) * 2005-05-11 2008-11-20 ザ・コールマン・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テント用ファン
KR101480415B1 (ko) 2013-07-02 2015-01-13 (주)두리티엔티 텐트 하우스
KR101577968B1 (ko) 2014-06-19 2015-12-16 강영호 환기구조를 구비한 인디언 텐트
KR102072006B1 (ko) 2018-02-05 2020-01-31 권광희 조명장치 및 자동 개폐식 환기구를 구비한 캠핑용 천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50Y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846B1 (en) 110 CFM bath fan with and without light
US8864447B1 (en) Low-profile, ceiling-mounted fan
US20140165452A1 (en) Solar Powered Insect Trap
US6311958B1 (en) Humidifier with detachable fan assembly
JPH02248690A (ja) 扇風機
KR101930475B1 (ko) 천장 카세트에어컨용 다익 확산팬 부착장치
CA2621765A1 (en) Light with heater
KR200496050Y1 (ko) 텐트용 환기기구
JP3801881B2 (ja) 虫除け機能付きランタン
KR101715569B1 (ko) 조명등을 겸한 욕실용 환풍기
KR20090031713A (ko) 투명가리개와 전기히터장치가 하나로 구비된 이동식 빨래건조대
WO2019233350A1 (zh) 一种带导风轮的吸顶灯
GB2123132A (en) A combined fan and illuminating device
KR200477238Y1 (ko) 디퓨져
JP2000081232A (ja) 天井取付空気清浄機
KR101713528B1 (ko) 환기구를 겸한 등기구
JPH02187114A (ja) 空気清浄装置
CN212394108U (zh) 一种内置风扇带led照明及喷雾器的伞
BRMU8701580Y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ventilador de teto eletrônico
CN213119267U (zh) 一种浴霸
CN2524148Y (zh) 一种卫生间用低噪音换气扇
JPH0419384Y2 (ko)
CN210738215U (zh) 户外帐篷使用的多功能装置
KR200366583Y1 (ko) 회전식 선풍기
CN210769404U (zh) 一种管道排气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