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337U - Vr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Vr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337U
KR20220001337U KR2020200004405U KR20200004405U KR20220001337U KR 20220001337 U KR20220001337 U KR 20220001337U KR 2020200004405 U KR2020200004405 U KR 2020200004405U KR 20200004405 U KR20200004405 U KR 20200004405U KR 20220001337 U KR20220001337 U KR 20220001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opening
space
coup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674Y1 (ko
Inventor
박기현
양동희
박재식
Original Assignee
테크빌교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빌교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빌교육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4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7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지면에 안치되는 받침구조물에 결합되어 세워지고, 내부에 중공형태의 제1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을 외부로 통하게 하기 위한 제1 개구부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을 외부로 통하게 하기 위한 제2 개구부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 및 내부에 중공형태의 제2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형성된 제3 개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상단과 결합되며, 와이어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와이어부가 설치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하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VR기기의 전선이, 상기 제1 홀에 대응되는 상기 와이어부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전선의 단부가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VR기기 거치대{VIRTUAL REALITY DEVICE HOLDER}
본 고안은 VR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VR기기의 전선을 거치하여 VR기기의 전선이 VR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VR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상현실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VR기기(헤드셋)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다만, 출시되고 있는 제품 중 VR기기(헤드셋)을 물리적으로 컴퓨터나 콘솔 기기에 전선(케이블)으로 연결하는 방식의 VR기기는 그래픽 퀄리티가 높고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선이 VR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전선이 컴퓨터나 콘솔 기기에서 빠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VR기기의 전선을 거치하여 VR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VR기기의 전선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VR기기의 전선을 길이 조정이 가능한 와이어부에 결합하여 VR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매우 높아지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VR기기 거치대에 사용자가 착용한 VR기기의 위치 및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센서의 센싱영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지면에 안치되는 받침구조물에 결합되어 세워지고, 내부에 중공형태의 제1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을 외부로 통하게 하기 위한 제1 개구부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을 외부로 통하게 하기 위한 제2 개구부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 및 내부에 중공형태의 제2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형성된 제3 개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상단과 결합되며, 와이어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와이어부가 설치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하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VR기기의 전선이, 상기 제1 홀에 대응되는 상기 와이어부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전선의 단부가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와이어 케이스, 상기 VR 기기의 착용자의 모션에 따라 상기 와이어 케이스에서 조정 가능한 길이로 배출 가능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의 소정의 일부를 거치하기 위한 전선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 각각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1 암부 및 제2 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1 암부 및 상기 제2 암부 각각의 타단부에 상기 VR기기의 위치 및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서포팅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받침구조물은 내부에 상기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1 개구부와 연동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받침구조물의 하부에 이동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단에 모니터를 설치할 수 있는 모니터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VR기기의 상기 전선이 소정의 길이 이상일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부 면에, 상기 제1 홀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로서 상기 와이어부가 각각 설치된 제1_1 홀 내지 제1_n 홀 - 상기 n 은 2 이상의 정수임 - 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VR기기의 상기 전선이, 상기 제1_1 홀에 대응되는 제1_1 와이어부 내지 상기 제1_n 홀에 대응되는 제1_n 와이어부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홀을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가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VR기기의 전선을 거치하여 VR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VR기기의 전선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VR기기의 전선을 길이 조정이 가능한 와이어부에 결합하여 VR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매우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VR기기 거치대에 사용자가 착용한 VR기기의 위치 및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센서의 센싱영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기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B-B'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C-C'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기기 거치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기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VR기기 거치대는 받침구조물(100), 지지프레임(200), 상부 플레이트(300) 및 와이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와이어부(400)의 일부는 상부 플레이트(3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어, 편의상 도 1b에는 상부 플레이트(3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부(400)의 일부는 점선으로 나타나도록 표시하였다.
먼저, 받침구조물(100)은 지면에 안치되는 VR기기 거치대의 하부 영역에 해당되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받침구조물(100)의 내부에 컴퓨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컴퓨터가 반드시 수납공간(110)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수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공간에 컴퓨터가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받침구조물(100) 일면에는 수납공간(110)이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구조물(100)은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이동수단이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이동수단은 복수의 바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닥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동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0)은 세워질 수 있도록 받침구조물(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00)의 길이는 조절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3b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200)의 내부에 중공형태의 제1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200)의 하단에 제1 공간(210)이 외부로 통할 수 있게 하는 제1 개구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00)의 상단에 제1 공간(210)이 외부로 통할 수 있게 하는 제2 개구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200)의 제1 개구부(220)가 받침구조물(100)의 수납공간(120)과 연동될 수 있도록 받침구조물(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00)은 받침구조물(100)의 상부에 지지프레임(200)의 둘레의 규격과 맞는 크기로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받침구조물(100)과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또한, 지지프레임(200)의 중단에 모니터를 설치할 수 있는 모니터 설치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a 및 도3b에는 모니터 설치부(240)를 생략하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b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200)에 모니터 설치부(2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플레이트(300)는 지지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4b를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300)의 내부에 중공형태의 제2 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고, 일단에 제2 공간(310)을 외부로 통하게 하기 위한 제3 개구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300)는 상부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제3 개구부(320)가 지지프레임(20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개구부(230)와 연동되도록 지지프레임(20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300)는 하부 면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홀은 와이어부(400)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홀(330) 및 와이어부(400)가 설치되지 않은 제2 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플레이트(300)의 하부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중 적어도 일부는 제3 개구부(320)와 연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4b에는 제1 홀(330) 및 제2 홀(340)이 제3 개구부(320)와 연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제2 홀(340)만 제3 개구부(320)와 연동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와이어부(400)는,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 케이스(410), 와이어(420), 전선 거치부(430) 및 케이스 결합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케이스(410)는 상부 플레이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케이스(410)는 상부 플레이트(300)의 하부 면에 형성된 제1 홀(330)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부 플레이트(300)의 내부에 와이어 케이스(4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스 결합부(44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420)는 VR 기기의 착용자의 모션에 따라 조정 가능한 길이로 배출 가능하도록 와이어 케이스(4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420)의 일부는 와이어 케이스(410)의 내부에 감겨져 있는 형태로 와이어 케이스(410)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420)는 와이어 케이스(410)의 외부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감겨져 있는 와이어(420)가 풀리면서 와이어 케이스(4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와이어 케이스(410)의 외부로 당기는 힘이 소멸되면 다시 와이어 케이스(410) 내부로 감겨지는 형태로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선 거치부(430)는 VR 기기의 전선의 소정의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와이어(420)의 종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선 거치부(430)는 VR 기기의 전선의 소정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밴딩 형태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때, 전선 거치부(430)는 거치된 전선의 소정의 일부가 전선 거치부(430)에 고정 결합되어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거치할 수도 있고, 거치된 전선의 소정의 일부가 전선 거치부(430)에 이동 결합되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와이어부(400)는 와이어(420)가 와이어 케이스(410)로 전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450)는 전선 거치부(430) 상부에 위치한 와이어(4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200)의 제1 공간(210)과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2 공간(310)이 연동되도록 결합됨으로써, VR기기의 전선이, 상부 플레이트(300)의 하부 면에 형성된 제1 홀(330)에 대응되는 와이어부(400)와 결합된 상태로, 전선의 단부가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2 홀(340)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2 공간(310)으로 삽입되어,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3 개구부(320), 지지프레임(200)의 제2 개구부(230) 및 지지프레임(200)의 제1 공간(2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지지프레임(200)의 제1 개구부(220)로 배출되어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300)의 양 측면에는 제1 암부(350) 및 제2 암부(360) 각각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암부(350) 및 제2 암부(360) 각각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의 일단부가 상부 플레이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암부(350) 및 제2 암부(360) 각각의 타단부에는 VR기기의 위치 및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서포팅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암부(350)의 타탄부에는 제1 서포팅유닛(3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암부(360)의 타단부에는 제2 서포팅유닛(36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홀(330)은, VR기기의 전선이 소정의 길이 이상일 경우, 상부 플레이트(300)의 하부 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홀(330)로서 제1_1 홀 내지 제1_n 홀 각각이 상부 플레이트(300)의 하부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_1 홀 내지 제1_n 홀 각각은 와이어부(4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홀(330)이 형성된 구성된 본 고안은, VR기기의 전선이, 상부 플레이트(300)의 하부 면에 형성된 제1_1 홀에 대응되는 제1_1 와이어부 내지 제1_n 홀에 대응되는 제1_n 와이어부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전선의 단부가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2 홀(340)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2 공간(310)으로 삽입되어,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3 개구부(320), 지지프레임(200)의 제2 개구부(230) 및 지지프레임(200)의 제1 공간(2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지지프레임(200)의 제1 개구부(220)로 배출되어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a을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300)의 하부 면에 두 개의 제1 홀인 제1_1 홀(331) 및 제1_2 홀(332)이 형성되고, 제1_1 홀(331) 및 제1_2 홀(332) 각각에는 이에 대응되는 와이어부인 제1_1 와이어부(401) 및 제1_2 와이어부(40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착용한 VR기기의 전선은 제1_1 와이어부(401) 및 제1_2 와이어부(402) 각각에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VR기기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전선의 단부는 제2 홀(340)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300)의 내부의 공간인 제2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3 개구부, 지지프레임(200)의 제2 개구부 및 지지프레임(200)의 제1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지지프레임(200)의 제1 개구부로 배출되어 받침구조물(100)의 수납공간에 위치한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VR기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앉는 동작을 한다고 가정하면, 도 6b와 같이, VR기기와 연결된 전선은 아래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제1_1 와이어부(401)의 제1_1 와이어의 길이 및 제1_2 와이어부(402)의 제1_2 와이어의 길이는 늘어날 것이다. 여기서, VR기기와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 제1_1 와이어부(401)의 제1_1 와이어는 제1_1 와이어부(401)보다 VR기기와 먼 지점에 위치한 제1_2 와이어부(402)의 제1_2 와이어보다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6a 및 도 6b는 본 도안의 일 실시예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닐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받침구조물
110: 수납공간
120: 도어
200: 지지프레임
210: 제1 공간
220: 제1 개구부
230: 제2 개구부
240: 모니터 설치부
300: 상부 플레이트
310: 제2 공간
320: 제3 개구부
330: 제1 홀
340: 제2 홀
350: 제1 암부
351: 제1 서포팅유닛
360: 제2 암부
361: 제2 서포팅유닛
400: 와이어부
410: 와이어 케이스
420: 와이어
430: 전선 거치부
440: 케이스 결합부

Claims (8)

  1. 지면에 안치되는 받침구조물에 결합되어 세워지고, 내부에 중공형태의 제1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을 외부로 통하게 하기 위한 제1 개구부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을 외부로 통하게 하기 위한 제2 개구부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 및
    내부에 중공형태의 제2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형성된 제3 개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2 개구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상단과 결합되며, 와이어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와이어부가 설치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하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VR기기의 전선이, 상기 제1 홀에 대응되는 상기 와이어부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전선의 단부가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와이어 케이스, 상기 VR 기기의 착용자의 모션에 따라 상기 와이어 케이스에서 조정 가능한 길이로 배출 가능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의 소정의 일부를 거치하기 위한 전선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 각각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1 암부 및 제2 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및 상기 제2 암부 각각의 타단부에 상기 VR기기의 위치 및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서포팅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조물은 내부에 상기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1 개구부와 연동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조물의 하부에 이동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단에 모니터를 설치할 수 있는 모니터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기기의 상기 전선이 소정의 길이 이상일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하부 면에, 상기 제1 홀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로서 상기 와이어부가 각각 설치된 제1_1 홀 내지 제1_n 홀 - 상기 n 은 2 이상의 정수임 - 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VR기기의 상기 전선이, 상기 제1_1 홀에 대응되는 제1_1 와이어부 내지 상기 제1_n 홀에 대응되는 제1_n 와이어부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홀을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 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가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기 거치대.
KR2020200004405U 2020-12-01 2020-12-01 Vr기기 거치대 KR200495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05U KR200495674Y1 (ko) 2020-12-01 2020-12-01 Vr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05U KR200495674Y1 (ko) 2020-12-01 2020-12-01 Vr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37U true KR20220001337U (ko) 2022-06-08
KR200495674Y1 KR200495674Y1 (ko) 2022-07-22

Family

ID=8198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405U KR200495674Y1 (ko) 2020-12-01 2020-12-01 Vr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3264A (zh) * 2018-02-28 2018-07-1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HTC Vive辅助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404292U (zh) * 2017-01-03 2017-08-15 广州新多睬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vr一体化游戏平台
CN206549148U (zh) * 2017-02-24 2017-10-13 福建天晴数码有限公司 Vr设备用舞台展示架
CN108149953A (zh) * 2018-01-31 2018-06-12 马鞍山圣德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工程设计的便于活动的智能型vr体验装置
CN108897134A (zh) * 2018-07-03 2018-11-27 芜湖瑞芬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vr头盔的传输线支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404292U (zh) * 2017-01-03 2017-08-15 广州新多睬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vr一体化游戏平台
CN206549148U (zh) * 2017-02-24 2017-10-13 福建天晴数码有限公司 Vr设备用舞台展示架
CN108149953A (zh) * 2018-01-31 2018-06-12 马鞍山圣德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工程设计的便于活动的智能型vr体验装置
CN108897134A (zh) * 2018-07-03 2018-11-27 芜湖瑞芬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vr头盔的传输线支架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3264A (zh) * 2018-02-28 2018-07-1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HTC Vive辅助器
CN108273264B (zh) * 2018-02-28 2023-10-3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HTC Vive辅助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74Y1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007B2 (en) Audio headset having internal cord management features and related technology
KR102566388B1 (ko) 동기화된 텔레스코핑 헤드폰
KR10125356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0495674Y1 (ko) Vr기기 거치대
US8695936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8390996B2 (en) Display device
US9282833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WO2011137034A1 (en) Wearable electronic display
US20090161322A1 (en) Front access enclosure
JP6403384B2 (ja) 支持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CA2349254A1 (en) Arrangement for winding cables or the like
JP4422113B2 (ja) ラックマウント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ホルダ
CN104832758A (zh) 旋转支撑机构
US7579547B2 (en) Adjustable interface device
JP5696985B1 (ja) 回動支持機構
JP3208682U (ja) 電子機器支持装置
EP3919955B1 (en) Cable manager part for telecommunications tray assembly
JP4967698B2 (ja) 取付器具及び表示ユニット
JP3974026B2 (ja) ケーブル余長処理装置
KR20090005910U (ko) 휴대용 디지털기기 케이스
JP2004329762A (ja) 手術用顕微鏡
WO2012089477A1 (en)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housing
JP2023025418A (ja) ケーブル孔用カバーおよび当該カバーを備えたデスク
KR101327710B1 (ko) 휴대용 단말기
JP2003142843A (ja) 引出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