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303A -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 Google Patents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303A
KR20220001303A KR1020200079504A KR20200079504A KR20220001303A KR 20220001303 A KR20220001303 A KR 20220001303A KR 1020200079504 A KR1020200079504 A KR 1020200079504A KR 20200079504 A KR20200079504 A KR 20200079504A KR 20220001303 A KR20220001303 A KR 20220001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opening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sets
clos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329B1 (ko
Inventor
정걸
곽상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3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38Instruments transformers for polyphas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는, 전력 경로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기능을 가진 전력 기기로서, 3상 교류의 각 상에 대한 3개의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3상 접속 단자 세트들;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3상 접속 단자 세트들 간에 전력 경로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개폐 소자;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상회전 확인부; 상기 개폐 소자를 투입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개폐 제어부; 및 상기 개폐 소자의 투입 전에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점검하되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투입 점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POWER EQUIPMENT TO CHECK PAHASE ROTATION AND METHOD OF INPUTTING THE SWITCHING ELEMENT OF POWER EQUIPMENT}
본 발명은 내부에 개폐 소자(차단기, 스위치 등으로도 칭함)를 구비한 전력 기기에 있어서, 개폐 소자의 투입 전에 개폐 소자와 연결되는 3상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점검할 수 있는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이 전력 기기에서 수행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상 전력 기기, 특히, 내부에 전력 경로를 개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개폐 소자를 구비한 3상 전력 기기의 경우, 3상의 교류 전원을 또 다른 3상의 교류 전원과 병렬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투입하고자 하는 전원의 주파수, 전압 및 위상각을 투입 대상 전원에 일치시켜야 하는 동기 투입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는 전력 계통에서의 비동기 투입이 계통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너무나 크기 때문이다. 즉, 비동기 투입으로 전력계통에 고장이 발생하면,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전력계통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동기 투입 절차의 하나로서 또는 상기 동기 투입 절차와 함께, 상기 3상 전력 기기의 개폐 소자 투입에 의해 전력 경로가 형성되는 하나의 3상 입력 또는 출력을 이루는 3개 또는 4개의 3상 교류 연결 단자들(이하, 3상 접속 단자 세트라 칭함)의 상회전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상기 3상 전력 기기의 개폐 소자 투입에 의해 전력 경로가 형성되는 양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하여 상회전이 일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투입되는 개폐 소자에 의해 3개 이상의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하여 전력 경로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전력 경로가 형성되는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이 일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 설비, 특히, 사고 처리나 공사 후, 작업자(점검자)가 수동으로 투입하는 방식의 전력 기기(예: GIS, 지상개폐기, 배전반, 분전반 등)는, 작업자(점검자)가 기존 지상개폐기(지상변압기) 단자간 상측정을 위한 휴대용 상측정기(상테스터기)를 사용하여, 상회전을 측정하고, 규정된 상회전인지 여부를 육안 판정하는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기기의 상회전 측정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상측정기(상테스터기)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시한 상측정기(상테스터기)의 기능은 3상 전원인 경우 ABC상순이 정상인지 역상인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상은 반시계 방향(CCW : Counter Clockwise)이며, 역상은 시계방향(CW : Clockwise)이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상회전 방향은 사람의 인적 실수로 인해 상측정을 누락하는 사례가 발생하며, 지상기기 또는 공사용 개폐기의 경우 상 불일치로 인한 정전사고도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4-0039917호
본 발명은 전력 경로를 개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개폐 소자를 구비한 3상 전력 기기로서 사고 처리나 공사 후, 작업자(점검자)가 수동으로 투입하는 방식의 전력 기기에 대하여 편리하고 확실하게 3상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점검할 수 있는,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이 전력 기기에서 수행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는, 전력 경로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기능을 가진 전력 기기로서, 3상 교류의 각 상에 대한 3개의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3상 접속 단자 세트들;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3상 접속 단자 세트들 간에 전력 경로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개폐 소자;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상회전 확인부; 상기 개폐 소자를 투입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개폐 제어부; 및 상기 개폐 소자의 투입 전에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점검하되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투입 점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 점검부는, 작업자의 시각에 의한 점검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 부근의 기기 함체 외면에 위치한,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조작하는 투입 스위치 레버에 대한 기계적 락킹 장치; 및 상기 락킹 장치를 구동시키는 락킹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락킹 장치는 락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상회전 확인부가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회전 확인부는, 상기 3상 접속 단자 세트와 엘보접속재가 연결되는 부싱 구간에 설치된 상측정 연결선에 대하여 상회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 점검부는, 작업자의 시각에 의한 점검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 부근의 기기 함체 외면에 구비된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는, 정상을 표시하는 램프 및 역상을 표시하는 램프 2개를 구비하며,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이 일치하면, 상기 정상을 표시하는 램프 또는 역상을 표시하는 램프가 점등한 상태를 유지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정상을 표시하는 램프 또는 역상을 표시하는 램프가 점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 점검부는, 상기 개폐 소자의 개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개폐 소자의 수동 스위치 레버를 락킹하는 단계;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의 정상/역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한 정상/역상이 일치하면,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은, 개폐 소자의 개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개폐 소자의 수동 스위치 레버를 락킹하는 단계;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의 정상/역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한 정상/역상이 일치하면,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및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되었음을 상위 서버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이 전력 기기에서 수행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을 실시하면, 전력 경로를 개방 또는 투입할 수 있는 개폐 소자를 구비한 3상 전력 기기로서 사고 처리나 공사 후, 작업자(점검자)가 수동으로 투입하는 방식의 전력 기기에 대하여 편리하고 확실하게 3상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점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이 전력 기기에서 수행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은, 지상개폐기, 지상변압기 선로가압시 상측정 누락에 따른 정전사고 예방하며, 이러한 고장파급에 따른 지장전력 및 정전 손실 피해보상비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투입 점검부의 일 례로서 3상 접속 단자 세트 부근의 외면에 표시되는 상회전 표시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상회전 확인부 및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 블록과 3상 접속 단자 세트 연결 구조로서 엘보접속재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상회전 점검부의 다른 예에 구비되는 레버 락킹 장치의 일 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관련된 실시예에 따른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에서 수행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기기의 상회전 측정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상측정기(상테스터기)를 도시한 사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력 경로에 대한 개폐 소자를 내장한 전력 기기, 특히, 사고 처리나 공사 후, 작업자(점검자)가 수동으로 투입하는 방식의 전력 기기에 대하여 작업자 지원 기능을 강화한 형태로서, 기존 지상개폐기, 지상변압기에 상측정기 원리를 이용하여 자동 내장형 상회전 측정수단으로, 3상 접속 단자 세터의 상회전을 점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예컨대, 현재 제작되는 지상기기는 좌측 → 우측 순으로 ABC상을 차례대로 일괄 적용하는 바, 선로가압시 내장형 상회전 측정수단으로 상일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회전 불일치시 케이블 엘보접속 위치를 조정하여 절대상(ABC상순서)으로 상을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는, 전력 경로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기능을 가진 전력 기기로서, 3상 교류의 각 상에 대한 3개의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3상 접속 단자 세트들(110-1, 110-2);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3상 접속 단자 세트들(110-1, 110-2) 간에 전력 경로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개폐 소자(130);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110-1, 110-2)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상회전 확인부(140); 상기 개폐 소자(130)를 투입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개폐 제어부(160); 및 상기 개폐 소자의 투입 전에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점검하되,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투입 점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상 접속 단자 세트(110-1, 110-2)는, A상 단자, B상 단자 및 C상 단자가 하나의 세트를 형성하거나, R상 단자, S상 단자 및 T상 단자가 하나의 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개폐 소자(130)에 대하여 2개의 3상 접속 단자 세트들(110-1, 110-2)이 연결되어 있는데, 다른 구현에서는 단일 개폐 소자에 대하여 3개 이상의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하여 전력 경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력 경로가 형성되는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한 상회전이 점검되어야 한다.
상기 개폐 소자(130)는 3상 전력 기기 분야에서는 기계식 릴레이 스위치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반도체 스위치 등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회전 확인부(140)는, 종래의 휴대용 상측정기(상테스터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110-1, 110-2)의 상회전을 정상 또는 역상을 판정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제어부(160)는 일반적인 차단기의 개폐 제어기의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구현에 따라 상기 투입 점검부(150)에 의해 일부 개폐 제어 동작이 제한될 수 있을 뿐이다.
도 2는 도 1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투입 점검부의 일 례로서 3상 접속 단자 세트 부근의 외면에 표시되는 상회전 표시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상기 투입 점검부(150)는, 작업자의 시각에 의한 점검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 부근의 기기 함체 외면에 위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170)에 구비된,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177)로 구현된다.
도시한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상기 투입 점검부(150)는, 작업자의 육안 점검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력 기기의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 확인을 수행한다. 즉, 최종적으로는 작업자가 투입시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 확인한다.
도시한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177)의 위치는, 3상 접속 단자 세트에 해당 3상 전력선을 체결하는 작업자가 확인하기 용이한 위치이다.
도시한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177)는, 정상을 표시하는 램프 및 역상을 표시하는 램프 2개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력 기기의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만을 나타내는 램프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다른 구현에서는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만을 나타내는 램프로 구비할 수 있으나, 너무 많은 램프는 작업자에게 알림 효과를 떨어뜨리는 바,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램프로만 적용해도 충분하다.
도시한 2개의 램프로만 적용된 경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첫째 방안으로서, 다른 3상 접속 단자 세트들과 일치하면(상일치), 상회전 램프 또는 역상 램프가 점등한 상태를 유지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회전 램프 또는 역상 램프가 점멸할 수 있다.
둘째 방안으로서, 상회전 램프 및 역상 램프의 점등 색상이 다른 3상 접속 단자 세트들과 일치하는 경우(상일치)는 녹색,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적색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회전 램프 및 역상 램프는 점등 색상을 조정할 수 있는 램프로 구현된다.
도 3은 도 2의 상회전 확인부 및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 블록과 3상 접속 단자 세트 연결 구조로서 엘보접속재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연결 구조에서는, 전원측 또는 부하측 지중 케이블로부터 전원이 지상 기기(전력 기기) 단자로 들어오면, 지상 기기와 엘보접속재가 연결되는 부싱 구간에 상측정 연결선을 내장 설치하여, 상회전 방향이 정상인지 역상인지를 판단하는 내장형 상측정기인 상기 상회전 확인부(140)로 측정 라인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회전 확인부는, 상기 지상 기기의 3상 접속 단자 세트와 엘보접속재가 연결되는 부싱 구간에 설치된 상측정 연결선에 대하여 상회전을 확인한다.
도시한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는,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 방향이 정상이거나 또는 모든 단자 세트의 상회전 방향이 역상이면 상일치로 판단하고,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하여 상회전 방향이 정상 및 역상이 모두 측정되면 상 불일치로 판단할 수 있다.
도시한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는, 기기의 접속 단자 세트 부근에 구비된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로서 LED 램프 및 알람 기능을 통해 휴대용 상측정기 없이도 지상 기기 단자 투입전 상일치 여부를 육안 및 알람으로 확인 가능하다. 이때,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별로 상회전 방향(정상, 역상)을 LED 램프로 표시하고, 지상 기기 개폐기 전체 단자에서 정상, 역상 모두 표시될 경우 기기 본체에서 알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 기기는 알람음 출력을 위한 부저나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상회전 점검부의 다른 예에 구비되는 레버 락킹 장치의 일 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단면도에 따른 상기 투입 점검부(140)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투입 스위치 레버(186)에 대한 기계적 락킹 장치(188); 및 상기 락킹 장치를 구동시키는 락킹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락킹 장치(188)는 상기 투입 스위치 레버(186)의 그 회동축()과의 연결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락킹 제어부는 기계적 릴레이 유사하게 상기 돌기형 구조를 도면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사고 전류 발생이나 작업자의 조작으로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락킹 장치는 락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투입전 상회전 점검을 보다 확실하게 강제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개폐 소자의 개방시, 상기 락킹 장치의 이동과 함께, 상기 상회전 확인부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투입 상태에서는 상회전 점검의 실익이 없는 바, 상기 상회전 확인부를 비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관련된 실시예에 따른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에서 수행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도 4에 관련된 실시예에 따른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의 투입 점검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시한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은, 개폐 소자의 개방을 인지하는 단계(S110);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개폐 소자의 수동 스위치 레버를 락킹하는 단계(S150);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단계(S120);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의 정상/역상을 표시하는 단계(S140); 및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한 정상/역상이 일치하면(S160),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인자한 작업자(점검자)의 판단에 따라, 투입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구현의 경우,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S170); 및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되었음을 상위 서버에 통보하는 단계(S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력 기기에 투입을 수행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상황의 가능성을 감수한 것이므로, S185 단계에서 상외 서버로 이를 통보한다. 구현에 따라 시간적으로는 상기 S185 단계가 도시한 S180 단계보다 나중에 수행될 수도 있으나, 양 단계들은 서로 독립되어 그 선후는 중요하지 않다. 마찬가지로 상기 S120 단계 및 S150 단계들도 서로 독립되어, 그 선후는 중요하지 않다.
상기 S140 단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177)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160 단계는 전력 기기(지상 기기)의 투입전 상회전 일치의 확인을 인력(육안)이 아닌 연산 장치로서 투입 점검부에서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자동 수행 결과는 상기 S150 단계의 레버의 기계적 락킹 및 그 해제 여부에 의해, 인력(점검자)이 투입/개방을 수행하는 전력 기기에 있어서, 안전 부분에 대한 자동화를 구현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1, 110-2 : 3상 접속 단자 세트
130 : 개폐 소자
140 : 상회전 확인부
150 : 투입 점검부
160 : 개폐 제어부
17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177 :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

Claims (11)

  1. 전력 경로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기능을 가진 전력 기기로서,
    3상 교류의 각 상에 대한 3개의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3상 접속 단자 세트들;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3상 접속 단자 세트들 간에 전력 경로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개폐 소자;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상회전 확인부;
    상기 개폐 소자를 투입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개폐 제어부; 및
    상기 개폐 소자의 투입 전에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점검하되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투입 점검부
    를 포함하는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점검부는,
    작업자의 시각에 의한 점검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 부근의 기기 함체 외면에 위치한,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인 전력 기기.
  3. 상기 투입 점검부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투입 스위치 레버에 대한 기계적 락킹 장치; 및
    상기 락킹 장치를 구동시키는 락킹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락킹 장치는 락킹 위치로 이동하는 전력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상회전 확인부가 활성화되는 전력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확인부는,
    상기 3상 접속 단자 세트와 엘보접속재가 연결되는 부싱 구간에 설치된 상측정 연결선에 대하여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점검부는,
    작업자의 시각에 의한 점검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 부근의 기기 함체 외면에 구비된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인 전력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역상 방향 표시기는,
    정상을 표시하는 램프 및 역상을 표시하는 램프 2개를 구비하며,
    상기 모든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들이 일치하면, 상기 정상을 표시하는 램프 또는 역상을 표시하는 램프가 점등한 상태를 유지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정상을 표시하는 램프 또는 역상을 표시하는 램프가 점멸하는 전력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점검부는,
    상기 개폐 소자의 개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개폐 소자의 수동 스위치 레버를 락킹하는 단계;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의 정상/역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한 정상/역상이 일치하면,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을 수행하는 전력 기기.
  10. 개폐 소자의 개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상기 개폐 소자의 수동 스위치 레버를 락킹하는 단계;
    상기 개폐 소자가 개방되면,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의 상회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각 3상 접속 단자 세트의 정상/역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3상 접속 단자 세트들에 대한 정상/역상이 일치하면,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및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수동 스위치 레버의 락킹을 해제되었음을 상위 서버에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KR1020200079504A 2020-06-29 2020-06-29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KR10239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504A KR102390329B1 (ko) 2020-06-29 2020-06-29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504A KR102390329B1 (ko) 2020-06-29 2020-06-29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03A true KR20220001303A (ko) 2022-01-05
KR102390329B1 KR102390329B1 (ko) 2022-04-26

Family

ID=7934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504A KR102390329B1 (ko) 2020-06-29 2020-06-29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3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917A (ko) 2012-09-25 2014-04-02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 연계를 위한 동기 판단 장치
KR101557087B1 (ko) * 2015-05-12 2015-10-19 한국전력공사 비동기 투입방지용 차단장치
JP2016178798A (ja) *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
KR101876782B1 (ko) * 2017-09-27 2018-07-10 (주)오엔앰 코리아 전압비교 방식과 3상전압 상회전 측정방식을 이용한 비동기투입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917A (ko) 2012-09-25 2014-04-02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 연계를 위한 동기 판단 장치
JP2016178798A (ja) *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
KR101557087B1 (ko) * 2015-05-12 2015-10-19 한국전력공사 비동기 투입방지용 차단장치
KR101876782B1 (ko) * 2017-09-27 2018-07-10 (주)오엔앰 코리아 전압비교 방식과 3상전압 상회전 측정방식을 이용한 비동기투입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329B1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945B1 (ko) 결상보호 및 활선표시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테스트 터미널 유닛과 그를 사용한 배전반
US20150015234A1 (en) Contact volta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005480A (ko)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KR101086455B1 (ko) 스마트 수배전반의 상태표시시스템
KR102390329B1 (ko) 상회전을 확인하는 전력 기기 및 전력 기기의 내부 개폐 소자 투입 방법
JP4068624B2 (ja) 静電型高圧同期検相方法及び装置
KR102178257B1 (ko) 항공기 전기전원 분배계통 시스템 점검장치
US20220085580A1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KR20170051984A (ko) 사용전 전기단락저항 측정기 장치를 적용한 수배전반
KR102212645B1 (ko) 차단기 가스밸브 개폐표시장치
US10212839B2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KR102579941B1 (ko) 스마트 파력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결상위치 검출 및 차단이 용이한 전력설비 보호용 수배전반
US11211776B2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WO2018107455A1 (zh) 开关接点状态检示装置与方法
US10530133B2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CN203589490U (zh) 一种电控柜联锁板及电控柜
CN106569077A (zh) 一种继电保护用短接及检测两用装置
KR100927462B1 (ko) 차단기 진단장치가 내장된 수배전반 및 차단기 진단 방법
CN111835001A (zh) 一种400伏多功能旁路开关柜及其使用方法
US11521813B2 (en) Disconnecting switchgear for electrical safety procedure and compliance with the five golden rules of electrical safety via a single switch
CN209526350U (zh) 一种工业机器人用集成电控柜
KR102098552B1 (ko) 3웨이 저압케이블 접속 장치
US20240159803A1 (en) Compact Combination Electrical Panel Safety Monitor and Test Point
CN212210498U (zh) 一种400伏多功能旁路开关柜
US20230389204A1 (en) Pin-Less Captive Hinge Assembly for Compact Combination Electrical Panel Safety Monitor and Test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