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228A -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228A
KR20220001228A KR1020200079313A KR20200079313A KR20220001228A KR 20220001228 A KR20220001228 A KR 20220001228A KR 1020200079313 A KR1020200079313 A KR 1020200079313A KR 20200079313 A KR20200079313 A KR 20200079313A KR 20220001228 A KR20220001228 A KR 20220001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partition wall
battery
cell stack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현
신진규
홍성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7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228A/ko
Priority to AU2021302997A priority patent/AU2021302997A1/en
Priority to EP21831819.4A priority patent/EP4087039A1/en
Priority to JP2022559392A priority patent/JP2023519400A/ja
Priority to PCT/KR2021/005070 priority patent/WO2022004997A1/ko
Priority to CN202180014268.9A priority patent/CN115088122A/zh
Priority to US17/800,737 priority patent/US20230099554A1/en
Publication of KR2022000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72Vertically superposed cells with vertically dispose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01M50/143Fireproof; Explosion-pro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열폭주 방지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전지셀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셀스택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셀모듈 어셈블리가 보호케이스 내부 공간부에 수납되되,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셀스택 사이 및 셀스택과 보호케이스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Battery Module Having Barrier and Insulation Layer For Fire Suppression}
본 발명은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스택들 또는 셀스택과 측면 커버 사이에 격벽과 공기 단열층이 구비됨으로써, 발화 조건을 미연에 방지하여 화재 발생을 억제하고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인접 셀스택에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배터리 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전지 모듈, 전지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해 두었다가 전기가 필요할 때 수요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전력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다수개의 전지 모듈이 하나의 랙을 이루며,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랙들이 모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갑작스러운 전력공급 중단이나 이상에 대응하여 전력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UPS(무정전 전원 장치)와 태양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장치인 태양광발전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이차 전지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과충전, 과방전, 고온 노출, 전기적 단락 등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전지의 구성요소들인 활물질, 전해질 등의 분해반응이 유발되어 열과 가스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이차 전지가 팽창하는, 이른바 스웰링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스웰링 현상은 이러한 분해반응을 가속화시켜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에 의한 이차 전지의 폭발 및 발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즉, 전지셀의 열폭주 시에는 실링이 약한 부분으로 섬광처럼 튀어나오는 화염인 플레어(flare), 내부 전극의 탈리와 알루미늄 집전체의 용융에 의해 방출되는 고열을 갖은 입자인 스파크(spark), 그리고 고온의 벤트 가스(vent gas)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들은 해당 위치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인근에 위치하는 전지셀을 포함하여 주변의 모듈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11816호)에는 서로 주된 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셀; 및 서로 이웃한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격벽에는 격벽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주된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음각 형상의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서로 이웃한 배터리 셀 사이에 격벽과 에어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이웃한 배터리 셀 사이에서 열적인 간섭을 차단할 수 있어 국부적으로 열화된 일부 배터리 셀로부터 이웃한 다른 배터리 셀로의 열 폭주를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각형 셀이 나란하게 적층된 배터리 팩으로서, 셀 케이스, 전극조립체 및 케이스 외측으로 리드들이 돌출하는 파우치 셀들로 구성된 전지 모듈에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게다가 단열층의 공기가 갇혀 있어 셀의 열폭주 현상 발생 시 단열층으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인접 셀로 열을 쉽게 전달하여 화재 확산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118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지셀의 열폭주 시 발생하는 플레어와 스파크 등의 이동을 차단하여 화재가 발생하지 않거나, 인근 셀스택으로 화재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지셀의 열폭주시 분출되는 벤트 가스에 동반하여 모듈 케이스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전지셀의 열폭주시 발생한 열기가 인근의 셀스택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또 벤트 가스와 함께 고온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개의 전지셀(21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셀스택(210)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셀모듈 어셈블리(200)가 보호케이스(100) 내부 공간부에 수납되되,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셀스택(210) 사이, 및 셀스택(210)과 보호케이스(100)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30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셀스택(210) 사이에는 제1 격벽(310)이 구비되되, 상기 제1 격벽(310)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며 평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수직 격벽(311), 및 상기 수직 격벽(311)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벽(31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벽(312)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공(3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보호케이스(10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커버(110), 상기 측면 커버(110)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면 커버(120), 전면 커버(130), 후면 커버(140), 및 상기 측면 커버(110) 상부에 안착되는 상면 커버(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수직 격벽(311) 양측 단부에는 인근에 위치하는 셀스택(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및/또는 만곡된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은 제4 공간부(S4)와 제5 공간부(S5)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수직 격벽(311)과 셀스택(210)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6 공간부(S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측면 커버(110)와 인접한 셀스택(210)의 일측 모서리 인근에는 일측면이 제2 격벽(320)이 구비되어 제1 공간부(S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격벽(320)의 개방면은 상기 셀스택(210)의 타측 모서리를 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측면 커버(110)와 인접한 셀스택(210)의 타측 모서리 인근에는 제3 격벽(330)이 구비되어 제2 공간부(S2)를 형성하고, 상기 제3 격벽(330)의 개방면은 상기 제2 격벽(320)의 개방면과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측면 커버(110)와 셀스택(210) 사이에는 제3 공간부(S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셀스택(210)은, 복수개의 전지셀(211), 전지셀(211)의 음극리드 또는 양극리드들이 연결되는 제1 버스바(213), 및 전지셀(214)의 나머지 리드가 연결되는 제2 버스바(214)를 포함하고,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셀스택(210)은 연결 버스바(22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전면 커버(130)는 전면 플레이트(131)와 제1 함몰부(1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함몰부(132)는 셀스택(210)의 전면부를 향해 소정 깊이 함몰된 상태로 상기 전면 플레이트(131)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함몰부(132)에는 전지셀(211)의 전극리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슬릿(1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제1 함몰부(132)는 제1 슬릿(132′)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이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제1 슬릿(132′)은 소정 각도 경사진 제1 경사판(13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후면 커버(140)는 후면 플레이트(141)와 제2 함몰부(14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함몰부(142)는 셀스택(210)의 후면부를 향해 소정 깊이 함몰된 상태로 상기 후면 플레이트(141)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함몰부(142)에는 전지셀(211)의 전극리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슬릿(1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제2 함몰부(142)는 제2 슬릿(142′)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이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제2 슬릿(142′)은 소정 각도 경사진 제2 경사판(14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커버(110)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체결홈(111)이 구비되고, 상기 상면 커버(150)는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 플레이트(151)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151)에서 아래를 향해 절곡된 보조 플레이트(152)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151)에는 제2 타공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152)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홈(111)에 수용되는 체결돌기(1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제2 타공부(151′)는 상기 제1 격벽(310)의 연결벽(312) 수직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 상기 하면 커버(120)에는 제1 타공부(1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타공부(121)는 상기 제1 격벽(310)의 연결벽(312)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 의하면, 셀스택들 사이에 수직격벽과 절곡벽이 위치하고 있어, 열폭주 시 발생하는 플레어와 스파크가 인근 셀스택이나 전극리드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전지 모듈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 의하면, 측면 커버와 셀스택 사이에 제2 및 제3 격벽이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고 있고, 따라서 열폭주 시 발생하는 플레어와 스파크가 인근 셀스택이나 전극리드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 의하면, 열폭주 시 분출하는 벤트 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유도하고 이때 공기가 함께 배출되는 구조이어서 화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외형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하부 커버와 상부 커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전면 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후면 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격벽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격벽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은 제1 격벽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격벽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전면 커버와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외형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하부 커버와 상부 커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대략 육면체를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보호케이스(100) 내측 공간부에 셀모듈 어셈블리(200)와 격벽(300)이 수납되어 있다.
셀모듈 어셈블리(200)는 다수개의 전지셀(21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셀스택(210)을 이루며, 이러한 셀스택(210) 2개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다.
격벽(300)은 어느 특정셀에서 이벤트 발생시 생성되는 플레어(flare), 스파크(spark), 벤트 가스 및 열기가 인근 셀스택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함과 동시에, 보호 케이스(100) 내부에 충만해 있던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인근하는 셀스택(210)들 사이에는 제1 격벽(310)이 위치하고, 셀스택(210)과 보호케이스(100) 사이에는 제2 격벽(320)과 제3 격벽(330)이 구비되는데 이들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보호케이스(100)는 내측에 수납된 셀모듈 어셈블리(2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셀모듈 어셈블리(200)의 폭(X축 방향)보다 조금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측면 커버(110), 한 쌍의 측면 커버(110)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면 커버(120), 전면 커버(130), 후면 커버(140), 그리고 한 쌍의 측면 커버(110) 상부에 안착되는 상면 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략 평판향상으로 이루어져 셀모듈 어셈블리(200) 측면을 보호하기위한 측면 커버(110) 상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한 체결홈(111)이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한 쌍의 측면 커버(110) 하단부에는 하면 커버(120)가 연결된다.
이들 한 쌍의 측면 커버(110)와 하면 커버(120)는 별도로 마련된 후, 공지의 접합방법으로 제작하거나, 성형 등 공지의 방법으로 이들 모두가 일체화된 상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셀모듈 어셈블리(200) 상부를 보호하기 위한 상면 커버(150)는 수평하게 위치하는 메인 플레이트(151)와, 메인 플레이트(151)에서 하면 커버(120)를 향해 절곡된 보조 플레이트(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보조 플레이트(152)의 외측면에는 전술한 측면 커버(110)의 체결홈(111)에 수용될 수 있는 체결돌기(15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면 커버(150)의 메인 플레이트(151) 중앙 부근,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격벽(310)에서 수직 상부로 연장된 위치의 메인 플레이트(151)에는 길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제2 타공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타공부(151′)는 이벤트 발생시, 벤트 가스와 뜨거운 열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작용하며, 특히 보호케이스(100) 내부에 있던 공기가 고압의 벤트 가스 배출시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연성 물질, 산소 그리고 발화점 이상의 온도가 모두 충족될 시, 전지모듈에서 화재가 발생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00) 내부에 있던 공기뿐만 아니라 뜨거운 열기가 메인 플레이트(151)의 제2 타공부(1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화재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타공부(151′)의 형상은 슬릿형과 원형이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제1 격벽(310)의 연결벽(312)에 형성된 개구공(312′)과 서로 대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면 커버(120)에도 제2 타공부(151′)의 기능인 공기와 뜨거운 열기의 방출을 유도하기 위한 제1 타공부(121)가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전면 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도 6은 후면 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들 도 4 내지 6을 함께 참고하면서 설명하면, 전면 커버(130)는 셀스택(210)들의 일측 전극 리드가 돌출한 방향, 그리고 후면 커버(140)는 나머지 전극 리드가 돌출한 방향에 위치하면서 버스바 들을 고정하는 한편, 보호케이스(100)와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절연과, 전면과 후면에서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셀스택(210)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내열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 커버(13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면 커버(130)는 전면 플레이트(131)와, 전면 플레이트(13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조금 이격된 위치에 셀스택(210)의 전면부를 향해 소정의 폭, 높이 및 깊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함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함몰부(132)를 전면 플레이트(13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조금 이격된 위치에 형성시키는 이유는 전면 커버(130)가 제2 격벽(320)과 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함몰부(132)에는 전지셀(211)의 전극리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슬릿(1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 슬릿(132′)은 전지셀 리드를 중심으로 발생한 불꽃 등이 제1 슬릿(132′)을 관통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전면 커버(130)의 외측면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하향 경사져 있는 복수개의 제1 경사판(13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 설명하면, 제1 함몰부(132)는 제1 슬릿(132′)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이 밀폐되어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내열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후면 커버(140)에 관해 설명하면, 후면 커버(140)는 전술한 전면 커버(130)와 구성 및 기능이 유사하다.
후면 커버(140)는 후면 플레이트(141)와, 후면 플레이트(14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조금 이격된 위치에 셀스택(210)의 후면부를 향해 소정의 폭, 높이 및 깊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함몰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 플레이트(131)와 유사하게, 제2 함몰부(142)를 후면 플레이트(14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조금 이격된 위치에 형성시키는 이유는 후면 커버(140)가 제3 격벽(330)을 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 함몰부(142)에는 전지셀(211)의 전극리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슬릿(14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 슬릿(142′)은 전지셀 리드를 중심으로 발생한 불꽃 등이 제2 슬릿(142′)을 관통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후면 커버(140)의 외측면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상향 경사져 있는 복수개의 제2 경사판(14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함몰부(142)도 제2 슬릿(142′)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이 밀폐되어 있다.
한편, 셀모듈 어셈블리(200)는 2개의 셀스택(210)과 이들 셀스택(210)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버스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셀스택(210)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전지셀(211), 적층된 전지셀(211)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된 패드(212), 하나의 셀스택(210)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전지셀(211)들의 일측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버스바(213) 그리고 전지셀(211)들의 타측 리드들 모두를 연결하기 위한 제2 버스바(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지셀(211)은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고, 전극조립체(미도시)를 수납하는 셀 케이스와 한 쌍의 전극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극조립체는 긴 시트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젤리-롤형 조립체, 또는 장방형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의 스택형 조립체, 단위셀들이 긴 분리 필름에 의해 권취되는 스택-폴딩형 조립체, 또는 전지 셀들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액체전해질 외에도, 고체전해질이나, 고체전해질에 첨가제를 부가하여 액체와 고체 중간형태를 띄는 겔 형태의 준고체전해질로 치환되어도 문제가 없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전극조립체는 셀 케이스에 수납되며, 셀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내부층/금속층/외부층의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층은 전극 조립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절연성과 내전해액성을 가져야 하고, 또 외부와의 밀폐를 위하여 실링성 즉, 내부층끼리 열 접착된 실링 부위는 우수한 열접착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내부층의 재료로는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실링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아크릴산,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폴리이미드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내부층과 접하고 있는 금속층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각종 가스가 전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에 해당되고, 이러한 금속층의 바람직한 재료로는 가벼우면서도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막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의 타측면에는 외부층이 구비되며, 이러한 외부층은 전극 조립체를 보호하면서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장강도, 투습방지성 및 공기투과 방지성이 우수한 내열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한 쌍의 전극 리드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로 이루어지며, 셀 조립체의 양극 탭과 음극 탭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거나, 탭을 생략하고 셀 조립체와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패드(212)는 평소에는 적층된 전지셀(211)들을 서로 밀착시키고 스웰링 시에는 팽창된 부피를 흡수하며, 또한 열전도성이 낮은 소재, 예를 들어 EPP(Extended Polypropylene), EDS, EPDM 등과 같은 탄성력, 절연성 및 낮은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물론, 뜨거운 열이 인근 셀스택으로 전달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열차단층(미도시)이 하면 커버(120)와 상면 커버(150)에 추가적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전지셀(211)들의 가장 최하층과 최상층을 커버하도록 패드(212)가 한 쌍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예시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전지셀(211)들 사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전지셀(211)들의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버스바(213)와 제2 버스바(214)는 리드들이 관통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평판 형상이다.
연결 버스바(220)는 한 쌍의 제3 버스바(221)와 연결바(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버스바(221)는 하나의 셀스택(210)에서 제1 버스바(213)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리드들을 고정하며, 이들 한 쌍의 제3 버스바(221)는 연결바(222)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인근하는 셀스택(210)들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셀 모듈 어셈블리(200)의 조립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패드(211), 복수개의 전지셀(211) 및 패드(211)의 순으로 적층된 셀스택(210)을 준비하고, 전지셀(211)의 리드들, 예를 들어 전면으로 향하는 리드들을 전면 커버(130)의 제1 슬릿(132′)을 관통시킨다.
이후, 상부에 위치하는 리드들은 제1 버스바(213)의 슬릿을 통과시킨후 절곡 고정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리드들은 연결 버스바(220)인 제3 버스바(221)의 슬릿을 통과시켜 절곡하고 이후 용접 등 공지의 접합수단을 통해 고정시킨다.
이때, 제1 버스바(213)와 제3 버스바(221)는 전면 커버(130)의 제1 함몰부(132)에 안착된 상태로 체결되기 때문에 이들 제1 버스바(213)와 제3 버스바(221)로 인한 부피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3 버스바(221)는 전면 커버(130)의 외형을 따라 대략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연결바(222)로 연결되어 있어 인근의 셀스택(210)이 서로 통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을 향하는 전지셀(211) 리드들은 후면 커버(140)의 제2 슬릿(142′)과 제2 버스바(214)의 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절곡되고, 이후 용접 등 공지의 수단으로 고정된다. 이때, 제2 버스바(214)는 후면 커버(140)의 제2 함몰부(142)에 안착되므로, 역시 부피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격벽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제1 격벽의 확대 사시도이다.
특정 전지셀에서 열폭주가 발생하면, 플레어(flare), 스파크(spark), 고압의 벤트 가스 및 뜨거운 열기가 분출하며, 산소 및 가연물질과 이들이 함께 공존하면 화재나 폭발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격벽(300)은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 등 열폭주 생성물들이 인근의 셀스택(210)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보호케이스(100)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못하게 한다. 게다가 벤트 가스와 열기를 상면 커버(150)의 제2 타공부(151′)와 하면 커버(120)의 제1 타공부(121)로 유도 배출하며, 이 과정에서 보호케이스(100) 내측에 충만해 있던 공기가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화염이 발생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3,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격벽(300)은 셀스택(2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격벽(310), 셀스택(210)의 일측 모서리 인근에 위치하는 제2 격벽(320) 및 셀스택(210)의 타측 모서리 인근에 위치하는 제3 격벽(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셀스택(210) 사이에 개재되며, 또 셀스택(210)과는 약간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1 격벽(310)은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 등이 인근의 셀스택(210)으로 이동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보호케이스(100)의 전면이나 후면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벤트 가스, 열기 및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격벽(310)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면서 직립하고 있는 한 쌍의 수직 격벽(311)과, 수직 격벽(311)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벽(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수직 격벽(311)의 길이(Z축 방향)는 전지셀(211)과 유사하고 높이는 상면 커버(150)와 밀착할 수 있을 정도의 대략 평판 형상이다.
연결벽(312)은 한 쌍의 수직 격벽(311)을 서로 연결 및 지지하면서 벤트 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벽(312)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벽(312)의 상부 및 하부 수직 연장선상인 상면 커버(150)에는 제2 타공부(151′)하면 커버(120)에는 제1 타공부(121)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수직 격벽(311)의 양측 단부, 즉 셀스택(210)의 양측 모서리 인근에는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은 일측면이 개방된 'ㄴ'자 모양일 수 있다.
수직 격벽(311)이 마련됨으로써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가 인근 셀스택(210)으로 이동하는 것은 차단되지만, 차단된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가 전지셀(211)의 리드가 위치하는 전면 커버(130)나 후면 커버(140) 인근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발화 가능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수직 격벽(311)의 양측 단부에 'ㄴ'자 모양을 갖는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이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면, 수직 격벽(311)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된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는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에 갇힌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전극리드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계속해서, 제2 격벽(32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셀스택(210)의 일측 모서리 인근,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커버(110)와 전면 커버(130)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 인근에 위치하는 제2 격벽(320)은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가 측면 커버(110)에 부딪힌 후 전극리드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측면 커버(110)와 셀스택(210)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격벽(320)은 일측면이 개방된 'ㄷ'자 모양이며, 개방면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3 격벽(330)은 제2 격벽(320)과 형상이 동일하고, 셀스택(210)의 타측 모서리 인근에 위치하면서 개방면의 방향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ㄷ'자 형상을 가지지면 서로 마주 보고 위치하는 제2 격벽(320)과 제3 격벽(330)에 의해, 측면 커버(11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된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는 이들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극리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은 제1 격벽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격벽(310)의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은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 등을 가둘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즉,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
Figure pat00001
'자 단면 대신에, 절곡부 각도가 상이하거나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등, '
Figure pat00002
', '
Figure pat00003
', '
Figure pat00004
' , '
Figure pat00005
' 및 '
Figure pat00006
'로 변형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변형된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 외형에 대응하도록 전면 커버(130)와 후면 커버(140)도 함께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0은 제3 격벽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격벽(310)은 플레어(flare)와 스파크(spark) 등을 가둘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즉,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ㄷ'자 단면 대신에, 절곡부 각도가 상이하거나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등 '
Figure pat00007
', '
Figure pat00008
', '
Figure pat00009
', 및 '
Figure pat00010
'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변형된 제3 격벽(310) 외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면 커버(130)와 후면 커버(140) 등도 함께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전면 커버와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에서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열폭주 등 이벤트 발생시의 플레어(flare), 스파크(spark), 벤트 가스, 열기 및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의 발화억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는 전술한 격벽(300)과 함께 제1 공간부(S1) 내지 제7 공간부(S7)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간부(S1)는 제2 격벽(320), 제2 공간부(S2)는 제3 격벽(330) 그리고 제3 공간부(S3)는 셀스택(210)의 길이 방향 수직 측면과 측면 커버(110) 사이에 형성된다.
또 제4 공간부(S4)와 제5 공간부(S5)는 제1 절곡벽(311′)과 제2 절곡벽(311″)에 각각 형성되며, 제6 공간부(S6)는 수직 격벽(311)과 셀스택(210)의 길이 방향 수직 측면 사이, 마지막으로 제7 공간부(S7)는 한 쌍의 수직 격벽(311) 사이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에서 오른쪽에 위치하는 셀스택(210)의 어느 특정 전지셀(211)에서 열폭주가 발생했다고 가정할 시, 플레어(flare)나 스파크(spark)는 제1 공간부(S1) 내지 제6 공간부(S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부에 차단된 상태로 모여 있기 때문에 왼쪽에 위치하는 셀스택(210)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그리고 보호케이스(100)와 격벽(300)은 완벽한 기밀 상태를 유지하지는 않기 때문에 발생한 벤트 가스와 공기는 전면 커버(130)와 후면 커버(140) 그리고 제7 공간부(S7)를 경유한 후 상면 커버(150)의 제2 타공부(151′)와 하면 커버(120)의 제1 타공부(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뜨거운 열기는 공기 단열층에 해당되는 제6 공간부(S6)와 제7 공간부(S7) 그리고 단열소재의 패드(212)에 의해 인근의 셀스택(210)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벤트 가스와 함께 외부로 방출된다.
본 발명에서의 셀스택을 구성하는 전지셀(211)은 판상형으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있어, 스웰링이 발생하여도 수직방향으로 부피가 증가할 뿐 측방향으로는 팽창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6 공간부(S6)와 제7 공간부(S7)는 스웰링 발생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 단열층을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어느 하나의 셀스택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벤트 가스와 함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호케이스 내부에는 발화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하고, 가연성 물질들은 인근 셀스택에 도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갇힌 상태이고, 게다가 공기 배출시 뜨거운 열기가 함께 배출되어 발화점 미만을 유지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예기치 못한 주변 상황으로 인해 특정 셀스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지만, 전술한 제6 공간부(S6)와 제7 공간부(S7)에 해당되는 공기 단열층들이 인근 셀스택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인근 셀스택에서의 화재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주변의 온도가 비정상범위까지 상승할 시, 전지셀 분리막이 수축하여 쇼트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공기 차단층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공기 차단층의 공기가 가열되더라도 대류현상에 의해 상면 커버의 제2 타공부로 배출되므로 열기의 이동이 제한되고, 따라서 인근에 위치하는 셀스택 주변은 비교적 안전한 온도가 유지되므로 분리막이 수축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보호케이스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그리고 수납되는 셀스택의 개수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전면 커버(130) 및 후면 커버(140)에 각각 3개씩의 제1 함몰부와 제2 함몰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2개의 제1 격벽이 셀스택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셀스택이 3개인 경우로 도시하고 있으나, 셀스택들 사이에 한 개씩의 제1 격벽을 위치시키면서 4개 이상의 셀스택이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전지 모듈은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하나의 전지 팩을 구성할 수 있고, 또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은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대용량 전원을 포함하는 각종 설비나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보호케이스
110 : 측면 커버
111 : 체결홈
120 : 하면 커버
121 : 제1 타공부
130 : 전면 커버
131 : 전면 플레이트
132 : 제1 함몰부
132′ : 제1 슬릿 132″ : 제1 경사판
140 : 후면 커버
141 : 후면 플레이트
142 : 제2 함몰부
142′: 제2 슬릿 142″ : 제2 경사판
150 : 상면 커버
151 : 메인 플레이트 151′: 제2 타공부
152 : 보조 플레이트 152′: 체결돌기
200 : 셀모듈 어셈블리
210 : 셀스택
211 : 전지셀
212 : 패드
213 : 제1 버스바
214 : 제2 버스바
220 : 연결 버스바
221 : 제2 버스바 222 : 연결바
300 : 격벽
310 : 제1 격벽
311 : 수직 격벽
311′: 제1 절곡벽 311″: 제2 절곡벽
312 : 연결벽
312′: 개구공
320 : 제2 격벽
330 : 제3 격벽
S1 : 제1 공간부 S2 : 제2 공간부
S3 : 제3 공간부 S4 : 제4 공간부
S5 : 제5 공간부 S6 : 제6 공간부
S7 : 제7 공간부

Claims (22)

  1. 복수개의 전지셀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셀스택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셀모듈 어셈블리가 보호케이스 내부 공간부에 수납되되,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셀스택들 사이, 및 셀스택과 보호케이스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셀스택 사이에는 제1 격벽이 구비되되,
    상기 제1 격벽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며 평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수직 격벽, 및 상기 수직 격벽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벽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벽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커버, 상기 측면 커버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면 커버, 전면 커버, 후면 커버, 및 상기 측면 커버 상부에 안착되는 상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 양측 단부에는 인근에 위치하는 셀스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및/또는 만곡된 제1 절곡벽과 제2 절곡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 양측 단부에는 인근에 위치하는 셀스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및/또는 만곡된 제1 절곡벽과 제2 절곡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벽과 제2 절곡벽은 제4 공간부와 제5 공간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과 셀스택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6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와 인접한 셀스택의 일측 모서리 인근에는 일측면이 개방된 제2 격벽이 구비되어 제1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격벽의 개방면은 상기 셀스택의 타측 모서리를 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와 인접한 셀스택의 타측 모서리 인근에는 일측면이 개방된 제3 격벽이 구비되어 제2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 격벽의 개방면은 상기 제2 격벽의 개방면과 서로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와 셀스택 사이에는 제3 공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셀스택은, 복수개의 전지셀, 전지셀의 음극리드 또는 양극리드들이 연결되는 제1 버스바, 및 전지셀의 나머지 리드가 연결되는 제2 버스바를 포함하고,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는 셀스택은 연결 버스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는 전면 플레이트와 제1 함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함몰부는 셀스택의 전면부를 향해 소정 깊이 함몰된 상태로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함몰부에는 전지셀의 전극리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는 제1 슬릿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이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소정 각도 경사진 제1 경사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후면 플레이트와 제2 함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함몰부는 셀스택의 후면부를 향해 소정 깊이 함몰된 상태로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함몰부에는 전지셀의 전극리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는 제2 슬릿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이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소정 각도 경사진 제2 경사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커버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상면 커버는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서 아래를 향해 절곡된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는 제2 타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수용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공부는 상기 제1 격벽의 연결벽 수직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커버에는 제1 타공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타공부는 상기 제1 격벽의 연결벽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
KR1020200079313A 2020-06-29 2020-06-29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KR20220001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13A KR20220001228A (ko) 2020-06-29 2020-06-29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AU2021302997A AU2021302997A1 (en) 2020-06-29 2021-04-22 Battery module including partition wall and heat insulation layer for fire suppression
EP21831819.4A EP4087039A1 (en) 2020-06-29 2021-04-22 Battery module including partition wall and heat insulation layer for fire suppression
JP2022559392A JP2023519400A (ja) 2020-06-29 2021-04-22 火災抑制のための隔壁及び断熱層を備えた電池モジュール
PCT/KR2021/005070 WO2022004997A1 (ko) 2020-06-29 2021-04-22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CN202180014268.9A CN115088122A (zh) 2020-06-29 2021-04-22 具有用于抑制火灾的分隔壁和绝热层的电池模块
US17/800,737 US20230099554A1 (en) 2020-06-29 2021-04-22 Battery module having partition wall and thermal insulation layer for fire inhib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13A KR20220001228A (ko) 2020-06-29 2020-06-29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28A true KR20220001228A (ko) 2022-01-05

Family

ID=7931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13A KR20220001228A (ko) 2020-06-29 2020-06-29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99554A1 (ko)
EP (1) EP4087039A1 (ko)
JP (1) JP2023519400A (ko)
KR (1) KR20220001228A (ko)
CN (1) CN115088122A (ko)
AU (1) AU2021302997A1 (ko)
WO (1) WO202200499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0102A1 (en) * 2020-12-23 2022-06-23 Hyundai Mobis Co., Ltd. Fusing bus bar for battery module transportation and insulating case comprising same
CN115084752A (zh) * 2022-05-23 2022-09-2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电池模组挡光结构及电池模组
WO2023234573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3234574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3243989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
WO2024058337A1 (ko) * 2022-09-14 2024-03-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4071548A1 (ko) * 2022-09-28 2024-04-0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4090709A1 (ko) * 2022-10-28 2024-05-0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9348A1 (en) * 2020-12-31 2022-06-3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20230109945A (ko) * 2022-01-14 2023-07-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16A (ko) 2018-07-25 2020-0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8799A (ja) * 2013-12-18 2015-06-25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収納箱
JP2017010778A (ja) * 2015-06-22 2017-01-1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組電池及び電源装置
KR20200079313A (ko) 2017-11-08 2020-07-02 사이텍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층간 강인화 입자를 갖는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0234B1 (ko) * 2017-12-12 2021-06-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크로스 빔을 내장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6979372B2 (ja) * 2018-02-26 2021-12-15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2610140B1 (ko) * 2018-10-19 2023-12-0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16A (ko) 2018-07-25 2020-0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0102A1 (en) * 2020-12-23 2022-06-23 Hyundai Mobis Co., Ltd. Fusing bus bar for battery module transportation and insulating case comprising same
CN115084752A (zh) * 2022-05-23 2022-09-2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电池模组挡光结构及电池模组
CN115084752B (zh) * 2022-05-23 2023-12-1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电池模组挡光结构及电池模组
WO2023234573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3234574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3243989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
WO2024058337A1 (ko) * 2022-09-14 2024-03-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4071548A1 (ko) * 2022-09-28 2024-04-0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4090709A1 (ko) * 2022-10-28 2024-05-0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4997A1 (ko) 2022-01-06
AU2021302997A1 (en) 2022-08-25
JP2023519400A (ja) 2023-05-10
EP4087039A1 (en) 2022-11-09
CN115088122A (zh) 2022-09-20
US20230099554A1 (en)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1228A (ko)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US20220021060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base plate having gas discharge passage,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23521703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10074779A (ko) 인근 모듈로의 가스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
EP4084197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EP4096008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KR20210072999A (ko) 에너지 밀도와 방열효과가 향상된 전지 팩
JP2024501535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1913866B1 (ko) 이차전지 모듈
US20230128563A1 (en) Battery module having pocket capable of capturing flare and spark ejected during swelling
KR20220003876A (ko) 스웰링시 분출되는 플레어와 스파크를 포집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CN111937180A (zh) 包括内部板的电池模块
KR20220023497A (ko) 스웰링시 분출되는 플레어와 스파크를 포집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US20240063474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483028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102622859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40012290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20144717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30146306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40051012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220144714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125097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40012303A (ko)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JP2024500963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30040125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