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156U -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156U
KR20220001156U KR2020200004416U KR20200004416U KR20220001156U KR 20220001156 U KR20220001156 U KR 20220001156U KR 2020200004416 U KR2020200004416 U KR 2020200004416U KR 20200004416 U KR20200004416 U KR 20200004416U KR 20220001156 U KR20220001156 U KR 20220001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re
glass tube
conical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815Y1 (ko
Inventor
이경용
Original Assignee
이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용 filed Critical 이경용
Publication of KR20220001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2Optical details of coupling light into, or out of, or between fibre ends, e.g. special fibre end shapes or associated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42Multicore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섬유 코어 끝 부분에 360° 방향의 빛을 내보낼 수 있는 작은 원뿔형 코어를 만들어 유리관 앞 부분에 배치하여 원형빔 형태의 빛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그 뒤에는 광섬유 본체를 연결시켜 빔이 앞쪽에 배치된 원형코어와 접촉되어 빔이 전달 되게 함으로써,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게 하여 유리관에 열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게 하여 에너지 전달의 효율을 높이고 유리관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한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MULTI CORE OPTICAL FIBER APPARATUS, APPARATUS FOR TREATING VARICORE VEINS}
본 발명은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섬유 코어 끝 부분에 360° 방향의 빛을 내보낼 수 있는 작은 원뿔형 코어를 만들어 유리관 앞 부분에 배치하여 원형빔 형태의 빛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그 뒤에는 광섬유 본체를 연결시켜 빔이 앞쪽에 배치된 원형코어와 접촉되어 빔이 전달 되게 함으로써,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게 하여 유리관에 열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게 하여 에너지 전달의 효율을 높이고 유리관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한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정맥류 시술이나 그 외 광섬유 사용에 있어서 광섬유로서 빛을 조사하는 데 있어 에너지가 높게 되면 유리관에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유리관이 녹거나 파손되므로 유리관을 보호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서는 한 방향으로 조사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광섬유 코어를 수직방향으로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가공하여 레이저 빔이 한곳에서 발사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군데서 분산되어 조사되므로 유리관이 열에 의해 녹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64471호 "열발생용 광섬유,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섬유 코어 끝 부분에 360° 방향의 빛을 내보낼 수 있는 작은 원뿔형 코어를 만들어 유리관 앞 부분에 배치하여 원형빔 형태의 빛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그 뒤에는 광섬유 본체를 연결시켜 빔이 앞쪽에 배치된 원형코어와 접촉되어 빔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게 하여 유리관에 열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게 하여 에너지 전달의 효율을 높이고 유리관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한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는, 하지정맥류 시술이나 그 외 광섬유 사용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광섬유를 통하여 조사하는데 광섬유 본체(11)와 유리관(13)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광섬유 코어의 한쪽 끝단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원뿔 형태로 가공하여 레이저 빔인 빛을 측방으로 360° 방향으로 방사하도록 하고 빔의 방사각도는 직각으로 90°방향과 90°방향 미만이면서 미리 설정된 최저 각도의 방향으로 방사하도록 하고 원뿔 형태로 가공된 반대 방향의 바닥면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하는 원뿔형 코어(12)를 유리관(13) 내부의 전면에 배치하여 광섬유 본체(11)에서 전달되는 레이저 빔을 원형 형태로 방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원뿔형 코어(12)의 양쪽 끝단에 대한 추가 가공을 통해서 오목, 볼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코어(12)의 굵기는 0.1mm 내지 50mm로 형성되며, 길이는 10cm 내지 10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코어(12)의 개수는 1개, 2개 또는 n개(n은 3 이상의 자연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원뿔형 코어(12)의 굵기에 있어서 같거나 다르게 하여 전후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본체(11)는, 유리관(13)과 접착제에 의한 본딩 접착을 통하여 고정을 시키거나 유리관을 녹여서 접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유리관(13)의 굵기는 0.5mm 내지 10mm의 것을 사용하며, 내경은 광섬유 본체(11) 및 원뿔형 코어(12)의 굵기보다 큰 것을 사용하며, 유리관(13)의 길이는 5mm 내지 5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코어(12)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V자나 U자 형태로 홈을 내고 그 개수는 1개 내지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그 빛을 방사하는데 있어서 360° 원형으로 빛을 내보내는 것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특히 인체내부 혈관속 등과 같은 곳에서는 조사되는 방향이 한 군데 또는 두 군데 이더라도 유리관에 열이 많이 발생하여 보호 유리관이 열에 의해서 녹거나 파손이 일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빛을 여러 군데로 분산시키면 에너지가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열 또한 적게 발생되어 유리관이 녹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어 혈관을 보호하며 시술을 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이며 안전한 시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에서의 원뿔형 코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에서의 원뿔형 코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에서의 원뿔형 코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에서의 원뿔형 코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는 광섬유 본체(11), 원뿔형 코어(12), 유리관(13)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 본체(11)는, 레이저 빔을 원뿔형 코어(12)을 통해 제공하며, 유리관(13)과 접착제에 의한 본딩 접착을 통하여 고정을 시키거나 유리관을 녹여서 접착하여 유리관(13)에 고정될 수 있다.
유리관(13)은 유리, 강화유리, 석영유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파이렉스, 사파이어, 세라믹 및 아크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 빔이 광섬유 본체(11)를 통해 조사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열을 끊임없이 반사, 굴절 시켜줌으로써, 열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유리관(13)의 굵기는 0.5mm 내지 10mm의 것을 사용하며, 내경은 광섬유 본체(11) 및 원뿔형 코어(12)의 굵기보다 큰 것을 사용하며, 유리관(13)의 길이는 5mm 내지 5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대조적으로 원뿔형 코어(12)의 굵기는 0.1mm 내지 50mm로 형성되며, 길이는 수cm(예, 10cm) 내지 수m(10m)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원뿔형 코어(12)는 광섬유 본체(11)와 동일하게 광섬유 소재로 제작되며, 광섬유 본체(11)의 끝단 영역의 외부면을 덮으면서 형성되는 유리관(13) 내부에 형성되며, 광섬유 본체(11)의 끝단으로부터 유리관(13)의 끝단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되, 적어도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원뿔형 코어(12)는 광섬유 본체(11)의 선단부로 형성하기 위해 원통형 단면을 갖는 원뿔형 코어 본체의 끝단부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길이에 대해서 원뿔형으로 그라인더를 포함하는 정밀 공구를 사용하거나 가공용 레이저를 사용하여 가공, 연마할 뿐만 아니라, 원뿔형 코어(12)에 해당하는 밑부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평으로 가공 및 연마하여 수평부의 밑부분에서 전달된 레이저 빔이 앞 부분의 원뿔형태로 전달되면서 360°원형으로 빛이 방사되로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원뿔형 코어(12) 중 원뿔형으로 가공된 전단 부분에서도 일부 레이저 빔이 직진방향으로 방사되므로 앞 부분으로 전달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그러나 원뿔형의 전단부분은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 레이저 빔이 전방으로 방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레이저 빔을 전방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 3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e와 같이 원뿔형 코어(12)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V자나 U자 형태로 홈을 원뿔형 코어(12)의 길이 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형성되는 개수는 1개 내지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됨으로써, 광섬유 본체(11)를 통해 전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한 열이 단면이 원통형인 유리관(13)의 측부와 반구형태의 전면부에서 고르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원뿔형 코어(12)는 광섬유 본체(11)의 끝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제 1 원뿔형 코어(12a)과, 유리관(13)의 끝단 내부와 맞닿거나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 2 원뿔형 코어(12b)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 2 원뿔형 코어(12b)와 광섬유 본체(11)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원뿔형 코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광섬유 본체(11)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원뿔형 코어(12)는 1개 또는 2개, 그 밖에 n개(n은 3 이상의 자연수)를 배치하여 광섬유 본체(11)로부터 전달된 레이저 빔이 여러군데서 방사가 될 수 있도록 하고 광섬유 본체(11)는 유리관(13)과 결합을 시켜서 분리가 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복수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n 원뿔형 코어의 굵기는 도 2d, 도 2e. 도 3a와 같이 굵기에 있어서 같거나 다르게 하여 전후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배치되는 순서에서, 도 2d와 같이 유리관(13) 내부 선단부에 배치되는 원뿔 막대의 굵기가 가늘게 하고 점차 뒤로 가면서 좀더 굵게 하는 것이 실험결과 하지정맥류 시술에 있어서 좀 더 길이 방향이 증가하여도 360°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대로 하여 배치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며 굵기가 다르게 섞어 배치할 수도 있으며, 길이 또한 일률적으로 같거나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n 원뿔형 코어(12)의 배치는 빈틈없이 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약간의 간격을 띄어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광섬유 코어를 원뿔형 코어(12)로 정밀 가공할 수 있는 특수 그라인더를 사용하거나 레이저를 사용하여 각도 조절을 하면서 끝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영역까지를 원뿔형태로 가공하고, 바닥면은 수평으로 투명하게 연마하여 레이저 빔이 100% 전달이 용이하게 하며 유리관(13) 내부의 전면부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제 1 원뿔형 코어(12a)가 형성되고, 제 1 원뿔형 코어(12a)의 뒤쪽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원뿔형이나 이와 비슷한 형태의 코어에 해당하는 제 2 원뿔형 코어(12b)를 배치하여 360°원형으로 레이저 빔이 방사되는 것이 두 개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게 하여 유리관에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게 하므로서 에너지 전달의 효율을 높이고 유리관(13)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유리관(13) 끝단이나 중간 또는 마지막 뒤에 배치되는 원뿔 코어에 해당하는 제 1 내지 제 n 원뿔형 코어(n은 3 이상의 자연수)(12a, 12b,....) 형태는 그 첨탑에 해당하는 원뿔의 끝 부분을 연마하여 평평하게 수평면을 가질 수도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평평해진 원면적에 대한 조절을 통해 레이저 빔의 직진율을 조절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유리관(13)의 뒷 부분에 해당하는 유리관(13)의 끝단면 내부과 맞닿는 곳에 위치하는 원뿔형 코어는 유리관(13)과 결합이 되어 분리가 되지 않도록 본딩이나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코어 광섬유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100) 중 로커(140), 내장 실리콘 마개(141), 조임 장치(142)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100)는 선단부(110), 원통형 튜브 단면에 해당하는 한 개의 루멘을 가진 카테터(120), 테터(120), 3-way 허브(130), 로커(140), 내장 실리콘 마개(141), 조임 장치(142), 광섬유 연결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120)는 원통형으로 된 일자형 튜브에 해당하며, 3-way 허브(130)는 카테터(120) 중 선단부(110)의 반대 끝단에 형성된 로커(140)의 측면에 연결된 형태로, 3개의 밸브에 대한 외부 제어장치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폐쇄 및 개방에 따라 개방시 로커(140)와 연결된 하나의 주입로 외에 나머지 2개의 주입로로 1액형 또는 2액형, 그 밖의 복합제로 사용되는 혈관경화제를 포함하는 주사액 등을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카테터(120)의 길이는 10cm 내지 200cm 길이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cm 내지 120cm이며, 혈관경화제를 주입하는 허브 연결 튜브(131)에 달린 밸브는 상술한 3-way 뿐만 아니라, 1way, 4way, 등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한 개의 루멘을 가진 카테터(120)를 사용하되, 카테터(120)의 전단에 형성된 선단부(110)에는 끝단부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곳에 360°방향으로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 홈을 내어 혈관경화제가 혈관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며 카테터(120)의 뒷 부분에는 혈관경화제를 투입하는 3-way 허브(130)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3-way 허브(130)가 연결된 카테터(120)의 뒤쪽 끝 부분에는 혈관경화제가 뒤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 해주는 중앙에 작은 홈이 나 있는 내장 실리콘 마개(14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형성된 360°방향의 홈은, 선단부(1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0.1mm부터 80m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카테터(120) 내부의 직경은 0.3mm부터 5mm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형성된 홈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 이상 가질 수 있고 홈의 방향은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형성된 홈의 크기는 0.01mm부터 3mm까지의 크기를 사용하고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서 뒤로 카테터(120) 상에서 1cm 마다 검은 색 마커가 80cm까지 마킹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카테터(120)와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는 동시에 움직이면서 정맥 혈관을 빠져나오면서 시술을 하게 되는데 이때 광섬유(151)와 카테터(120)를 결합시켜 주는 고정장치가 필요하며 이 고정 장치로서 로커(140)를 사용하여 광섬유(151)와 카테터(120)를 결합시켜줄 수 있다.
로커(140)는 도 5와 같이 전단부(140a)에는 카테터(120)와 연결될 수 있는 나사형태의 홈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측부로는 3-way 허브(130)의 연장관(131)과 연결가능한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부(140b)는 광섬유 연결장치(150)로부터 제공된 광섬유를 고정시킬수 있는 조임 장치(14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간부(140b) 상에서 조임 장치(142)는 광섬유 연결장치(150)의 광섬유(151)를 용수철과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내장 실리콘 마개(141)으로 삽입될 수 있는데, 즉, 실리콘 마개(141) 뒤에 플라스틱 또는 이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에 광섬유(151)가 통과할 수 있는 홈을 가진 조임 장치(142)가 있고 조임 장치(142)의 외부로는 로커(140)의 뒤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로커캡(140c)에 의해 밀봉된 구조를 갖는다.
이 로커캡(140a)은 나사형태로 되어 있어 앞쪽의 로커(140)의 중간부(140b)와 맞물리는 구조로, 로커캡(140a)을 회전 시키면 로커캡(140a)의 내주면이 중간부(140b)의 외주면으로 암수 결합으로 돌면서 앞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기구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로커캡(140a)이 회전하면서 앞쪽으로 밀려 들어가면 중간의 플라스틱 조임 기구(142)가 앞으로 전진 하면서 내장 실리콘 마개(141)을 압박하게 되면서 플라스틱 재질의 조임 기구(142) 중 광섬유 연결장치(150)로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형성된 십자형으로 벌어진 원뿔형태의 구조물이 내장 실리콘 마개(141)에 의해 압박되어 십자형태의 벌어진 구조물이 내장 실리콘 마개(141)의 중심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내장 실리콘 마개(141)의 탄성력으로 조임 기구(142)를 통과하는 광섬유(151)를 꽉 조여주게 되어 카테터(120)와 광섬유(151)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로커(140)에 의해 카테터(120)와 광섬유(151)는 동시에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또 한편으로서 광섬유(151) 앞에 부착 가능한 유리관은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내부에 밀착되어 빈틈을 없게하여 혈관경화제가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끝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막고, 카테터(120)의 선단부(130) 아래 홈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광섬유(151)의 유리관이 카테터(120) 앞쪽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경우에는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끝을 통하여 혈관경화제를 혈관내부로 주입 시켜줄 수도 있는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120)와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10)를 결합시키는 장치인 로커(140)는 멀티코어 광섬유(15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며, 로커(140)의 앞쪽에 위치하여 카테터(120)와 맞물리는 전단부(140a)는 중앙에 광섬유(151)가 들어가는 통로 홈을 가지고 있고, 통로 홈의 내측에는 나사산을 가지고 있어 카테터(120)가 회전하면서 결합이 될 수 있으며 전단부(140a)의 뒷 부분에 형성된 중간부(140b)는 로커캡(140c)와 맞물리게 외측으로 나사산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전단부(140a)의 중앙 홈인 통로 홈의 크기는 0.1mm 내지 5mm를 사용 할 수 있고 바깥 원통 크기는 1mm 내지 10mm까지 시용할수 있다.
로커(140) 내부의 내장 실리콘 마개(141)는 광섬유(151)가 통과할 수 있는 0.01mm 내지 3mm 홈을 가지고 있고 외경은 4mm 내지 10mm까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께는 0.1mm 내지 2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장 실리콘 마개(141)의 후단에 위치하는 조임 장치(142)는 뒤부분에는 십자형의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중심에는 광섬유가 통과할 수 있는 홈을 제공하며, 재릴로 플라스틱이 좋으나 비철 또는 철,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수 있고, 크기에 있어 외경은 로커(140)의 중간부(140b) 내부에 들어갈수 있는 크기로 0.5mm 내지 30mm를 사용할 수 있고 길이는 1mm 내지 50mm의 것을 사용하며, 중앙의 홈은 0.1mm 내지 2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커(140)의 뒷부분에 해당하는 로커캡(140c)은 중앙에 볼록형태의 돌출부가 있고 돌출부에는 광섬유가 들어갈수 있는 홈을 가지고 있으며 바깥 원통부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있어 로커(140)의 중간부(140b)와 암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로커캡(140c)의 돌출부는 조임 장치(142)를 뒤에서 밀어주면 조임 장치(142)의 뒤쪽 십자형태로 벌어진 원뿔의 뾰족한 부분이 돌출부의 오목한 부분에 끼이면서 벌어진 홈이 중심 안쪽으로 밀려 들어오면서 중심에 있는 광섬유(151)를 조여서 꽉 잡아주어 로커(120)와 카테터(120), 멀티코어 광섬유(151)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로커캡(140c)의 외경은 5mm 내지 30mm를 사용할수 있고 길이는 10mm 내지 50mm 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돌출부 길이는 1mm 내지 30mm 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돌출부의 외경은 1mm 내지 10mm 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상에서 멀티코어 광섬유(151)가 내장 실리콘 마개(141)를 통해 카테터(120) 영역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장 실리콘 마개(141)는 카테터(120)와 멀티코어 광섬유(151)가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여 멀티코어 광섬유(151)가 빡빡하게 들어갈 수 있는 작은 홈을 가지고 있어, 3-way 허브(130)를 통하여 투입된 혈관경화제가 카테터(120) 뒤쪽의 광섬유(151) 방향으로 흘러 나오지 못하게 차단 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멀티코어 광섬유(151)가 내장 실리콘 마개(141)를 통해 카테터(120) 영역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멀티코어 광섬유(151) 앞쪽에 위치한 유리관은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내부로 들어가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꽉 끼여서 카테터(120)의 선단부(110)에 빈틈이 없게 하여 혈관경화제가 카테터(120)의 선단부(110)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차단시켜서 선단부(110) 뒤쪽에 나있는 홈을 통하여 혈관 내부로 주입되게 하는 것이며, 또 한편으로는 광섬유(151)의 앞쪽에 위치한 유리관이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앞쪽에서 멀리 위치하여 카테터(120)의 선단부(110) 내부 홈이 개방되면, 개방된 홈을 통하여 혈관경화제를 혈관 내부로 주입되게 할수도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멀티코어 광섬유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100)는 하지정맥류 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혈관 경화제와 레이저광섬유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통하여 시술 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테터는 이중 구조의 원통형 루멘을 가지고 있고 그 상단부 끝에는 풍선이 부풀어 나올수 있는 홈을 가진 이중 구조의 카테터가 있어서 한쪽 루멘에는 레이저 광섬유를 통과시켜주며 다른 루멘은 혈관 경화제를 통과시켜줄 수 있는 이중 구조와 상단부 끝에 풍선이 부풀려질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 본 출원인의 이전 출원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66536호 "의료용 카테터 장치"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한 개의 카테터를 사용하고 풍선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서 이중 구조의 카테터 방식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멀티코어 광섬유(10)에 의한 광섬유 코어 끝 부분에 360° 방향의 빛을 내보낼 수 있는 작은 원뿔형 코어를 만들어 유리관 앞 부분에 배치하여 원형빔 형태의 빛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그 뒤에는 광섬유 본체를 연결시켜 빔이 앞쪽에 배치된 원형코어와 접촉되어 빔이 전달 되게 함으로써,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게 하여 유리관에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게 하여 에너지 전달의 효율을 높이고 유리관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멀티코어 광섬유 디바이스
11 : 광섬유 본체
12 : 원뿔형 코어
13 : 유리관

Claims (7)

  1. 하지정맥류 시술이나 그 외 광섬유 사용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광섬유를 통하여 조사하는데 광섬유 본체(11)와 유리관(13)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광섬유 코어의 한쪽 끝단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원뿔 형태로 가공하여 레이저 빔인 빛을 측방으로 360° 방향으로 방사하도록 하고 빔의 방사각도는 직각으로 90°방향과 90°방향 미만이면서 미리 설정된 최저 각도의 방향으로 방사하도록 하고 원뿔 형태로 가공된 반대 방향의 바닥면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하는 원뿔형 코어(12)를 유리관(13) 내부의 전면에 배치하여 광섬유 본체(11)에서 전달되는 레이저 빔을 원형 형태로 방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어 광섬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원뿔형 코어(12)의 양쪽 끝단에 대한 추가 가공을 통해서 오목, 볼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어 광섬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원뿔형 코어(12)의 굵기는 0.1mm 내지 50mm로 형성되며, 길이는 10cm 내지 10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어 광섬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원뿔형 코어(12)의 개수는 1개, 2개 또는 n개(n은 3 이상의 자연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원뿔형 코어(12)의 굵기에 있어서 같거나 다르게 하여 전후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어 광섬유.
  5.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섬유 본체(11)는,
    유리관(13)과 접착제에 의한 본딩 접착을 통하여 고정을 시키거나 유리관을 녹여서 접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어 광섬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리관(13)의 굵기는 0.5mm 내지 10mm의 것을 사용하며, 내경은 광섬유 본체(11) 및 원뿔형 코어(12)의 굵기보다 큰 것을 사용하며, 유리관(13)의 길이는 5mm 내지 5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어 광섬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원뿔형 코어(12)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V자나 U자 형태로 홈을 내고 그 개수는 1개 내지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코어 광섬유.
KR2020200004416U 2020-11-16 2020-12-02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 KR2004978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2568 2020-11-16
KR1020200152568 2020-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56U true KR20220001156U (ko) 2022-05-24
KR200497815Y1 KR200497815Y1 (ko) 2024-03-06

Family

ID=8176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416U KR200497815Y1 (ko) 2020-11-16 2020-12-02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1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8720A (ja) * 2007-11-26 2009-06-11 Fujikura Ltd 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
KR20110112269A (ko) * 2011-09-23 2011-10-12 광주과학기술원 다방면 조사 광섬유 프로브
KR20120000479A (ko) * 2010-06-25 2012-01-02 (주)디오텍 반사용 홈을 가지는 광섬유
KR101722008B1 (ko) * 2010-09-30 2017-03-31 바이오리텍 파마 마케팅 엘티디. 관내 레이저 절제 장치 및 정맥을 치료하는 개선된 방법
KR20170101761A (ko) * 2016-02-29 2017-09-06 이경용 단일 광섬유 기반의 멀티-링 레이저빔 디바이스,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8720A (ja) * 2007-11-26 2009-06-11 Fujikura Ltd 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
KR20120000479A (ko) * 2010-06-25 2012-01-02 (주)디오텍 반사용 홈을 가지는 광섬유
KR101722008B1 (ko) * 2010-09-30 2017-03-31 바이오리텍 파마 마케팅 엘티디. 관내 레이저 절제 장치 및 정맥을 치료하는 개선된 방법
KR20110112269A (ko) * 2011-09-23 2011-10-12 광주과학기술원 다방면 조사 광섬유 프로브
KR20170101761A (ko) * 2016-02-29 2017-09-06 이경용 단일 광섬유 기반의 멀티-링 레이저빔 디바이스,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15Y1 (ko)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9629B1 (en) Device for irradiating laser beams
KR960014023B1 (ko) 레이저광의 조사장치
US5163935A (en) Surgical laser endoscopic focusing guide with an optical fiber link
US5032123A (en) Laser catheter with radially divergent treatment beam
EP1778118B1 (en) Fiber optic probe for use in a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t
US7702196B2 (en) Modified-output fiber optic tips
US7620290B2 (en) Modified-output fiber optic tips
JP3073994B2 (ja) 放射角度可変レーザー照射装置
US5359685A (en) Focusing tips for optical fibers
ES2288989T3 (es) Difusor de luz para terapia fotodinamica.
ES2659144T3 (es) Dispositivo de ablación por láser endoluminal para tratar venas
EP0292621B1 (en) Contact or insertion laser probe having wide angle radiation
EP0325836A2 (en) Laser tipped catheter
US20080051770A1 (en) Multiple Target Laser Probe
US20060104593A1 (en) Light diffusing tip
EP3597133B1 (en) Side-fire laser fiber having a molded reflective surface
US20080219629A1 (en) Modified-output fiber optic tips
JPH0234161A (ja) 生体組織内狭隘路におけるレーザ治療装置
JPH0298373A (ja) レーザ光による加温装置
US20100086892A1 (en) Modified-output fiber optic tips
WO2008024848A2 (en) Multiple target laser probe
KR20220001156U (ko) 멀티코어 광섬유,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지정맥 시술용 장치
US20190020170A1 (en) Single optical fiber-based multi-ring laser beam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H03133441A (ja) レーザ光の照射装置
RU27598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ткани организ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