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146A -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146A
KR20220001146A KR1020200079096A KR20200079096A KR20220001146A KR 20220001146 A KR20220001146 A KR 20220001146A KR 1020200079096 A KR1020200079096 A KR 1020200079096A KR 20200079096 A KR20200079096 A KR 20200079096A KR 20220001146 A KR20220001146 A KR 20220001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emperature
visitor
unit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131B1 (ko
Inventor
강수철
Original Assignee
(주)원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원진에너지
Priority to KR102020007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1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종 업무용 빌딩, 쇼핑센터, 관공서 건물의 출입구나 건물 내 각종 보안 구역에 설치 운영되는 출입 게이트를 입장하는 출입자가 별도의 출입증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항시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으로부터 비접촉 상태로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를 비접촉상태로 수집하고 발열상태를 체크하여 출입자의 출입 게이트 통과 허용 여부를 안내할 수 있고, 이러한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는 물론 감지온도 및 발열체크시간을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고 원격지의 관제서버에도 전송하여 설정 기간 동안 등록 관리함으로서 건강관리 특히 코로나 19와 같은 대유행 전염병 등의 관리 감시에 효과적인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Fever check system for entrance gates}
본 발명은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 게이트를 통해 외부 출입자가 건물 내부로 진입하거나 또는 건물 내 보안 구역 등의 특정 구역으로 진입시 해당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를 수집하고 발열상태를 체크하여 정상인 경우 출입 허용을 안내하면서 출입자를 관리할 수 있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병원, 쇼핑센터 등의 각종 건물 출입구에는 출입자를 통제하기 위해 각종 출입용 게이트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코로나 19의 전세계적인 대유행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감시 및 차단하기 위해 각종 건물의 출입구에 출입자의 발열 체크를 수행할 수 있는 출입자 감시 기능을 갖는 출입용 게이트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출입자의 발열 체크 기능을 하는 게이트에 관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20-0041458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출입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출입 게이트에 있어서, 적어도 출입자가 지나가는 통로를 마련하는 틀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통로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커튼이 부착된 진단게이트; 상기 프레임 상에 출입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포토센서와, 진입된 출입자의 체온을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부착된 감지부; 및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체온과 심박수에 따라 출입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진단에 따라 출입자의 진입을 통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참고문헌 1은 모두 출입자가 진입이 감지되면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결정할 수 있는 구조이지만 출입자의 정보를 확보하기 어려워 건강한 상태의 출입자의 정보를 확보하기 어렵다.
물론 이러한 첨고문헌 1의 문제를 해소가능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912390호(참고문헌 2)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2는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의 출입통제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이미지 센서, 거리와 온도를 바탕으로 피사체의 체열을 결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체열에 대응하여 피사체의 출입을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참고문헌 2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이 결정되면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지문인식장치 및 상기 피사체가 보유한 RF태그를 통해 상기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카드리더기를 통해 피사체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면, 이름, 사원번호 등)와 체열 및 측정 시간(예를 들면, 출입시간과 측정시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여길 수 있음)을 매칭시켜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구조여서, 지문인식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바이러스 감염 등의 우려가 높고 RF태그방식의 경우 통상 피사체가 출입용 카드 등을 보유해야 하므로 이의 관리가 까다롭고, 일반인의 출입이 빈번한 공공기관이나 병원 등에 적용하기 어려워 그 사용 환경이 지극히 제한적이다.
참고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20-0041458호 참고문헌 2 : 등록특허 제10-1912390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 게이트를 통해 외부 출입자가 건물 내부로 진입하거나 건물 내 보안 구역 등을 입장시 해당 출입자가 휴대하는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비접촉 상태로 신속하게 수집하고 발열상태를 체크하여 출입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출입자가 별도의 출입증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휴대하는 휴대폰으로부터 비접촉 상태로 전화번호를 수집하고 발열상태를 체크하여 발열체크시간과 함께 등록 관리할 수 있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출입자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하는 출입 게이트에 구비되어 출입자의 발열 상태를 체크하는 발열감시기와, 출입자가 구비하되 상기 발열감시기와 접속가능한 출입용 앱이 설치되어 출입용 앱이 실행되면 상기 발열감시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를 상기 발열감시기로 전송하는 출입자용 휴대폰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감시기는 출입자용 휴대폰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의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이 접속되어 출입자용 휴대폰으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진입허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발열감시기는 상기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출입자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거리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온도감지부는 비접촉식으로 출입자의 온도측정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온도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으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측정된 출입자의 감지거리가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있는지 비교하여 출입자가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출입자의 감지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 이하이면 정상으로 판단하여 진입허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하고,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여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진입불허를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감시기는 출입자의 감지온도 및 출입 게이트의 진입허용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관제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감시기는 상기 관제서버에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와 감지온도 및 발열체크시간을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여 설정 기간 동안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감시기의 제어부는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시 인증번호요청정보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출입자용 휴대폰으로 무선 송출하고,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으로부터 인증번호요청정보에 따른 출입자용 휴대폰의 인증확인번호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설정된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온도감지부를 통해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감시기는 QR코드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은 상기 발열감시기의 정보요청신호가 수신시 출입용 앱에 설정된 인증번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QR코드를 팝업시키고, 상기 발열감시기의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의 QR코드정보를 설정시간 내에 획득하면 설정된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온도감지부를 통해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출입구나 건물 내 각종 보안 구역에 설치 운영되는 출입 게이트를 입장하는 출입자가 별도의 출입증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항시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으로부터 비접촉 상태로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를 비접촉상태로 수집하고 발열상태를 체크하여 출입자의 출입 게이트 통과 허용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 게이트에 접근하는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는 물론 감지온도 및 발열체크시간을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고 원격지의 관제서버에 전송하여 설정 기간 동안 등록 관리함으로서 건강관리 특히 코로나 19와 같은 대유행 전염병 등의 관리 감시에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자가 별도의 출입증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거물이나 특정 구역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불특정인이 빈번하게 출압하는 각종 업무용 빌딩, 쇼핑센터, 관공서 등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해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은 관공서, 병원, 쇼핑센터 등의 각종 건물 출입구 또는 건물 내 보안 구역 등의 특정 구역에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되는 출입 게이트(10)에 구비되어 출입자가 이동시 출입자의 발열 상태를 체크하는 발열감시기(100)와, 출입자가 구비하되 상기 발열감시기(100)와 접속가능한 출입용 앱(202)이 설치되어 출입용 앱(202)이 실행되면 상기 발열감시기(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를 상기 발열감시기(100)로 전송하는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출입 게이트(10)는 출입자가 이동하는 통로(10a)가 형성되는 금속재 등으로 제작되는 공지의 구조로서, 각종 업무용 빌딩, 쇼핑센터, 관공서 등의 건물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건물 내부를 방문하거나 건물 내 보안 구역, 출입통제구역 등과 같이 특정 구역을 출입하는 출입자를 통제하기 위해 설치 운영한다.
이러한 출입 게이트(10)에는 상기 발열감시기(100)가 설치되어 출입 게이트(10)를 통해 건물 내부 또는 특정 구역으로 진입하는 출입자의 발열 상태를 체크하고, 정상으로 판정되면 상기 출입자의 진입을 허용하는 안내방송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발열감시기(100)는 출입자용 휴대폰(2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110)와, 상기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의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120)와,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이 접속되어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되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되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진입허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출입자용 휴대폰(2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모듈로 구성되며, 적어도 통신거리는 2 ~ 3m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출입자가 출입 게이트(10)에 2 ~ 3m에 접근하여 출입자용 휴대폰(200)의 출입용 앱(202)을 구동하면 휴대폰의 블루투스모듈이 활성화되어 상기 발열감시기(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발열감시기(100)가 출입자용 휴대폰(200)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감시기(100)는 출입자용 휴대폰(200)이 접속되어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출입 게이트(10)에 출입자가 2 ~ 3m이내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출입자의 발열체크를 요청하는 음성메시지(예를 들어 "발열감시기에 30cm 이내까지 접근하여 온도를 측정하세요.")를 음성출력부(140)로 출력하여 출입자가 이에 따르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상기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출입자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거리감지부(150)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거리감지부(150)는 적외선 거리센서, 초음파 거리센서 등 다양한 거리감지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출력부(140)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부(120)는 비접촉식으로 출입자의 온도측정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온도센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감지부(150)에서 측정된 출입자의 감지거리가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있는지 비교하여 출입자가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출입자의 감지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예를 들어 37.5℃)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의 정상으로 판단되면 진입허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예를 들어 "발열상태가 정상입니다. 출입가능합니다")를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고,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여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진입불허를 알리는 음성메시지(예를 들어 "출입불가합니다. 병원으로 가셔서 진찰받으시기 바랍니다.")를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출입자의 감지온도, 진입허용 여부, 기타 다양한 안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온도측정 가능 거리와 설정온도를 포함하는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132)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메모리(132)에는 출입자용 휴대폰(200)에서 수신되는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와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되는 출입자의 감지온도 및 발열체크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메모리(132)가 내장되는 마이컴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입출력 수단으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환경 설정 및 자료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의 보호를 위해 강화유리창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인터페이스부(170)가 더 구비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관제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발열감시기(100)에서 측정되는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와 감지온도 및 발열체크시간 등을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관제서버(300)로 전송하여 관제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관제서버(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관제서버(300)는 정부에서 질병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정부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상기 출입정보는 정부에서 질병 관리차원에서 일정기간 등록 관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영상촬영부(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출입자가 가지고 있는 출입자용 휴대폰(200)의 출입용 앱(202) 구동시 표시되는 QR코드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의 QR코드는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출입자용 휴대폰(200)의 출입용 앱(202)에 표시된 QR코드를 발열감시기(100)의 영상촬영부(180)에 근접시켜 QR코드를 리딩하면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QR코드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를 추출하여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관제서버(300)로 출입자의 감지온도 및 휴대전화번호 및 발열체크시간을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관제서버(30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은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되는 공지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발열감시기(100)와 접속가능한 출입용 앱(202)이 설치된다. 이러한 출입용 앱(202)은 출입자용 휴대폰(200)을 원격지의 관제서버(300)에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하여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출입자가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의 상기 출입용 앱(202)을 실행시키면 출입자용 휴대폰(200)은 블루투스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거나, 출입용 앱(202) 실행 전후에 출입자가 별도로 블루투스 모듈을 수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출입자가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의 상기 출입용 앱(202)을 실행시키면 발열감시기(100)의 통신가능거리 이내인 경우 무선통신부(110)와 출입자용 휴대폰(200)가 접속되어 출입자용 휴대폰(200)는 출입자 전화번호를 무선 전송하게 된다. 이에 발열감시기(100)에서 출입자용 휴대폰(200)을 인식하여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고 정상으로 판정되면 진입허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음성출력부(140)로 출력하거나 진입허용을 안내하는 문자(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60)로 표시한다.
이때,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시 인증번호요청정보를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송출하고, 출입자용 휴대폰(200)는 인증번호요청정보가 무선 수신되면 출입용 앱(202)에 인증번호 입력창을 팝업시키거나 인증용 QR코드를 팝업시켜, 출입자가 확인하도록 함으로서 정보수집에 관한 보안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열감시기(100)의 인증번호요청정보가 수신시 출입용 앱(202)에 인증번호 입력창이 팝업되도록 설계한 경우 일측에 노출된 설정된 인증번호를 출입자가 확인하여 직접 키입력하면 무선으로 발열감시기(100)에 송신하고,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무선으로 인증확인번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발열감시기(100)의 정보요청신호가 수신시 출입용 앱(202)에 설정된 인증번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QR코드가 팝업되도록 설계한 경우에는 발열감시기(100)의 영상촬영부(180)에 출입자가 휴대폰(200)에 표시된 QR코드를 근접시키면 발열감시기(100)의 영상촬영부(180)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내에 출입자의 QR코드정보를 획득한다. 이에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설정된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의 구동 예를 설명한다.
출입자가 건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 게이트(10)에 접근한다.(S1)
이후 출입자가 출입자용 휴대폰(200)에 설치된 출입용 앱(202)을 실행시키면(S2), 발열감시기(100)의 통신가능거리 이내인 경우 무선통신부(110)는 출입자용 휴대폰(200)과 접속된다.(S3)
이때 상기 단계(S3)를 통해 발열감시기(100)에 출입자용 휴대폰(200)가 접속되면 무선통신부(110)와 출입자용 휴대폰(200)가 접속되어 출입자용 휴대폰(200)는 출입자 전화번호를 무선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보안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시 인증번호요청정보를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송출하고, 출입자용 휴대폰(200)는 인증번호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출입용 앱(202)에 인증번호 입력창을 팝업시키거나 인증용 QR코드를 팝업시켜 출입자가 확인한다.
이와 같은 출입자 인증에 따라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발열체크를 요청하는 음성메시지(예를 들어 "발열감시기에 30cm 이내까지 접근하여 온도를 측정하세요.")를 음성출력부(140)로 출력한다.(S4)
그리고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상기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출입자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거리감지부(150)를 통해 허용거리(예를 들어 30cm) 이내로 판단되면 온도감지부(120)에서 출입자의 감지온도를 측정(체크)한다.(S5)
상기 단계(S5) 이후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37.5℃)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6)
이 경우 상기 단계(S6)을 통해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의 정상으로 판단되면 진입허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예를 들어 "발열상태가 정상입니다. 출입가능합니다")를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6)을 통해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여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진입불허를 알리는 음성메시지(예를 들어 "출입불가합니다. 병원으로 가셔서 진찰받으시기 바랍니다.")를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S7)
한편, 상기 단계(S6)을 통해 정상으로 판정되어 출입자의 진입이 허가된 경우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관제서버(300)로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와 감지온도 및 발열체크시간 등을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관제서버(300)로 전송하여 관제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관리할 수 있다.(S8)
이 경우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정보를 암호화하여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암호화된 상태로 관제서버(300)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S8) 이후에 발열감시기(100)의 메모리(132) 또는 관제서버(300)에 저장된 출입정보는 설정기간(예를 들어 70일)이 경과하면 자동 삭제한다.(S9)
또한 상기 단계(S7)을 통해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여 비정상으로 판단되더라도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와 감지온도 및 발열체크시간 등을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메모리(132)에 저장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단계(S9)로 분기하여 해당 출입정보가 설정기간(예를 들어 70일)이 경과하면 자동 삭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출입 게이트 10a: 통로
100: 발열감시기 110: 무선통신부
120: 온도감지부 130: 제어부
140: 음성출력부 150: 거리감지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영상촬영부 200: 출입자용 휴대폰
202: 출입용 앱 300: 관제서버

Claims (5)

  1. 출입자가 이동하는 통로(10a)가 형성하는 출입 게이트(10)에 구비되어 출입자의 발열 상태를 체크하는 발열감시기(100)와, 출입자가 구비하되 상기 발열감시기(100)와 접속가능한 출입용 앱(202)이 설치되어 출입용 앱(202)이 실행되면 상기 발열감시기(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를 상기 발열감시기(100)로 전송하는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출입자용 휴대폰(2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110)와, 상기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의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120)와,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이 접속되어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되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측정되는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진입허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상기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출입자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거리감지부(1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온도감지부(120)는 비접촉식으로 출입자의 온도측정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온도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부터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감지부(150)에서 측정된 출입자의 감지거리가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있는지 비교하여 출입자가 온도측정 가능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도감지부(120)에서 출입자의 감지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 이하이면 정상으로 판단하여 진입허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상기 음성출력부(140)로 출력하고, 출입자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여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진입불허를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상기 음성출력부(14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출입자의 감지온도 및 출입 게이트(10)의 진입허용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와, 관제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상기 관제서버(300)에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와 감지온도 및 발열체크시간을 포함하는 출입정보를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상기 관제서버(300)에 전송하여 설정 기간 동안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출입자의 휴대전화번호가 수신시 인증번호요청정보를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 무선 송출하고,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으로부터 인증번호요청정보에 따른 출입자용 휴대폰(200)의 인증확인번호가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설정된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온도감지부(120)를 통해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감시기(100)는 QR코드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은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정보요청신호가 수신시 출입용 앱(202)에 설정된 인증번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QR코드를 팝업시키고,
    상기 발열감시기(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촬영부(180)를 통해 상기 출입자용 휴대폰(200)의 QR코드정보를 설정시간 내에 획득하면 설정된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온도감지부(120)를 통해 출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KR1020200079096A 2020-06-29 2020-06-29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KR10243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96A KR102430131B1 (ko) 2020-06-29 2020-06-29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96A KR102430131B1 (ko) 2020-06-29 2020-06-29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46A true KR20220001146A (ko) 2022-01-05
KR102430131B1 KR102430131B1 (ko) 2022-08-08

Family

ID=7934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096A KR102430131B1 (ko) 2020-06-29 2020-06-29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1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841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출입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101912390B1 (ko) 2016-01-11 2018-10-26 (주) 비엑스 솔루션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KR101931867B1 (ko) * 2017-01-03 2018-12-21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JP6610671B2 (ja) * 2015-09-30 2019-11-2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ゲート、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200041458A (ko)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841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출입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6610671B2 (ja) * 2015-09-30 2019-11-2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ゲート、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912390B1 (ko) 2016-01-11 2018-10-26 (주) 비엑스 솔루션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101931867B1 (ko) * 2017-01-03 2018-12-21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20200041458A (ko)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131B1 (ko) 202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390B1 (ko)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CN111402481A (zh) 一种带有测量体温功能的智能门禁系统、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81688A (zh) 一种智慧医院疫情防控装置系统
US11170894B1 (en) Access and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TMs)
JP7165892B2 (ja) 病原体情報管理システム、病原体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端末
US20230154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entry management system
KR101492799B1 (ko) 감시영역 입퇴실자 추적을 통한 출입 통제 기능을 가지는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2485B1 (ko) 분산형 동선 추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168651B1 (ko) 열-감지센서를 구비한 체온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열-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30131B1 (ko) 출입 게이트용 발열 체크 시스템
KR20220010218A (ko) 감염병 관리를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방법
CN110349299B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系统
US20210353155A1 (en) Body temperature detection safety kiosk
JP6903802B1 (ja) 証明発行システム及び証明発行方法
KR102496002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비대면 출입 관리 키오스크 및 이를 구비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472696B1 (ko) 출입 제어 장치, 서버 및 출입 제어 방법
KR101579178B1 (ko) 지역 영상 및 온도 감지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324880B1 (ko) Rfid 태그 기반 헤드카운팅 기술을 활용한 공장안전관리 시스템
JP6026137B2 (ja) 医療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リスク情報提供端末装置
JP7492939B2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KR10246153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병원의 출입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병원의 출입통제방법
KR102381529B1 (ko) 비접촉식 체온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온정보 관리 시스템
US202300669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495438B1 (ko) 복합 건강 관리 키오스크 장치 및 운용 방법
TR202022285A1 (tr) Bi̇r gi̇ri̇ş-uyari üni̇tesi̇ ve gi̇ri̇ş kontrol yön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