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927U - 텐트용 장력 스트랩 - Google Patents

텐트용 장력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927U
KR20220000927U KR2020200003761U KR20200003761U KR20220000927U KR 20220000927 U KR20220000927 U KR 20220000927U KR 2020200003761 U KR2020200003761 U KR 2020200003761U KR 20200003761 U KR20200003761 U KR 20200003761U KR 20220000927 U KR20220000927 U KR 202200009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hole
buckle
ten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728Y1 (ko
Inventor
최종기
오현조
Original Assignee
최종기
오현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기, 오현조 filed Critical 최종기
Priority to KR2020200003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28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 시인장치 없이도 충분한 식별력을 제공하여, 야간에 텐트 구조물 주변으로 통행하는 사람이 쉽게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해 발이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컨대, 구축된 텐트 구조물이 전도되는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시 스트랩이 쉽게 꼬이고 엉키는 것을 억제해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랩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트용 장력 스트랩{Tention strap for tent}
본 고안은 텐트의 지주와 팩 사이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트용 장력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 시인장치 없이도 충분한 식별력을 제공하여, 야간에 텐트 구조물 주변으로 통행하는 사람이 쉽게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해 발이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컨대, 구축된 텐트 구조물이 전도되는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시 스트랩이 쉽게 꼬이고 엉키는 것을 억제해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텐트 구조물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거나 반대로 텐트 구조물을 이완시키는 작업을 누구나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 또는 타프 등으로 이루어진 텐트 구조물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주를 지면에 세우고 텐트 또는 타프에 형성된 원형 고리를 지주에 연결시킨 다음 로프를 잡아당겨 로프 끝단을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팩에 고정시켜 텐트 구조물을 구축하였다.
텐트 구조물 한 쪽이 기울어지거나 충분한 텐션이 부여되지 않았을 경우 로프를 단단하고 팽팽하게 당겨줄 수록 텐트 구조물에 텐션이 생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이와 같은 로프는 텐트 구조물의 구축을 위해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요소로서, 로프를 텐트 구조물에 많이 적용시킬수록 텐트 구조물은 보다 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로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얇은 노끈 형태로 이루어져 야간 시인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보관시 쉽게 엉켜 다시 사용할 때 엉킨 로프를 일일이 풀어가며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특히, 야간에 텐트 구조물 주변으로 통행할 때 로프를 미쳐 확인하지 못하고 로프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 경우, 심하게는 구축해놓은 텐트 구조물이 전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야간시 어두움 속에서도 로프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랜턴이나 기타 조명 불빛에 반사되어 시인성을 강화할 수 있는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축광식 시인장치(등록특허 제10-1558916호)를 로프에 적용시키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시인장치는 로프에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로프 외 시인장치의 추가 구매에 따른 비용발생을 피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볼 때 효용성이 떨어졌다.
등록특허 제10-1558916호
본 고안은 상기 종래 텐트용 로프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별도 시인장치 없이도 충분한 식별력을 제공하여, 야간에 텐트 구조물 주변으로 통행하는 사람이 쉽게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해 발이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컨대, 구축된 텐트 구조물이 전도되는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시 스트랩이 쉽게 꼬이고 엉키는 것을 억제해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텐트 구조물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거나 반대로 텐트 구조물을 이완시키는 작업을 누구나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텐트의 지주 상단과 지면에 식립된 팩을 연결시켜 지주와 팩 사이에 장력을 부여하는 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상단에 걸리는 제1 고정부; 상기 팩에 걸리는 제2 고정부; 내부가 개방되고 일측 변부에 논슬립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논슬립돌기의 일측으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프레임 내부 공간을 제1 통과공, 제2 통과공 및 제3 통과공으로 구획 형성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버클; 소정의 전폭을 가지고 일단은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클의 제1 지지대에 연결되는 띠 형태의 제1 스트랩; 소정의 전폭을 가지고 일단은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사이인 제2 통과공을 통과한 다음 이어서 제3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논슬립돌기에 접촉된 다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스트랩; 및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버클의 일측을 들어 올려 제2 스트랩에서 논슬립돌기를 이격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스트랩의 일단에는 폐쇄 루프 형태의 제1 파지고리가 형성되고, 제2 스트랩의 타단에는 폐쇄 루프 형태의 제2 파지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고정부는 삼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1 스트랩의 일단이 통과하는 슬릿 형태의 제2 고정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파지고리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원형의 폐쇄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 스트랩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제1 파지고리를 걸어 고정시키는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제2 스트랩의 외측에 끼워지되, 제2 스트랩이 통과하도록 일측으로 절개홈이 절개되는 밴드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의 외측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지고리가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 얇은 로프 대비 소정의 장폭을 가지는 띠 형태의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의 구성에 의해 별도 시인장치 없이도 충분한 식별력을 제공하여, 야간에 텐트 구조물 주변으로 통행하는 사람이 쉽게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해 발이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컨대, 구축된 텐트 구조물이 전도되는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시 스트랩이 쉽게 꼬이고 엉키는 것을 억제해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에 로고 등의 인쇄도 가능하여 심미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핸들을 잡고 버클을 들어 올리면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버클의 기울기를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트랩과 논슬립돌기를 이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스트랩의 장력 해제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로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버클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버클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클립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스트랩이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의 클립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종래 로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버클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버클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클립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스트랩이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의 클립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은 텐트의 지주(2) 상단과 지면에 식립된 팩(4)을 연결시켜 지주(2)와 팩(4) 사이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텐트 구조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은 크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 제2 고정부(70), 버클(20), 제1 스트랩(30), 제2 스트랩(40) 및 핸들(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제1 고정부(10)는 지주(2)의 상단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충분한 장력에 견고히 견디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고정부(10)는 삼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주(2)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핀(3)이 삽입되는 제1 고정홀(11) 및 상기 제1 스트랩(30)의 일단이 통과하는 슬릿 형태의 제2 고정홀(12)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홀(11)을 고정핀(3)에 걸어 제1 고정부(10)를 지주(2)의 상단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고정홀(12)은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소정의 장폭이 있는 제1 스트랩(30)을 무리 없이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버클(20)은 제1 스트랩(30)과 제2 스트랩(40) 사이에서 연결 매개체 역할을 담당하며, 일례로, 내부가 개방되고 일측 변부에 논슬립돌기(21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논슬립돌기(21a)의 일측으로 체결공(21b)이 관통 형성되는 프레임(21), 상기 프레임(21) 내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프레임(21) 내부 공간을 제1 통과공(S1), 제2 통과공(S2) 및 제3 통과공(S3)으로 구획 형성하는 제1 지지대(22) 및 제2 지지대(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버클(20)은 내부가 빈 프레임(21) 내부에서 제1 지지대(22)와 제2 지지대(23)가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1 지지대(22)와 제2 지지대(23) 주변으로 제1 통과공(S1), 제2 통과공(S2) 및 제3 통과공(S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도 5를 기준으로 제1 지지대(22)와 제2 지지대(23) 사이 공간을 제2 통과공(S2)으로, 제1 지지대(22)와 프레임(21)의 우측 변부 사이의 공간을 제1 통과공으로(S1), 제2 지지대와 프레임(21)의 좌측 변부 사이의 공간을 제3 통과공(S3)으로 정의한다.
제1 지지대(22)에는 제1 스트랩(30)의 타단이 둘러져 고정되고, 제2 지지대(23)에는 제2 스트랩(40)이 슬립 가능하게 둘러지게 된다.
논슬립돌기(21a)는 프레임(21)의 일측 변부, 보다 구체적으로, 도 6를 기준으로 프레임(21)의 좌측 변부 하면에 형성되며 버클(20)을 통과하는 제2 스트랩(40)에 마찰저항을 가해 버클(20)의 기울기에 따라 제2 스트랩(4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즉, 제2 스트랩(40)이 논슬립돌기(21a)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 제2 스트랩(40)의 이동이 제한되어 제2 스트랩(40)의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스트랩(40)이 논슬립돌기(21a)에서 이격되는 순간 구속이 풀리면서 제2 스트랩(40)이 이완될 수 있다.
논슬립돌기(21a)는 제2 스트랩(40)에 마찰저항을 가할 수 있는 선에서, 예컨대, 복수의 날카로운 요철들로 예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스트랩(30)은 소정의 전폭을 가지는 긴 띠 형태의 부재로서, 제1 고정부(10)와 버클(20)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제1 스트랩(30)의 일단은 제2 고정홀(12)을 통과한 다음 제1 고정부(10)의 변부에 감겨 제1 고정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통과공(S1)과 제2 통과공(S2)을 연이어 통과한 다음 제1 지지대(22)에 감겨 제1 지지대(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30)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 고정부(10) 및 버클(20)이 연결되어 있어 제1 스트랩(30) 자체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나, 제2 스트랩(40)의 경우 일단은 제2 고정부(70)에 연결되어 있지만 타단은 버클(20)을 통과해 자유단 형태로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당기거나 풀 수 있게 구성되며, 이와 같은 조작으로 팩(4)과 지주(2) 사이의 장력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2 스트랩(40)은 소정의 전폭을 가지는 긴 띠 형태의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제2 고정부(7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클(20)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대(22)와 제2 지지대(23) 사이인 제2 통과공(S2)을 통과한 다음 이어서 제3 통과공(S3)을 통과하여 제2 지지대(23)에 둘러지고, 이어서, 상기 논슬립돌기(21a)에 접촉된 다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스트랩(40)을 잡고 당기게 되면 제2 스트랩(40)이 버클(20)을 통과해 잡아 당기는 측으로 끌려오면서 스트랩에 장력이 부여된다.
장력이 부여된 후로는 제2 스트랩(40)이 논슬립돌기(21a)에 강하게 접촉되어 제2 스트랩(40)이 구속되며, 이에 따라 스트랩의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논슬립돌기(21a)와의 마찰저항을 높이기 위해 제2 스트랩(40)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그 자체가 거칠고 불규칙한 표면질감을 가지는 재료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제1 스트랩(30)과 제2 스트랩(40)은 소정의 전폭을 가지는 띠 형 부재이므로, 종래 로프와 대비했을 때 육안으로 보다 쉽게 인지가 가능하며 특히, 야간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켜 야간에 텐트 구조물 주변으로 통행하는 사람이 쉽게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해 스트랩에 발이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트랩의 보관시 스트랩이 쉽게 꼬이고 엉키는 것을 억제해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스트랩(40)의 일단에는 폐쇄 루프 형태의 제1 파지고리(41)가 형성되고, 제2 스트랩(40)의 타단에는 폐쇄 루프 형태의 제2 파지고리(4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지고리(42)의 경우 제2 스트랩(40)의 일단을 당기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팩(4)과 지주(2) 사이에 상대적으로 강한 장력이 요구됨에 따라 제2 스트랩(40)의 타단을 당겨줄 때 제2 파지고리(42)를 손으로 파지해 파지력을 향상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제2 스트랩(40)을 당겨줄 수 있다.
제1 파지고리(41)의 경우 상기 제2 고정부(70)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고정부(70)는 원형의 폐쇄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종류의 팩(4)에 범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제1 파지고리(41)는 제2 고정부(70)를 매개로 지면에 식립된 팩(4)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핸들(50)은 상기 체결공(21b)에 체결되며 상기 버클(20)의 일측을 들어 올려 제2 스트랩(40)에서 논슬립돌기(21a)를 이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버클(20)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장력이 부여되어 스트랩이 팽팽하게 당겨진 긴장 상태에서는 논슬립돌기(21a)가 형성된 부분이 제2 스트랩(40)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있고, 제1 스트랩(30)과 제2 스트랩(40)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버클(20)에 인장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버클(20)을 손으로 조작하여 버클(20)의 기울기를 변경시켜 논슬립돌기(21a)에 의해 구속된 제2 스트랩(40)의 구속을 해제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에, 버클(20)과는 별개로 버클(20)의 외측으로 핸들(50)을 길게 늘어지게 구성하여 늘어진 핸들(50)을 잡고 버클(20)을 들어 올리면 버클(20)의 기울기를 손쉽게 변경시켜 제2 스트랩(40)과 논슬립돌기(21a)를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버클(20)은 기울기에 따라 논슬립돌기(21a)로 제2 스트랩(40)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데, 만일, 핸들(50)을 이용해 버클(20)을 들어 올려 기울기를 변경시키면 되면 제2 스트랩(40)과 논슬립돌기(21a)가 이격되면서 제2 스트랩(4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게 되어 스트랩을 이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은 팩(4)과 지주(2) 사이의 장력 부여는 물론이고, 장력 해제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트랩(40)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제1 파지고리(41)를 걸어 고정시키는 클립(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트랩(40)의 외측에 끼워지되, 제2 스트랩(40)이 통과하도록 일측으로 절개홈(63)이 절개되는 밴드부재(61) 및 상기 밴드부재(61)의 외측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파지고리(41)가 걸리는 걸림부재(6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클립(60)은 스트랩의 보관을 위해 스트랩을 접철 또는 롤 형태로 말아 권취시켜놨을 때 이 상태에서 스트랩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을 롤 형태로 말아 권취시킨 다음 제2 스트랩(40)의 끝단,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스트랩(40)의 제1 파지고리(41)를 클립(60)의 걸림부재(62)에 걸어 보관하게 될 경우 롤 형태로 권취된 스트랩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스트랩(40) 상에서 클립(6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밴드부재(61)에 형성된 절개홈(63)으로 제2 스트랩(40)을 빠져나가게 하면 클립(60)을 제2 스트랩(40)에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스트랩을 설치하기 위해 기립된 지주(2)의 상단 고정핀(3)에 제1 고정부(10)를 걸어 고정하고, 이어서 지면에 식립된 팩(4)에 제2 고정부(70)를 걸어 고정시킨다.
제1 고정부(10)와 제2 고정부(70)가 각각 지주(2)와 팩(4)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제2 파지고리(42)에 손을 넣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W1)으로 제2 스트랩(40)을 당긴다. 그러면 제2 스트랩(40)은 제1 방향(S1)으로 당겨지면서 스트랩 자체에 장력이 부여되고 텐트 구조물에 텐션이 부여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2 스트랩(40)의 당기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버클(20)의 논슬립돌기(21a)가 제2 스트랩(40)을 강하게 압박하므로 제2 스트랩(40)이 제자리 구속되어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텐트 구조물의 해체 등의 이유로 스트랩을 이완시키고자 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50)을 잡고 제2 방향(W2)으로 버클(20)을 들어 올리게 되면 버클(20)의 기울기가 변경되면서 제2 스트랩(40)을 구속하고 있던 논슬립돌기(21a)가 제2 스트랩(40)으로부터 이격되어 제2 스트랩(40)이 제3 방향(W3)을 따라 버클(20)에서 풀려나가면서 팩(4)과 지주(2) 사이에 부여된 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트랩이 이완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은 제2 스트랩(40)을 단순히 당겨주기만 하면 텐트 구조물을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핸들(50)을 단순히 들어 올리기만 하면 텐트 구조물을 이완시킬 수 있어 손쉬운 조작성을 제공한다.
정리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은 종래 얇은 로프 대비 소정의 장폭을 가지는 띠 형태의 제1 스트랩(30)과 제2 스트랩(40)의 구성에 의해 별도 시인장치 없이도 충분한 식별력을 제공하여, 야간에 텐트 구조물 주변으로 통행하는 사람이 쉽게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해 발이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컨대, 구축된 텐트 구조물이 전도되는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시 스트랩이 쉽게 꼬이고 엉키는 것을 억제해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스트랩(30)과 제2 스트랩(40)에 로고 등의 인쇄도 가능하여 심미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50)을 잡고 버클(20)을 들어 올리면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버클(20)의 기울기를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트랩(40)과 논슬립돌기(21a)를 이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스트랩의 장력 해제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제1 고정부
20: 버클
30: 제1 스트랩
40: 제2 스트랩
50: 핸들
60: 클립
70: 제2 고정부
21: 프레임
22: 제1 지지대
23: 제2 지지대

Claims (5)

  1. 텐트의 지주 상단과 지면에 식립된 팩을 연결시켜 지주와 팩 사이에 장력을 부여하는 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상단에 걸리는 제1 고정부;
    상기 팩에 걸리는 제2 고정부;
    내부가 개방되고 일측 변부에 논슬립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논슬립돌기의 일측으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프레임 내부 공간을 제1 통과공, 제2 통과공 및 제3 통과공으로 구획 형성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버클;
    소정의 전폭을 가지고 일단은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클의 제1 지지대에 연결되는 띠 형태의 제1 스트랩;
    소정의 전폭을 가지고 일단은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사이인 제2 통과공을 통과한 다음 이어서 제3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논슬립돌기에 접촉된 다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스트랩; 및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버클의 일측을 들어 올려 제2 스트랩에서 논슬립돌기를 이격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장력 스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의 일단에는 폐쇄 루프 형태의 제1 파지고리가 형성되고, 제2 스트랩의 타단에는 폐쇄 루프 형태의 제2 파지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장력 스트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삼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주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1 스트랩의 일단이 통과하는 슬릿 형태의 제2 고정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장력 스트랩.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파지고리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원형의 폐쇄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장력 스트랩.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제1 파지고리를 걸어 고정시키는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제2 스트랩의 외측에 끼워지되, 제2 스트랩이 통과하도록 일측으로 절개홈이 절개되는 밴드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의 외측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지고리가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장력 스트랩.
KR2020200003761U 2020-10-21 2020-10-21 텐트용 장력 스트랩 KR200495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61U KR200495728Y1 (ko) 2020-10-21 2020-10-21 텐트용 장력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61U KR200495728Y1 (ko) 2020-10-21 2020-10-21 텐트용 장력 스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27U true KR20220000927U (ko) 2022-04-28
KR200495728Y1 KR200495728Y1 (ko) 2022-08-03

Family

ID=8138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761U KR200495728Y1 (ko) 2020-10-21 2020-10-21 텐트용 장력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53Y1 (ko) * 2022-10-06 2023-02-24 한경환 타프용 폴대 체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1377A1 (en) * 2002-04-24 2003-10-30 Davis Philip H. Tie-down strap
US20040211453A1 (en) * 2003-04-22 2004-10-28 Guido Anthony L. Cleat for a tent
CN1611161A (zh) * 2003-10-28 2005-05-04 株式会社利富高 带子连接扣中的指钩部分一侧的结构
KR101558916B1 (ko) 2014-05-13 2015-10-08 주식회사 베오스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축광식 시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1377A1 (en) * 2002-04-24 2003-10-30 Davis Philip H. Tie-down strap
US20040211453A1 (en) * 2003-04-22 2004-10-28 Guido Anthony L. Cleat for a tent
CN1611161A (zh) * 2003-10-28 2005-05-04 株式会社利富高 带子连接扣中的指钩部分一侧的结构
KR101558916B1 (ko) 2014-05-13 2015-10-08 주식회사 베오스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축광식 시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53Y1 (ko) * 2022-10-06 2023-02-24 한경환 타프용 폴대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28Y1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1491A (en) Descent controller
US6345418B1 (en) Rope hook
US20070209165A1 (en) Tie-down and tensioning system
US8079116B2 (en) Tie-down strap device
EP3797202B1 (en) Fall control ladder
US86507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flexible panel
JP6533641B2 (ja) 巻取式墜落防止器を用いた墜落防止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ハーネス型安全帯
US9874039B2 (en) Sheet material fastener device
CA2377297C (en) Tie down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883568B1 (en) Sheet-securing device
KR200495728Y1 (ko) 텐트용 장력 스트랩
US49535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king articles to a ground surface
US4685500A (en) Cleat cover
US20080110000A1 (en) Rope tightener and self locking rope tie down device
JP3117489U (ja) 盗難防止具
US20180094696A1 (en) Knotless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3364529A (en) Rope lock clamp
JP4420802B2 (ja) 樹上作業の墜落防止方法
JPH02306892A (ja) アンカーの根がかり解放装置
US6332471B1 (en) Fixing structure for large-size sunshade
JP2002325516A (ja) 雪吊り具
JP2607619Y2 (ja) ロープ万力
KR101578715B1 (ko) 화물 고정용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200441463Y1 (ko)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
US20210107609A1 (en) Horizontal Rescu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