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78U -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 Google Patents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78U
KR20220000878U KR2020200003684U KR20200003684U KR20220000878U KR 20220000878 U KR20220000878 U KR 20220000878U KR 2020200003684 U KR2020200003684 U KR 2020200003684U KR 20200003684 U KR20200003684 U KR 20200003684U KR 20220000878 U KR20220000878 U KR 202200008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lay
stool
variab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628Y1 (ko
Inventor
이인석
Original Assignee
이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석 filed Critical 이인석
Priority to KR2020200003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28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4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47F5/0068Shelf extensions, e.g. fixed on price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9/00Shop, bar, bank or like counters
    • A47F9/005Shop, bar, bank or like counters with exten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4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having four vertical upr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는 사각형으로 배치된 4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중앙에 설치된 중앙진열판과, 상기 중앙진열판의 측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측부진열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측부진열판의 하부에서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4개의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 측부를 덮는 접힌 상태와, 내측부가 상기 측부진열판의 하면에 겹쳐지고 외측부는 상기 측부진열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펼쳐진 상태로 형태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펼쳐진 상태로 형태변형하여 진열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면적가변판; 스툴바디와, 상기 스툴바디의 상부에 높이조절가능한 좌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판이 상기 스툴바디의 상단에 접하도록 최하단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객이 착석하는 의자기능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좌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좌판이 측부진열판의 외측부 하면을 접촉지지하거나 상기 좌판이 상기 측부진열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추가으로 진열면적의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sale table with adjustable display area}
본 고안은 물품을 진열해 판매하기 위한 매대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한 진열면적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낮에는 면적을 확대시킨 상태에서 물품 진열면적을 늘려서 물품판매를 위한 매대기능으로 사용하고, 밤에는 진열면적을 축소시켜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서 겸용하도록 개선된 매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대는 백화점, 쇼핑센터, 대형할인 매장은 물론 재래시장 등에서 물품을 진열해 전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되는 것으로서, 사각 박스형상을 이루는 본체의 상부로 물품을 올릴 수 있는 진열판이 결합되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품 판매용 매대에 대해 등록특허 10-1867229호, 등록실용신안 20-0481115호, 공개특허 10-2020-0036962호, 등록번호 20-0163576호, 등록실용신안 20-049190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매대는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진열판이 가변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진열면적을 조절할 수가 없고 이에 따라, 한정된 진열면적을 통해서만 진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시 진열면적을 용도에 따라 정해서 설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매대는 단순히 매대 기능만을 할 뿐, 포장마차 영업을 위한 취식테이블로서는 사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재래시장은 장소가 한정되어 있는 곳으로서 낮에는 물품을 매대에 진열해 판매하다가, 밤이 되면 매대를 정리하고 이동시킨 후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들을 별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낮에 사용한 매대를 이동시켜 보관해둘 장소가 마땅치 않고, 매대를 정리하고 이동시키고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을 설치해야 하는 등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867229호 등록실용신안 20-0481115호 공개특허 10-2020-0036962호 등록번호 20-0163576호 등록실용신안 20-0491904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진열면적의 용이한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진열면적을 늘려서 물품 판매를 위한 매대기능으로서 사용다가 필요에 따라 진열면적을 줄이도록 형태변형시켜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서 사용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매대 본체에 네 측면에 접철가능한 면적가변판을 구성하여 가변판을 펼쳐서 진열면적의 증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진열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장마차 취식테이블로 사용시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한 의자용도가 되고, 매대기능으로서 사용시에는 펼쳐진 면적가변판의 말단부를 지지하거나 면적가변판의 외측에 연장되어 추가적으로 진열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스툴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포장마차 취식테이블과 매대기능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진열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는 사각형으로 배치된 4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중앙에 설치된 중앙진열판과, 상기 중앙진열판의 측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측부진열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측부진열판의 하부에서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4개의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 측부를 덮는 접힌 상태와, 내측부가 상기 측부진열판의 하면에 겹쳐지고 외측부는 상기 측부진열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펼쳐진 상태로 형태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펼쳐진 상태로 형태변형하여 진열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면적가변판; 스툴바디와, 상기 스툴바디의 상부에 높이조절가능한 좌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판이 상기 스툴바디의 상단에 접하도록 최하단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객이 착석하는 의자기능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좌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좌판이 측부진열판의 외측부 하면을 접촉지지하거나 상기 좌판이 상기 측부진열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추가으로 진열면적의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개의 수직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지붕지지대; 상기 지붕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면적가변판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면적가변판의 측면과 상기 지붕지지대의 상단을 연결하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툴은, 상기 좌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스툴바디의 내부에 삽입된 정도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바;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바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툴바디의 측면 일측에는 높이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바가 높이조절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상기 높이조절공과 상기 높이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좌판의 높이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툴바디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툴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용 바퀴가 구성되고, 상기 스툴바디와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스툴이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면적가변판을 펼치거나 접어서, 진열면적을 확대시킨 상태에서 많은 양의 물품을 진열해 판매하는 매대기능으로서 사용하거나,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서 사용할 수 있어, 재래시장 등에서 낮에는 물품판매용 매대로 사용하고 저녁에는 형태변형시켜 별도의 포장마차의 이동설치 없이 포장마차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면적가변판을 펼쳐 진열면적을 확대시킨 상태로 사용할 때, 면적가변판을 지붕지지대에 위치고정수단으로 연결하여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툴의 좌판 높이를 조절하여 면적가변판의 하면을 접촉지지하도록 하여 면적가변판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물품진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스툴의 높이를 조절하여 면적가변판의 외측으로 동일높이게 되도록 함으로써, 면적가변판과 더불어 추가적인 진열면적의 확대가 이루어지게 하여 더욱더 많은 물품진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툴이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본체부와 연결되어 소정거리 이상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며, 아울러, 본체 내부에 물품을 보관함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스툴바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물품보관공간이 구비되어 물품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로서, 포장마차 취식테이블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를 매대기능으로서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면적가변판의 접철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를 물품판매용 매대로 사용하기 위한 면적가변판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에서 스툴을 펼쳐진 면적가변판의 외측에 배치하여 추가적으로 진열면적을 증가시킨 형태로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스툴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매대에서 모서리면적 확장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면적가변판에 대한 모서리면적 확장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모서리면적 확장수단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10)는 본체부(101), 면적가변판(120), 스툴(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체부(101)는 수직프레임(102), 중앙진열판(104), 측부진열판(10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직프레임(102)은 4개로 구성되어 매대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사각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진열판(104)은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4개의 수직프레임(102) 내측에서 각 모서리가 4개의 수직프레임(102) 각각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물품의 진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측부진열판(106)은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4개로 구성되어, 중앙진열판(104)의 네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각각의 측부진열판(106)은 내측단이 중앙진열판(104)의 외측단과 접하도록 구성되며, 내측부의 양측단이 서로 이웃하는 두 수직프레임(102)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측부진열판(106)은 중앙진열판(104)의 외측방으로 진열면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며, 아울러, 포장마차 취식테이블로 사용시 포장마차 고객들이 음식을 올려 놓고 음식을 취식하는 테이블로서 기능하게 된다.
아울러, 각 수직프레임(102)의 하단에는 캐스터(103)가 구비되어, 매대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수직프레임(102)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4개의 수직프레임(102)이 이루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저장판(105)이 구성된다. 물품저장판(105)은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모서리부가 각 수직프레임(102)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물품저장판(105) 상부에 물품을 올려 4개수직프레임(102) 내측 공간에 물품을 저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중앙진열판(104)과 측부진열판(106)의 상부에 지붕부(110)가 구성되며, 지붕부(110)는 각 수직프레임(102)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지붕지지대(115)의 상단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붕부(110)의 하부에는 중앙진열판(104)과 측부진열판(106)에 조명광을 제공하여 진열된 물품을 부각시키거나, 포장마차 취식테이블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조명등(117)이 설치된다.
면적가변판(120)은 4개로 구성되며, 각각은 측부진열판(106)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진열판(104) 또는 측부진열판(106)의 하면에 힌지(h)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회동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면적가변판(120)의 상단과 중앙진열판(104)의 외측단 하면 또는 측부진열판(106)의 내측단 하면과 힌지(h)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수직하게 세워져 4개의 수직프레임(102)의 내부공간 측부를 덮도록 이웃하는 두 수직프레임(102)의 측면을 연결하는 제1위치(접힌 위치)와, 수직프레임(102)의 외측방으로 90도 회전되어 내측부가 측부진열판(106)의 하면과 겹쳐지며 외측부가 측부진열판(106)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2위치(펼쳐진 위치)로 위치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면적가변판(120)은 수직하게 세워져 4개의 수직프레임(102)의 내부공간 측부를 덮도록 이웃하는 두 수직프레임(102)의 측면을 연결하는 제1위치 상태일때, 수직프레임(102)과 면적가변판(120)의 연결되는 부분에는 시건장치가 설치되어, 시건장치를 통해 면적가변판(120)을 수직프레임(102)에 잠궈서 물품저장판(105)에 올려져 수직프레임(102) 내부의 보관된 물품들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측부진열판(106)의 내측단에서 외측단까지의 길이는 330mm로 이루어지고, 면적가변판(120)은 내측단에서 외측단까지의 길이가 800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면적가변판(120)을 도 2와 같이 펼쳐진 위치로 하면 면적가변판(120)의 외측부가 470mm만큼 측부진열판(106)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매대는 낮에는 물품을 진열하는 매대기능으로서 사용하다가, 밤에는 포장마차 영업을 위한 취식테이블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도 2와 같이, 낮에는 각각의 면적가변판(120)을 펼쳐서 내측부가 측부진열판(106)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제2위치로 변형시킨 후, 중앙진열판(104), 측부진열판(106)과 더불어 면적가변판(120)의 외측부 상에 물품을 올려 진열해 물품을 판매하는 매대기능으로서 사용다가, 밤에는 도 1과 같이 각각의 면적가변판(120)을 접어서 수직상태가 되도록 하여 측부진열판(106)을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서 사용하여 포장마차 영업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면적가변판(120)을 펼친 상태가 되게 하여 진열면적으로 넓혀 물품을 진열량을 많게 하여 매대기능으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필요에 따라 면적가변판(120)을 접어서 측부진열판(106)을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서 사용하여 포장마차 영업을 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매대와 포장마차를 별도로 구비하여 한정된 장소에 교대로 설치하고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재래시장등에서 낮에는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대로 사용하고 저녁에는 음식등을 판매하는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서 형태변형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아울러, 면적가변판(120)을 접어서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 사용할 때, 낮에 진열했던 물품들은 4개의 수직프레임(102) 내부 하측에 구비된 물품저장판(105)에 올려보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면적가변판(120)은 4개의 수직프레임(102)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덮어주어 지저분해 보이지 않고 깔끔하게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본 고안은 각각의 면적가변판(120)의 측면과 지붕지지대(115)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면적가변판(120)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125)이 구성된다. 이 위치고정수단(125)은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소와이어에 합성수지가 피복된 와이어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끈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금속 체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치고정수단(125)의 양단에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가 구비되고, 면적가변판(120)의 측면과 지붕지지대(115)의 상부 측면 각각에는 원형링형태의 고리가 구성되어, 위치고정수단(125)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 각각을 면적가변판(120)의 측면에 구성된 고리와 지붕지지대(115)의 상부 측면에 구성된 고리에 걸어서 면적가변판(120)과 지붕지지대(115)를 연결함으로써 면적가변판(12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면적가변판(120)의 내측부 상면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며, 면적가변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측부진열판(106)의 하면과 밀착되어 측부진열판(106)과의 밀착도를 높이고 측부진열판(106)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122)가 코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툴(130)은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형태의 의자로서,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매대를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서 사용하는 경우, 포장마차 이용객의 착석을 위한 의자용도로서 사용하고,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매대를 매대기능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면적가변판(120)의 외측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지지하여 면적가변판(120)의 쳐짐을 방지하거나, 면적가변판(120)의 외측에서 면적가변판(120)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하여 면적가변판(120)의 외측에 추가적으로 진열면적을 넓게 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스툴(13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져, 본체부(101) 내부 즉 물품저장판(105)에 물품을 보관하는 것과 더불어 내부에 추가적인 물품보관공간을 구비하며, 하단에 이동용 바퀴(132)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툴바디(131)와, 이 스툴바디(131)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13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스툴(130)은 좌판(134)이 스툴바디(131)에 대해 상부로 높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좌판(134)의 하면에는 다수의 길이조절바(135)가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길이조절바(135)에는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높이조절공(135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스툴바디(131)의 측면에는 높이고정공(136)이 구성되어, 길이조절바(135)가 스툴바디(131)의 내부에 삽입된 정도를 조절한 후, 서로 일치하는 높이조절공(135a)과 높이고정공(136)에 핀형태의 고정부재(137)를 삽입결합시켜 좌판(134)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37)는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서로 일치하는 높이조절공(135a)과 높이고정공(136)에 삽입하여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높이조절공(135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고, 고정부재(137)를 볼트로 구성하여, 고정부재(137)를 높이고정공(136)에 통과시킨 후, 높이 일치하는 높이조절공(135a)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면적가변판(120)을 4개 수직프레임(102)의 내부공간 측부를 덮도록 수직하게 변형시킨 상태(접힌 위치)로 하여 포장마차용 취식테이블로서 사용할 경우, 스툴(130)은 좌판(134)을 스툴바디(131)의 상단에 접하도록 최하단 높이에 배치시켜 포장마차 이용객의 착석할 수 있는 의자기능으로 사용한다.
또한, 도 2와 같이, 각각의 면적가변판(120)을 펼쳐서 측부진열판(106)의 외측으로 면적가변판(120)이 연장되도록 하고, 중앙진열판(104), 측부진열판(106), 면적가변판(120) 상에 물품을 진열하여 매대기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3의 (b)와 같이, 스툴(130)의 좌판(134)의 상면높이를 펼쳐진 면적가변판(120)의 하면높이와 동일하도록 높이조절하고, 면적가변판(120)의 외측부 하면을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면적가변판(120)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하거나, 도 5와 같이 좌판(134)의 상면 높이를 면적가변판(120)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도록 높이조절하고, 스툴(130)을 면적가변판(120)의 외측에 배치하여 좌판(134)이 면적가변판(120)의 외측으로 연결되어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진열면적을 넓혀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스툴(130)은 스툴바디(138)와 수직프레임(138)을 연결하여 스툴(130)이 본체부(101)로부터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탈하는 것은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8)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38)는 합성수지재의 노끈, 금속 와이어, 로프, 체인 등 다양한 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단 각각에 후크나 카라비너 등이 구비되어, 스툴바디(138)와 수직프레임(138)에 구성된 고리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스툴(130)은 본체부(101)의 전후에 2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01)의 전후 및 좌우에 4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스툴은 스툴바디(131)의 내측면에 길이조절바(135)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141)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수단(141)은 길이조절바(135)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는 관체형태로 이루어지며, 스툴바디(131)의 내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높이고정공(136)과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고정부재(137)가 높이고정공(136) 및 가이드수단(141)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높이조절공(135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스툴은 가이드수단(141)의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조절바(135)의 하단과 스툴바디(131)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부(134)가 상부로 이동하게 하게 하는 탄성수단(143)이 구성될 수 있다.
탄성수단(143)은 코일스프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조절바(135)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며, 도 1과 같이 좌판(134)의 최하단높이 배치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탄성수단(143)이 압축되도록 좌판(134)을 힘으로 눌러서, 강제로 좌판(134)이 스툴바디(131)의 상단에 접하게 한 후, 고정부재(137)로 좌판(134)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좌판(134)의 높이를 높일 경우, 고정부재(137)를 분리하면, 온전히 사용자가 좌판(134)을 사용자의 힘으로만 들어올릴 필요 없이 탄성수단(143)의 탄성력에 의해 보다 힘을 덜 들이면서 좌판(134)의 높이를 높인 후, 고정부재(137)로 좌판(134)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의 매대는 도 2와 같이 면적가변판(120)을 펼쳐 진열면적을 넓힌 상태로 사용할 경우, 이웃하는 두 면적가변판(120) 사이의 모서리공간이 비어 있는 형태가 되며, 이 비어 있는 모서리 공간에는 물품을 진열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제 2 실시 예의 매대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펼쳐진 상태의 이웃하는 두 면적가변판(120) 사이에도 물품을 진열할 수 있는 모서리 진열수단(151,154)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모서리 진열수단(151,154)은 이웃하는 두 면적가변판(120)에서 각각 인출가능되어 서로 연결되는 지지판(151)과 모서리 진열판(15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지지판(151)은 이웃하는 두 면적가변판(120) 중 일측의 면적가변판(120)의 측면에 형성된 제1슬롯(s1)을 통해 면적가변판(12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면적가변판(120) 내부로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외측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단턱(15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모서리 진열판(154)은 부채꼴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두 면적가변판(120) 중 타측의 면적가변판(120)의측면에 형성된 제2슬롯(s2)을 통해 면적가변판(12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면적가변판(120) 내부로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1단턱(152)과 마주하는 측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단턱(152)과 연결되는 제2단턱(15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각각의 면적가변판(120)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면적가변판(120)에 인입되어 있는 지지판(151)과 모서리 진열판(154)을 인출시키도록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sa,sb)이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면적가변판(120)이 모두 펼친 다음, 도 8과 같이, 이웃하는 두 면적가변판(120) 중 일측의 면적가변판(120)에 인입되어 있는 지지판(151)을 인출시키고, 이후, 도 9와 같이, 타측의 면적가변판(120)에 인입되어 있는 모서리 진열판(154)을 인출시키게 되면, 도 11과 같이, 제2단턱(155)이 제1단턱(152)와 연결되면서, 지지판(151)과 모서리 진열판(154)의 연결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9와 같이 이웃하는 두 면적가변판(120) 사이 공간에 모서리 진열수단(151,154)이 설치되어, 모시러 진열수단(151,54)을 통해 진열면적이 더욱 넓어지게 되어 보다 많은 물품을 진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본체부
102...수직플게임
103...캐스터
104...중앙진열판
106...측부진열판
110...지붕부
115...지붕지지대
117...조명등
120...면적가변판
125...위치고정수단
130...스툴
131...스툴바디
132...이동용바퀴
134...좌판
135...길이조절바
135a...높이조절공
136...높이고정공
137...고정부재
138...이탈방지부재
141...가이드수단
143...탄성수단

Claims (5)

  1. 사각형으로 배치된 4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중앙에 설치된 중앙진열판과, 상기 중앙진열판의 측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측부진열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측부진열판의 하부에서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4개의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 측부를 덮는 접힌 상태와, 내측부가 상기 측부진열판의 하면에 겹쳐지고 외측부는 상기 측부진열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펼쳐진 상태로 형태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펼쳐진 상태로 형태변형하여 진열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면적가변판;
    스툴바디와, 상기 스툴바디의 상부에 높이조절가능한 좌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판이 상기 스툴바디의 상단에 접하도록 최하단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객이 착석하는 의자기능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좌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좌판이 측부진열판의 외측부 하면을 접촉지지하거나 상기 좌판이 상기 측부진열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추가으로 진열면적의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수직프레임 각각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지붕지지대;
    상기 지붕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가변판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면적가변판의 측면과 상기 지붕지지대의 상단을 연결하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툴은, 상기 좌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스툴바디의 내부에 삽입된 정도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바;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바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툴바디의 측면 일측에는 높이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바가 높이조절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상기 높이조절공과 상기 높이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좌판의 높이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툴바디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툴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용 바퀴가 구성되고,
    상기 스툴바디와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스툴이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KR2020200003684U 2020-10-15 2020-10-15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KR200495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84U KR200495628Y1 (ko) 2020-10-15 2020-10-15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84U KR200495628Y1 (ko) 2020-10-15 2020-10-15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78U true KR20220000878U (ko) 2022-04-22
KR200495628Y1 KR200495628Y1 (ko) 2022-07-11

Family

ID=8138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684U KR200495628Y1 (ko) 2020-10-15 2020-10-15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9919A (zh) * 2022-06-21 2022-08-19 杭州东盛五金电器有限公司 一种机架托板结构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76Y1 (ko) 1999-07-13 2000-02-15 추운희 이동판매대
KR20030001158A (ko) * 2001-06-28 2003-01-06 (주)디포그 컴퓨터용 테이블의 보조 기기 설치용 받침판 체결장치
KR200321318Y1 (ko) * 2003-05-06 2003-07-28 이종녕 전기 통신장비 측정기용 테이블 및 의자
KR200463570Y1 (ko) * 2012-01-20 2012-11-13 송광헌 테이블 겸용 침대
KR20130102321A (ko) * 2012-03-07 2013-09-17 조일훈 전동 가판대
KR101465774B1 (ko) * 2014-06-05 2014-12-10 (주)아이지코리아 이동식 조리카트
KR20150051027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연우드 다기능 평상
KR20150126180A (ko) * 2014-05-02 2015-11-11 이선구 이동식 홍보용 수레
KR200481115Y1 (ko) 2016-01-08 2016-08-16 주식회사 철수네 이동식 판매대
KR101867229B1 (ko) 2017-05-29 2018-06-12 박중식 이동식 매대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200036962A (ko) 2018-09-28 2020-04-08 (주)늘솜 디지털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전자매대
KR200491904Y1 (ko) 2018-12-03 2020-06-29 박태호 절첩식 매대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76Y1 (ko) 1999-07-13 2000-02-15 추운희 이동판매대
KR20030001158A (ko) * 2001-06-28 2003-01-06 (주)디포그 컴퓨터용 테이블의 보조 기기 설치용 받침판 체결장치
KR200321318Y1 (ko) * 2003-05-06 2003-07-28 이종녕 전기 통신장비 측정기용 테이블 및 의자
KR200463570Y1 (ko) * 2012-01-20 2012-11-13 송광헌 테이블 겸용 침대
KR20130102321A (ko) * 2012-03-07 2013-09-17 조일훈 전동 가판대
KR20150051027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연우드 다기능 평상
KR20150126180A (ko) * 2014-05-02 2015-11-11 이선구 이동식 홍보용 수레
KR101465774B1 (ko) * 2014-06-05 2014-12-10 (주)아이지코리아 이동식 조리카트
KR200481115Y1 (ko) 2016-01-08 2016-08-16 주식회사 철수네 이동식 판매대
KR101867229B1 (ko) 2017-05-29 2018-06-12 박중식 이동식 매대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200036962A (ko) 2018-09-28 2020-04-08 (주)늘솜 디지털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전자매대
KR200491904Y1 (ko) 2018-12-03 2020-06-29 박태호 절첩식 매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9919A (zh) * 2022-06-21 2022-08-19 杭州东盛五金电器有限公司 一种机架托板结构
CN114919919B (zh) * 2022-06-21 2024-04-19 杭州东盛五金电器有限公司 一种机架托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28Y1 (ko)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15595A (en) Display rack
US11745779B2 (en) Shopping cart
US8534205B1 (en) Folding table
WO2012092773A1 (zh) 垂直升降滑动折叠框架
US4890881A (en) Multi-position, foldable arm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inclination and seat height
US8281949B2 (en) Product display container having hinged side panels with a slidable gate member to selectively block access through a port in at least one side panel
US20160345739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0495628Y1 (ko)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EP1093742A1 (en) Display stand for lamp shades
US3395811A (en) Garment racks
KR101755304B1 (ko)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KR200410658Y1 (ko) 가변 접철식 진열대
US1601040A (en) Display stand
US2982420A (en) Collapsible serving tray attachment
US6189700B1 (en) Convertible pop-up display structure and shipping case convertible to a podium
US2222091A (en) Display rack
US3391797A (en) Knockdown rack
CN208807744U (zh) 一种便携式连体桌椅
US20190110611A1 (en) Shelv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and related methods
US2236753A (en) Convertible studio couch
US2779648A (en) Collapsible leg structure for attachment to a table top and the like
US10856656B2 (en) Foldable collapsible packing organizer
CN208573258U (zh) 桌子
CN211703881U (zh) 一种组合茶几
CN208740387U (zh) 一种便携式折叠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