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027A - 다기능 평상 - Google Patents

다기능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027A
KR20150051027A KR1020130132406A KR20130132406A KR20150051027A KR 20150051027 A KR20150051027 A KR 20150051027A KR 1020130132406 A KR1020130132406 A KR 1020130132406A KR 20130132406 A KR20130132406 A KR 20130132406A KR 20150051027 A KR20150051027 A KR 2015005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late
support fram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우드
Priority to KR102013013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1027A/ko
Publication of KR2015005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0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2003/008Folding or stowable tables the underframe parts being stored in recesses in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판부재, 일측보조승강판부재 및 타측보조승강판부재를 각각 테이블,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측판부와 타측판부 주변에 별도의 테이블, 의자 등을 번거롭게 따로 구비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평상{A FLAT BENCH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승강판부재, 일측보조승강판부재 및 타측보조승강판부재를 각각 테이블,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측판부와 타측판부 주변에 별도의 테이블, 의자 등을 번거롭게 따로 구비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다기능 평상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각종 레저 활동이나 여행 등에 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람들의 야외활동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야외활동 시에는 다수의 인원이 모여 앉아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돗자리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돗자리는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이므로, 지면의 흙이나 모래가 그 상면에 침범함과 더불어 지면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습기에 매우 취약하며, 각종 벌FP나 뱀 등의 해충이 침투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평상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평상을 접철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임의의 장소에서 선택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평상구조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20-0280490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20-0280490호 등으로 제안된 평상구조의 경우 휴대성은 우수하나, 평상의 설치완료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완료된 평상으로 별도의 테이블을 구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상기 평상 주변에 별도의 의자를 구비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8049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승강판부재, 일측보조승강판부재 및 타측보조승강판부재를 각각 테이블,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측판부와 타측판부 주변에 별도의 테이블, 의자 등을 번거롭게 따로 구비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다기능 평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판부 및 타측판부와; 상기 일측판부와 상기 타측판부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부재와, 상기 일측판부의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보조승강판부재와, 상기 타측판부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판부의 타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보조승강판부재로 구성되는 승강판부와; 상기 승강판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부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지지다리부와; 상기 승강판부를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다리부는 상기 승강판부재의 하부 각 모서리에 수직구비되는 지지다리부재와;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의 하부 전측과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판부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와;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의 하부 전측과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판부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부재,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 및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는 상기 승강판부재의 하부 각 모서리,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의 하부 전측 및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의 하부 후측,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의 하부 전측 및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의 하부 후측에 각각 상측이 연결되는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가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지지관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다리를 관통하는 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다리에 상기 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의 관통구는 상기 지지다리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다리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일측판부, 타측판부 및 승강판부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지지다리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와 함께 상기 지지관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레칫기어와; 상기 지지관체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칫기어에 치합되는 스토퍼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레칫기어와 상기 스토퍼의 치합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지지다리를 하강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손잡이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손잡이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발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재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면 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손잡이부재의 내측에 수용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발판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좌우이동발판부와; 상기 좌우이동발판부의 하부방향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전후이동발판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우이동발판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이동축과; 상기 제 1이동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발판부재와; 상기 제 1이동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이동축의 타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를 연결시키는 제 1연결편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후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와 접하는 제 1회전이동편과; 상기 제 1회전이동편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 1보조회전이동편과;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과 마주보는 상기 제 1이동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 1이동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발판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이동축과; 상기 제 2이동축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 2발판부재와; 상기 제 2이동축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이동축의 후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를 연결시키는 제 2연결편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타측이 축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와 접하는 제 2회전이동편과; 상기 제 2회전이동편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보조회전이동편과;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과 마주보는 상기 제 2이동축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2이동축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제 2이동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관체는 상기 지지다리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내주면이 상기 지지다리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제 1지지관체와; 상기 제 1지지관체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지지관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레칫기어가 수용되는 제 2지지관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일측판부의 타측과 상기 타측판부의 일측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측판부와 타측판부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부재, 상기 일측판부의 일측 및 상기 타측판부의 타측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보조승강판부재 및 타측보조승강판부재를 각각 테이블,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일측판부와 상기 타측판부 주변에 별도의 테이블, 의자 등을 번거롭게 따로 구비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기능 평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승강판부가 상승된 상태로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위치고정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위치고정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발판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다른예인 발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제 1지지관체와 제 2지지관체로 구성되는 지지관체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기능 평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기능 평상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판부(10) 및 타측판부(20), 승강판부(30), 지지다리부(40) 및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일측판부(10), 타측판부(20) 및 승강판부(30)가 상부면에 각각 수평안착되는 지지프레임(61)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프레임(601), 후측프레임(602), 일측프레임(603) 및 타측프레임(60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프레임(601)은 상기 일측판부(10)에서 상기 타측판부(2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프레임(602)은 상기 전측프레임(601)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프레임(603)은 상기 전측프레임(601)에서 상기 후측프레임(602)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일측과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일측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프레임(604)은 상기 일측프레임(603)을 따라 전후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타측과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타측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판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승강판부재(310),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 및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부재(310)는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20) 사이에 사용자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수평구비된다.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는 상기 일측판부(10)의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수평구비된다.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는 상기 타측판부(2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판부(20)의 타측에 사용자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수평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다리부(40)는 상기 승강판부(30)의 하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부930)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도 5의 50)는 상기 승강판부(30)를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판부재(310)를 사용자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승강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승강판부재(310)를 사용자가 승강운동시키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 부위가 상기 일측판부(10) 및 상기 타측판부(20)에 부딪쳐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판부(10)의 타측 중심부와 상기 타측판부(20)의 일측 중심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부위가 수용될 수 있는 상기 일측프레임(603) 및 타측프레임(604)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관통구(11, 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승강판부(30)가 상승된 상태로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위치고정부(5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부(40)는 지지다리부재(410),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 및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부재(410)는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 각 모서리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는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전측과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의 상측에서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는 상기 일측판부(1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는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전측과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의 상측에서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는 상기 타측판부(2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다리부재(410),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 및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다리(400)와 지지관체(40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400)의 상측은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면 각 모서리,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면 전측 및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면 후측,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면 전측 및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면 후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관체(401)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다리(400)가 사용자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부는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부와 마주보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표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의 지지관체(401)와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의 지지관체(430)를 지지하는 지지판(40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402)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방향에 위치 및 상기 지지판(402)이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의 지지관체(401)와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의 지지관체(430)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402)의 상부는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의 지지관체(401)와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의 지지관체(430)의 상부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부재(410)의 지지관체(401)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받침판(403)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의 지지관체(401)의 하부와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에 고정된 상기 지지판(402)의 하부 및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의 지지관체(401)의 하부와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에 고정된 상기 지지판(402)의 하부에도 각각 상기 받침판(403)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승강판부재(310)는 상하이동하여 테이블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와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는 좌우대칭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상하이동하여 의자 또는 테이블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지지판(402)의 상부 및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부와 상기 지지다리(400)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핀부재(5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02), 상기 지지관체(401) 및 상기 지지다리(400)에는 상기 핀부재(510)가 수평관통하는 관통구(4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402)의 상부 및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부 전면과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부 후면에는 각각 1개의 상기 관통구(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400)의 전면과 상기 지지다리(400)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다리(400)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다리(40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상기 관통구(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510)는 상기 지지판(402)의 상부 및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부 전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40), 상기 지지다리(400)에 전면과 상기 지지다리(400)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된 상기 관통구(440)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부 후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40)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고, 이로서 상기 승강판부(30)가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위치고정부(5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측방향으로 상하연장되는 수직축(605)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되는 전후수평축(606)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좌우수평축(607);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605)은 제 1수직축(605a), 제 2수직축(605b), 제 3수직축(605c) 및 제 4수직축(605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축(605a) 및 상기 제 2수직축(605b)은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일측 내부 및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타측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수직축(605c) 및 상기 제 4수직축(605d)은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일측 내부 및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타측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수평축(606)은 제 1전후수평축(606a), 제 2전후수평축(606b), 제 3전후수평축(606c), 제 4전후수평축(606d), 제 5전후수평축(606e), 제 6전후수평축(606f), 제 7전후수평축(606g) 및 제 8전후수평축(606h)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후수평축(606a)과 제 4전후수평축(606d)은 상기 제 1수직축(605a)과 상기 제 2수직축(605b)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일측 내부 및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타측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전후수평축(606e)과 상기 8전후수평축(606h)은 상기 제 3수직축(605c) 및 상기 제 4수직축(605d)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일측 내부 및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타측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후수평축(606b)과 상기 제 3전후수평축(606c)은 상기 제 1전후수평축(606a)과 제 4전후수평축(606d)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중심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6전후수평축(606f)과 상기 제 7전후수평축(606g)은 상기 제 5전후수평축(606e)과 상기 8수평축(606h)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중심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수평축(607)은 제 1좌우수평축(607a), 제 2좌우수평축(607b), 제 3좌우수평축(607c) 및 상기 제 4좌우수평축(607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좌우수평축(607a)과 상기 제 2좌우수평축(607b)은 상기 제 1수직축(605a)과 상기 제 3수직축(605c)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중심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좌우수평축(607c)과 상기 제 4좌우수평축(607d)은 상기 제 2수직축(605b)과 상기 제 4수직축(605d)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중심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좌우연장슬릿(608)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전후연장슬릿(60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연장슬릿(608)은 제 1좌우연장슬릿(608a), 제 2좌우연장슬릿(608b), 제 3좌우연장슬릿(608c), 제 4좌우연장슬릿(608d), 제 5좌우연장슬릿(608e), 제 6좌우연장슬릿(608f), 제 7좌우연장슬릿(608g), 제 8좌우연장슬릿(608h), 제 9좌우연장슬릿(608i) 및 제 10좌우연장슬릿(608j)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좌우연장슬릿(608a)은 상기 제 1전후수평축(606a)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1전후수평축(606a)의 타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좌우연장슬릿(608a)과 상기 제 1수직축(605a) 사이의 상기 전측프레임(601) 부위의 내부에 상기 제 1전후수평축(606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좌우연장슬릿(608b), 제 3좌우연장슬릿(608c) 및 제 4좌우연장슬릿(608d)은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중심부 하부면에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좌우연장슬릿(608b)과 제 3좌우연장슬릿(608c)사이의 상기 전측프레임(601) 부위의 내부에 상기 제 2전후수평축(606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좌우연장슬릿(608c)과 제 4좌우연장슬릿(608d) 사이의 상기 전측프레임(601) 부위의 내부에 상기 제 3전후수평축(606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좌우연장슬릿(608e)은 상기 제 4전후수평축(606d)의 일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타측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좌우연장슬릿(608e)과 상기 제 2수직축(605b) 사이의 상기 전측프레임(601) 부위의 내부에 상기 제 4전후수평축(606d)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6좌우연장슬릿(608f)은 상기 제 5전후수평축(606e)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5전후수평축(606e)의 타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6좌우연장슬릿(608f)과 상기 제 3수직축(605c) 사이의 상기 후측프레임(602) 부위의 내부에 상기 제 5전후수평축(606e)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7좌우연장슬릿(608g), 제 8좌우연장슬릿(608h) 및 제 9좌우연장슬릿(608i)은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중심부 하부면에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7좌우연장슬릿(608g)과 제 8좌우연장슬릿(608h) 사이의 상기 후측프레임(602) 부위의 내부에 상기 제 6전후수평축(606f)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8좌우연장슬릿(608h)과 제 9좌우연장슬릿(608i) 사이의 상기 후측프레임(602) 부위의 내부에 상기 제 7전후수평축(606g)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0좌우연장슬릿(608j)은 상기 제 8전후수평축(606h)의 일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타측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0좌우연장슬릿(608j)과 상기 제 4수직축(605d) 사이의 상기 후측프레임(602) 부위의 내부에 상기 제 8전후수평축(606h)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연장슬릿(609)은 제 1전후연장슬릿(609a)와 제 2전후연장슬릿(609b)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제 1전후연장슬릿(609a)은 상기 제 1좌우수평축(607a)과 상기 제 2좌우수평축(607b)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하부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후연장슬릿(609b)은 상기 제 3좌우수평축(607c) 및 상기 제 4좌우수평축(607d)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하부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50)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로, 레칫기어(520), 스토퍼(530), 손잡이부재(540) 및 와이어(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칫기어(520)는 단면형상이 직각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칫기어(520)는 상기 지지다리(400)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400)와 함께 상기 지지관체(40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 각 모서리에 수직구비되는 상기 지지다리부재(410) 중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 전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다리부재(410)의 지지다리(400)의 전면과,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 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다리부재(410)의 지지다리(400)의 후면에 각각 상기 레칫기어(520)가 상기 지지다리(400)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다리(40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전측과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의 지지다리(40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지지다리(400)의 타측면에 상기 레칫기어(520)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전측과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의 지지다리(400)의 일측면에 상기 레칫기어(520)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 전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다리부재(410)의 지지관체(401)의 전면 상측 및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 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다리부재(410)의 지지관체(401)의 후면 상측에는 상기 지지관체(401)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관체(401)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되는 삽입구(40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전측과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의 지지관체(401)의 타측면 상측에 상기 삽입구(404)가 형성될 수 있고,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전측과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의 지지관체(401)의 일측면 상측에 상기 삽입구(40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 도 10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404)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관체(401)의 표면에는 상기 지지관체(401)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편(405)이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편(405)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관체(401)의 표면에는 상기 지지관체(401)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축(406)이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3)의 하측이 상기 지지관체(401)의 연장편(405)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503)의 상측은 상기 삽입구(404)에 삽입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레칫기어(520)의 하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레칫기어(520)의 상부 사이에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3)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체(401)의 연장편(405)을 수평관통하는 축(504)의 외주연에는 상기 스토퍼(503)의 상측을 어느 하나의 상기 레칫기어(520)의 하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레칫기어(520)의 상부 사이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부재(501)의 중간부가 감겨질 수 있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501)의 상단부가 스토퍼(503)의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고, 비틀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501)의 하단부는 상기 연장편(405)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540)는 사각링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손잡이(541), 고정브라켓(542) 및 탄성부재(5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541)는 제 1손잡이(541a), 제 2손잡이(541b), 제 3손잡이(541c) 및 제 4손잡이(541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손잡이(541a)와 상기 제 2손잡이(541b)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프레임(601)의 하부면 중심부와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하부면 중심부에 각각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외측방향 및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손잡이(541a) 및 상기 제 2손잡이(541b)와 직교를 이룬 상태인 상기 제 3손잡이(541c)와 상기 제 4손잡이(541d)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프레임(603)의 하부면 중심부와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하부면 중심부에 각각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외측방향 및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542)의 중심부는 상기 고정브라켓(542)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542)의 중심부에 각각 상기 제 1손잡이(541a)의 일측과 상기 제 1손잡이(541a)의 타측 및 상기 제 2손잡이(541b)의 일측과 상기 제 2손잡이(541b)의 타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542)의 일측과 상기 고정브라켓(542)의 타측은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하부면 중심부 및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하부면 중심부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542)의 중심부에 각각 상기 제 3손잡이(541c)의 전측과 상기 제 3손잡이(541c)의 후측 및 상기 제 4손잡이(541d)의 전측과 상기 제 4손잡이(541d)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542)의 전측과 상기 고정브라켓(542)의 후측은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하부면 중심부 및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하부면 중심부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543)는 제 1탄성부재(543a), 제2탄성부재(543b), 제 3탄성부재(543c) 및 제 4탄성부재(543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탄성부재(543a)의 전측은 상기 제 1손잡이(541a)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1손잡이(541a)의 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탄성부재(543a)의 후측은 상기 제 1탄성부재(543a)의 후측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중심부 하부표면부위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탄성부재(543b)의 전측은 상기 제 2탄성부재(543b)의 전측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중심부 하부표면부위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탄성부재(543b)의 후측은 상기 제 2손잡이(541b)의 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탄성부재(543c)의 일측은 상기 제 3손잡이(541c)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3손잡이(541c)의 타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탄성부재(543c)의 타측은 상기 제 3탄성부재(543c)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중심부 하부면부위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탄성부재(543d)의 일측은 상기 제 4탄성부재(543d)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중심부 하부면부위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탄성부재(543d)의 타측은 상기 제 4손잡이(541d)의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50)는 상기 스토퍼(530)와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와이어(550)의 하부는 도 6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축(406)의 하부 외주면을 경유한 상태로 상기 스토퍼(530)의 하단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와이어(550)의 상부는 상기 제 1좌우연장슬릿(608a), 제 2좌우연장슬릿(608b), 제 4좌우연장슬릿(608d), 제 5좌우연장슬릿(608e), 제 6좌우연장슬릿(608f), 제 7좌우연장슬릿(608g), 제 9좌우연장슬릿(608i) 및 제 10좌우연장슬릿(608j)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의 내부로 인입된 각각의 상기 와이어(55)의 상부는 상기 제 3좌우연장슬릿(608c)과 상기 제 8좌우연장슬릿(608h) 및 상기 제 1전후연장슬릿(609a)과 상기 제 2전후연장슬릿(609b)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3좌우연장슬릿(608c)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인출된 각각의 상기 와이어(550)의 상부는 상기 제 1손잡이(541a)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1손잡이(541a)의 후측에 일정간격으로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좌우연장슬릿(608d)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인출된 각각의 상기 와이어(550)의 상부는 상기 제 2손잡이(541b)의 전측에 일정간격으로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후연장슬릿(609a)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인출된 각각의 상기 와이어(550)의 상부는 상기 제 3손잡이(541c)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3손잡이(541c)의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후연장슬릿(609b)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인출된 각각의 상기 와이어(550)의 상부는 상기 제 4손잡이(541d)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좌우연장슬릿(608a)과 상기 제 1전후연장슬릿(609a) 사이의 상기 와이어(550)는 상기 제 1전후수평축(606a)의 상부 외주면, 상기 제 1수직축(605a)의 전측외주면, 상기 제 1좌우수평축(607a)의 상부 외주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 6좌우연장슬릿(608f)과 상기 제 1전후연장슬릿(609a) 사이의 상기 와이어(550)는 상기 제 5전후수평축(606e)의 상부 외주면, 상기 제 3수직축(605c)의 전측외주면의 반대측인 상기 제 3수직축(605c)의 후측 외주면, 상기 제 2좌우수평축(607b)의 상부 외주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 5좌우연장슬릿(608e)과 상기 제 2전후연장슬릿(609b) 사이의 상기 와이어(550)는 상기 제 4전후수평축(606d)의 상부 외주면, 상기 제 2수직축(605b)의 전측외주면, 상기 제 3좌우수평축(607c)의 상부 외주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 10좌우연장슬릿(608j)과 상기 제 2전후연장슬릿(609b) 사이의 상기 와이어(550)는 상기 제 8전후수평축(606h)의 상부 외주면, 상기 제 4수직축(605d)의 전측외주면의 반대측인 상기 제 4수직축(605d)의 후측 외주면, 상기 제 4좌우수평축(607d)의 상부 외주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 2좌우연장슬릿(608b)과 상기 제 3좌우연장슬릿(608c) 사이의 상기 와이어(550)는 상기 제 2전후수평축(606b)의 상부 외주면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 3좌우연장슬릿(608c)과 상기 제 4좌우연장슬릿(608d) 사이의 상기 와이어(550)는 상기 제 3전후수평축(606c)의 상부 외주면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 7좌우연장슬릿(608g)과 상기 제 8좌우연장슬릿(608h) 사이의 상기 와이어(550)는 제 6전후수평축(606f)의 상부 외주면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 8좌우연장슬릿(608h)과 상기 제 9좌우연장슬릿(608i) 사이의 상기 와이어(550)는 상기 제 7전후수평축(606g)의 상부 외주면을 경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당길 시 수축상태였던 상기 탄성부재(543)는 팽창됨과 더불어 상기 레칫기어(520)와 상기 스토퍼(530)의 치합상태는 해제되어 상기 지지다리(400)가 하강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당긴 상기 손잡이(541)의 당김상태를 해제할 시 상기 손잡이(541)는 상기 탄성부재(543)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400) 방향을 이동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레칫기어(520)에 상기 스토퍼(530)가 치합되어 상기 지지다리(400)가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발판부(6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61)에는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를 상기 지지프레임(61)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발판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판부(60)는 일예로,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610)과 발판부재(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610)은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의 내측에 각각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면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부재(620)는 발판(621)과 수직판(6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621)의 상부는 상기 고정판(610)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판(621)의 하측에서 상기 발판(621)의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판(621)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면 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수직판(622)은 상기 발판(621)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발바닥부위로 상기 발판(621)을 상기 발판(621)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수축상태였던 상기 탄성부재(543)는 팽창되면서 상기 수직판(622)의 상부는 상기 발판(621)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발판(621)에 가한 가압력을 해제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543)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수직판(622)의 상부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61)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발판부재(620)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를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61)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은 다른예인 발판부(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프레임(603) 및 타측프레임(604)의 하부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 모두를 보다 용이하게 상기 지지프레임(61)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프레임(601) 및 후측프레임(602)의 하부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 모두를 보다 용이하게 상기 지지프레임(61)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발판부(60)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좌우이동발판부(630)와 전후이동발판부(6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발판부(630)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프레임(603)의 하부 및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하부에 사용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발판부(640)는 상기 좌우이동발판부(6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프레임(601)의 하부 및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하부에 사용자에 의해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좌우이동발판부(630)는 제 1이동축(631), 제 1발판부재(632), 제 1연결편(633), 제 1회전이동편(634),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 및 제 1이동편(6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프레임(603)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일측지지편(65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프레임(604)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타측지지편(66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이동축(631)의 일측과 상기 제 1이동축(631)의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지지편(650)과 상기 타측지지편(660)을 좌우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하부와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하부에 사용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발판부재(632)는 상기 일측지지편(65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이동축(631)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편(633)은 상기 타측지지편(66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이동축(631)의 타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제 1이동축(631)의 타측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프레임(604)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의 제 4손잡이(541d)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이동편(634)이 상기 제 1이동축(631)의 일측과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제 3손잡이(541c)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회전이동편(634)의 전측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프레임(603)의 하부면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이동편(634)의 후측은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제 3손잡이(541c)의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은 상기 제 1회전이동편(634)의 전측에서 상기 제 1이동축(631)의 일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의 전측에서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슬릿(63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이동편(636)은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의 전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 1이동축(631)의 일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이동축(631)을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이동편(636)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1이동편(636)은 후측에는 걸림고정판(6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637)은 상기 제 1이동편(636)의 후측에서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의 슬릿(635a)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릿(635a)을 관통하는 연장판(637a)과; 상기 연장판(637a)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연장판(637a)의 타측에서 상기 제 1이동축(631)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판(63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발판부재(632)를 발바닥부위로 가압하여 상기 제 1이동축(631)을 상기 일측프레임(603)에서 상기 타측프레임(604)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때, 수축상태였던 상기 탄성부재(543)의 제 3탄성부재(543c)와 제 4탄성부재(543d)는 팽창되고,
상기 제 1회전이동편(634)의 후측이 상기 손잡이(541)의 제 3손잡이(541c)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제 3손잡이(541c)를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 1이동축(631)의 타측에 형성된 제 1연결편(633)이 상기 제 4손잡이(541d)를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 1발판부재(632)에 가한 가압력을 해제할 경우 상기 제 3탄성부재(543c)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제 3손잡이(541c)는 상기 일측프레임(603)의 외측에서 상기 일측프레임(60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 4탄성부재(543d)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제 4손잡이(541d)는 상기 타측프레임(604)의 외측에서 상기 타측프레임(60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후이동발판부(640)는 제 2이동축(641), 제 2발판부재(642), 제 2연결편(643), 제 2회전이동편(644),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 및 제 2이동편(64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프레임(601)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전측지지편(67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후측프레임(602)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손잡이(541)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후측지지편(68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이동축(641)의 전측과 상기 제 2이동축(641)의 후측은 각각 상기 전측지지편(670)과 상기 후측지지편(680)을 전후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하부와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하부에 사용자에 의해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발판부재(642)는 상기 전측지지편(67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이동축(641)의 전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편(643)은 상기 후측지지편(68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이동축(641)의 후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제 2이동축(641)의 후측과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제 2손잡이(541b)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이동편(644)이 상기 제 2이동축(641)의 전측과 상기 제 1손잡이(541a)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회전이동편(644)의 타측은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하부면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이동편(644)의 일측은 상기 제 1손잡이(541a)의 후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은 상기 제 2회전이동편(644)의 타측에서 상기 제 2이동축(641)의 전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의 일측에서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슬릿(64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이동편(646)은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과 마주보는 상기 제 2이동축(641)의 전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2이동축(641)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이동편(646)의 일측에는 걸림고정판(64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647)은 상기 제 2이동편(646)의 일측에서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의 슬릿(645a)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릿(645a)을 관통하는 연장판(647a)과; 상기 연장판(647a)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연장판(647a)의 후측에서 상기 제 2이동축(641)의 전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판(64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2발판부재(642)를 발바닥부위로 가압하여 상기 제 2이동축(641)을 상기 전측프레임(601)에서 상기 후측프레임(60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때, 수축상태였던 상기 탄성부재(543)의 제 1탄성부재(543a)와 제 2탄성부재(543b)는 팽창되고,
상기 제 2회전이동편(644)의 일측이 상기 제 1손잡이(541a)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제 1손잡이(541a)를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 2이동축(641)의 후측에 형성된 상기 제 2연결편(643)이 상기 제 2손잡이(541b)를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 2발판부재(642)에 가한 가압력을 해제할 경우 상기 제 1탄성부재(543a)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제 1손잡이(541a)는 상기 전측프레임(601)의 외측에서 상기 전측프레임(60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 2탄성부재(543b)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제 2손잡이(541b)는 상기 후측프레임(602)의 외측에서 상기 후측프레임(60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7은 제 1지지관체(401a)와 제 2지지관체(401b)로 구성되는 지지관체(401)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관체(401)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다리(400)가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지지관체(401)와 상기 지지다리(400)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으로 인해 상기 지지다리(4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401)는 제 1지지관체(401a)와 제 2지지관체(40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관체(401a)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다리(40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관체(401a)의 내주면은 상기 지지다리(400)의 외주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관체(401b)의 내부에 상기 레칫기어(520)가 수용되도록 상기 레칫기어(520)와 마주보는 상기 제 1지지관체(401a)의 표면부위에 상기 제 1지지관체(401a)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지지관체(401a)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 2지지관체(40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일측판부(10)와 타측판부(20)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승강판부재(310), 상기 일측판부(10)의 일측 및 상기 타측판부(20)의 타측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 및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를 각각 테이블, 의자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20) 주변에 별도의 테이블, 의자 등을 번거롭게 따로 구비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일측판부, 20; 타측판부,
30; 승강판부, 40; 지지다리부,
50; 위치고정부.

Claims (12)

  1. 일측판부(10) 및 타측판부(20)와;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20)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부재(310)와, 상기 일측판부(10)의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와, 상기 타측판부(2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판부(20)의 타측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로 구성되는 승강판부(30)와;
    상기 승강판부(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부(30)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지지다리부(40)와;
    상기 승강판부(30)를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부(40)는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 각 모서리에 수직구비되는 지지다리부재(410)와;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전측과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판부(1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와;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전측과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판부(2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부재(410), 상기 일측보조지지다리부재(420) 및 상기 타측보조지지다리부재(430)는 상기 승강판부재(310)의 하부 각 모서리,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전측 및 상기 일측보조승강판부재(320)의 하부 후측,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전측 및 상기 타측보조승강판부재(330)의 하부 후측에 각각 상측이 연결되는 지지다리(400)와;
    상기 지지다리(400)가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지지관체(40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50)는 상기 지지관체(401)와 상기 지지다리(400)를 관통하는 핀부재(5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401)와 상기 지지다리(400)에 상기 핀부재(510)가 관통하는 관통구(44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400)의 관통구(440)는 상기 지지다리(400)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다리(40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판부(10), 타측판부(20) 및 승강판부(30)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지지프레임(61)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부(50)는 상기 지지다리(400)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400)와 함께 상기 지지관체(401)의 내부에 수용되는 레칫기어(520)와;
    상기 지지관체(401)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50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칫기어(520)에 치합되는 스토퍼(530)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레칫기어(520)와 상기 스토퍼(530)의 치합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지지다리(400)를 하강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540)와;
    상기 스토퍼(530)와 상기 손잡이부재(540)를 연결하는 와이어(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61)에 상기 손잡이부재(540)를 상기 지지프레임(61)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발판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60)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재(540)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판(610)과;
    상기 고정판(610)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면 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발판(621)과, 상기 발판(621)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손잡이부재(540)의 내측에 수용되는 수직판(622)으로 구성되는 발판부재(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60)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를 상기 지지프레임(61)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좌우이동발판부(630)와;
    상기 좌우이동발판부(630)의 하부방향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후측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를 상기 지지프레임(61)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방향으로 수평이동 및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61)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전후이동발판부(6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발판부(630)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이동축(631)과;
    상기 제 1이동축(6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발판부재(632)와;
    상기 제 1이동축(63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이동축(631)의 타측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타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를 연결시키는 제 1연결편(633)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 하부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후측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일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와 접하는 제 1회전이동편(634)과;
    상기 제 1회전이동편(634)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과;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과 마주보는 상기 제 1이동축(6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보조회전이동편(635)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이동축(631)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 1이동편(63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발판부(640)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이동축(641)과;
    상기 제 2이동축(641)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 2발판부재(642)와;
    상기 제 2이동축(641)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이동축(641)의 후측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후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를 연결시키는 제 2연결편(643)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 하부에 타측이 축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전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재(540)와 접하는 제 2회전이동편(644)과;
    상기 제 2회전이동편(644)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과;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과 마주보는 상기 제 2이동축(641)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보조회전이동편(645)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2이동축(641)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제 2이동편(64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401)는 상기 지지다리(40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내주면이 상기 지지다리(40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제 1지지관체(401a)와;
    상기 제 1지지관체(401a)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지지관체(401a)의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레칫기어(520)가 수용되는 제 2지지관체(40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판부(10)의 타측과 상기 타측판부(20)의 일측에 각각 관통구(11, 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평상.
KR1020130132406A 2013-11-01 2013-11-01 다기능 평상 KR20150051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406A KR20150051027A (ko) 2013-11-01 2013-11-01 다기능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406A KR20150051027A (ko) 2013-11-01 2013-11-01 다기능 평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027A true KR20150051027A (ko) 2015-05-11

Family

ID=5338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406A KR20150051027A (ko) 2013-11-01 2013-11-01 다기능 평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0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78U (ko) * 2020-10-15 2022-04-22 이인석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78U (ko) * 2020-10-15 2022-04-22 이인석 진열면적 가변형 매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5433B2 (en) Assistive apparatus with rotatable grab bar
JP5468791B2 (ja) 幼児椅子のためのトレイラッチ機構
CN203693946U (zh) 多功能老年护理床
US7065812B2 (en) Patient care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N107280877B (zh) 一种床体可自动化升降的便捷式护理科病床
US6979284B2 (en) Exercise apparatus
TWI293871B (ko)
JP2020508704A (ja) 老弱者用歩行補助器
CN113040551B (zh) 一种多功能椅
US20150250674A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KR20150051027A (ko) 다기능 평상
JP2012533397A (ja) 育児補助器具
GB2404649A (en) A bathing device having a reclinable backrest for use by a disabled person
CN106725014B (zh) 抑菌防滑浴室凳
KR102150594B1 (ko) 휠체어
CN105147176B (zh) 一种坐椅式坐便架
CN112586928A (zh) 一种便捷儿童攀爬的上下安全床梯
CN205072769U (zh) 一种坐椅式坐便架
CN211560744U (zh) 一种安全轮椅
CN110801115B (zh) 一种桌椅一体式圆桌
CN211049931U (zh) 家用康复翻身床
CN209950773U (zh) 脚踏式老年弹簧助力椅
KR102619087B1 (ko)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CN103284852A (zh) 座椅式护理床
JP3887797B2 (ja) 多機能付き移動式簡易風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