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33U -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33U
KR20220000833U KR2020200003615U KR20200003615U KR20220000833U KR 20220000833 U KR20220000833 U KR 20220000833U KR 2020200003615 U KR2020200003615 U KR 2020200003615U KR 20200003615 U KR20200003615 U KR 20200003615U KR 20220000833 U KR20220000833 U KR 202200008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horizontal frame
unit
tilt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봉
Original Assignee
최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봉 filed Critical 최인봉
Priority to KR2020200003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833U/ko
Publication of KR20220000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4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49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병원에서 진료시 환자의 치아나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헤드부의 상부 후방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복수의 연결 프레임이 여러 연결축에서 틸팅(tilting)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2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카트부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for dental clinic}
본 고안은 치과병원에서 진료시 환자의 치아나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데 사용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치과 진료시 환자의 치아나 구강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치경(齒鏡)을 구강 내에 삽입하여 거울에 비친 모습을 치과의사가 육안으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관찰 결과를 정확히 기록하거나 환자에게 설명해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구강 내부를 모니터 등 액정표시장치에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구강내 촬영용 디지털 카메라가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발달된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치아의 특정 영역을 고화질로 촬영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나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과 진료용 카메라 장치들은 대부분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핸드피스형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배율이나 초점을 조정하기 어렵고, 카메라의 선단부가 환자의 구강 안으로 삽입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시술부위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카메라가 부착된 손잡이부를 잡고 있어야 하므로 영상을 보면서 진료 도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소형 카메라 장치 외에도 환자의 치아나 구강 내부를 정확히 관찰하기 위해 치과용 현미경(dental microscope) 장치가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치과용 현미경 장치는 환자의 구강 외부에서 구강 안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방식이므로 상기 핸드피스형 카메라 장치들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치과용 현미경 장치는 시술자가 접안렌즈를 통해 환부를 관찰하면서 렌즈부에 연결된 손잡이를 통해 대물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위 접안렌즈 대신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모니터에 연결하는 방식의 디지털 현미경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디지털 현미경 장치는 시술자가 장시간 접안렌즈를 들여다보지 않고 편안하게 앉아서 모니터 디스플레이로 환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이미지를 재현할 수 있고,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 장치에 쉽게 저장할 수 있으며, 모니터 화면에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시술을 보조하는 의료진이나 환자와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모니터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지털 현미경 장치는 모니터가 렌즈부와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거나 렌즈부와는 별개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접안렌즈를 통해 환부를 관찰하는 현미경 장치와는 달리, 시술자가 렌즈부에 연결된 손잡이를 통해 관찰하고자 하는 부위로 렌즈부를 이동시킬 때 손의 이동방향과 시선의 방향이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통적인 광학현미경 사용에 익숙한 시술자들은 렌즈부 조작시 상당히 어색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모니터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지털 현미경 장치가 갖는 위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접안렌즈를 통해 환부를 관찰하는 방식의 현미경 장치가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 장치를 사용하는 시술자의 입장에서 좀 더 조작이 편리하면서도 친숙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모니터 디스플레이 방식의 치과용 영상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516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04930호
본 고안의 목적은 환부를 관찰하는 카메라 렌즈부의 이동 및 조작이 용이하고, 카메라 렌즈부의 이동시 디스플레이부가 연동되는 치과용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줌 렌즈가 내장된 렌즈부, 상기 렌즈부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 광원부, 및 손잡이를 구비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헤드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가 하단부 전방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가 상단부 전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헤드부의 상부 후방 중앙에 위치하도록 전방 하부에서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연결부재; 연결부재 지지대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카트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를 연결하되, 복수의 연결 프레임이 여러 연결축에서 틸팅(tilting)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외부면에는, 좌우로 돌려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원형의 줌 링과 좌우로 돌려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원형의 포커싱 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줌 링과 포커싱 링의 일측에는 각각 막대형의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제1 연결부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단부 후방에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 말단부에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반대편 말단과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반대편 말단을 연결하는 틸팅(tilting)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틸팅 프레임은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는 양쪽 말단부에 틸팅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상하로 틸팅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된 헤드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틸팅힌지부는 상기 틸팅 프레임을 수평 평면으로부터 ±45° 틸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상기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가 연결되는 말단부에 형성된 홈 형상의 연결구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 지지대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 지지대를 축으로 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틸팅 프레임은 상기 틸팅 프레임이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의 말단부에 형성된 홈 형상의 연결구를 통해 제2 수평 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는, 시술자가 장시간 접안렌즈를 들여다보지 않고 편안하게 앉아서 모니터 디스플레이로 환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카메라 렌즈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디스플레이부가 연동되게 함으로써 손의 이동방향과 시선의 방향이 달라질 때 느껴지는 어색함이나 불편함을 없애고, 보다 쉽게 렌즈부를 이동 및 조작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가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헤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헤드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헤드부에서부터 카트부까지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헤드부의 상하 및 좌우 회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틸팅 프레임의 상하 방향 틸팅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제2 연결부재의 좌우 회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및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부호(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포함된 헤드부(100), 상기 헤드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0), 영상표시장치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카트부(500), 상기 헤드부(100)와 카트부(5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제1 연결부재(300) 및 제2 연결부재(4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100)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310)가 하단부 전방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320)가 상단부 전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00)가 상기 헤드부(100)의 상부 후방 중앙에 위치하도록 전방 하부에서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연결부재(300) 구성을 통해 헤드부가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부도 함께 이동(연동)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헤드부(100)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확대하여 보여줄 수 있는 줌 렌즈가 내장된 렌즈부(110), 상기 렌즈부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120), 광원부(130), 및 손잡이(140a, 140b)를 구비한 케이스(150a, 150b, 150c)를 포함한다.
시술상의 편의를 고려할 때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렌즈부(110)는 관찰하고자 하는 환부와 200~350mm의 거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 작업거리(working length)를 고려할 때 상기 렌즈부에 사용되는 줌 렌즈는 1 내지 10배의 광학 줌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학 줌이란 물리적인 줌으로 여러 장의 렌즈를 이용해 다양한 초점거리와 촬영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광학 줌 기능 외에 추가로 본 고안의 카메라 모듈(120)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줌 기능을 갖는다. 다만 이미지의 품질을 고려할 때 디지털 줌 기능은 상기 광학 줌을 이용한 다음 그 이상의 배율을 원할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부(110)는 원하는 부분의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배율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율조절수단은 렌즈부의 외면부에 원형으로 구비된 줌 링(111)에 연결되어 줌 링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장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와 이미지 센서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배율을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줌 링(111)은 일측에 막대형의 손잡이(112)를 구비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줌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110)는 상기 줌 링(111)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일측에 막대형의 손잡이(114)를 구비한 원형의 포커싱 링(113)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포커싱 링 손잡이(114)의 좌우 회전으로 미세한 초점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렌즈부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120)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CMOS나 CCD와 같은 이미지센서(감광소자)와,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인식된 영상을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회로기판, SD 메모리 등의 이미지 저장장치,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라인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원부(130)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LED 광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ED PCB 기판(131), 제어부(132). LED 광원 조절나사(133) 및 조절나사 손잡이(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헤드부에서부터 카트부까지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구성은 크게 헤드부(10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300)와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510)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가 헤드부(100)의 상부 후방 중앙에 위치하고 헤드부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될 수 있도록, 헤드부(100)가 연결되는 전방 하부에서 디스플레이부(200)가 연결되는 후방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00)는 상기 제1 연결부재(300)의 하단부 전방에 형성된 제1 연결부(310)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제1 연결부재(300)의 상단부 전방에 형성된 제2 연결부(320)에 후면이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부(320)에는 브라켓(bracket)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를 제1 연결부재(300)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부(310)는 수평축 및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311)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100)는 상기 힌지부(311)에 연결되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헤드부의 상하 및 좌우 회동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 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 연결부재(300)의 상단부와 상기 카트부(500)의 연결부재 지지대(51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 연결부재(300)의 상단부 후방에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 프레임(410), 상기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510) 말단부에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420),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반대편 말단과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반대편 말단을 연결하는 틸팅(tilting) 프레임(4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410), 틸팅 프레임(430) 및 제2 수평 프레임(420)이 각각의 연결부위에서 틸팅(tilting)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 프레임(430)은 상기 제1 수평 프레임(410) 및 제2 수평 프레임(420)과 각각 연결되는 양쪽 말단부에 틸팅힌지부(431a, 431b)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틸팅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300)에 연결된 헤드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틸팅힌지부(431a, 431b)는 상기 틸팅 프레임(430)을 수평 평면으로부터 ±45°의 범위 내에서 틸팅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틸팅 프레임(430)의 상하 방향 틸팅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평 프레임(420)은 상기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510)가 연결되는 말단부에 형성된 홈 형상의 연결구(421b)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 지지대(510)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 지지대를 축으로 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틸팅 프레임(430)은 상기 틸팅 프레임이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420)의 말단부에 형성된 홈 형상의 연결구(421a)를 통해 제2 수평 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421a)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영상표시장치의 제2 연결부재(400)의 좌우 회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헤드부 110 : 렌즈부
111 : 줌 링 112 : 줌 링 손잡이
113 : 포커싱 링 114 : 포커싱 링 손잡이
120 : 카메라 모듈 130 : 광원부
131 : LED 광원 PCB 기판 132 : LED 광원 제어부
133 : LED 광원 조절나사 134 : LED 광원 조절나사 손잡이
140a, 140b : 헤드부 손잡이 150a, 150b, 150c : 헤드부 케이스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제1 연결부재
310 : 제1 연결부 311 : 힌지부
320 : 제2 연결부 400 : 제2 연결부재
410 : 제1 수평 프레임 420 : 제2 수평 프레임
421a, 421b : 연결구 430 : 틸팅 프레임
431a, 431b : 틸팅힌지부 500 : 카트부
510 : 연결부재 지지대 520 : 수납대
530 : 스탠드 540 : 베이스부
550 : 이동바퀴

Claims (4)

  1. 줌 렌즈가 내장된 렌즈부, 상기 렌즈부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 광원부, 및 손잡이를 구비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헤드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가 하단부 전방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가 상단부 전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헤드부의 상부 후방 중앙에 위치하도록 전방 하부에서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연결부재;
    연결부재 지지대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카트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를 연결하되, 복수의 연결 프레임이 여러 연결축에서 틸팅(tilting)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외부면에는, 좌우로 돌려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원형의 줌 링과 좌우로 돌려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원형의 포커싱 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줌 링과 포커싱 링의 일측에는 각각 막대형의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단부 후방에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 말단부에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반대편 말단과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반대편 말단을 연결하는 틸팅(tilting)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 프레임은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는 양쪽 말단부에 틸팅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상하로 틸팅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된 헤드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상기 카트부의 연결부재 지지대가 연결되는 말단부에 형성된 홈 형상의 연결구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 지지대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 지지대를 축으로 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틸팅 프레임은 상기 틸팅 프레임이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의 말단부에 형성된 홈 형상의 연결구를 통해 제2 수평 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KR2020200003615U 2020-10-09 2020-10-09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KR202200008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15U KR20220000833U (ko) 2020-10-09 2020-10-09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15U KR20220000833U (ko) 2020-10-09 2020-10-09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33U true KR20220000833U (ko) 2022-04-18

Family

ID=8138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615U KR20220000833U (ko) 2020-10-09 2020-10-09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83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604B1 (ko) 2014-11-19 2016-08-26 주식회사 코프 치과용 구강 검사 시스템
KR101804930B1 (ko) 2016-01-22 2017-12-05 주식회사 맥스덴탈 미세초점 조절이 가능한 구강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604B1 (ko) 2014-11-19 2016-08-26 주식회사 코프 치과용 구강 검사 시스템
KR101804930B1 (ko) 2016-01-22 2017-12-05 주식회사 맥스덴탈 미세초점 조절이 가능한 구강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9210B2 (en) Stereoscopic visualization camera and platform
US11571272B2 (en) Stereoscopic camera with fluorescence visualization
ES2899353T3 (es) Sistema digital para captura y visualización de video quirúrgico
US6414708B1 (en) Video system for three dimensional imaging and photogrammetry
AU771368B2 (en) Visual aid in the form of telescopic spectacles with an automatic focussing device
JP6770500B2 (ja) 口腔内観察装置、観察ユニット及び観察方法
WO2016108276A1 (ja) 歯科用光学撮影装置
JP6469292B1 (ja) 観察画像を立体視させる歯科用3dデジタル顕微鏡システム及び歯科用ディスプレイ支持機構
JP2008093433A (ja) 眼科用手術顕微鏡システム
AU2011324142A1 (en) Eye examination system
KR20180128589A (ko) 구강내 촬영용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US7443417B1 (en) Method of performing dental work and apparatus providing vision enhancement dentistry
TW201919537A (zh) 內視鏡系統
JP2009098570A (ja) ヘッドマウント型双眼ルーペ装置
US10448004B1 (en) Ergonomic protective eyewear
US20230120611A1 (en) Stereoscopic camera with fluorescence strobing based visualization
KR20220000833U (ko) 치과용 영상표시장치
BR112021014523A2 (pt) Lupa eletrônica
JP2810991B2 (ja) 額帯用観察供覧装置
JP6949383B2 (ja) 歯科用撮像画像取得装置
JP2001112713A (ja) 診療カメラを備えた診療装置
JP2020069276A (ja) 歯科治療用観察システム
TW201921034A (zh) 內視鏡系統
KR20200065486A (ko) 덴탈 비젼 카메라
ZA200203746B (en) Visual aid in the form of telescopic spectacles with an automatic focuss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