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735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735A
KR20220000735A KR1020200078742A KR20200078742A KR20220000735A KR 20220000735 A KR20220000735 A KR 20220000735A KR 1020200078742 A KR1020200078742 A KR 1020200078742A KR 20200078742 A KR20200078742 A KR 20200078742A KR 20220000735 A KR20220000735 A KR 2022000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dr
scalers
content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김선우
오정준
최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735A/ko
Priority to PCT/KR2021/003861 priority patent/WO2021261714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35A/ko
Priority to US18/079,178 priority patent/US2023011404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208High dynamic range [HDR] image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0Details of the management of multiple sources of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영상 처리하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 및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영상 처리 기술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됨에 따라 3840×2160 해상도의 UHD(Ultra-HD) 컨텐츠를 넘어 7680×4320 해상도의 8K 컨텐츠 및 이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복수의 저해상도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3840×2160 해상도의 UH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나, 1920×1080 해상도의 FHD(Full HD) 컨텐츠 4개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4개의 FHD 컨텐츠를 3840×2160 해상도로 출력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을 PBP(Picture By Picture) 기능이라고 한다.
종래의 PBP 기능은 4개의 FHD 이하의 해상도의 컨텐츠를 UHD 해상도로 출력할 수 있었다. 이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스케일러는 각각 4개의 컨텐츠의 규격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4개의 스케일러 후단의 1개의 스케일러가 영상 처리된 4개의 컨텐츠를 병합(merge)하였다. 예를 들어, 4개의 스케일러 중 첫 번째 및 두 번째 스케일러 각각은 1280×720 해상도의 컨텐츠를 1920×1080 해상도의 컨텐츠로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즉, 4개의 스케일러는 해상도 정보 뿐만 아니라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정보, 색 영역 정보,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보 등에 기초하여 4개의 컨텐츠의 규격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였다.
다만, 최근에는 영상 전송 규격이 발전함에 따라 UHD 컨텐츠의 전송이 가능해졌고, 추가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컨텐츠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전송 가능하다. 여기서, DR(Dynamic Range)은 가장 밝은 부분부터 가장 어두운 부분까지의 범위를 의미하며, HDR은 디지털 영상에서 밝은 곳은 더 밝게,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만들어 사람이 실제 눈으로 보는 것에 가깝게 밝기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다만, 해상도, HDCP, 색 영역, 프레임 레이트 등과는 달리 스케일러는 HDR 지원 여부를 변경하는 영상 처리가 불가능하다. 즉, 종래에 의하면 복수의 컨텐츠의 HDR 지원 여부를 동일하게 변경할 수 없으며, HDR 지원 여부가 상이한 복수의 컨텐츠가 PBP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처리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가령, 도 1b의 병합된 영상은 HDR이 지원되지 않는 형태로 출력되는데, 이 경우 HDR이 지원되는 컨텐츠는 출력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컨텐츠의 규격을 동일하게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영상 처리하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대응되는 제1 스케일러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업데이트된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각각의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DID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의 내부 메모리 각각에 저장되거나,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외부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케일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일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에 의해 영상 처리된 복수의 컨텐츠를 병합(merge)하도록 상기 제2 스케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규격 정보는 해상도 정보, HDR 정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정보, 색 영역 정보 또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HDR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1의 규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대응되는 제1 스케일러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업데이트된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각각의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DID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의 내부 메모리 각각에 저장되거나,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외부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일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를 통해 영상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에 의해 영상 처리된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제2 스케일러를 통해 병합(merg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규격 정보는 해상도 정보, HDR 정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정보, 색 영역 정보 또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HDR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1의 규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함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의 규격을 동일하게 변경하고, 동일한 규격의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균일한 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 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영상 처리하는 장치로서, 셋탑박스(STB), 컴퓨터 본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고, 영상 처리만을 수행한 후 영상 처리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TV, 데스크탑 PC, 노트북,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모니터, 스마트 안경,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영상 처리된 컨텐츠를 직접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영상 처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도 2a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는 일부 구성이 제외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는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각각은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처리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여기서,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전자 장치(100)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1의 규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UHD 해상도의 컨텐츠 및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규격이라도 무방하다.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는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동일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규격 정보는 해상도 정보, HDR 정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정보, 색 영역 정보 또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는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가 동일한 규격으로 출력되도록 복수의 컨텐츠를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처리된 복수의 컨텐츠는 해상도 정보, HDR 정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정보, 색 영역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보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HDR이 지원되는 상태의 제1 스케일러를 제외한 나머지 제1 스케일러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대응되는 제1 스케일러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정보에 포함되고, EDID 정보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의 내부 메모리 각각에 저장되거나,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외부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각각의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대응되는 제1 스케일러가 HDR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HDR이 지원되지 않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100)는 HDR이 지원되지 않는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고, 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더라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은 복수의 컨텐츠를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PBP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하여 복수의 소스 장치가 HDR이 지원되지 않는 복수의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고, 복수의 컨텐츠의 HDR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고,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는 HDR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HDR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서,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케일러는 HDR이 지원되는 컨텐츠를 영상 처리하는 제1 스케일러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상의 동작을 통해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만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컨텐츠가 모두 HDR을 지원하거나 모두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컨텐츠를 PBP 형태로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주지 않으며, 그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동일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하도록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가 해상도 정보, HDR 정보, HDCP 정보, 색 영역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가 모두 동일하게 영상 처리되도록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후술할 제2 스케일러를 통해 영상 처리된 복수의 컨텐츠를 병합(merge)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에 대한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의 업데이트된 EDID를 원복하고, 원복된 EDID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통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의 규격 정보가 동일하도록 영상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가 HDR의 지원 여부를 변경하는 영상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를, EDID를 업데이트하여 HDR이 지원되지 않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우회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30), 제2 스케일러(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디스플레이(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30), 제2 스케일러(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디스플레이(160)와 연결되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다양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HDMI, MHL, USB, RGB, D-SUB, DVI 등과 같이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규격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업데이트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각각의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스케일러(140)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에 의해 영상 처리된 복수의 컨텐츠를 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케일러(140)는 4개의 제1 스케일러(110)에 의해 영상 처리되어 출력되는 4개의 3840×2160 해상도의 UHD 컨텐츠를 2×2로 배열하여 7680×4320 해상도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다양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자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등일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3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단말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후술한 디스플레이(150)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병합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를 PBP 형태로 제공하더라도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별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2 내지 도 5의 개별적인 실시 예는 얼마든지 조합된 상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DID의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복수의 제1 스케일러(Scaler 1~4, 110)는 4개이고, 각 스케일러는 상이한 규격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복수의 컨텐츠의 HDR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이하다.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각각은 대응되는 EDID 정보를 저장하며, EDID 정보는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수신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기 전이라면,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만을 영상 처리하도록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도 3의 경우에는 외부 입력이 4개이고, 프로세서(120)는 4개의 외부 입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입력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영상 처리하도록 제1 스케일러(Scaler 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스케일러(140)는 병합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전체가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제2 스케일러(140)가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전체가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제2 스케일러(14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입력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영상 처리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따르면, 제1 스케일러(Scaler 1, 4)의 EDID는 HDR을 지원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스케일러(Scaler 2, 3)의 EDID는 HDR을 지원하지 않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였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스케일러(Scaler 1, 4)의 EDID에서 HDR을 지원하는 상태 정보를 HDR을 지원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업데이트된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스케일러(Scaler 1, 4)의 업데이트된 EDID 정보 각각을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EDID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와 무관하게 일부 EDID의 업데이트가 있었다면 모든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업데이트된 EDID 정보를 수신한 소스 장치는 업데이트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R이 지원되는 상태에서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EDID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소스 장치는 HDR이 지원되지 않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100)는 모든 소스 장치로부터 HDR이 지원되지 않는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며, HDR과 관련되어 균일한 품질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에 대한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업데이트된 EDID를 원복하고, 원복된 EDID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스케일러(Scaler 1, 4)의 업데이트된 EDID 정보를 원복하고, 원복된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데이트된 EDID 정보를 수신한 소스 장치는 업데이트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에서 HDR이 지원되는 상태로 EDID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소스 장치는 HDR이 지원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기 전, 4개의 외부 입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입력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영상 처리하는 제1 스케일러의 EDID 만을 원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스케일러(Scaler 4)의 EDID만을 원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소스 장치 1~4는 각각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410-1~S410-4). 이때, 소스 장치 1~4 각각이 전송하는 컨텐츠는 HDR 지원 여부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장치 1 및 소스 장치 4는 HDR이 지원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소스 장치 2 및 소스 장치 3는 HDR이 지원되지 않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PBP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4PBP ON)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 중 적어도 하나의 EDID 정보에 포함된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업데이트된 EDID 정보를 소스 장치 1~4로 전송할 수 있다(S430). 도 4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소스 장치 1~4로 업데이트된 EDID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업데이트된 EDID 정보에 따라 컨텐츠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 소스 장치로만 업데이트된 EDID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소스 장치 1~4는 업데이트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HDR이 지원되지 않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440-1~S440-4).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소스 장치 1~4는 각각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510-1~S510-4). 이때, 소스 장치 1~4 각각이 전송하는 컨텐츠는 HDR을 지원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의 EDID 정보가 HDR을 지원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소스 장치 1~4가 전송할 컨텐츠가 HDR을 지원하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PBP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4PBP ON)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소스 장치 1~4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가 HDR을 지원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가 모두 HDR을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컨텐츠를 PBP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더라도 모든 컨텐츠가 HDR 지원 상태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도 5에서는 소스 장치 1~4 각각이 전송하는 컨텐츠가 HDR을 지원하는 상태임을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 1~4 각각이 전송하는 컨텐츠는 HDR을 지원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의 EDID 정보가 HDR을 지원하지 않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110)의 EDID 정보가 HDR을 지원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더라도 소스 장치 1~4가 전송할 컨텐츠가 HDR을 지원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나, 복수의 컨텐츠가 모두 HDR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컨텐츠를 PBP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더라도 모든 컨텐츠가 HDR을 지원하지 않는 상태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즉, 전자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100)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의 HDR 지원 여부가 동일한지를 먼저 식별하고,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의 HDR 지원 여부가 상이한 경우에만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100)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한다(S610). 그리고,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한다(S620).
여기서,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대응되는 제1 스케일러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변경하는 단계(S620)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 각각의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EDID 정보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의 내부 메모리 각각에 저장되거나,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외부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동일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스케일러를 통해 영상 처리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제1 스케일러에 의해 영상 처리된 복수의 컨텐츠를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제2 스케일러를 통해 병합(merg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규격 정보는 해상도 정보, HDR 정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정보, 색 영역 정보 또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은 복수의 컨텐츠를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변경하는 단계(S6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고, 복수의 컨텐츠의 HDR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와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1의 규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함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의 규격을 동일하게 변경하고, 동일한 규격의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균일한 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복수의 제1 스케일러
120 : 프로세서 130 : 통신 인터페이스
140 : 제2 스케일러 1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60 : 디스플레이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영상 처리하는 복수의 제1 스케일러;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대응되는 제1 스케일러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업데이트된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각각의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의 내부 메모리 각각에 저장되거나,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외부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 스케일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일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에 의해 영상 처리된 복수의 컨텐츠를 병합(merge)하도록 상기 제2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 정보는,
    해상도 정보, HDR 정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정보, 색 영역 정보 또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HDR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1의 규격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High Dynamic Range)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대응되는 제1 스케일러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HDR이 지원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업데이트된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각각의 EDID 정보를 대응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의 내부 메모리 각각에 저장되거나,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외부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일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를 통해 영상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에 의해 영상 처리된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제2 스케일러를 통해 병합(merg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 정보는,
    해상도 정보, HDR 정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정보, 색 영역 정보 또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PBP(Picture By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HDR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상이하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케일러 중 적어도 하나의 HDR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1의 규격으로 연결된, 제어 방법.
KR1020200078742A 2020-06-26 2020-06-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00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42A KR20220000735A (ko) 2020-06-26 2020-06-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03861 WO2021261714A1 (ko) 2020-06-26 2021-03-2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8/079,178 US20230114046A1 (en) 2020-06-26 2022-12-12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42A KR20220000735A (ko) 2020-06-26 2020-06-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35A true KR20220000735A (ko) 2022-01-04

Family

ID=7928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42A KR20220000735A (ko) 2020-06-26 2020-06-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14046A1 (ko)
KR (1) KR20220000735A (ko)
WO (1) WO20212617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976B1 (ko) * 2007-07-31 2014-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디바이스가 화면 상의 복수의 재생 영역을 통해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20843B1 (ko) * 2014-04-22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26075A (ko) * 2014-08-29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0296A (ko) * 2014-10-29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32072A (ko) * 2018-05-18 201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14046A1 (en) 2023-04-13
WO2021261714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7096B2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WI672685B (zh) 顯示驅動器以及顯示系統
KR102599365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6620A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20017274A (ko)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20002838A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3033504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153548A (ja) 画像投影装置、更新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3285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102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414828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system
KR2022000073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550588B (zh) 顯示裝置及其運作方法
US11232739B2 (en) Electronic device, color adjust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WM539192U (zh) 模擬顯示畫面暨支援虛擬顯示裝置之控制設備及系統
KR2022006723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350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1703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59920A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시스템
EP4339937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651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00747A (ko)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US20240153435A1 (en)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2022007773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