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21U -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 Google Patents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21U
KR20220000421U KR2020200002926U KR20200002926U KR20220000421U KR 20220000421 U KR20220000421 U KR 20220000421U KR 2020200002926 U KR2020200002926 U KR 2020200002926U KR 20200002926 U KR20200002926 U KR 20200002926U KR 20220000421 U KR20220000421 U KR 202200004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ad
chest
distance
pa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105Y1 (ko
Inventor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다디자인
Priority to KR2020200002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10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8Brassieres combined with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07Brassieres with 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35Brassiere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앞쪽 내측에서 결합되고, 브래지어 기능을 수행하는 패드가 장착되는 패드 장착 안감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장착 안감은, 상기 본체의 앞쪽 내측의 양측 어깨 끝점에서 각각 겨드랑밑점까지의 암홀 라인에 봉제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가 장착되는 한 쌍의 패드 주머니를 포함하는 패드 장착부 및 상기 패드 장착부의 가슴 밑선과 연결되어 구비되는 밑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장착부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가슴 윗선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 주머니는, 상기 가슴 밑선, 및 두 겹의 원단에 대해 각각 상기 가슴 밑선의 제1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점과 상기 가슴 윗선의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점을 스티치(stitch)되어 연결하는 제1 라인 및 제2 라인으로 상기 패드가 장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슴 윗선 중 상기 제2 거리만큼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주머니에서 상기 가슴 밑선과 접하는 일부 원단이 셔링(shirring) 처리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Clothing with Brassiere Functions}
본 고안은 의류에 대한 것으로, 특히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에 대한 것이다.
브래지어(Brassiere)는 여성용 속옷의 일종으로, 가슴을 보호하고 외관 상 유두가 돌출되어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많은 여성들이 브래지어의 착용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나 상기의 기능의 필요성으로 인해 불편을 감수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별도로 불편한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브래지어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앞쪽 내측에서 결합되고, 브래지어 기능을 수행하는 패드가 장착되는 패드 장착 안감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장착 안감은, 상기 본체의 앞쪽 내측의 양측 어깨 끝점에서 각각 겨드랑밑점까지의 암홀 라인에 봉제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가 장착되는 한 쌍의 패드 주머니를 포함하는 패드 장착부 및 상기 패드 장착부의 가슴 밑선과 연결되어 구비되는 밑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장착부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가슴 윗선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 주머니는, 상기 가슴 밑선, 및 두 겹의 원단에 대해 각각 상기 가슴 밑선의 제1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점과 상기 가슴 윗선의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점을 스티치(stitch)되어 연결하는 제1 라인 및 제2 라인으로 상기 패드가 장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슴 윗선 중 상기 제2 거리만큼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주머니에서 상기 가슴 밑선과 접하는 일부 원단이 셔링(shirring) 처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패드 장착 안감은, 두 겹의 메쉬 소재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 장착부는, 상기 가슴 윗선의 중심에서 상기 가슴 밑선을 스티치 또는 봉제하여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가슴 밑선과 만나는 두 점 중 상기 제3 라인에 인접한 한 점은 상기 제3 라인으로부터 제3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가슴 밑선과 만나는 두 점 중 다른 한 점은 상기 본체의 옆구리선과 제4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거리 내지 제4 거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드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패드 장착부는, 상기 가슴 밑선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패드 주머니를 가로 질러 스티치 되고 끝단이 단락되어 형성되는 조절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 장착부는, 상기 윗선이 상기 양측 어깨 끝점에서 상기 패드 장착부의 중심을 연결하고, 상기 밑단은, 상기 가슴 밑선과 연결된 측의 타측이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는, 별도로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브래지어의 기능을 포함하여 브래지어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는, 패드 장착 안감이 목선이나 어깨선에 봉제되지 않아 목선이나 어깨선 부위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는, 패드 주머니를 스티치 처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이때 패드 주머니에서 패드가 장착 또는 탈착되는 개구부도 상기 스티치 처리만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슴 윗선의 형상 및 스티치되는 라인의 각도 등에 의해 장착된 패드가 의류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패드 주머니에서 빠져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는, 조절 라인을 패드 주머니에 스티치하여 형성하고, 사용자가 그 일 단을 잡아당겨 조절 라인을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슴 위치에 따라 패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는, 패드 주머니 하단에 셔링 처리하여, 착용 시, 패드의 가슴에 대한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는, 일정 길이의 밑단을 두어, 의류 착용자가 팔을 상하로 움직였을 때, 패드 장착부의 임의의 부분이 유두에 걸려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패드 장착 안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패드 장착 안감에 패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패드 장착 안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패드 장착 안감을 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패드 장착 안감에 패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100)는 본체(120) 및 패드 장착 안감(140)을 포함한다.
본체(120)는 의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20)는 의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20)는 도 1과 같이 의류(100)가 티셔츠인 경우, 면, 니트 및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의류(100)가 반팔 티셔츠인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류(100)는 긴팔 티셔츠, 민소매 티셔츠 또는 셔츠 등 다양한 상의일 수 있다. 또는, 의류(100)는 원피스, 환자복, 잠옷, 작업복 등일 수 있다.
패드 장착 안감(140)은 본체(120)의 앞면 내측, 즉 착용 시 착용자의 가슴 쪽에 위치하는 본체(120)의 앞면 내측에서 본체(120)와 결합된다. 패드 장착 안감(140)은 본체(120)의 앞쪽에서 본체(120)의 어깨 끝점(SP)에서 겨드랑밑점(AP)까지의 암홀 라인(AL)을 따라 봉제되고, 본체(120)의 목선 또는 어깨선에는 봉제되지 않은 상태로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패드 장착 안감(140)이 중력에 대체적으로 수직하는 목선 또는 어깨선에 봉제되는 경우, 패드 장착 안감(140)에 패드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때에 패드 무게로 인해, 해당 부위에 하중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100)를 착용한 착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해당 부위가 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100)는 패드 장착 안감(140)이 본체(120)의 앞쪽 내측의 암홀 라인(AL)을 따라 봉제되어 본체(120)에 결합되고 목선 또는 어깨선에는 봉제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의 불편함 또는 본체(120)의 늘어짐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100)는 패드 장착 안감(140)이 목선 또는 어깨선에 봉제되지 않더라도 최적의 소재 및 구조를 적용하여 결합의 견고함을 유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드 장착 안감(140)은 브래지어 기능을 수행하는 패드(PD)가 장착되는 패드 장착부(142) 및 패드 장착부(142)의 가슴 밑선(BBL)과 연결되어 구비되는 밑단(144)을 포함한다.
패드 장착부(142)는 가볍고 통풍이 잘 되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장착부(142)는 메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패드 장착부(142)는 메쉬 소재로 형성되는 예로 설명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드 장착부(142)는 패드가 장착될 수 있는 한 쌍의 패드 주머니(PPK)를 포함한다.
각 패드 주머니(PPK)는 가슴 밑선(BBL), 두 겹의 메쉬 소재 원단에 대해 스티치(stitch)로 구현되는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은 각각 가슴 밑선(BBL)의 제1 거리(d1)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점과 가슴 윗선(BUL)의 제2 거리(d2)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점을 스티치되어 연결할 수 있다.
가슴 밑선(BBL)은 패드 주머니(PPK) 아래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슴 윗선(BUL)은 양측 어깨 끝점에서 패드 장착부(142)의 중심을 연결하는, U자 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가슴 밑선(BBL),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에 의해 두 겹의 메쉬 소재의 원단 중 일부가 전체적으로 세모 형상의 패드에 대응되는 패드 주머니(PPK)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듯,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100)는, 패드 주머니(PPK)를 원단에 스티치 처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제1 거리(d1)는 가슴 밑선(BBL)에서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이 만나는 점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패드 장착부(142)는, 가슴 윗선(BUL)의 중심과 가슴 밑선(BBL)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3 라인(L3)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3 라인(L3)은 일체형의 패드 장착부(142) 원단 상에 스티치 처리하여 형성되거나, 좌우 대칭되는 분리된 한 쌍의 패드 장착부(142)의 원단을 봉제하여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라인(L3)에 의해 패드 장착부(142)는 좌우 대칭된다.
가슴 밑선(BBL)에서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이 만나는 두 점 중 하나는 제3 라인(L3)에 인접한 점은 제3 라인(L3)과 제3 거리(d3)만큼 이격하여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본체(120)의 옆구리선(RL)과 제4 거리(d4)만큼 이격하여 위치한다. 제3 거리(d3) 및 제4 거리(d4)는 여성의 평균적인 가슴 모양, 가슴 위치 또는 의류(100)의 품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거리(d3)는 1 cm 전후이거나 제4 거리(d4)는 6~7 cm 전후일 수 있다.
또는, 제1 거리(d1)(또는, 제2 거리(d2), 제3 거리(d3) 및/또는 제4 거리(d4))는 패드 사이즈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사이즈가 A, B 및 C 등으로 분류되는 경우, A 사이즈에 대해 제1 거리(d1)는 14 Cm, B 사이즈에 대해 제1 거리(d1)는 16 Cm, C 사이즈에 대해 제1 거리(d1)는 18 Cm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제1 거리(d1)는 패드(PD)의 크기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가슴 윗선(BUL) 중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 사이의 제2 거리(d2)만큼에 해당되는 부분은, 패드 주머니(PPK)로 패드(PD)를 장착하거나 패드 주머니(PPK)로부터 패드(PD)를 탈착하는 통로인 개구부(OP)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도 패드 주머니(PPK)의 내부 공간과 마찬가지로, 제1 라인(L1) 및 제2 라인(L2)의 스티치 처리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OP)가 양쪽 어깨 끝점에서 패드 장착부(142)의 중심으로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슴 윗선(BUL)에 형성됨에 따라, 즉 개구부(OP)가 중심쪽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위쪽에 형성됨에 따라, 의류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패드(PD)가 패드 주머니(PPK)에서 빠져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100)는, 패드 주머니(PPK)에서 가슴 밑선(BBL)과 접하는 일부 원단이 셔링(shirring)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셔링 쳐리로 인해 패드 주머니(PPK)의 두 겹 원단 중 착용자의 가슴에 접하는 측의 원단이 본체(120)의 앞쪽 내측과 접하는 측의 원단의 면적(패드 주머니(PPK) 형상의 면적)보다 일정 부분 넓어져, 곡률이 있는 패드(PD)가 패드 주머니(PPK)에 장착되더라도 패드 주머니(PPK)가 팽팽하게 당겨짐에 따라 가슴이 패드(PD)에 밀착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밑단(144)은 패드 장착부(142)와 마찬가지로 가볍고 통풍이 잘 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밑단(144)은 패드 장착부(142)와 같거나 다른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하게 메쉬 소재로 구현되는 예에 한해 기술된다. 밑단(144)은 패드 장착부(14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체형의 패드 장착 안감(140)의 원단 상에 가슴 밑선(BBL)을 스티치 처리하여 밑단(144)과 패드 장착부(142)을 구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패드 장착부(142)와는 분리된 밑단(144)의 원단을 봉제하여 패드 장착부(142)과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100)는, 가슴 밑선(BBL)과 연결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밑단(144)을 두어, 의류 착용자가 팔을 상하로 움직였을 때, 패드 장착부(142)의 임의의 부분이 착용자의 돌출된 유두에 걸려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100)는, 패드 장착 안감(140)이 본체(120)의 앞쪽 내측의 암홀 라인(AL)에 봉제되는 외에, 패드 장착 안감(140)의 옆선(SL)이 본체(120)의 암홀 라인(AL)의 겨드랑끝점에서부터 본체(120)의 옆구리선(RL)에 봉제될 수도 있다.
반면, 패드 장착 안감(140)에서, 가슴 윗선(BUL), 및 밑단(144)의 가슴 밑선(BBL)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밑단 밑선(TBL)이 본체(120)와 분리되어 형성됨으로써, 착용 시 착용자의 가슴이 패드(PD)에 더 잘 밀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패드 장착 안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패드 장착 안감(140)은 도 2의 패드 장착 안감(140)과 대비하여 조절 라인(CL)을 더 포함한다.
조절 라인(CL)은 가슴 밑선(BBL)과 이격하여 위치하고, 패드 주머니(PPK)를 가로 질러 스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PD)가 패드 주머니(PPK)에 장착됨에 있어 패드(PD)의 아래 끝부분이 조절 라인(CL)에 접하여 위치하게 될 것이다.
조절 라인(CL)의 적어도 일 단은 단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가 자신의 가슴 위치를 고려하여 조절 라인(CL)의 일 단(끝단)을 당겨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가슴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패드(PD)의 아래 끝부분이 조절 라인(CL)에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착용자의 가슴이 패드(PD)에 안착되지 못하게 되면, 착용자는 조절 라인(CL)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드(PD)의 아래 끝부분이 가슴 밑선(BBL)에 접하게 되어, 즉 패드(PD)의 위치가 하향 이동하여 착용자의 가슴이 패드에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다.
조절 라인(CL)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그 끝 단을 박음질하거나, 묶는 등의 조치 없이 단락된 상태, 즉 잘린 상태 그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각 조절 라인(CL)의 양 단이 패드 주머니(PPK)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절 라인(CL)은 제1 라인(L1) 또는 제2 라인(L2)과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패드 주머니(PPK)의 가슴 밑선(BBL)과 접하여 형성되는 셔링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 등과 셔링 처리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100)는, 별도로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브래지어의 기능을 포함하여 브래지어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장착 안감(140)의 본체(120)와의 결합 방식, 및 패드 장착 안감(140)의 재질 및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착용감 및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실시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앞쪽 내측에서 결합되고, 브래지어 기능을 수행하는 패드가 장착되는 패드 장착 안감;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장착 안감은,
    상기 본체의 앞쪽 내측의 양측 어깨 끝점에서 각각 겨드랑밑점까지의 암홀 라인에 봉제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가 장착되는 한 쌍의 패드 주머니를 포함하는 패드 장착부 및 상기 패드 장착부의 가슴 밑선과 연결되어 구비되는 밑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장착부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가슴 윗선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 주머니는,
    상기 가슴 밑선, 및 두 겹의 원단에 대해 각각 상기 가슴 밑선의 제1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점과 상기 가슴 윗선의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점을 스티치(stitch)되어 연결하는 제1 라인 및 제2 라인으로 상기 패드가 장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슴 윗선 중 상기 제2 거리만큼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주머니에서 상기 가슴 밑선과 접하는 일부 원단이 셔링(shirring) 처리되어 형성되는,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장착 안감은,
    두 겹의 메쉬 소재 원단으로 형성되는,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장착부는,
    상기 가슴 윗선의 중심에서 상기 가슴 밑선을 스티치 또는 봉제하여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가슴 밑선과 만나는 두 점 중 상기 제3 라인에 인접한 한 점은 상기 제3 라인으로부터 제3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가슴 밑선과 만나는 두 점 중 다른 한 점은 상기 본체의 옆구리선과 제4 거리만큼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거리 내지 제4 거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드의 크기에 대응되는,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장착부는,
    상기 가슴 밑선과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패드 주머니를 가로 질러 스티치 되고 적어도 끝 단이 단락되어 형성되는 조절 라인을 더 포함하는,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윗선은,
    상기 양측 어깨 끝점에서 상기 패드 장착부의 중심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밑단은,
    상기 가슴 밑선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밑단 밑선이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KR2020200002926U 2020-08-10 2020-08-10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KR200496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26U KR200496105Y1 (ko) 2020-08-10 2020-08-10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26U KR200496105Y1 (ko) 2020-08-10 2020-08-10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21U true KR20220000421U (ko) 2022-02-17
KR200496105Y1 KR200496105Y1 (ko) 2022-11-03

Family

ID=8047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26U KR200496105Y1 (ko) 2020-08-10 2020-08-10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105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003A (ja) * 1996-07-22 1998-02-10 Gunze Ltd 婦人用肌着
JP2001316907A (ja) * 2000-05-11 2001-11-16 Toray Ind Inc 肌 着
JP2005307390A (ja) * 2004-04-21 2005-11-04 Cogit:Kk バストカップを備えた女性用衣類
JP2006144194A (ja) * 2004-11-24 2006-06-08 Kanebo Ltd インナー・ウェア
JP3186323U (ja) * 2013-06-28 2013-10-03 セラフィック株式会社 カップ付き衣服
KR101345269B1 (ko) * 2012-07-23 2014-01-23 (주)에이든커머스 브래지어가 내부에 결합된 여성용 의복
KR200491927Y1 (ko) * 2020-01-13 2020-07-02 코웰패션 주식회사 여성용 상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323B2 (ja) * 1993-03-23 2001-07-11 住友電装株式会社 灯具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003A (ja) * 1996-07-22 1998-02-10 Gunze Ltd 婦人用肌着
JP2001316907A (ja) * 2000-05-11 2001-11-16 Toray Ind Inc 肌 着
JP2005307390A (ja) * 2004-04-21 2005-11-04 Cogit:Kk バストカップを備えた女性用衣類
JP2006144194A (ja) * 2004-11-24 2006-06-08 Kanebo Ltd インナー・ウェア
KR101345269B1 (ko) * 2012-07-23 2014-01-23 (주)에이든커머스 브래지어가 내부에 결합된 여성용 의복
JP3186323U (ja) * 2013-06-28 2013-10-03 セラフィック株式会社 カップ付き衣服
KR200491927Y1 (ko) * 2020-01-13 2020-07-02 코웰패션 주식회사 여성용 상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105Y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6217B1 (en) Garment with interior bra structure with side supports
US7340780B2 (en) Sports garment
US7083494B2 (en) Article of clothing with built in support system
US6282720B1 (en) Under/outer shirts/covers for women
KR200490828Y1 (ko) 가슴패드를 구비한 여성복
US11717036B2 (en) Multi-layer nursing bra and nursing bra system
US8585458B2 (en) Natural support garment
US20220053853A1 (en) Reversible neckline shapewear garments
WO2006012557A2 (en) Composite garment and method to manufacture same
US10021928B2 (en) Figure enhancing garment
JP6551759B1 (ja) カップ付き衣類
KR20200118738A (ko) 마찰력 브라패드 삽입 의류
GB2411573A (en) Brassiere-type undergarment
KR200496105Y1 (ko) 브래지어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
CN209898307U (zh) 带罩杯部的上半身衣服
JP2001316907A (ja) 肌 着
KR200496238Y1 (ko) 노브라 실현용 가슴패드 및 의상
JP7370225B2 (ja) 上半身用衣類
JP4031186B2 (ja) アウターウエア兼用型インナーウエア
CN215124463U (zh) 一种polo衫
JP5575446B2 (ja) 脇開放型の衣類
US20210195963A1 (en) Noncompressive undergarments
CN213215382U (zh) 一种露肩两穿针织套衫
US20240148081A1 (en) Padded garment
US20200359712A1 (en) Composite garment and method to manufactur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