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20U - 판넬 보조 덮개 - Google Patents

판넬 보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20U
KR20220000420U KR2020200002925U KR20200002925U KR20220000420U KR 20220000420 U KR20220000420 U KR 20220000420U KR 2020200002925 U KR2020200002925 U KR 2020200002925U KR 20200002925 U KR20200002925 U KR 20200002925U KR 20220000420 U KR20220000420 U KR 202200004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otrusion
side wall
w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416Y1 (ko
Inventor
정완영
차재현
Original Assignee
정완영
차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완영, 차재현 filed Critical 정완영
Priority to KR2020200002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1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8Connecting; Fastening by forcing together the marginal portions of adjacent slab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판넬 보조 덮개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 상에 고정되어 안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볼트삽입부가 마련된 몸체탑부 및 상기 몸체탑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볼트삽입부 상에 위치하는 덮개탑부 및 상기 몸체 날개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탑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연장된 제1돌출부 및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결합으로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몸체탑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만곡되어 제2돌출부 수용홈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넬 보조 덮개{AUXILIARY COVER FOR A PANNEL}
본 고안은 판넬 보조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틸 소재의 적용이 가능한 패널 고정용 판넬 보조 덮개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패널은 건축물의 내·외부 마감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건축용 패널은 주로 시트 형태의 두 금속 판재 사이에 유리 섬유나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삽입하여 강성과 단열성을 동시에 구비하도록 제조한다. 이러한 건축용 패널은 주로 건물 내부나 외부 벽채 또는 지붕 등의 마감재로 이용되는데, 지붕에 사용될 경우에 특히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빗물이나 적설에 따른 누수 현상이다.
통상적으로 지붕 마감재는 다수의 단위 패널을 격자 형태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하는데, 특히 각 패널 사이의 연결부(즉, 패널 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몸체부의 하부면에 양면 테이프를 붙여 스펀지를 고정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볼트삽입홀의 중심과 스펀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위치에 스펀지가 부착될 수 있어 시공 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거나, 일정하지 않은 고정 위치로 인한 스펀지의 방수기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양면 테이프의 약한 접착성 등으로 인해 스펀지의 부착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방수기능 저하의 우려가 있으며, 스펀지가 정위치에 부착되지 않아서 스펀지의 손상 우려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패널 연결 부재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였으나, 화재 발생 시 유독성 물질을 배출하여 인명 피해가 확장되었으며, 폐기물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틸 소재가 적용되어 화재 발생 시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불필요하게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으면서도, 수분 유입 차단 효과가 우수한 판넬 보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패널 상에 고정되어 안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볼트삽입부가 마련된 몸체탑부 및 상기 몸체탑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볼트삽입부 상에 위치하는 덮개탑부 및 상기 몸체 날개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탑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연장된 제1돌출부 및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결합으로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몸체탑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만곡되어 제2돌출부 수용홈을 형성하는, 판넬 보조 덮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의 말단이 상기 제1돌출부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되, 말단이 'ㄴ' 형태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날개부 상에 마련된 제3돌출부 및 상기 제3돌출부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를 갖고, 상기 제4돌출부가 상기 제3돌출부의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가 맞닿아 형성된 모서리에 탄성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경사부가 상기 몸체날개부와 이루는 각(θ1) 및 상기 제2경사부가 상기 몸체날개부와 이루는 각(θ2)이 모두 예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돌출부는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타 말단에서 연장되되, 말단이 'ㄴ' 형태로 굽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측벽이 마련되되, 상기 몸체측벽은 상기 몸체탑부와 상기 몸체날개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측벽은 상기 몸체날개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측벽이 마련되되, 상기 덮개측벽은 상기 덮개탑부와 상기 덮개날개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벽은 상기 몸체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탑부 및 적어도 일부의 몸체날개부 상에서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벽의 하단이 상기 몸체측벽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볼트삽입부는 상기 몸체탑부에 마련된 돌출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볼트삽입부는 볼트머리가 안착되는 볼트머리안착부 및 상기 볼트머리보다 폭이 좁은 통공을 갖고, 상기 볼트머리안착부는 평평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탑부 하부에 오목링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삽입부 하부가 상기 몸체탑부 하면에서 이격된 형태이며, 상기 볼트삽입부는 몸체탑부 하부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측벽이 마련되되, 상기 몸체측벽은 상기 몸체탑부와 상기 몸체날개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측벽이 마련되되, 상기 덮개측벽은 상기 덮개탑부와 상기 덮개날개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벽은 상기 몸체측벽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측벽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날개부의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통공이 마련된 제3돌출부; 및 상기 덮개측벽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날개부의 하면 방향으로 곡선형태로 돌출되되 덮개날개부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가 마련된 제4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돌출부의 돌기가 상기 제3돌출부의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가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틸 소재가 적용되어 화재 발생 시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하게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으면서도, 수분 유입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판넬 보조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 보조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하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와 덮개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보조 덮개를 이용하여 패널을 고정시키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보조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길이방향'은 몸체탑부에서 몸체날개부가 연장된 방향 또는 덮개탑부에서 덮개날개부가 연장된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몸체측벽의 내측'은 상기 몸체측벽에서 돌출링을 향하는 방향이며, '몸체측벽의 외측'은 상기 몸체측벽의 내측과 반대방향을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판넬 보조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판넬 보조 덮개는 덮개부(120)가 몸체부(110)에 조립 및 분리 시, 체결부재(122)와 덮개고정부(115)의 체결에 의해 돌출된 핀 형태의 덮개고정부(115)가 마모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었고, 돌출마개(121)와 돌출테(118)가 마모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판넬 보조 덮개에 따른 덮개부(120)와 몸체부(110)의 결합 형태는 합성수지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을 뿐, 스틸 소재로 제조하기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았다.
따라서, 스틸 소재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눈, 비로부터 볼트의 보호가 가능한 판넬 보조 덮개를 고안하고자 본 고안의 고안자들은 관련된 실험을 반복하였고, 이하 설명하는 판넬 보조 덮개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 보조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판넬 보조 덮개(1)은 몸체(10) 및 덮개(20)로 구성된다.
몸체(10)는 패널 상에 고정되어 안착되는 것으로, 패널의 결합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직사각형, 일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10)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판넬 보조 덮개(1)은 종래 합성수지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한 판넬 보조 덮개가 화재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소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철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몸체(10)는 몸체탑부(10a) 및 몸체날개부(10b, 10c)를 포함한다.
몸체(10)가 패널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몸체탑부(10a)는 몸체(10) 중앙에 위치하며 몸체탑부(10a)에 볼트삽입부(13)가 마련된다. 또한, 몸체탑부(10a)는 평평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몸체날개부(10b, 10c)는 몸체(10)가 패널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패널의 결합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몸체탑부(10a)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덮개(20)는 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으로, 몸체(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덮개(20)가 몸체(10)에 탈착 가능한 형태는 제1돌출부(14) 및 제2돌출부(21)의 체결로 달성되며, 이는 도 9 내지 도 10을 들어 후술한다.
덮개(20)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할 바와 같이 몸체(10) 및 덮개(20) 모두 금속 소재로 구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취한 종래 판넬 보조 덮개와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즉, 판넬 보조 덮개(1)은 종래 합성수지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한 판넬 보조 덮개가 화재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덮개(20)는 덮개탑부(20a) 및 덮개날개부(20b, 20c)를 포함하며,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몸체(10)와 유사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덮개탑부(20a)는 덮개(20)가 몸체(10)를 덮을 때 볼트삽입부(13) 상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덮개탑부(20a)는 평평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덮개날개부(20b, 20c)는 몸체날개부(10b, 10c)에 대응하도록 덮개탑부(20a)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하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탑부(10a)에 돌출링(11) 및 볼트삽입부(13)가 마련된다.
볼트삽입부(13)는 패널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몸체탑부(10a)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고, 돌출링(11)에 의해 형성된 공간, 예를 들어, 돌출링(1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볼트삽입부(13)는 볼트머리안착부(13a) 및 볼트머리보다 폭이 좁은 통공(13b)을 갖되, 볼트머리안착부(13a)는 평평한 형태일 수 있다. 볼트는 통공(13b)을 통과하고, 볼트머리가 볼트머리안착부(13a)에 안착되어 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링(11)은 몸체탑부(10a) 상면에서 돌출된 링 형태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링(11)은 볼트삽입부(13)의 주위를 포위한 상태에서 비나 눈 등 수분이 볼트머리안착부(13a)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탑부(10a) 하부에 오목링(12)이 형성된다. 오목링(12)은 돌출링(11)이 중공 형태를 가짐으로써 몸체탑부(10a) 하부에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오목링(12)에 의해 볼트삽입부(13) 하부가 몸체탑부(10a) 하면에서 이격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볼트삽입부(13)는 몸체탑부(10a) 하부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즉, 볼트삽입부(13)에 볼트가 수용되어 패널에 판넬 보조 덮개(1)이 고정될 때, 패널과 볼트삽입부(13) 하부가 맞닿게 되는데, 종래 판넬 보조 덮개와 같이 볼트삽입부(13) 하부가 몸체탑부(10a) 하면에서 연장된 형태를 지니는 경우, 몸체탑부(10a) 하면이 패널에 접촉함에 따라 볼트삽입부(13)가 패널에 접촉하지 못하고 패널에서 이격되거나, 또는 패널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판넬 보조 덮개(1)은 볼트삽입부(13) 하부가 몸체탑부(10a) 하면에서 이격되고,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써, 볼트삽입부(13)가 패널에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고정되어, 몸체(10)가 패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10) 하면에 미끄럼방지재(도면에 미도시)가 더 부착될 수 있다. 건물의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들은 경사 지고 미끄러운 지붕 위에서 판넬 보조 덮개를 밟고 이에 의지하여 작업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작업자들이 아직 볼트로 결합되지 않은 판넬 보조 덮개를 밟는 경우 오히려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들이 있었다. 상기 미끄럼방지재는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끄럼방지재는 고무 소재를 포함하여, 판넬 보조 덮개와 지붕의 패널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지붕의 패널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저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끄럼방지재는 몸체(10)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끄럼방지재는 몸체탑부(10a) 하면에 판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끄럼방지재는 몸체날개부(10b, 10c)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몸체와 덮개의 결합 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0)는 제1돌출부(14) 및 제3돌출부(15)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탑부(10a)의 한 쪽에서 연장된 몸체날개부(10b)에 제1돌출부(14)가 마련되고, 몸체탑부(10a)의 다른 한 쪽에서 연장된 몸체날개부(10c)에 제3돌출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돌출부(14)는 몸체날개부(10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몸체탑부(10a)가 위치한 방향으로 만곡되어 제1돌출부(14)에 의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14)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간은 후술하는 제2돌출부(21)가 수용될 수 있고, 이를 제2돌출부 수용홈(14a)으로 지칭한다.
제1돌출부(14)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몸체날개부(10b)의 한 모서리 양 사이드(side)에 마련될 수 있다.
제3돌출부(15)는 몸체날개부(10c) 상에 소정의 부피를 갖도록 돌출된 것으로, 원기둥, 다각기둥,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가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어, 삼각기둥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3돌출부(15)는 제1경사부(15a) 및 제2경사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경사부(15a)가 몸체날개부(10c)와 이루는 각(θ1) 및 제2경사부(15b)가 몸체날개부(10c)와 이루는 각(θ2)이 모두 예각일 수 있다. 즉, 제3돌출부(15)의 제1경사부(15a) 및 제2경사부(15b)가 맞닿아 형성된 모서리(15c)가 몸체탑부(10a)와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덮개(20)는 제2돌출부(21) 및 제4돌출부(22)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탑부(20a)의 한 쪽에서 연장된 덮개날개부(20b)에 제2돌출부(21)가 마련되고, 덮개탑부(20a)의 다른 한 쪽에서 연장된 덮개날개(20c)에 제4돌출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돌출부(21)는 덮개날개부(20b)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연장되며, 제1돌출부(14)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돌출부(14)와의 결합으로 몸체(10)와 덮개(20)가 힌지 결합되는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제2돌출부(21)와 제1돌출부(14)의 형태 자체로 몸체(10)와 덮개(20)가 힌지 운동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힌지 또는 볼트 등의 연결부재가 불필요하여,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달성 가능하면서도 판넬 보조 덮개(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돌출부(21)는 덮개날개부(20b)에서 연장되되, 소정 구간이 덮개날개부(20b)의 길이방향 말단에서 이격된 형태가 적용된다. 즉, 제2돌출부(21)와 덮개날개부(20b)의 길이방향 말단 사이에 서로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공간은 전술한 제1돌출부(14)의 말단이 삽입되는 곳으로, 이를 제1돌출부 수용홈(21a)으로 지칭한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돌출부(21)는 덮개날개부(20b)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돌출부(21)는 덮개날개부(20b)의 길이방향 말단에서 패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돌출부(21)는 말단이 'ㄴ' 형태로 절곡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돌출부(21)는 제2돌출부 수용홈(14a)에 삽입되는데, 제2돌출부(21) 말단이 직선 형태인 경우 제2돌출부 수용홈(14a)의 체적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므로, 제2돌출부(21)는 말단이 'ㄴ' 형태로 절곡된 형태가 적용됨으로써, 제2돌출부 수용홈(14a)의 체적을 최소화시키면서 동시에 제1돌출부(14)와 제2돌출부(21)가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4돌출부(22)는 덮개날개부(20c)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제3돌출부(15)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패널 상에 판넬 보조 덮개(1)을 조립 시 제3돌출부(15)와의 체결에 의해 덮개(20)가 몸체(10)를 덮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판넬 보조 덮개(1)은 제3돌출부(15)와 제4돌출부(22)가 갖는 전술한 형태 및 이들의 체결 방법에 의해 몸체(10) 및 덮개(20)가 금속 소재가 적용되어도,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 없고, 체결부위의 마모 우려가 거의 없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돌출부(22)는 말단이 몸체(10) 방향으로 굽은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말단이 'ㄴ' 형태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4돌출부(22)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덮개날개부(20c)의 길이방향 말단에서 돌출된 형태로, 일종의 탄성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돌출부(21)와 체결 시 탄성결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와 덮개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몸체탑부(10a)가 위치한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제1돌출부(14)의 말단이 제1돌출부 수용홈(21a)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제2돌출부(21)는 제2돌출부 수용홈(14a)에 삽입된다. 이때, 제2돌출부(21)는 말단이 'ㄴ' 형태로 절곡된 형태가 적용되어 제1돌출부 수용홈(21a)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말단이 몸체 방향으로 굽은 형태의 제4돌출부(22)가 제3돌출부(15)의 제1경사부(15a) 및 제2경사부(15b)가 맞닿아 형성된 모서리(15c)에 탄성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모서리(15c)는 몸체탑부(10a)와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말단이 몸체 방향으로 굽은 형태의 제4돌출부(22)가 용이하게 탄성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서리(15c)가 제4돌출부(22)의 절곡지점에 걸리도록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몸체(10)는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몸체측벽(16)을 포함하고, 덮개(20)는 덮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덮개측벽(23)을 포함한다.
몸체측벽(16)은 몸체탑부(10a)와 몸체날개부(10b, 10c)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예를 들어, 몸체탑부(10a)에서 몸체날개부(10b, 10c)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측벽(16)은 몸체날개부(10b, 10c)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몸체탑부(10a)에서 몸체측벽(16)이 돌출링(11) 및 볼트삽입부(13)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할 만큼 충분한 높이를 갖되, 몸체날개부(10b, 10c)의 적어도 일부까지 몸체측벽(16)이 연장되거나 몸체날개부(10b, 10c)에서 몸체측벽(16)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돌출부(14)와 제2돌출부(21)의 체결상태 및 제3돌출부(15)와 제4돌출부(22)의 체결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판넬 보조 덮개(1)이 금속 소재로 제조되는 경우, 몸체측벽(16)의 높이가 몸체날개부(10b, 10c)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하여, 판넬 보조 덮개(1)에 의한 수분 차단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판넬 보조 덮개(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덮개측벽(23)은 덮개탑부(20a)와 덮개날개부(20b, 20c)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덮개(20)가 몸체(10)를 덮을 때 덮개측벽(23)은 몸체측벽(16)의 외측에 위치하여, 볼트삽입부(13)로의 수분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판넬 보조 덮개(1)은 몸체탑부(10a) 및 적어도 일부의 몸체날개부(10b, 10c) 상에서 덮개(20)가 몸체(10)를 덮을 때 덮개측벽(23)의 하단이 몸체측벽(16)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몸체탑부(10a) 및 이와 인접한 몸체날개부(10b, 10c)에서는 덮개측벽(23)이 몸체측벽(16)을 충분히 덮도록 하여, 판넬 보조 덮개(1)으로 수분 유입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보조 덮개를 이용하여 패널을 고정시키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몸체(10)를 패널(2) 상에 안착시키되, 볼트(3)가 볼트삽입부(13)에 수용되도록 하여 통공(13b)을 관통시키고, 이어서 패널(2)을 관통시킴으로써 패널(2)을 지붕 등 건축자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덮개(20)를 몸체(10)에 덮고 제3돌출부(15)와 제4돌출부(22)를 체결하여 덮개(20)가 몸체(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패널(2) 상에 몸체(10)를 안착시키기 전, 제1돌출부(14)와 제2돌출부(21)는 미리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판넬 보조 덮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돌출부(115) 및 제4돌출부(122)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돌출부(115)는 몸체날개부(10c)의 양 사이드에 형성된 몸체측벽(16)의 하부에 배치되며, 몸체날개부(10c)의 상면 방향으로 곡선형태로 돌출되되 통공이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몸체측벽(16)은 몸체날개부(10c)의 말단까지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제4돌출부(122)는 덮개날개부(20c)의 양 사이드에 형성된 덮개측벽(23)의 하부에 배치되며, 덮개날개부(20c)의 하면 방향으로 곡선형태로 돌출되되, 덮개날개부(20c)의 내측 방향으로 돌기가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즉, 몸체(10)에 덮개(20)가 체결될 때, 제4돌출부(122)에 마련된 돌기가 제3돌출부(115)에 형성된 통공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는 덮개날개부(20c)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상기 통공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몸체(10)와 덮개(20)가 체결된 후, 덮개측벽(23)이 몸체측벽(16)을 감싸는 형태가 됨으로써, 비나 눈이 오더라도 물이 몸체탑부(10a)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판넬 보조 덮개와 패널을 체결하는 볼트 등이 부식되지 않도록 하여, 태풍 등이 오는 경우에도 건물 지붕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판넬 보조 덮개
2: 패널
3: 볼트
3a: 볼트머리
10: 몸체
10a: 몸체탑부
10b, 10c: 몸체날개부
11: 돌출링
12: 오목링
13: 볼트삽입부
13a: 볼트머리안착부
13b: 통공
14: 제1돌출부
14a: 제2돌출부 수용홈
15, 115: 제3돌출부
15a: 제1경사부
15b: 제2경사부
15c: 모서리
16: 몸체측벽
20: 덮개
20a: 덮개탑부
20b, 20c: 덮개날개부
21: 제2돌출부
21a: 제1돌출부 수용홈
22, 122: 제4돌출부
23: 덮개측벽

Claims (12)

  1. 패널 상에 고정되어 안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볼트삽입부가 마련된 몸체탑부 및 상기 몸체탑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볼트삽입부 상에 위치하는 덮개탑부 및 상기 몸체 날개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덮개탑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연장된 제1돌출부 및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결합으로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몸체탑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만곡되어 제2돌출부 수용홈을 형성하는, 판넬 보조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의 말단이 상기 제1돌출부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 수용홈에 삽입되는, 판넬 보조 덮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일 말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되, 말단이 'ㄴ' 형태로 절곡된 형태인, 판넬 보조 덮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날개부 상에 마련된 제3돌출부 및 상기 제3돌출부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를 갖고,
    상기 제4돌출부가 상기 제3돌출부의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가 맞닿아 형성된 모서리에 탄성결합되어 고정되는, 판넬 보조 덮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가 상기 몸체날개부와 이루는 각(θ1) 및 상기 제2경사부가 상기 몸체날개부와 이루는 각(θ2)이 모두 예각인, 판넬 보조 덮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4돌출부는 상기 덮개날개부의 길이방향 타 말단에서 연장되되, 말단이 'ㄴ' 형태로 굽은 형태인, 판넬 보조 덮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측벽이 마련되되, 상기 몸체측벽은 상기 몸체탑부와 상기 몸체날개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측벽은 상기 몸체날개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인, 판넬 보조 덮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측벽이 마련되되, 상기 덮개측벽은 상기 덮개탑부와 상기 덮개날개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벽은 상기 몸체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탑부 및 적어도 일부의 몸체날개부 상에서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벽의 하단이 상기 몸체측벽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형태인, 판넬 보조 덮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삽입부는 상기 몸체탑부에 마련된 돌출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볼트삽입부는 볼트머리가 안착되는 볼트머리안착부 및 상기 볼트머리보다 폭이 좁은 통공을 갖고,
    상기 볼트머리안착부는 평평한 형태인, 판넬 보조 덮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탑부 하부에 오목링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삽입부 하부가 상기 몸체탑부 하면에서 이격된 형태이며,
    상기 볼트삽입부는 몸체탑부 하부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갖는, 판넬 보조 덮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측벽이 마련되되, 상기 몸체측벽은 상기 몸체탑부와 상기 몸체날개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측벽이 마련되되, 상기 덮개측벽은 상기 덮개탑부와 상기 덮개날개부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를 덮을 때 상기 덮개측벽은 상기 몸체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판넬 보조 덮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몸체측벽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날개부의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통공이 마련된 제3돌출부; 및
    상기 덮개측벽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날개부의 하면 방향으로 곡선형태로 돌출되되 덮개날개부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가 마련된 제4돌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돌출부의 돌기가 상기 제3돌출부의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가 고정되는, 판넬 보조 덮개.
KR2020200002925U 2020-08-10 2020-08-10 판넬 보조 덮개 KR200496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25U KR200496416Y1 (ko) 2020-08-10 2020-08-10 판넬 보조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25U KR200496416Y1 (ko) 2020-08-10 2020-08-10 판넬 보조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20U true KR20220000420U (ko) 2022-02-17
KR200496416Y1 KR200496416Y1 (ko) 2023-01-26

Family

ID=8047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25U KR200496416Y1 (ko) 2020-08-10 2020-08-10 판넬 보조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1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615Y1 (ko) * 2001-03-31 2001-10-10 서종건 판재 이음부용 고정부재
KR200413823Y1 (ko) * 2006-01-20 2006-04-11 강호식 조립식 지붕판의 고정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615Y1 (ko) * 2001-03-31 2001-10-10 서종건 판재 이음부용 고정부재
KR200413823Y1 (ko) * 2006-01-20 2006-04-11 강호식 조립식 지붕판의 고정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416Y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6010A (en) Interconnecting construction panels
US20080000176A1 (en) Insulated panel system
US8020350B2 (en) Seamless deck-sealing surround for skylights and roof windows
EP2318609B1 (en) Deck-mounted skylight having unitary cladding component
AU2005244584A1 (en) Cladding
EA037873B1 (ru) Гидроизолирующий набор, включающий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между гидроизол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и кровельным материалом, и способ для защиты от погодных условий стыка между крышей здания и проникающей кров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ей
KR20220000420U (ko) 판넬 보조 덮개
KR102345836B1 (ko)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금속지붕 보강재
KR102274045B1 (ko)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KR20220002144U (ko)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US9157237B2 (en) Roof tile crown support
KR101633434B1 (ko) 데크 패널
JP5044097B2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KR101077657B1 (ko)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JP2881112B2 (ja) 断熱屋根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JP6821410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構造体およびその組付け方法
JP2697947B2 (ja) バルコニーの排水構造
JPH0126804Y2 (ko)
JP3072231U (ja) 建物躯体構造と笠木との取合部カバー
JP2538153Y2 (ja) 床部からの立ち上がり部防水層用保護パネルの下端用ホルダー
JPH0522572Y2 (ko)
JP2024061266A (ja) 水切り部材
JP2024061259A (ja) 屋根材保護具
JP2519913Y2 (ja) 帯状体の取付構造
GB2390620A (en) Joint piece for adjacent ridge 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