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10A -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10A
KR20220000410A KR1020217042143A KR20217042143A KR20220000410A KR 20220000410 A KR20220000410 A KR 20220000410A KR 1020217042143 A KR1020217042143 A KR 1020217042143A KR 20217042143 A KR20217042143 A KR 20217042143A KR 20220000410 A KR20220000410 A KR 20220000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emperature
heating zone
exposing
compress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충-타이 치엔
멩-춘 후
아이-흐세인 쳉
구오-창 왕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to KR102022701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1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6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82Producing articles in the form of closed loops, e.g. rings
    • B29D99/0085Producing articles in the form of closed loops, e.g. rings for seal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1/00Shoe machines with conveyors for jacked shoes or for shoes or sho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200/00Machines or method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 A43D2200/20Machines including a carousel with different working posts around a turn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5/00Shoe-finishing machines
    • A43D95/12Devices for conditioning, tempering, or moistening
    • A43D95/125Devices for conditioning, tempering, or moistening with means, e.g. transport chains, for continuously transferring shoes through th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7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08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without using a mould, e.g. ballo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8Thermoform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environment, e.g. ste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29C51/426Producing specific thermal regimes during thermoforming to obtain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54Producing footwear by compression moulding, vulcanising or the lik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6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29L2031/505U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물품(130, 131)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100) 및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시스템(100)은 제1 가열 구역(201, 205) 및 제2 가열 구역(201, 205)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가열 스테이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가열된 물품(130, 131)의 온도를 약 50℃ 내지 약 70℃의 범위까지 하강시키면서 물품(130, 131)을 대기압에 노출시키기 위한 제1 냉각 스테이션(300, 400, 5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또한 물품(130, 131)을 대기압 초과의 압력에 노출시킬 수 있는 제2 냉각 스테이션(300, 400, 50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ARTICLES}
본 개시내용은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열 성형하는 것은 물품의 용융 온도 초과로 물품을 가열한 후에, 물품의 용융 온도 미만으로 물품을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프로세스에서, 이러한 가열 및 냉각 동안에, 물품은 특정의 원하는 형상 또는 구조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첨부 제도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가열 스테이션, 제1, 제2 및 제3 냉각 스테이션, 로딩/언로딩 스테이션, 및 물품 이동 메커니즘을 갖는 열 성형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를 드러내기 위해 인클로저(enclosure)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열 성형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가열 스테이션의 제1 가열 구역의 처리 영역의 근접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1 처리 영역은 열 요소 및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도 3b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가열 스테이션의 제2 가열 구역의 처리 영역의 근접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처리 영역은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제1 냉각 스테이션의 근접 측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공기 순환 장치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제2 냉각 스테이션의 근접 측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2 냉각 스테이션은 이동 가능한 챔버를 포함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열 성형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특히 물품 이동 메커니즘과, 가열 스테이션, 제1, 제2 및 제3 냉각 스테이션, 및 로딩/언로딩 스테이션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7a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라스트(last)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c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라스팅된 갑피의 상부 및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도 7a의 갑피는 도 7b의 라스트에 위치하고;
도 8a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압축 재료의 상부 및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b는 도 8a의 압축 재료의 내측에 위치한 도 7c의 라스팅된 갑피의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a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물품 압축 조립체의 도킹 부재 위에 위치한 도 8b의 조립체의 상부 및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b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물품 압축 조립체의 도킹 부재에 결합된 도 8b의 조립체의 상부 및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c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킹 부재 위에 위치한 도 8b의 조립체의 상부 및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d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9c에 도시된 절단선 9D를 따른 도킹 부재 및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9e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킹 부재 위에 위치한 도 8b의 조립체의 상부 및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갑피 및 힐 카운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0a의 갑피 내측에 위치한 도 10a의 힐 카운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0b의 힐 카운터 및 갑피의 측면 부분 절개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도 10b의 힐 카운터 및 갑피의 측면 부분 절개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갑피는 라스트 상에 위치하고 압축 재료는 라스팅된 갑피 위에 위치하고;
도 1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16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주제는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본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자들은 다른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과 함께,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단계의 조합 또는 상이한 단계를 포함하기 위해, 청구된 주제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본원의 양태는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열 성형 시스템은 원하는 형상으로 물품이 성형되는 동안, 물품을 가열한 후에 물품을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열 성형 시스템은 다양한 프로세스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처리 시간으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현재의 특정 열 성형 시스템은 다수의 열 성형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데 필요한 공간에 관하여 자원 집약적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전술한 문제 중 하나 이상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효율적인 처리 쓰루풋(processing throughput)을 가질 수 있는 콤팩트한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는 열 성형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은 하나 초과의 가열 구역을 갖는 가열 스테이션, 제1 냉각 스테이션, 제2 냉각 스테이션 및 제3 냉각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이들 스테이션은 원주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물품 이동 메커니즘은 하나의 스테이션(또는 하나의 처리 영역)으로부터 다음 스테이션으로 물품을 이송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특정 양태에서, 물품 이동 메커니즘은 하나의 처리 영역 또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음 처리 영역 또는 스테이션으로 다수의 물품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은 일 양태에서 효율을 최대화하고 원형 레이아웃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각 스테이션 또는 처리 영역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처리 시간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특정 양태에서,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물품 이동 메커니즘이 물품을 동일한 가열 스테이션의 하나 초과의 처리 영역으로 이송하게 하는데, 이는 물품이 제1 냉각 스테이션과 같은 다른 처리 스테이션에서 물품에 필요한 기간보다 긴 기간에 걸쳐 열 에너지에 대한 노출을 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은 물품이 대기압 초과의 압력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압축력에 노출되는 동안에, 본딩제가 물품의 적어도 2 개의 구성요소를 함께 효과적으로 본딩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된 물품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물품을 수용하는 단계, 및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은 물품을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서, 제2 가열 구역은 물품을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킨 후에,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제3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40℃ 내지 약 90℃ 범위까지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킨 후에,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된 가열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가열 스테이션은 제1 가열 구역 및 제2 가열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구역과 유체 연통한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에너지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적어도 제1 가열 구역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제3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는 제1 냉각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제1 냉각 스테이션은 대기압에 노출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제2 냉각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제2 냉각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대기압 초과의 압력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가열 스테이션으로부터 제1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물품 이동 메커니즘이 포함된다.
이제 도면으로 넘어가면, 도 1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1은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갑피로서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0)을 도시한다.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많은 상이한 유형의 물품 또는 물품의 일부에 이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 도시된 물품(130)은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되는 일례일 뿐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도 1의 시스템(100)은 가열 스테이션(200), 제1 냉각 스테이션(300), 제2 냉각 스테이션(400), 제3 냉각 스테이션(500),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 및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을 포함한다. 도 1의 시스템(100)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정 양태에서, 시스템(100)은 인클로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가열 스테이션(200), 제1 냉각 스테이션(300), 제2 냉각 스테이션(400), 제3 냉각 스테이션(500) 및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은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중심(12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위치한다. 특정 양태에서, 시스템(100)의 다양한 스테이션의 이러한 원주방향 위치결정은 시스템(100)에 대해 효율적인 최소화된 풋프린트(footprint)를 제공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하나의 스테이션 또는 처리 영역으로부터 다른 스테이션 또는 처리 영역으로 시프팅(shifting)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 각각은 시스템(100)의 다양한 스테이션 또는 처리 영역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시프팅 또는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a)는 물품(130)을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으로부터 가열 스테이션(200)의 처리 영역(202)으로 시프팅시킬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물품이 물품 압축 조립체(600)에 각각 결합된 동안 하나 이상의 물품을 시프팅시킬 수 있다. 물품 압축 조립체(600)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된다.
특정 양태에서,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 스테이션으로 동시 방식(concerted manner)으로 시프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양태들에서,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는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회전이 각 부재 및 그에 결합된 물품을 인접한 스테이션 또는 처리 영역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중앙 부분(12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시스템(100)은 유사하게 타이밍된 별도의 단계에서 물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거나 열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의 각 스테이션 또는 처리 영역에서 일어나는 개별 프로세스의 타이밍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된다.
특정 양태에서, 시스템의 사용은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0)이 시스템(100)으로 진입하는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에서 시작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물품의 진입 및/또는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도어(112)가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에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하거나 대안적인 양태에서, 다양한 시스템 프로세스의 조작을 위해 제어 패널(114)이 인클로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로 넘어가면, 가열 스테이션(200)이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열 스테이션(200)은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는 특정 양태에서,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 내측의 상승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양태들에서 가열 스테이션(200)이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가 가열 스테이션(200) 또는 그의 처리 영역 전체에 걸쳐 열을 분배하도록 밀폐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가열 스테이션(200)은 다양한 처리 영역 및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를 강조하도록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가열 스테이션(200)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요소는 도 2에 제공된 개략도로부터 제거되었다. 다양한 양태에서 가열 스테이션(200) 내측에서 발견될 수 있는 특정 요소가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논의된다.
도 2에 도시된 가열 스테이션(200)은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가열 구역(201) 및 가열 구역(205)과 같은 2 개의 가열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2 개의 가열 구역(201 및 205)은 서로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가열 스테이션(200)은 터널 오븐(tunnel oven) 또는 가열 터널(heating tunnel)로서 설명될 수 있다.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2 개의 가열 구역(201 및 205)은 상이한 요소 또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가열 구역(201)은 특정 양태에서 처리 온도의 효율적인 증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가열 구역(205)은 특정 양태에서 물품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일정하거나 비교적 일정한 온도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열 요소의 부재 하의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가열 스테이션(200)의 이분 구성(bipartite organization), 예를 들어 상이한 기능적 구성요소를 갖는 가열 구역(201 및 205)은 물품의 효율적인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열 요소를 갖는 가열 구역(201)은 물품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거나 변형되는 온도에 물품을 단시간, 예를 들어 150 초 미만에 걸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양태에서, 열 요소의 부재 하에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가질 수 있는 가열 구역(205)은 가열된 물품의 안쪽 부분으로의 열 에너지의 전도를 용이하게 하여, 과도하게 연장된 기간 동안 가열 구역(201)의 잠재적으로 상승된 온도에 물품의 바깥쪽 부분 또는 다른 물품 부분을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이들 안쪽 부분 중 하나 이상이 원하는 대로 용융되거나 변형되게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가열 스테이션(200) 및 시스템(100)의 특정 처리 타이밍이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된다.
도 2에 도시된 양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열 스테이션(200)은 4 개의 개별 처리 영역(202; 204; 206; 및 208)을 포함하며, 가열 구역 당 2 개의 처리 영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열 구역(201)은 처리 영역(202 및 204)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가열 구역(205)은 처리 영역(206 및 208)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시에,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은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으로부터 가열 스테이션(200)으로 진입하고, 지정된 기간 동안 처리 영역(202)으로 이송되고, 이후에 각 영역에서의 지정된 기간 동안 처리 영역(204, 206 및 208)으로,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3a는 가열 구역(201)의 처리 영역(202)을 도시한다. 처리 영역(202)이 설명되지만, 상기 설명은 가열 구역(201)의 처리 영역(204)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품(131)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600) 상에 위치한다.
특정 양태에서, 처리 영역(202)은 복수의 열 요소(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양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열 요소(220)는 물품(131)의 하나 초과의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물품(131)의 하나 초과의 측면의 효율적이고 균등한 가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요소(221 및 222)는 물품(131)의 힐 영역(heel area)(131a)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열 요소(223, 224, 225 및 226)는 물품(131)의 지면-대면 영역(131b)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열 요소(227, 228 및 229)는 물품(131)의 전족부 영역(131c)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열 요소의 개수는 일례일 뿐이고, 열 요소의 다른 배열 또는 개수가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 3a의 복수의 열 요소(220)는 적외선(IR) 램프로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유형의 열 요소가 또한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가열 구역(201)은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을 물품의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거나 변형되는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가열 구역(201) 및/또는 가열 스테이션(200)은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을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에서, 가열 구역(201) 및/또는 가열 스테이션(200)은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을 약 90℃ 내지 약 22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가열 구역(201) 및/또는 가열 스테이션(200)은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을 약 110℃ 내지 약 18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양태에서, 가열 구역(201)은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본 단락에서 논의된 온도 범위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에서, 도 3a의 가열 구역(201)은 가열 구역(201) 및/또는 가열 스테이션(200) 내측의 온도를 10 초 이하의 시간 내에 약 25℃로부터 약 200℃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가열 구역(201)의 처리 영역(202)은 또한 열 에너지, 예를 들어 복수의 열 요소(220)에 의해 발생된 열을 보다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 장치(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양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순환 장치(232)는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의 상부 부분(212)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공기 순환 장치(232)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게, 예컨대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의 측벽(214)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양태들에서, 공기 순환 장치(232)는 팬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기계적 환기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양태에서, 가열 구역(201)은 2 개의 처리 영역(202 및 2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은 지정된 기간 동안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처리 영역(202)에 노출될 수 있고, 이후에 도 3a의 처리 영역(20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열 요소 및 공기 순환 장치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처리 영역(204)으로 시프팅된다.
이제 도 3b로 넘어가면, 가열 구역(205)의 처리 영역(206)이 도시되어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물품(131)과 같은 물품은, 예를 들어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에 의해, 가열 구역(201)으로부터 가열 구역(205)의 처리 영역(206)으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가열 구역(205)은 공기 순환 장치(234)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양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순환 장치(234)는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의 상부 부분(212)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공기 순환 장치(234)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게, 예컨대 가열 스테이션 인클로저(210)의 측벽(214)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양태들에서, 공기 순환 장치(234)는 팬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기계적 환기 장치일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다양한 양태에서, 가열 구역(205) 및 처리 영역(206 및 208)은 가열 구역(201)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IR 램프와 같은 열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처리 영역(206)은 가열 구역(201)과 연관된 열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가열 공기와는 상이한, 가열 구역(205)에서의 순환을 위한 외부 가열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이와 같은 가열 공기는 공기 순환 장치(234)를 통해,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처리 영역(206) 내로의 유입구를 통해 처리 영역(206) 내로 수송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처리 영역(206)은 물품을 약 70℃ 내지 약 250℃, 약 90℃ 내지 약 220℃, 또는 약 110℃ 내지 약 18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킬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가열 구역(205)은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본 단락에서 논의된 온도 범위까지 증가시키거나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양태들에서, 처리 영역(206)은 물품을 가열 구역(201)의 온도 미만의 온도에 노출시킬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온도는 여전히 물품의 재료의 용융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 열 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또는 이들의 조합보다 높을 수 있다. 동일하거나 대안적인 양태에서, 처리 영역(206)은 가열 구역(201)에 대한 노출로부터 얻어진 물품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처리 영역(206)은 처리 영역(206)의 온도를 약 30 분 이하의 기간에 걸쳐 약 25℃로부터 약 250℃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용융 온도는 ASTM D7138-16에 상세히 기술된 테스트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비카트 연화 온도는 ASTM D1525-09에 상세히 기술된 테스트 방법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Load A 및 Rate A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열 변형 온도는 ASTM D648-16에 상세히 기술된 테스트 방법에 따라, 0.455 MPa 인가 응력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열 구역(205)의 처리 영역(206)이 상기에서 논의되었지만, 처리 영역(206)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이 가열 구역(205)의 처리 영역(208)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4로 넘어가면, 시스템(100)의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은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냉각 스테이션(300)은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28℃의 주변 온도 공기를 제1 냉각 스테이션(300)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구(302, 304 및 3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도 1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 순환 장치(308)는 주변 온도 공기를 냉각 스테이션(300)에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100)의 인클로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은 물품의 냉각을 돕기 위해, 냉각 공기, 예를 들어 실온 미만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은 냉각 스테이션의 일례일 뿐이고, 다른 유형의 냉각 스테이션 또는 공기 순환 장치도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양태들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은 물품의 온도를 약 40℃ 내지 약 90℃,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55℃ 내지 약 75℃ 범위, 또는 약 120℃ 이하의 온도까지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은 물품의 온도를, 약 120 초 미만, 약 100 초 미만 또는 약 75 초 미만의 시간 내에 약 40℃ 내지 약 90℃, 또는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55℃ 내지 약 75℃ 범위의 온도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은 도 4를 참조하여 논의된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의 임의의 또는 모든 구성요소 및 관련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을 도시한다. 특정 양태에서, 작동 시에,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은, 예를 들어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을 통해, 제1 냉각 스테이션(300)으로부터 제2 냉각 스테이션(4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은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을 대기압 초과의 압력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은 물품(131)을 약 100 kPa 내지 약 500 kPa, 약 110 kPa 내지 약 400 kPa, 또는 약 120 kPa 내지 약 300 kPa의 압력에 노출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증가된 압력은 물품(131)에 추가적인 압축력을 제공하여, 성형 재료 주위에서 물품(131)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물품(131)의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에 효과적으로 본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양태들에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은 내부 부분(412)에 물품(131)을 밀봉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챔버(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챔버(41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개방 위치로부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 위치로 시프팅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챔버(410)는 제2 냉각 스테이션(400)에 위치한 물품을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수직으로 시프팅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챔버(41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통상적인 기계적 이동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시프팅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개방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챔버(410)는 물품(131)이 내부 부분(412)에 위치하지 않도록 물품(131) 위에 그리고 물품(131)으로부터 멀리 위치한다. 특정 양태에서, 밀봉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챔버(410)의 저부에 위치한 밀봉 부분(414)은 물품 압축 조립체(600)의 결합 플랫폼(coupling platform)(610)의 표면(610a)과 접촉한다. 압축 조립체(600) 및 결합 플랫폼(610)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논의된다. 이동 가능한 챔버(410)의 밀봉 부분(414)은 이동 가능한 챔버(410)의 내부 부분(412)의 압력 증가를 허용하기 위해 일시적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유형의 재료, 예컨대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이동 가능한 챔버(410)의 내부 부분(412)에서 압력을 대기압 초과로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와 같은 가스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라인(416 및 418)을 통해 내부 부분(412) 내로 펌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이동 가능한 챔버(410) 내로 펌핑되는 가스 또는 공기는 약 0℃ 내지 약 25℃, 약 5℃ 내지 약 20℃의 온도 범위, 또는 약 15℃에 있는 공기와 같은 냉각 공기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냉각 공기는 통상적인 공기 냉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생성되고 이동 가능한 챔버(410)의 내부 부분(412) 내로 펌핑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은 물품(131)의 온도를 약 40℃ 내지 약 90℃,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55℃ 내지 약 75℃ 범위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특정 온도 범위는 물품(131)의 적어도 일부의 성형에 이용될 수 있는 본딩제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물품(131) 또는 그의 일부를 본딩제의 활성화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함으로써, 증가된 압력에 의해 제공되는 물품(131)에 대한 추가 압축력은 물품(131)의 특정 구성요소를 함께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본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물품(131) 또는 그의 일부를 전술한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물품을 상승된 압력에 노출시킴으로써, 본원에 설명된 프로세스 동안에 용융되거나 변형된 물품(131)의 부분이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성형 재료의 형상으로 보다 양호하게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물품(131)이 라스트 상의 갑피인 경우, 상승된 압력은 갑피 또는 그의 일부의 재료가 더 이상 변형되거나 용융되지 않는 온도 미만으로 냉각되기 전에 갑피를 라스트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물품(131)이 제2 냉각 스테이션(400)에 노출된 후에, 물품(131)은 선택적으로 제3 냉각 스테이션(5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은 도 4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1 냉각 스테이션(300)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은 도 4의 제1 냉각 스테이션(400)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물품(131)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물품(131)은 하나 이상의 이동 공기 소스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400)과 같이,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은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28℃의 주변 온도 공기를 제3 냉각 스테이션(500)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은 물품(131)을 제2 냉각 스테이션(400)에서 유지되는 온도 미만까지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은 갑피의 온도를 약 90℃ 미만, 약 80℃ 미만 또는 약 70℃ 미만의 온도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은 갑피의 온도를 약 15℃ 내지 약 90℃, 약 20℃ 내지 약 65℃, 또는 약 20℃ 내지 약 60℃ 범위의 온도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양태들에서,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1)이 제3 냉각 스테이션(500)(또는 제3 냉각 스테이션(500)이 없는 양태에서는 제2 냉각 스테이션(400))에 노출되면, 물품(131)은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한, 또는 다른 처리 시스템으로의 이송을 위한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특정 양태에서, 시스템(100)은 효율적인 열 성형 프로세스도 제공하면서, 최소의 풋프린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시스템(100)의 스테이션 또는 구성요소의 원주방향 위치 및/또는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디자인은 최소화된 풋프린트에서 효율적인 열 성형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하나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 스테이션으로 동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회전이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 각각에 부착된 물품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이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이들 개념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회전 테이블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개별 물품 압축 조립체의 일부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본 예에서는 총 8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부재(122a)는 물품 압축 조립체(600a)의 결합 플랫폼(610a)에 연관되거나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양태에서,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8 개의 물품을 상이한 스테이션 또는 처리 영역으로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은 각 물품을 인접한 스테이션으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플랫폼(610a)에 결합된 물품은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으로부터 가열 스테이션(200)의 처리 영역(202)으로 이송될 수 있는 반면, 결합 플랫폼(610b)에 결합된 물품은 처리 영역(202)으로부터 처리 영역(204)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시스템(100) 및 그것의 프로세스는 7 개의 처리 위치 각각에 적용 가능한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적절한 레벨의 처리(예를 들어, 열 또는 냉기 노출)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8 번째는 물품의 로딩 및 언로딩임).
특정 양태에서, 물품은 7 개의 처리 위치 각각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간(또는 동일한 기간)을 보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은 약 20 초 내지 약 75 초, 약 30 초 내지 약 60 초, 또는 약 45 초 내지 약 55 초의 기간 동안 특정 처리 위치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결합 플랫폼(610a)에 결합된 물품은 약 20 초 내지 약 75 초의 기간 동안 가열 구역(201)의 처리 영역(202)으로 이송된 후에, 약 20 초 내지 약 75 초의 기간 동안 가열 구역(201)의 처리 영역(204)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물품은 약 20 초 내지 약 75 초의 기간 동안 가열 구역(205)의 처리 영역(206)으로 이송된 후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간 동안 가열 구역(205)의 처리 영역(208) 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예에서, 이후에 물품은 약 20 초 내지 약 75 초의 기간 동안 제1 냉각 스테이션(300)으로 이송된 후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간 동안 제2 냉각 스테이션(4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이러한 예에서, 이후에 물품은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으로 이송되기 전에 약 20 초 내지 약 75 초의 기간 동안 제3 냉각 스테이션(5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기간은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세트의 기간일 뿐이며, 상이한 처리 요구에 필요할 수 있는 다른 기간도 본 개시내용에 의해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시스템(100) 및 그것의 7 개의 처리 스테이션(8 번째는 로딩/언로딩 스테이션(110)임)의 상기 예시적인 디자인이 설명되었지만, 다른 개수의 처리 위치도 고려되며 본 설명의 범위 내에 있다.
물품이 약 20 초 내지 약 75 초의 기간 동안 각각의 특정 처리 위치에 노출되는 특정 양태에서, 이것은 물품이 가열 스테이션(200)에서 약 80 초 내지 약 300 초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이 약 20 초 내지 약 75 초의 기간 동안 각각의 특정 처리 위치에 노출되는 이와 같은 양태에서, 이것은 물품이 가열 구역(201) 및 가열 구역(205) 각각에서 40 초 내지 150 초의 기간 동안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열 성형을 위한 시스템(100)에 노출된 물품, 예를 들어 물품(130 또는 131)은,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100)에 대한 노출을 통해 물품 또는 물품의 일부가 성형 표면의 형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성형될 수 있게 하도록, 성형 표면과 조립될 수 있다. 단지 일례로서, 물품(131)은 발 형상의 라스트 위에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의 일부일 수 있는 물품(131)은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100) 및/또는 프로세스에 대한 노출을 통해 라스트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7a는 물품이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700)일 수 있는 예를 도시한다. 특정 예에서, 갑피는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100)에서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갑피(700)는 본원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열 성형되는 것이 요망되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용어 열가소성 재료는 또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갑피(700)는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얀(yarn) 또는 섬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얀 또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열가소성 재료,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또는 얀 또는 섬유 조성물은 약 80℃ 내지 약 135℃, 또는 약 90℃ 내지 약 120℃인, 용융 온도 Tm(또는 융점), 비카트 연화 온도, 열 변형 온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열가소성 재료 및/또는 얀 또는 섬유 조성물은 약 135℃ 이하, 약 125℃ 이하, 또는 약 120℃ 이하인, 용융 온도 Tm, 비카트 연화 온도, 열 변형 온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동일하거나 대안적인 양태에서, 갑피는 본원에 개시된 처리 조건 하에서 용융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이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경우에, 이와 같은 재료는 약 135℃ 초과, 약 140℃ 초과, 또는 약 150℃ 초과인, 용융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열 변형 온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양태에서,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이외의 재료와 같이 물품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재료는 약 150℃, 약 140℃ 또는 약 135℃의 온도 미만에서 열화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b는 성형 표면이 라스트(720)인 일례를 도시한다. 양태들에서, 라스트(720)는, 이와 같은 라스트가 변형, 용융, 열화 또는 균열 없이 본원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 시스템(100)의 온도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한, 통상적인 발 형상의 라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c는 라스트(720) 상에 배치된 도 7a의 갑피(700)를 도시한다. 도 7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갑피(700)는 힐 부분(702), 전족부 부분(704), 칼라(collar) 부분(706) 및 지면-대면 부분(708)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부티(bootie) 형상이다. 다양한 양태에서, 열가소성 재료는 본원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 시스템(100)에서 열 성형될 갑피(700)의 직전에 언급된 임의의 또는 모든 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열가소성 재료는 완성된 풋웨어 물품의 지면-대면 밑창(중창 및/또는 겉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지면-대면 부분(708)에 존재할 수 있다.
라스트(720)의 성형 표면에 대해 갑피(700)를 형상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특정 양태에서, 갑피(700)에 압축력을 인가하고 이에 의해 갑피(700)를 강성 라스트(720)에 대해 가압하여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100) 및 프로세스 동안에 갑피(700)를 형상화하는 것을 돕도록 압축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도 8a는 하나의 예시적인 압축 재료(620)를 도시한다. 압축 재료(620)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60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양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 재료(620)는 압축 재료(620)가 라스트(720) 및/또는 갑피(70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한 형상이라는 점에서 부티 형상이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성형 재료, 예를 들어 라스트(720)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압축 재료(620)를 이용하는 것은 최종 열 성형 물품에 초래될 수 있는 임의의 결함 또는 주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압축 재료(620) 및 갑피(700)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갑피(700) 상으로의 압축 재료(620)의 압축은 갑피(700) 및/또는 라스트(72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지 않는 압축 재료(620)의 사용에 비하여, 열 성형된 갑피(700)에 결국 생길 수 있는 임의의 주름 또는 접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는 엘라스토머 재료가 가열 스테이션(200)을 참조하여 전술한 처리 온도보다 적어도 10℃ 높거나 적어도 20℃ 높은 용융 온도 또는 열화 온도를 나타내는 한, 임의의 엘라스토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는 선명도(clarity), 투명도(transparency) 및/또는 헤이즈(haze)와 같은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갖는 열 성형된 물품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설명된 이들 원하는 광학 특성은 최소 산란 및 최소 흡수로 입사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열 성형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의 안쪽 표면, 즉 물품이 압축 재료(620) 내측에 배치될 때 물품과 접촉하는 표면은 열 성형된 물품의 이들 광학적 특성 중 하나 이상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특정 표면 거칠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의 안쪽 표면은, 광학 프로파일로미터(optical profilometer)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JIS B 0601-2001에 따라 계산될 때, 50 나노미터 미만, 30 나노미터 미만, 1 나노미터 미만, 또는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평균 표면 거칠기 Ra를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압축 재료(620)의 사용은 열 성형된 물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원하는 선명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양태에서, 열 성형된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규칙적인 투과율 또는 선명도는 ASTM D1746-15에 따라 측정될 때, 적어도 약 70%,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또는 적어도 약 95%일 수 있다. 동일하거나 대안적인 양태에서, 열 성형된 물품 또는 그의 적어도 일부는 ASTM D1003-13에 따라 측정될 때, 약 30% 미만, 약 25% 미만, 약 20% 미만, 약 15% 미만, 약 10% 미만, 또는 약 5% 미만의 헤이즈 값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압축 재료(620)는 열 성형된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패턴 또는 마킹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재료(620)의 안쪽 표면, 즉 물품이 압축 재료(620) 내측에 배치될 때 물품과 접촉하는 표면은 열 성형 프로세스를 통해 물품의 바깥쪽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마킹 또는 패턴을 임프린팅(imprinting)할 수 있는 융기형 및/또는 리세스형(recessed) 마킹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융기형 또는 리세스형 마킹 및/또는 패턴은 갑피 상의 결과적인 엠보싱된 또는 임프린팅된 패턴이 상기에서 논의된 선명도 및 헤이즈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에서 논의된 표면 거칠기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는 갑피(700) 및 라스트(720) 위에 배치된 압축 재료(620)의 조립체(730)를 도시한다. 도 8b에 도시된 양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 재료(620)는 라스트(720) 상에 존재하는 갑피(700) 주위에 밀착 형성된다. 압축 재료(620)의 엘라스토머 특성은, 예를 들어 라스트(720) 상에 존재하는 갑피(700)를 덮을 때 압축 재료(620)의 신장된 구성으로 인해, 라스트(720) 상에 존재하는 갑피(700)에 적어도 제1 레벨의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600)는, 예를 들어 압축 재료(620)의 안쪽 표면(621)과 갑피(700)의 바깥쪽 표면(710) 사이의 영역을 부압에 노출시킴으로써, 라스트(720) 상에 존재하는 갑피(700)에 증가된 레벨의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갑피(700) 및 라스트(720) 상에 배치된 압축 재료(620)의 조립체(730)에 결합될 때, 압축력의 이러한 레벨 증가를 용이하게 하도록 부압을 갑피(700)에 제공할 수 있는 물품 압축 조립체(600)의 도킹 부재(630)의 일례를 도시한다. 양태들에서, 도킹 부재(630)는 결합 플랫폼(610)에 결합되고, 결합 플랫폼(610)은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 중 하나에 결합된다.
도 9a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라스트(72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부(722)는 도킹 부재(630)의 칼라(634)의 리세스(632) 내로 삽입되어, 갑피(700) 및 라스트(720) 위의 압축 재료(620)의 조립체(730)를 도킹 부재(630)에 결합할 수 있다. 라스트 돌출부의 예는, 별개이지만 라스트(720)에 결합되고 라스트(72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라스트 연장부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이와 같은 라스트 연장부는 라스트(720)와 일체형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의 밀봉 부분(622)은 갑피(700) 및 라스트(720)로부터 멀리 외부로 연장되고, 플랜지(624)에서 종단된다. 양태들에서, 밀봉 부분(622)은 도킹 부재(630)의 칼라(634)를 덮을 수 있는 반면, 플랜지(624)는 저부 도킹 플레이트(637)의 표면(637a)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갑피 도킹 플레이트(636)에는 저부 도킹 플레이트(637) 상으로 폐쇄되어 저부 도킹 플레이트(637)와 상부 도킹 플레이트(636) 사이에 플랜지(624)를 고정할 수 있는 2 개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631a 및 631b)이 포함된다.
도 9b는 도킹 부재(630)에 결합된, 갑피(700) 및 라스트(720) 위의 압축 재료(620)의 조립체(730)를 가장 잘 도시한다. 도 9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프트 가능한 부분(631a 및 631b)은 저부 도킹 부재(637) 상으로 폐쇄되고 일시적인 파스너(641, 642, 643 및 644)를 이용하여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포트(638)는 갑피(700)의 바깥쪽 표면 상으로의 압축 재료(620)의 압축을 용이하게 하도록 부압을 제공할 수 있다. 포트(638)의 위치결정은 부압을 제공할 수 있는 포트의 위치의 일례일 뿐이며, 포트의 다른 위치결정 또는 다른 특정 양의 포트가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물품 압축 조립체(600)의 결합 플랫폼(610)은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통해, 포트(638)는 부압 발생 시스템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도 6은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에 결합된 부압 발생 시스템(150)을 도시한다. 부압 발생 시스템(150)은 임의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에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도관이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 각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와 같은 도관은 물품 압축 조립체(600)와 연관된 포트(638)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양태에서, 도킹 부재(630)는 물품 압축 조립체(600)의 결합 플랫폼(610)의 수평 평면(610a)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이것은 물품의 일부, 예를 들어 지면-대면 부분(708)(또는 지면-대면 부분(708)의 평면(708a))이 또한 결합 플랫폼(610)의 수평 평면(610a)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갑피 또는 다른 물품의 이러한 경사진 배향은,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열 요소에 보다 많이 노출된 전족부 영역(704)을 가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가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평면(708a)과 평면(610a) 사이의 각도는 약 10° 내지 약 60°, 약 15° 내지 약 50°, 또는 약 20° 내지 약 40°의 범위일 수 있거나, 약 30°일 수 있다.
도 9c는 갑피(700) 및 라스트(720) 상에 배치된 압축 재료(620a)의 조립체(730a)에 결합될 때, 갑피(700)에 대한 압축력의 레벨 증가를 용이하게 하도록 부압을 제공할 수 있는 도킹 부재의 다른 예, 즉 도킹 부재(640)를 도시한다. 조립체(730a)의 압축 재료(620a)가 도 8b의 조립체(730)의 압축 재료(620)로부터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체(730a)는 도 8b에 도시된 조립체(730)의 대안적인 버전이다. 예를 들어, 도 9c에 도시된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a)는 도 8b의 압축 재료(620) 상에 존재하는 플랜지(624)를 포함하지 않지만, 상기에서 논의된 압축 재료(620)의 다른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압축 재료(620a)는 도 8b의 압축 재료(620)의 양태에서 발견되지 않는 추가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도 9a 및 도 9b의 도킹 부재(630)와 같이, 도킹 부재(640)는 결합 플랫폼(610)에 결합되고, 결합 플랫폼(610)은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의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 중 하나에 결합된다.
높은 레벨에서, 도 9c의 도킹 부재(640)는, 조립체(730a)의 압축 재료(620a)가 조립체(730a)를 도킹 부재(640)에 고정하고, 갑피(700)의 바깥쪽 표면 상으로의 압축 재료(620a)의 압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압축 재료(620a)와 도킹 부재(640) 사이의 밀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9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킹 부재(640)는 라스트(720)의 돌출부(722)를 수용하도록 크기결정된 리세스(644)를 갖는 도킹 플레이트(642)뿐만 아니라, 갑피(700)의 바깥쪽 표면 상으로의 압축 재료(620a)의 압축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러한 부압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포트(646)로 구성될 수 있다. 포트(644)의 위치결정은 부압을 제공할 수 있는 포트의 위치의 일례일 뿐이며, 포트의 다른 위치 또는 다른 특정 개수의 포트가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 9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킹 부재(640)는 압축 재료(620a)의 밀봉 부분(622a)과 함께, 부압이 포트(644)를 통해 인가될 때 포트(644) 주위에 압축 재료(620a)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단일 도킹 플레이트(64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도 9c 및 도 9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 재료(620a)의 밀봉 부분(622a)은 형상이 도킹 플레이트(642)의 리세스(64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O-링(6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양태에서, 도킹 플레이트(642)의 리세스(641)는 라스트(700)의 돌출부(722)를 위한 리세스(644) 주위 및 포트(646) 주위의 둘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이것은 도킹 플레이트(642)의 리세스(641) 및 O-링(62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된 밀봉을 허용하여, 부압이 포트(646)를 통해 인가될 때, 갑피(700)의 바깥쪽 표면 상으로의 압축 재료(620a)의 압축을 용이하게 한다. 도킹 플레이트(642)의 리세스(641) 및 O-링(623)은 도킹 플레이트(642)와 압축 재료(620a) 사이에 이러한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일례일 뿐이며, 압축 재료(620a) 및 도킹 플레이트(642) 상에 존재하는 다른 상보적인 구조체가 또한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9c는 조립체(730)가 도킹 부재(640)와 완전히 맞물리지 않은 것, 예를 들어 라스트(720)의 돌출부(722)가 도킹 플레이트(642)의 리세스(644) 내로 삽입되지 않은 것을 도시한다. 작동 시에, 라스트(720)의 돌출부(722)는 O-링(623)이 리세스(641)와 맞물리는 동안에 도킹 플레이트(642)의 리세스(644) 내로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a)의 밀봉 부분(622a)은 여분의 재료, 예를 들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722)와 도킹 플레이트(642) 사이에 위치한 밀봉 부분(622a)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태에서, 여분의 재료는 또한 부압에 노출될 때, 그리고 라스트가 도킹 부재(640)와 완전히 맞물릴 때, 라스트(720) 및/또는 갑피(700) 상에 압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여분의 재료는 갑피(700)에 대한 열 성형 프로세스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거나, 열 성형 프로세스 동안에 갑피(700)에 변형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e는 갑피(700) 및 라스트(720) 상에 배치된 압축 재료(620b)의 조립체(730b)에 결합될 때, 갑피(700)에 대한 압축력의 레벨 증가를 용이하게 하도록 부압을 제공할 수 있는 도킹 부재의 또 다른 예, 예를 들어 도킹 부재(650)를 도시한다. 조립체(730b)의 압축 재료(620b)가 도 8b의 조립체(730)의 압축 재료(620)로부터 변형되지만, 상기에서 논의된 압축 재료(620)의 다른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체(730b)는 도 8b에 도시된 조립체(730)의 대안적인 버전이다. 예를 들어, 도 9e에 도시된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b)는 도 8b의 압축 재료(620) 상에 존재하는 플랜지(624)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정 양태에서,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압축 재료(620b)는 도 8b의 압축 재료(620)의 양태에서 발견되지 않는 추가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도 9a 및 도 9b의 도킹 부재(630)와 같이, 도킹 부재(640)는 결합 플랫폼(610)에 결합되고, 결합 플랫폼(610)은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물품 이동 메커니즘(120)의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부재(122) 중 하나에 결합된다.
도 9e에 도시된 양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킹 부재(650), 도킹 부재(6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칼라(652), 및 조립체(730b)의 압축 재료(620b)는 압축 재료(620b)를 갑피(700) 상에 압축하도록 부압을 인가하기 위해 포트(656) 주위에 압축 재료(620b)의 밀봉을 협력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b)의 밀봉 부분(622b)은 각각 칼라(652)의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663) 및 도킹 부재(650)의 도킹 플레이트(660)의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665)와 맞물리는 2 개의 O-링(6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단면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O-링(662 및 664)은 도 9d의 단면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의 리세스(663 및 665)와 맞물릴 수 있다. 도 9e에 도시된 양태는 O-링이 이용되는 것을 도시하지만, 압축 재료(620b)와 일체형이거나 압축 재료(620b)와는 별개의 요소인 임의의 유형의 구조 또는 형상이 칼라(652) 및 도킹 플레이트(660)의 대응하는 상보적인 형상 또는 리세스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9e에 도시된 양태는 칼라(652) 및 도킹 플레이트(660) 상에 압축 재료(620b)와의 밀봉을 생성하기 위한 2 개의 O-링(662 및 664)을 도시하지만,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O-링 또는 밀봉 구조체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도 9e의 압축 재료(620b)는 칼라(652)와 맞물리기 위한 O-링(662)을 포함할 수 있지만, 도킹 플레이트(660)와 맞물리기 위한 O-링(664)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b)는 칼라(652)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초과의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b)는 하나 이상의 O-링 또는 다른 밀봉 구조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칼라(652) 및/또는 도킹 플레이트(660)의 일부 주위를 밀봉함으로써, 갑피(700)에 대한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밀봉이 여전히 생성되도록 부압을 제공하면서 수동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포트(656) 주위에서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도킹 부재의 다양한 예가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에서 논의된 다양한 도킹 부재로부터의 특징의 임의의 조합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양태의 특징에 부가하여, O-링 또는 다른 밀봉 구조체가 보다 밀착된 또는 보다 양호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칼라(634)와 맞물리기 위한 압축 재료(62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갑피는 본원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 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성된 풋웨어 물품을 위한, 착용자에게 추가적인 편안함 및/또는 지지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추가적인 재료는 풋웨어 물품의 풋 베드(foot bed) 및 힐 카운터 상에 위치할 수 있는 섀시(chassi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힐 카운터(800) 및 갑피(700)를 도시한다. 일 양태에서, 힐 카운터(800)는 이와 같은 재료가 전술한 처리 동안에 용융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한, 임의의 유형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힐 카운터(800)가 도면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에서 논의된 섀시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가 또한 처리를 위해 갑피(700)와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0b는 갑피(700)의 내부 부분(712)에 위치한 힐 카운터(800)를 도시한다. 특정 양태에서, 힐 카운터(800)를 갑피(700)의 내부 부분(712)에 고정하기 위해, 본딩제가 힐 카운터(800)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갑피(700)에 고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본딩제가 본원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 고려된다. 일 양태에서, 본딩제는 가열 스테이션(200) 및 제1 냉각 스테이션(300)에 제공된 처리 온도를 견딜 수 있고, 예를 들어 물품이 약 40℃ 내지 약 90℃의 온도 범위에서 냉각되거나 유지되는 제2 냉각 스테이션(400)에 대한 전술한 조건 하에서 본딩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1은 힐 카운터(800)가 내부에 위치한 갑피(700)를 도시하며, 갑피(700)의 일부 및 힐 카운터(800)의 단면을 드러내도록 갑피(700)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양태에서, 본딩제(820)는 갑피(700)의 안쪽 표면(714)과 힐 카운터(800)의 바깥쪽 표면(802) 사이에 위치한다.
도 12는 갑피(700)가 라스트(720) 상에 위치하고 압축 재료(620)가 갑피(700) 위에 위치할 때, 갑피(700) 내측의 힐 카운터(800)를 도시한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특정 양태에서, 압축 재료(620)는 압축 재료(620)의 엘라스토머 특성, 대기압 초과의 압력 인가, 또는 둘 모두를 통해 갑피(700)에 압축력을 인가하고 갑피(700)를 라스트(720)에 대해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양태에서, 시스템(100)은 본딩제, 예를 들어 본딩제(820)가 효과적인 본딩을 위한 온도 범위에 있는 온도에서 갑피(700)에 증가된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라스트(720) 및 힐 카운터(800)에 대항하는 갑피(700)에 대한 증가된 압력 및 수반되는 증가된 압축력은 힐 카운터(800) 및 갑피(700)를 더욱 효과적으로 서로 본딩시킬 수 있다. 도 12에서, 도 8b의 압축 재료(620)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9c 및 도 9e 각각의 압축 재료(620a 및 620b)와 같은 다른 압축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양태에서, 힐 카운터 또는 섀시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는, 본원에서 논의된 프로세스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되고 냉각 및 경화되어 갑피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거나 본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재료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힐 카운터 또는 섀시(또는 다른 구성요소)의 재료는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의 증가된 압력에 노출될 때 라스트 또는 다른 성형 재료의 형상으로 추가로 성형되도록 완전히 응고되지 않을 수 있다.
힐 카운터 및 섀시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상기 예가 논의되었지만, 본원에 논의된 프로세스 이전 또는 이후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례에서, 삭 라이너(sock liner), 플레이트, 토 캡(toe cap), 및/또는 측면을 따른 구조체가 또한 섀시 및 힐 카운터의 유무와 관계없이 갑피에 추가될 수 있다.
도 13은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9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900)은 물품을 수용하는 단계(910)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물품은 상기에서 논의된 임의의 물품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물품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은 도 7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갑피(700)와 같은 갑피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방법(900)은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920)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가열 구역은 도 2 및 도 3a의 가열 구역(201)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열 요소 및 공기 순환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 내의 물품은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은 도 2, 도 3a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가열 구역(201)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900)의 단계(930)는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양태들에서, 가열 구역은 도 2 및 도 3b의 가열 구역(205)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공기 순환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제2 가열 구역 내의 물품은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2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스테이션에 노출될 때의 물품의 온도 증가 속도에 비하여 감소된 속도로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2 가열 구역은 도 2, 도 3b 및 도 6의 가열 구역(205)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900)의 단계(940)는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양태들에서, 물품이 제2 가열 구역에 노출된 후에 물품은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약 40℃ 내지 약 90℃ 범위의 온도까지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도 1 및 도 4의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공기 순환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주변 온도 및 압력에서 존재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도 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의 임의의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900)의 단계(950)는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물품은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된 후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이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증가된 압력은 물품을 성형 재료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 예를 들어 갑피를 라스트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에서 논의된 압축 재료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물품의 바깥쪽 표면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동일하거나 대안적인 양태에서, 증가된 압력은 물품의 하나의 구성요소를 물품의 다른 구성요소에 본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에서 논의된 압축 재료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에 대한 온도 범위에서 기능하는 본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가 단계(950)의 기능 및 특징을 수행하는 것을 돕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4는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10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000)은 물품을 수용하는 단계(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물품은 상기에서 논의된 임의의 물품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물품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물품은 상기에서 논의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또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은 도 7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갑피(700)와 같은 갑피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방법(1000)은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것은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온도 초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은 도 2, 도 3a, 도 3b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가열 구역(201 및/또는 205)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방법(1000)은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단계(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물품은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되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1)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온도 미만; 및 2)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열 변형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또는 둘 모두 초과인 온도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양태들에서,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단계(1030)는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102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약 40℃ 내지 약 90℃ 범위의 온도까지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도 1 및 도 4의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공기 순환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주변 온도 및 압력에서 존재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1 냉각 스테이션은 도 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1 냉각 스테이션(300)의 임의의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방법(1000)은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단계(1040)는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단계(10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이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증가된 압력은 물품을 성형 재료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 예를 들어 갑피를 라스트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에서 논의된 압축 재료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물품의 바깥쪽 표면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동일하거나 대안적인 양태에서, 증가된 압력은 물품의 하나의 구성요소를 물품의 다른 구성요소에 본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에서 논의된 압축 재료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에 대한 온도 범위에서 기능하는 본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가 단계(1040)의 기능 및 특징을 수행하는 것을 돕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5는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11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100)은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를 수용하는 단계(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은 도 7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갑피(700)와 같은 갑피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갑피는 상기에서 논의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또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갑피는 라스트 또는 다른 성형 재료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라스트는 도 7b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라스트(720)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방법(1100)은 압축된 갑피를 형성하기 위해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갑피 상에 압축하기 위한 재료는 도 8a, 도 8b, 도 9c 및 도 9e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압축 재료(620, 620a 또는 620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도 9a, 도 9c 및 도 9e 각각의 도킹 부재(630, 640 및 650) 및 상기에서 논의된 관련 프로세스가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방법(1100)은 압축된 갑피를 하나 이상의 열 요소에 노출시키는 단계(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압축된 갑피를 하나 이상의 열 요소에 노출시키는 것은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온도 초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압축된 갑피를 하나 이상의 열 요소에 노출시키는 것은 압축된 갑피를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가열 스테이션(200)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방법(1100)은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는 1)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온도 미만; 및 2)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열 변형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또는 둘 모두 초과인 온도까지 하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태에서,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것은 압축된 갑피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1 냉각 스테이션(300)과 같은 하나 이상의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1140)는 압축된 갑피를 하나 이상의 열 요소에 노출시키는 단계(11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방법(1100)은 압축된 갑피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단계(1150)는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114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이 압축된 갑피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증가된 압력은 갑피를 라스트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성형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갑피의 바깥쪽 표면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동일하거나 대안적인 양태에서, 증가된 압력은 갑피의 하나의 구성요소를 갑피의 다른 구성요소에 본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에 대한 온도 범위에서 기능하는 본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제2 냉각 스테이션(400)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가 단계(1150)의 기능 및 특징을 수행하는 것을 돕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6은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12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200)은 물품을 수용하는 단계(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물품은 상기에서 논의된 임의의 물품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물품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물품은 상기에서 논의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또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은 도 7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갑피(700)와 같은 갑피일 수 있다.
양태들에서, 방법(1200)은 또한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1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구역의 온도를 50 초 이하의 시간 내에 약 25℃로부터 약 200℃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은 도 2, 도 3a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가열 구역(201)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방법(1200)은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제2 가열 구역은 도 3b의 가열 구역(205)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공기 순환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2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구역에서 달성된 물품의 온도 정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이와 같은 온도는 물품의 열가소성 재료의 용융 온도, 열 변형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그를 초과하는 온도일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2 가열 구역은 도 2, 도 3b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가열 구역(205)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방법(1200)은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1240)는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12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단계(1240)는 도 1, 도 4 및 도 6에서 논의된 냉각 스테이션(300)과 같은 냉각 스테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 스테이션(300)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13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300)은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를 수용하는 단계(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은 도 7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갑피(700)와 같은 갑피일 수 있다. 양태들에서, 갑피는 라스트 또는 다른 성형 재료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라스트는 도 7b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라스트(720)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방법(1300)은 압축된 갑피를 형성하기 위해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갑피 상에 압축하기 위한 재료는 도 8a, 도 8b, 도 9c 및 도 9e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압축 재료(620, 620a 또는 620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도 9a, 도 9c 및 도 9e 각각의 도킹 부재(630, 640 및 650) 및 상기에서 논의된 관련 프로세스가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방법(1300)은 또한 압축된 갑피를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1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구역의 온도를 50 초 이하의 시간 내에 약 25℃로부터 약 200℃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가열 구역은 도 2, 도 3a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가열 구역(201)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방법(1300)은 압축된 갑피를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 제2 가열 구역은 도 3b의 가열 구역(205)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공기 순환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2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구역에서 달성된 압축된 갑피의 온도 정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이와 같은 온도는 갑피의 열가소성 재료의 용융 온도, 열 변형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그를 초과하는 온도일 수 있다. 양태들에서, 제2 가열 구역은 도 2, 도 3b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가열 구역(205)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방법(1300)은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1350)는 압축된 갑피를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134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양태들에서, 단계(1240)는 도 1, 도 4 및 도 6에서 논의된 냉각 스테이션(300)과 같은 냉각 스테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 스테이션(300)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 특성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에 대한 특정 참조가 이루어지지만, 본원에 제공된 양태를 달성하는 동안에 하나 이상의 추가적 또는 대안적인 단계가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와 같이, 블록은 본원의 범위 내에 여전히 있으면서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항목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들이다.
항목 1.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물품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상기 물품을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상기 물품을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냉각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제3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각 스테이션은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40℃ 내지 약 90℃ 범위까지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되는, 방법.
항목 3.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구역은 서로 유체 연통하는, 방법.
항목 4.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가열 구역 내의 제1 위치로 시프팅시키고, 이어서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가열 구역 내의 제2 위치로 시프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5.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약 40 초 내지 약 70 초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가열 구역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방법.
항목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가열 구역에 노출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되며,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 각각은 약 80 초 내지 약 140 초인, 방법.
항목 7. 항목 6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
항목 8. 항목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될 때,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상기 물품이 상기 제1 가열 스테이션에 노출될 때의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 증가 속도에 비하여 감소된 속도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방법.
항목 9.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제2 냉각 구역에서 일어나며, 상기 제2 냉각 구역은 상기 제1 냉각 구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냉각 구역은 주변 온도 및 압력으로부터 상기 물품을 일시적으로 밀봉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10.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적어도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물품은 약 50℃ 내지 약 80℃ 범위의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11. 항목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계면에는 본딩제가 존재하는, 방법.
항목 12.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항목 13. 항목 12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엘라스토머 재료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약 135℃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14. 항목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15.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된 가열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가열 스테이션은 제1 가열 구역 및 제2 가열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과 유체 연통하며,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에너지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약 7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열 스테이션; 하나 이상의 제3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대기압에 노출되는 제1 냉각 스테이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대기압 초과의 압력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챔버를 포함하는 제2 냉각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상기 가열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상기 제1 냉각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물품 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시스템.
항목 16. 항목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스테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50℃ 내지 약 70℃의 범위까지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항목 17. 항목 15 또는 16에 있어서, 물품 압축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물품 압축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상기 가열 스테이션, 상기 제1 냉각 스테이션 또는 상기 제2 냉각 스테이션 중 하나 이상에 노출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엘라스토머 재료를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항목 18. 항목 17에 있어서, 상기 물품 압축 조립체는 부압 발생 시스템에 결합되고, 상기 물품 압축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바깥쪽 표면 및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의 안쪽 표면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를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항목 19. 항목 17에 있어서, 상기 물품 압축 조립체는 라스트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항목 20. 항목 19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항목 21.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온도 초과로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물품을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1)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온도 미만; 및 2)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열 변형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또는 둘 모두 초과인 온도까지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물품을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22. 항목 2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기 전에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항목 23. 항목 22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엘라스토머 재료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약 135℃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24. 항목 22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상기 재료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재료의 안쪽 표면과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사이의 영역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25. 항목 22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성형 재료 상에 위치하는, 방법.
항목 26. 항목 21 내지 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27. 항목 26에 있어서, 상기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는 라스트 상에 위치하는, 방법.
항목 28. 항목 2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구역 및 제2 가열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29. 항목 28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30. 항목 29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될 때,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상기 물품이 상기 제1 가열 구역에 노출될 때의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 증가 속도에 비하여 감소된 속도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방법.
항목 31. 항목 21 내지 3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물품은 약 50℃ 내지 약 80℃ 범위의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32. 항목 3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적어도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계면에는 본딩제가 존재하는, 방법.
항목 33. 항목 21 내지 3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열 변형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또는 둘 모두 미만인 온도까지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물품을 제2 냉각 스테이션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항목 34.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를 수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갑피는 라스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갑피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계; 압축된 갑피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 상기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온도 초과로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된 갑피를 하나 이상의 열 요소에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압축된 갑피를 상기 하나 이상의 열 요소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1)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온도 미만; 및 2)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열 변형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또는 둘 모두 초과인 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 및 온도를 하강시킨 후에, 상기 압축된 갑피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35. 항목 34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갑피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열 변형 온도; 비카트 연화 온도; 또는 둘 모두 미만인 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항목 36. 항목 34 또는 35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엘라스토머 재료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약 135℃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37. 항목 36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상기 재료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재료의 안쪽 표면과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사이의 영역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38. 항목 34 내지 3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갑피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갑피의 적어도 일부는 약 50℃ 내지 약 80℃ 범위의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39. 항목 38에 있어서, 상기 갑피는 적어도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계면에는 본딩제가 존재하는, 방법.
항목 40. 항목 34 내지 3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열 요소는 가열 스테이션에 존재하고, 상기 가열 스테이션은 공기 순환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항목 41.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물품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의 온도를 50 초 이하의 시간 내에 약 25℃로부터 약 200℃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에서 달성된 상기 물품의 온도 정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42. 항목 4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기 전에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항목 43. 항목 42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엘라스토머 재료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약 135℃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44. 항목 42 또는 43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상기 재료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재료의 안쪽 표면과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사이의 영역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45. 항목 42 내지 4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46. 항목 45에 있어서, 상기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는 라스트 상에 위치하는, 방법.
항목 47. 항목 41 내지 4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되는, 방법.
항목 48. 항목 4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구역은 서로 유체 연통하는, 방법.
항목 49. 항목 41 내지 4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70℃ 내지 약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50. 항목 49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70℃ 내지 약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킨 후에,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항목 51. 항목 50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는 약 50℃ 내지 약 80℃ 범위의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52. 항목 5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적어도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계면에는 본딩제가 존재하는, 방법.
항목 53. 항목 41 내지 5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가열 구역에 약 80 초 내지 약 140 초 동안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54. 항목 53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약 80 초 내지 약 140 초 동안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55. 항목 50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70℃ 내지 약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는 제1 냉각 구역에서 일어나고,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제2 냉각 구역에서 일어나며, 상기 제2 냉각 구역은 상기 제1 냉각 구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냉각 구역은 주변 온도 및 압력으로부터 상기 물품을 일시적으로 밀봉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56.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를 수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갑피는 라스트 상에 위치하는, 단계; 압축된 갑피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된 갑피를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의 온도를 50 초 이하의 시간 내에 약 25℃로부터 약 200℃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압축된 갑피를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에서 달성된 상기 물품의 온도 정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된 갑피를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57. 항목 56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엘라스토머 재료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약 135℃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58. 항목 56 또는 57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상기 재료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재료의 안쪽 표면과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사이의 영역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59. 항목 56 내지 5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70℃ 내지 약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약 70℃ 내지 약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킨 후에,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항목 60. 항목 59에 있어서, 상기 갑피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갑피의 적어도 일부는 약 50℃ 내지 약 80℃ 범위의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항목 61. 물품 압축 조립체로서, 제1 도킹 플레이트;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 도킹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이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이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폐쇄 위치로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를 시프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도킹 플레이트; 및 진공 포트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62. 항목 6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제1 시프트 가능한 부분 및 제2 시프트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63. 항목 62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의 제1 측면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의 제2 측면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64. 항목 63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의 제1 측면은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의 제2 측면의 반대측에 있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65. 항목 61 내지 6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에 결합된 밀봉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를 향해 외부로 연장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66. 항목 65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67. 항목 65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성형 재료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68. 항목 6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제1 시프트 가능한 부분 및 제2 시프트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프트 가능한 부분의 측면은 형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에지의 제1 부분과 상보적이고, 상기 제2 시프트 가능한 부분의 측면은 형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에지의 제2 부분과 상보적인,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69. 항목 61 내지 6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일시적인 파스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킹 플레이트를 함께 일시적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0. 항목 61 내지 6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압축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압축 재료는 성형 부분 및 밀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이 라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상보적인,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1. 항목 70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분은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가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압축 재료의 내부 부분과 유체 연통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2. 물품 압축 조립체로서,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 진공 포트; 및 압축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재료는 성형 부분 및 밀봉 부분을 포함하고,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밀봉 부분은 적어도 상기 압축 재료의 성형 부분의 내부 용적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되도록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성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이 라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상보적인,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3. 항목 7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는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4. 항목 73에 있어서,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가 상기 리세스에 위치할 때, 그리고 상기 라스트가 상기 성형 부분의 내부 용적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밀봉 부분은 적어도 상기 압축 재료의 성형 부분의 내부 용적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되도록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5. 항목 72 내지 7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로부터 멀리 외부로 연장되는 밀봉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6. 항목 75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에 결합된 별개의 요소인,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7. 항목 75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은 상기 밀봉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8. 항목 77에 있어서,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은 제1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이 상기 제1 형상 구조체와 상보적인 제2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상기 제2 형상 구조체와 접촉하고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79. 항목 77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O-링을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80. 항목 77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과 일체형인,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81. 항목 72 내지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은 제1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이 상기 제1 형상 구조체와 상보적인 제2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상기 제2 형상 구조체와 접촉하고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82. 항목 81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O-링을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83. 항목 81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과 일체형인,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84. 항목 81에 있어서, 상기 제2 형상 구조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 중 하나에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85. 항목 8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는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항목 86. 항목 85에 있어서, 상기 제2 형상 구조체는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주위에 위치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본 발명은, 구조에 고유하고 명백한 다른 장점과 함께 상기에 설명된 모든 목표 및 목적을 성취하도록 잘 조정되는 것임을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소정의 특징 및 하위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하위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청구범위에 의해 고려되고 그 범위 내에 있다.
특정 요소 및 단계가 서로 관련되어 논의되지만,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요소 및/또는 단계는 여전히 본원에 제공된 범위 내에 있으면서 임의의 다른 요소 및/또는 단계와 조합 가능한 것으로 그의 명시적 제공과 무관하게 고려된다는 점이 이해된다. 많은 가능한 실시형태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 설명되거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이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46)

  1.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물품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의 온도를 50 초 이하의 시간 내에 25℃로부터 200℃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에서 달성된 상기 물품의 온도 정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기 전에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엘라스토머 재료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135℃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상에 상기 재료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재료의 안쪽 표면과 상기 물품의 바깥쪽 표면 사이의 영역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풋웨어 물품의 적어도 일부는 라스트 상에 위치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 구역은 서로 유체 연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70℃ 내지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70℃ 내지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킨 후에,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는 50℃ 내지 80℃ 범위의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적어도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계면에는 본딩제가 존재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가열 구역에 80 초 내지 140 초 동안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80 초 내지 140 초 동안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70℃ 내지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는 제1 냉각 구역에서 일어나고,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제2 냉각 구역에서 일어나며, 상기 제2 냉각 구역은 상기 제1 냉각 구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냉각 구역은 주변 온도 및 압력으로부터 상기 물품을 일시적으로 밀봉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포함하는, 방법.
  16. 물품을 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를 수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갑피는 라스트 상에 위치하는, 단계; 압축된 갑피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된 갑피를 제1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의 온도를 50 초 이하의 시간 내에 25℃로부터 200℃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압축된 갑피를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구역은 상기 제1 가열 구역에서 달성된 상기 물품의 온도 정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된 갑피를 상기 제2 가열 구역에 노출시킨 후에, 상기 갑피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엘라스토머 재료이고, 상기 엘라스토머 재료는 135℃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는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상에 상기 재료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재료의 안쪽 표면과 상기 갑피의 바깥쪽 표면 사이의 영역을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120℃ 이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70℃ 내지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70℃ 내지 120℃의 온도까지 하강시킨 후에, 상기 물품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갑피의 적어도 일부는 50℃ 내지 80℃ 범위의 온도를 나타내는, 방법.
  21. 물품 압축 조립체로서, 제1 도킹 플레이트;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 도킹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이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이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폐쇄 위치로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를 시프팅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도킹 플레이트; 및 진공 포트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제1 시프트 가능한 부분 및 제2 시프트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의 제1 측면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의 제2 측면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의 제1 측면은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의 제2 측면의 반대측에 있는, 물품 압축 조립체.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에 결합된 밀봉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를 향해 외부로 연장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성형 재료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은 제1 시프트 가능한 부분 및 제2 시프트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프트 가능한 부분의 측면은 형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에지의 제1 부분과 상보적이고, 상기 제2 시프트 가능한 부분의 측면은 형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에지의 제2 부분과 상보적인, 물품 압축 조립체.
  29. 제2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일시적인 파스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킹 플레이트를 함께 일시적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30. 제21항에 있어서, 압축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압축 재료는 성형 부분 및 밀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이 라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상보적인, 물품 압축 조립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분은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시프트 가능한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가 상기 제1 도킹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도킹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압축 재료의 내부 부분과 유체 연통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32. 물품 압축 조립체로서,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 진공 포트; 및 압축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재료는 성형 부분 및 밀봉 부분을 포함하고,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밀봉 부분은 적어도 상기 압축 재료의 성형 부분의 내부 용적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되도록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성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이 라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상보적인, 물품 압축 조립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는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가 상기 리세스에 위치할 때, 그리고 상기 라스트가 상기 성형 부분의 내부 용적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밀봉 부분은 적어도 상기 압축 재료의 성형 부분의 내부 용적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되도록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로부터 멀리 외부로 연장되는 밀봉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에 결합된 별개의 요소인, 물품 압축 조립체.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은 상기 밀봉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은 제1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이 상기 제1 형상 구조체와 상보적인 제2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상기 제2 형상 구조체와 접촉하고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O-링을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과 일체형인, 물품 압축 조립체.
  41.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은 제1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이 상기 제1 형상 구조체와 상보적인 제2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상기 제2 형상 구조체와 접촉하고 상기 진공 포트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물품 압축 조립체.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O-링을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구조체는 상기 압축 재료의 밀봉 부분과 일체형인, 물품 압축 조립체.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상 구조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 중 하나에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킹 부재는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상 구조체는 상기 라스트 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주위에 위치하는, 물품 압축 조립체.
KR1020217042143A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0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4909A KR102632139B1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3564P 2018-05-18 2018-05-18
US62/673,564 2018-05-18
KR1020217030563A KR20210122314A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PCT/US2019/032958 WO2019222683A1 (en) 2018-05-18 2019-05-17 System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articl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563A Division KR20210122314A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909A Division KR102632139B1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10A true KR20220000410A (ko) 2022-01-03

Family

ID=6700363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909A KR102632139B1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7042143A KR20220000410A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07033236A KR20210003829A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7030563A KR20210122314A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909A KR102632139B1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236A KR20210003829A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7030563A KR20210122314A (ko) 2018-05-18 2019-05-17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51604A1 (ko)
EP (2) EP3793391B1 (ko)
KR (4) KR102632139B1 (ko)
CN (2) CN115998052A (ko)
TW (3) TWI818641B (ko)
WO (1) WO2019222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5474A1 (it) 2015-11-11 2017-05-11 Nike Innovate Cv Apparecchiatura, e relativo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termico di calzature, in particolare calzature sportive
TWI809379B (zh) 2018-04-25 2023-07-2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熱成形物品的系統
TWI722417B (zh) 2018-04-25 2021-03-2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製備待熱成形物品的系統及方法
TWI723751B (zh) * 2020-01-20 2021-04-01 鉅翁企業有限公司 鞋大底成型機
IT202000027275A1 (it) * 2020-11-13 2022-05-13 S F B S R L "macchina per la formatura in serie, di elementi tessili multistrato mediante processo termico"
CN112604879A (zh) * 2020-12-10 2021-04-06 余杰 鞋面自动喷漆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75159A (ko) * 1970-10-17 1974-11-27
JP4220023B2 (ja) * 1997-09-01 2009-02-04 株式会社シンワ機械 プラスチック容器の熱成形装置
US20020079617A1 (en) * 1998-07-16 2002-06-27 Genzaburo Kageyama Plastic container thermoforming system
ITBO20020803A1 (it) * 2002-12-19 2004-06-20 Carolina Testa Metodo per la stiratura di tomaie calzate su relative forme
ITMI20030027A1 (it) * 2003-01-10 2004-07-11 Cannon Spa Termoformatura in doppia lastra di serbatoi in materiale plastico.
KR200355870Y1 (ko) * 2004-04-13 2004-07-09 권병삼 진공포장장치
KR100731341B1 (ko) * 2006-02-07 2007-06-21 (주)씨에스이 저장물품 지지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US7950432B2 (en) * 2009-06-24 2011-05-31 Nike, Inc. Method of customizing an article and apparatus including an inflatable member
US10086555B2 (en) * 2011-10-27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d part
CN202965033U (zh) * 2012-10-29 2013-06-05 许勇 一种应用在真空加硫机上的加热系统
US9301576B2 (en) * 2013-04-23 2016-04-05 Nike, Inc. Method of printing onto an article
FR3007317B1 (fr) * 2013-06-25 2015-10-23 Salomon Sas Procede de fabrication d'un objet creux
CN103538181B (zh) * 2013-10-25 2016-08-17 东莞市天峰机械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加硫定型机
US10321524B2 (en) * 2014-01-17 2019-06-11 Nike, Inc. Conveyance curing system
US9907365B2 (en) * 2014-11-11 2018-03-06 New Balance Athletics, Inc. Method of providing decorative designs and structural features on an article of footwear
US9789644B2 (en) * 2014-11-13 2017-10-17 Adidas Ag Methods of vacuum forming articles of wear
CN106617506A (zh) * 2015-10-30 2017-05-10 安徽诺豪鞋业有限公司 干燥箱
ITUB20155474A1 (it) * 2015-11-11 2017-05-11 Nike Innovate Cv Apparecchiatura, e relativo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termico di calzature, in particolare calzature sportive
CN106073023A (zh) * 2016-06-24 2016-11-09 东莞市康诚鞋材有限公司 一种纳米记忆弹性体以及冷压生产工艺鞋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65882B (zh) 2023-03-24
CN115998052A (zh) 2023-04-25
CN112165882A (zh) 2021-01-01
TW202043010A (zh) 2020-12-01
KR20210122314A (ko) 2021-10-08
KR20210003829A (ko) 2021-01-12
WO2019222683A1 (en) 2019-11-21
TWI809361B (zh) 2023-07-21
TW202246039A (zh) 2022-12-01
TWI818641B (zh) 2023-10-11
EP4241954A2 (en) 2023-09-13
EP4241954A3 (en) 2024-02-14
TWI790379B (zh) 2023-01-21
KR20220060562A (ko) 2022-05-11
US20190351604A1 (en) 2019-11-21
EP3793391A1 (en) 2021-03-24
TW202003203A (zh) 2020-01-16
EP3793391B1 (en) 2023-07-05
KR102632139B1 (ko) 2024-02-01
TW202126464A (zh)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139B1 (ko) 물품을 열 성형하는 시스템 및 방법
TWI728340B (zh) 熱成形物品的系統及方法
US11826945B2 (en) System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articles
JPS59142127A (ja) タイヤ加硫装置
TWI839529B (zh) 對物品進行熱成形的方法及物品壓縮組合件
KR20010000242A (ko) 미드솔과 아웃솔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신발창 제조장치
BR112021016385A2 (pt) Processo para fabricar um calçado e peças de calç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9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502

Effective date: 2024041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