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69U -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69U
KR20220000369U KR2020210001110U KR20210001110U KR20220000369U KR 20220000369 U KR20220000369 U KR 20220000369U KR 2020210001110 U KR2020210001110 U KR 2020210001110U KR 20210001110 U KR20210001110 U KR 20210001110U KR 20220000369 U KR20220000369 U KR 202200003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color filter
lay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오-리 황
Original Assignee
에지스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지스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지스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0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5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photoconducting or a ferro-electric layer, the properties of which can be optically or electrically varied
    • G02F1/1351Light-absorbing or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Image Inpu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구동회로층의 감지 소자는 컬러필터층의 감광 홀을 통해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광선을 감지하여 지문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 회로는 감지 소자 옆에 설치되는 구동 전극을 통하여 차단 영역 내의 액정 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감지 소자 주위의 미광(stray light)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IN-CELL FINGERPRINT SENSING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는 LCD 전자 장치에는 지문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지문 감지 모듈은 add-on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부 또는 외측 주변에 부착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에서, 지문 감지 모듈은 스마트폰의 실체 기능 키 또는 스마트폰 뒷부분 하부의 지문 감지 영역 하부에 설치되어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공지의 광학 지문 감지 모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누르는 손가락의 반사광은 하부의 이미지 센서로 전달되나, 이미지 센서는 손가락의 반사광 외에, 주위의 미광도 수신할 수 있어, 이미지 센서가 감지하는 지문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된다.
공지의 광학 지문 감지 모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누르는 손가락의 반사광은 하부의 이미지 센서로 전달되나, 이미지 센서는 손가락의 반사광 외에, 주위의 미광도 수신할 수 있어, 이미지 센서가 감지하는 지문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고안은 대면적 지문 감지와 지문 감지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컬러필터층, 액정층 및 구동회로층을 포함한다. 컬러필터층은 적어도 하나의 감광 홀을 가진다. 액정층은 컬러필터층과 구동회로층 사이에 설치되며, 구동회로층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소자,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 및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감지 소자는 감광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광선을 감광 홀을 통하여 감지하여 지문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 전극은 감지 소자 옆에 설치된다. 구동 회로는 구동 전극과 커플링되고, 구동 전극을 통하여 감지 소자 옆의 차단 영역의 액정 분자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감지 소자 주위의 미광을 차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영역은 감지 소자를 둘러싸는 환형의 영역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영역은 컬러필터층의 차광 구조 하부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필터층은 기판, 차광 구조 및 다수 개의 컬러필터 패턴을 포함한다. 차광 구조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감광 홀 및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를 가진다. 상기 다수 개의 컬러필터 패턴은 상기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회로층 하부에 설치되는 백라이트(backlight)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회로층은 다수 개의 화소 전극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한다. 다수 개의 화소 전극은 상기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구동회로층에 설치되며 화소 전극과 커플링되고, 화소 전극을 통해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되는 액정 분자를 회전시키며, 백라이트가 액정층 및 컬러필터층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 빔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광은 디스플레이 개구로부터 오는 광선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컬러필터층 상부에 설치되고 손가락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광선은 백라이트 모듈이 손가락에 조사한 광을 반사함으로써 생성된 광선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광 홀이 기판 상에서 점유하는 면적은 기판 면적의 25%보다 넓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광선은 추가적인 광선이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선이다.
상기 내용에 따르면, 본 고안의 구동회로층의 감지 소자는 지문 정보를 가지는 이미지 광선을 컬러필터층의 감광 홀을 통하여 감지하여 지문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구동회로는 감지 소자 옆에 설치된 구동 전극을 통하여 차단 영역의 액정 분자를 회전시켜 감지 소자 주위의 미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문 감지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으며, 동시에 대면적 지문 감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특징과 장점의 보다 명확하고 쉬운 이해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기 바란다.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이미지를 감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인셀식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플레이트(CV1), 컬러필터층(CF1), 액정층(CRL1), 구동회로층(CL1) 및 백라이트 모듈(BLM1)을 포함하며, 그 중 컬러필터층(CF1)은 커버 플레이트(CV1)과 액정층(CRL1) 사이에 설치되고, 구동회로층(CL1)은 액정층(CRL1) 하부에 설치되며, 액정층(CRL1)과 백라이트 모듈(BLM1) 사이에 설치된다.
커버 플레이트(CV1)는 예컨대 유리 기판에서 실행되는 손가락(F1)의 터치 동작을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컬러필터층(CF1)은 감광 홀(PH1)을 구비하여, 손가락(F1)이 광선(L1)을 반사함으로써 생성된 이미지 광선(RL1)이 액정층(CRL1)에 진입하여 구동회로층(CL1)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회로층(CL1)은 감지 소자(SA1), 구동 전극(P1) 및 구동 회로(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감지 소자(SA1)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감광 홀(PH1)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감광 홀(PH1)의 하부에 설치되며, 감광 홀(PH1)을 통하여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광선을 감지하여 지문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후단의 회로에 제공하여 지문 식별 또는 다른 응용을 실행할 수 있다.
구동 전극(P1)은 감지 소자(SA1) 옆에 설치되고 구동 회로(102)와 커플링된다. 구동 회로(102)는 구동 전극(P1)에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경사각은 구동 전압의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회로(102)는 구동 전극(P1)을 통하여 차단 영역(BA1)의 액정 분자(LC1)를 회전시켜 감지 소자(SA1) 상의 액정 분자(LC2)와 상이한 각도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구동 회로(102)가 차단 영역(BA1)의 액정 분자(LC1)의 경사각을 조절함에 의하여, 감지 소자(SA1)의 주위로부터 오는 미광을 차단하거나 미광을 감지 소자(SA1)로부터 유리시켜, 미광이, 감지 소자(SA1)가 이미지 광선(RL1)을 감지하는 감지 효과에 영향을 미쳐 지문 감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러필터층(CF1)은 기판(B1) 및 기판(B1) 상에 형성되는 차광 구조(BM1) 및 다수 개의 컬러필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B1)은 유리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차광 구조(BM1)는 감광 홀(PH1) 및 다수 개의 컬러필터 패턴을 가진다. 예컨대 도 1의 실시예에서, 컬러필터 패턴은 적색광 필터 패턴(R), 녹색광 필터 패턴(G) 및 청색광 필터 패턴(B)을 가질 수 있고, 적색광 필터 패턴(R), 녹색광 필터 패턴(G) 및 청색광 필터 패턴(B)은 차광 구조(BM1) 의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형성될 수 있다. 차광 구조(BM1)와 컬러필터 패턴은 금속, 유기 물질, 컬러 광 블록 또는 상기 조합의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컬러필터 패턴의 재질은 차광 구조(BM1)의 물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예컨대, 차광 구조(BM1)와 컬러필터 패턴은 모두 다수 개의 컬러 광 블록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 패턴의 재질은 예컨대 금속, 유기 물질, 컬러 광 블록, 또는 상기 물질의 조합의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차단 영역(BA1)은 예컨대 도 2의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감지 소자(SA1)를 둘러싸는 환형 영역(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음)일 수 있고, 차단 영역(BA1)은, 예컨대 차광 구조(BM1) 하부에 위치하는 차광 영역(사선 영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음) 내의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 영역(BA1)의 액정 분자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미광을 차단하거나 또는 미광을 감지 소자(SA1)로부터 유리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감지 소자(SA1) 옆의 디스플레이 개구로부터 오는 광선을 차단하거나 또는 이미지 광선(RL1)과 함께 감광 홀(PH1)로 진입하는 기타 여분의 광선을 감지 소자(SA1)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감지 소자(SA1)의 감지 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모듈(BLM1)은 발광 소자, 도광판, 반사필름 및/또는 기타 광학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 소자는 예컨대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미니 LED(Mini Light-Emitting Diode, Mini LED), 또는 마이크로 LED (Micro Light-Emiting Diode, Micro LED)일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밖에, 구동회로층(CL1)은 다수 개의 화소 전극(P2)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4)는 화소 전극(P2)에 커플링된다. 화소 전극(P2)은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4)는 화소 전극(P2)에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각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되는 액정 분자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 모듈(BLM1)이 제공하는 백라이트(BL1)는, 상이한 경사각을 가지는 액정 분자와 컬러필터층(CF1)을 통과한 후 디스플레이 이미지 빔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광선(RL1)은 예컨대 디스플레이 이미지 빔이 손가락(F1)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구동회로층(CL1) 상에 추가적으로 조명 소자를 설치하여 손가락(F1)에 조명 광선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반사하여 이미지 광선(RL1)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감지 소자(SA1)를 구동회로층(CL1)에 내장한 것이므로, 공지 기술에서처럼 add-on 방식으로 지문 감지 모듈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셀 지문 감지 장치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큰 면적 또는 풀 스크린의 지문 감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가적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여 활용함으로써, 예컨대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큰 전력 용량의 전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의 사용 시간을 연장한다. 또한, 감지 소자(SA1)가 구동회로층(CL1)의 제작 시 동시에 완성되므로, 추가적인 제조 비용을 소모할 필요가 없다.
주의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감광 홀, 감지 소자, 감지 소자 구동 전극 및 화소 전극 등 요소의 개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디스플레이에서,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 많은 개수의 감광 홀, 감지 소자 구동 전극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인셀식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컬러필터층(CF1)은 다수 개의 청색광 필터 소자(C1) 및 다수 개의 녹색광 필터 소자(C2)를 더 포함하며, 각 감광 홀(PH1) 내에는 청색광 필터 소자(C1) 및 녹색광 필터 소자(C2) 중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청색광 필터 소자(C1)의 물질은 청색광 필터 패턴(B)과 동일한 청색광 필터 물질일 수 있으며, 녹색광 필터 소자(C2)는 녹색광 필터 패턴(G)과 마찬가지로 녹색광 필터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필터 패턴(R, G, B)의 개수와 감광 홀(PH1) 개수의 비는 3:1이고, 즉 각 디스플레이 화소(한 그룹의 광 필터 패턴 R, G, B 및 이에 대응되는 액정층으로 구성됨)는 하나의 광 필터 소자(청색광 필터 소자(C1) 또는 녹색광 필터 소자(C2))와 배치된다. 감광 홀(PH1)이 기판(B1)에서 점유하는 면적(즉, 청색광 필터 소자(C1)와 녹색광 필터 소자(C2)의 면적))은 기판(B1) 면적의 25%보다 넓다. 이로써, 지문 감지 시에, 환경 내의 강한 빛을 차단하고, 노이즈 간섭을 감소시키며, 나아가 감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녹색광 필터 소자(C2)의 개수는 청색광 필터 소자(C1)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고, 환경 광 차단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컬러필터층(CF1)의 청색광 필터 소자(C1)와 녹색광 필터 소자(C2)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청색광 필터 소자(C1)와 녹색광 필터 소자(C2)는 바둑판 모양, 사선 무늬 또는 마름모꼴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고안의 구동회로층의 감지 소자는 지문 정보를 가지는 이미지 광선을 컬러필터층의 감광 홀을 통하여 감지하여 지문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구동 회로는 감지 소자 옆에 설치된 구동 전극을 통하여 차단 영역의 액정 분자를 회전시켜 감지 소자 주위의 미광을 차단함으로써 지문 감지 품질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소자의 인셀식 설계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형화와 대면적 지문 감지 구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가적인 수용 공간을 제공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소자가 구동회로층의 제작 시 동시에 완성되므로, 추가적인 제조 비용을 소모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기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갖춘 자들은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 구동 회로
104: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CV1: 커버 플레이트
C1: 컬러필터층
CRL1: 액정층
CL1: 구동회로층
BLM1: 백라이트 모듈
PH1: 감광 홀
F1: 손가락
L1: 광선
RL1: 이미지 광선
SA1: 감지 소자
P1: 구동 전극
P2: 화소 전극
BA1: 차단 영역
LC1, LC2: 액정 분자
B1: 기판
BM1: 차광 구조
R: 적색광 필터 패턴
G: 녹색광 필터 패턴
B: 청색광 필터 패턴
C1: 청색광 필터 소자
C2: 녹색광 필터 소자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감광 홀을 가지는 컬러필터층;
    액정층; 및
    구동회로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상기 컬러필터층과 상기 구동회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회로층은:
    상기 감광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광선을 상기 감광 홀을 통하여 감지하여, 지문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소자;
    상기 감지 소자 옆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 및
    상기 구동 전극에 커플링되며, 상기 구동 전극을 통하여 상기 감지 소자 옆의 차단 영역의 액정 분자를 회전시켜, 상기 감지 소자 주위의 미광(stray light)을 차단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감지 소자를 둘러싸는 환형의 영역인,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컬러필터층 하부의 차광 영역 내에 위치하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층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감광 홀 및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를 가지는 차광 구조; 및
    상기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컬러필터 패턴;을 포함하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층 하부에 설치되는 백라이트(backlight)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층은:
    상기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화소 전극; 및
    상기 구동회로층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 개의 화소 전극과 커플링되며, 상기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되는 액정 분자를 상기 다수 개의 화소 전극을 통하여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백라이트가 상기 액정층 및 상기 컬러필터층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 빔을 형성하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광은 상기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개구로부터 오는 광선을 포함하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층 상부에 설치되며, 손가락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광선은 상기 백라이트 모듈이 손가락을 조사하여 생성된 광인,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홀이 상기 기판 상에서 점유하는 면적은 상기 기판 면적의 25%보다 넓은,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광선은 추가적인 조명 광선이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되는 광선인,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홀에 형성되는 광 필터 소자를 더 포함하는, 인셀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210001110U 2020-08-03 2021-04-08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00369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60612P 2020-08-03 2020-08-03
US63/060,612 2020-08-03
TW110202036 2021-02-25
TW110202036U TWM612856U (zh) 2020-08-03 2021-02-25 嵌入式指紋感測顯示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69U true KR20220000369U (ko) 2022-02-10

Family

ID=7703811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16U KR20220000365U (ko) 2020-08-03 2021-03-24 지문 감지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210001069U KR20220000366U (ko) 2020-08-03 2021-04-05 지문 감지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210001070U KR20220000367U (ko) 2020-08-03 2021-04-05 지문 감지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210001110U KR20220000369U (ko) 2020-08-03 2021-04-08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97371A KR20220016783A (ko) 2020-08-03 2021-07-23 화상 감지 장치 및 그 노광 시간 조절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16U KR20220000365U (ko) 2020-08-03 2021-03-24 지문 감지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210001069U KR20220000366U (ko) 2020-08-03 2021-04-05 지문 감지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210001070U KR20220000367U (ko) 2020-08-03 2021-04-05 지문 감지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371A KR20220016783A (ko) 2020-08-03 2021-07-23 화상 감지 장치 및 그 노광 시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5) KR20220000365U (ko)
CN (5) CN214202002U (ko)
TW (4) TWM61195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7742B (zh) * 2021-05-18 2022-09-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指紋辨識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3840B1 (en) * 1999-10-14 2005-09-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executing exposure control using object luminance information
JP4105957B2 (ja) * 2002-03-12 2008-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548270B2 (en) * 2005-09-08 2009-06-16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of exposure control for an imaging system
JP2007312112A (ja) * 2006-05-18 2007-11-2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装置
CN101359148B (zh) * 2007-08-03 2011-04-06 深圳艾科创新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曝光调节的方法及控制系统
CN101399924B (zh) * 2007-09-25 2010-05-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基于亮度直方图的自动曝光方法和装置
CN101262567B (zh) * 2008-04-07 2010-12-08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自动曝光方法与装置
JP2014220762A (ja) * 2013-05-10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2801920A (zh) * 2012-07-25 2012-11-2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相机无传感器连续自动曝光时间调节控制装置
CN105338235B (zh) * 2014-07-28 2018-11-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光圈调整方法及装置
CN104184957B (zh) * 2014-09-17 2017-04-26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适用于空间探测成像的基于自适应预期图像平均亮度的自动曝光控制方法
CN104184958B (zh) * 2014-09-17 2017-07-11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适用于空间探测成像的基于fpga的自动曝光控制方法及其装置
CN105979162B (zh) * 2016-07-21 2019-03-29 凌云光技术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可扩展动态范围图像的自动曝光调整方法及装置
EP3516862A4 (en) * 2016-10-26 2020-01-22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EXPOSUR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106657803B (zh) * 2016-12-26 2019-05-07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光电经纬仪用高速相机自动曝光方法
CN106982333B (zh) * 2017-05-12 2020-03-2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传感器快速校正方法、装置及设备
CN109819172B (zh) * 2017-11-21 2021-03-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自动曝光的方法和系统
CN108551555B (zh) * 2018-05-16 2019-12-31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使用cmos探测器的工业相机的自动曝光方法
CN111064902B (zh) * 2019-12-27 2021-05-18 重庆紫光华山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光圈控制方法、装置及曝光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65U (ko) 2022-02-10
CN214202002U (zh) 2021-09-14
KR20220016783A (ko) 2022-02-10
TWM613999U (zh) 2021-07-01
CN215599692U (zh) 2022-01-21
CN214201988U (zh) 2021-09-14
KR20220000366U (ko) 2022-02-10
KR20220000367U (ko) 2022-02-10
TWM612856U (zh) 2021-06-01
TWM613990U (zh) 2021-07-01
TWM611952U (zh) 2021-05-11
CN113364992A (zh) 2021-09-07
CN214201989U (zh) 2021-09-14
CN113364992B (zh)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9775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8896576B2 (en) Touch panel,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RU2456660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меющее оптические датчики
US2012006281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21003391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0016526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320689B1 (en) Display device
TWI715309B (zh) 液晶顯示裝置
JP2007025669A (ja) 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CN113994253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211180467U (zh) 液晶显示装置
WO2021249178A1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050108353A (ko) 대화식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 및 입력 수단
KR20220000369U (ko) 인셀(In-Cell) 지문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859B1 (ko) 터치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
US115504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674776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030010544A (ko)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의 제조방법,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전자 기기
JP2022111590A (ja) 表示装置
KR10212132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35189A (ko)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2006349789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220000368U (ko) 지문 감지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06333A1 (en) Touch display panel
KR20150037298A (ko) 터치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