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44U -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44U
KR20220000144U KR2020200002428U KR20200002428U KR20220000144U KR 20220000144 U KR20220000144 U KR 20220000144U KR 2020200002428 U KR2020200002428 U KR 2020200002428U KR 20200002428 U KR20200002428 U KR 20200002428U KR 20220000144 U KR20220000144 U KR 202200001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unit
bathroom ceiling
cont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809Y1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2020200002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0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내부에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을 실장하며, 투명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된 욕실 천정재의 점검구에 맞닿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설치되고, 욕실에 진입하는 객체를 인지하여 주위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가 욕실 천장재 내부의 올려진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로 이어서 출력하는 동시에 조명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음성과 리모컨 명령을 수신하여 컨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스마트 욕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mart Bathroom Ceiling}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종래에는 거실이나 방에 영상기기를 설치하여 시청을 했으며, 간혹 대중 목욕탕의 사우나 실이나 찜질방에 설치된 영상기기도 있었다. 그러나 가정욕실의 경우, 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과거의 영상기기(CRT)의 커다란 부피로 인하여 설치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영상기기는 세수나 샤워시 생기는 습기 또는 수분에 취약하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욕실에 구비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 했다.
최근 박막형의 LCD 및 PDP 등의 차세대 영상기기의 등장으로 영상기기의 부피가 적어지면서 협소한 공간이나 벽걸이용으로 설치되는 등 공간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게 되었다.
전술한 영상기기의 경우, 욕실에 설치하기 위하여 욕실 벽면의 타일을 제거하고, 상기 벽면에 영상기기를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드릴 또는 망치를 이용하여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간소비 및 인력고용 등의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욕실에 설치되는 다목적 거울이 존재하나 다목적 거울은 거울과 영상표시장치를 겸비한 것이나, 단순히 케이스로 거울과 영상표시장치를 고정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도 케이스와 벽면 사이의 틈으로 인하여 욕실이나 사우나 실과 같은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미 사용하고 있던 거울을 제거하고 영상표시장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벽면을 허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추가되어야하므로 인하여 시간적 및 경제적으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내부에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을 실장하며, 투명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된 욕실 천정재의 점검구에 맞닿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설치되고, 욕실에 진입하는 객체를 인지하여 주위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가 욕실 천장재 내부의 올려진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로 이어서 출력하는 동시에 조명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음성과 리모컨 명령을 수신하여 컨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스마트 욕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내부에 실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제어부; 투명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된 점검구를 갖는 상기 욕실 천정재의 상기 점검구에 맞닿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욕실 천정재 내부 또는 외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빛의 광량 및 색깔을 조절하는 조명부; 상기 점검구 외부를 센싱하여 상기 욕실 내로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어부, 상기 디플레이, 상기 스피커, 상기 조명부, 상기 센싱부를 내부 실장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천정재에 올려지는 형태로 상기 욕실 천장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가 상기 욕실 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조명부가 온되도록 제어하며, 인근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또는 상기 객체가 소지한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출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피커로 이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내부에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을 실장하며, 투명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된 욕실 천정재의 점검구에 맞닿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설치되고, 욕실에 진입하는 객체를 인지하여 주위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가 욕실 천장재 내부의 올려진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로 이어서 출력하는 동시에 조명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음성과 리모컨 명령을 수신하여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명부, 스피커, 적외선 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3b,3c,3d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또는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감정을 인지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천정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천정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조명부(110), 스피커(120), 디스플레이(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조명부(110)는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외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설치된다. 조명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빛의 광량 및 색깔을 조절한다.
스피커(120)는 하우징(200)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피커(120)는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욕실 내부로 사운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30)는 투명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된 점검구를 갖는 욕실 천정재의 점검구에 맞닿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130)는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대(522, 524)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른 영상을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내부에 실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제어부(140)는 객체가 욕실 내로 진행한 경우, 조명부(110)가 온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인근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거실 TV, PC)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또는 객체가 소지한 디바이스(322)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출력이 디스플레이(130) 및 스피커(120)로 이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1에 도시된 욕실 천정재 내부에 실장된 제어부(140)와 욕실 천정재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 스피커(120), 조명부(110), 센싱부(210)는 방수 처리된 유선 방식으로 통신하거나 무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다.
도 2a,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명부, 스피커, 적외선 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내부에 제어부(140)가 실장된다. 욕실 천정재 외부에 제어부(140)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130), 스피커(120-1, 120-2, 120-3, 120-4), 조명부(110)를 설치한다.
센싱부(210)는 하우징(20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센싱부(210)는 욕실 출입문 및 욕실 천정재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210)는 하우징(20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욕실 내로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욕실 출입문 및 욕실의 천정재 외부에 설치되어 욕실 내로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싱부(210)를 이용하여 욕실에 진입하는 객체를 인지한다. 제어부(140)는 욕실에 진입하는 객체가 존재하면 주변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가 욕실 내부의 디스플레이(130)와 스피커(120-1, 120-2, 120-3, 120-4)로 이어서 출력하는 동시에 조명부(110)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음성과 리모컨 명령을 수신하여 컨텐츠를 제어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 디플레이(130), 스피커(120), 조명부(110), 센싱부(210)는 하나의 하우징(200)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110)는 하우징(200) 외부에 설치되어 제어부(140)와 연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200)이 천정재에 올려지는 형태로 욕실 천장 내부에 실장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하나의 하우징(200) 내에 모든 구성요소가 실장되어 욕실 천장의 점검구 위에 올려지는 형태로 욕실 천장에 실장될 수 있다.
욕실 천장의 점검구의 일측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갖도록 형성된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 내의 디스플레이(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갖는 면 위에 맞닿는 형태로 욕실 천장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a,3b,3c,3d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또는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욕실 내 설치된 음성음식 및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욕실 내 조명, 영상 및 음악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음성인식에 따라 조명의 조도 및 색을 달리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308)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기본 저전력 조명으로의 전환 또는 전원 Off 및 현재 재생중인 영상 및 음악을 정지한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사용자 음성 명령에 따라 천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제어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장르별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움직임에 따라 조명의 강도를 조절한다.
센싱부(210)는 제1 적외선 센서(308-1) 내지 제N 적외선 센서(308-N)를 포함한다.
제1 적외선 센서(308-1)는 하우징(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적외선 센서(308-1)는 욕실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적외선 센서(308-1)는 욕실 내부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객체를 센싱한다. 제N 적외선 센서(308-N)는 하우징(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N 적외선 센서(308-N) 욕실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제N 적외선 센서(308-N)는 이동하는 객체를 지속적으로 센싱한다.
제어부(140)는 객체 감지부(310), 컨텐츠 재생부(320)를 포함한다.
객체 감지부(310)는 제1 적외선 센서(308-1)로부터 객체를 먼저 센싱한 이후 제N 적외선 센서(308-N)로부터 객체를 센싱한 경우, 객체가 욕실 출입문에서 욕실 내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지하여 객체가 욕실 내부로 진입한 것으로 인지한다.
객체 감지부(310)는 제N 적외선 센서(308-N)로부터 센싱된 객체가 제1 적외선 센서(308-1)에서 센싱되는 경우, 객체가 욕실 내부에서 욕실 출입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지하여 객체가 욕실 외부로 진출한 것으로 인지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객체가 욕실 내부로 진입한 것으로 인지한 경우, 인근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거실 TV, PC)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또는 객체가 소지한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출력이 디스플레이(130) 및 스피커(120)로 이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객체가 욕실 외부로 진출한 것으로 인지한 경우, 디스플레이(130) 및 스피커(120)에서 출력이 인근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거실 TV, PC) 또는 객체가 소지한 디바이스에서 이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음성 인식부(330)는 욕실 내부에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한다. 음성 인식부(330)는 마이크 형태로 욕실 내부에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음성 인식부(330)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322)와 연동하여 단말기(322) 내부에 탑재된 마이크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명령 수신부(340)는 욕실 내부에서 리모컨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명령 수신부(340)는 리시버 형태로 욕실 내부에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리모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322)와 연동하거나 인접한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거실 TV, PC)와 연동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322)와 연동하거나 인접한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거실 TV, PC)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30) 및 스피커(120)로 이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사용자 음성 또는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130) 및 스피커(1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일시정지, 스킵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인 경우, 조명부(110) 내부의 램프가 기 설정된 영상 모드에 대응하는 광량(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밝기를 갖도록 설정) 및 색깔을 갖도록 조절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인 경우, 디스플레이(130)에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며, 스피커(120)가 기 설정된 영상 모드에 대응하는 볼륨을 갖도록 조절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인 경우, 조명부(110) 내부의 램프가 기 설정된 음악감상모드에 대응하는 광량 및 색깔을 갖도록 조절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인 경우, 디스플레이(130)에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음악 컨텐츠 제목, 재생 시간, 커버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인 경우, 스피커(120)가 기 설정된 음악감상모드에 대응하는 이퀄라이져(Equalizer) 및 볼륨을 갖도록 조절한다.
컨텐츠 재생부(320)는 욕실 내부에 수도가 개방되는 경우, 수도의 수압에 비례하도록 스피커(12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한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음성인식과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음성 인식부(330), 적외선 센서(308)의 설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천장재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적외선 센서(308-1)는 욕실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어, 욕실 출입문의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객체를 센싱한다. 제N 적외선 센서(308-N)는 욕실 천장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객체를 지속적으로 센싱한다. 제어부(140)는 적외선 센서(308-1, 308-2, 308-N)를 이용하여 사용자 움직임 감지하고, 복수의 조명부(110-1, 110-2, 110-N) 중 사용자 위치(110-N)에 따라 조명의 조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40)는 조명부(110-1, 110-2, 110-N)가 욕실 천장에 복수 개 설치된 경우, 복수 개의 조명부(110-1, 110-2, 110-N) 중 객체의 위치한 조명(110-N)의 광량을 높게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객체의 거리가 먼 조명부(110-1)의 광량을 낮게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200) 내부에 모든 구성요가 실장된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이 복 수개가 욕실 천장의 점검구 위에 올려지는 형태로 욕실 천장에 실장될 수 있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 내의 디스플레이(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갖는 면 위에 맞닿는 형태로 욕실 천장 내부 복수개가 실장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200) 내부에 모든 구성요가 실장된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이 한 개만 욕실 천장의 점검구 위에 올려지는 형태로 욕실 천장에 실장될 수 있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 내의 디스플레이(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갖는 면 위에 맞닿는 형태로 욕실 천장 내부 한개가 실장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욕실에 누워서 천장을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감정을 인지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거실 TV, PC)에서 재생중인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음악을 스피커(120)로 이어서 출력되도록 하며, 이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판단한 감정에 따른 재생되는 음악을 선곡한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판단한 감정에 따른 조명부(110)의 광량 및 색깔이 변화되도록 제어한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음성 인식부(330)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영상 출력 및 음악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며, 복수의 적외선 센서(308-1, 308-2, 308-N)를 이용하여 사용자 움직임 감지에 의한 조명의 조도, 음악 및 영상 재생을 조절한다.
음성 인식부(330)는 마이크 형태로 욕실 내부에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감정 인지부(410)는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 감정(기쁨, 슬픔, 즐거움, 화남 등)을 인지한다. 감정 인지부(410)는 음성 인식부(3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 감정을 인지한다. 조명 제어부(140)는 사용자 감정에 기반으로 조명부(110)의 조도, 광량 또는 색깔을 제어한다. 조명 제어부(140)는 사용자 감정에 따라 조명부의 광량 및 색깔을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욕실 천정재 내부에 실장된 제어부(140)와 욕실 천정재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 스피커(120), 조명부(110), 센싱부(210)는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천정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욕실 천정 점검구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욕실 천정 점검구는 SMC(Sheet Molding Compound) 천정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SMC 천정재와 함께 시공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램프 소켓(512, 514)에 지지대(522, 524)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30)를 고정 가능하다. 디스플레이(130), 지지대(522, 524), 브라켓(530)은 방수 패킹 구조를 갖는다. 지지대(522, 524)는 욕실 천정재의 조명 소켓(512, 514)을 통과하여 제어부(140)와 디스플레이(130)를 이어주는 바 형태를 가진다. 바 상에 디스플레이(130)를 고정시키는 브라켓(530)과 고정부가 포함한다.
도 6a,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 천정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의 천정재위로 올려놓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 내의 디스플레이(130)는 천정과 평면이 되어 설치되며,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천장 바깥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사용자는 욕실 내부에 진입하는 경우 욕조에 누워서 디스플레이(130)를 올려다본다.
예컨대, 기존 SMC 천정재에 점검구 부분을 투명 아크릴 재질로 만들고, 아크릴 재질의 점검구와 디스플레이(130) 맞닿는 형태로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이 실장될 수 있다.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100)은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110: 조명부
120: 스피커
130: 디스플레이
200: 하우징
210: 센싱부
308: 적외선 센서
310: 객체 감지부
320: 컨텐츠 재생부
330: 음성 인식부
340: 명령 수신부
410: 감정 인지부
420: 조명 제어부
512,514: 조명 소켓
522,524: 지지대
530: 브라켓

Claims (11)

  1. 욕실 천장의 욕실 천정재 내부에 실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제어부;
    투명한 형태의 재질로 형성된 점검구를 갖는 상기 욕실 천정재의 상기 점검구에 맞닿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욕실 천정재 내부 또는 외부로 빛을 발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빛의 광량 및 색깔을 조절하는 조명부;
    상기 점검구 외부를 센싱하여 상기 욕실 내로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어부, 상기 디플레이, 상기 스피커, 상기 조명부, 상기 센싱부를 내부 실장한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천정재에 올려지는 형태로 상기 욕실 천장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가 상기 욕실 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조명부가 온되도록 제어하며, 인근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또는 상기 객체가 소지한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출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피커로 이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욕실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욕실 출입문의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객체를 센싱하는 제1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욕실 천장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객체를 지속적으로 센싱하는 제N 적외선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적외선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를 먼저 센싱한 이후 상기 제N 적외선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를 센싱한 경우, 상기 객체가 욕실 출입문에서 욕실 내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욕실 내부로 진입한 것으로 인지하며, 상기 제N 적외선 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객체가 상기 제1 적외선 센서에서 센싱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욕실 내부에서 상기 욕실 출입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욕실 외부로 진출한 것으로 인지하는 객체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가 상기 욕실 내부로 진입한 것으로 인지한 경우, 인근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또는 상기 객체가 소지한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출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피커로 이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객체가 상기 욕실 외부로 진출한 것으로 인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이 인근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객체가 소지한 디바이스에서 이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 내부에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욕실 내부에서 리모컨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 또는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일시정지, 스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인 경우, 상기 조명부 내부의 램프가 기 설정된 영상 모드에 대응하는 광량 및 색깔을 갖도록 조절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스피커가 기 설정된 영상 모드에 대응하는 볼륨을 갖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인 경우, 상기 조명부 내부의 램프가 기 설정된 음악감상모드에 대응하는 광량 및 색깔을 갖도록 조절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스피커가 기 설정된 음악감상모드에 대응하는 이퀄라이져(Equalizer) 및 볼륨을 갖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욕실 내부에 수도가 개방되는 경우, 수도의 수압에 비례하도록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복수 개의 조명부와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위치한 조명의 광량을 높게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객체의 거리가 먼 조명부의 광량을 낮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 감정을 인지하는 감정 인지부; 및
    상기 사용자 감정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광량 및 색깔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명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 천정재 내부에 실장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욕실 천정재 외부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스피커, 상기 조명부, 상기 센싱부는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KR2020200002428U 2020-07-07 2020-07-07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KR200495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28U KR200495809Y1 (ko) 2020-07-07 2020-07-07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28U KR200495809Y1 (ko) 2020-07-07 2020-07-07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44U true KR20220000144U (ko) 2022-01-14
KR200495809Y1 KR200495809Y1 (ko) 2022-08-22

Family

ID=7934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28U KR200495809Y1 (ko) 2020-07-07 2020-07-07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95909A1 (ko) * 2023-03-23 202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태양 기반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591A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세진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70078659A (ko) * 2014-11-06 2017-07-07 톰슨 라이센싱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KR20180030318A (ko) * 2016-09-13 2018-03-22 (주)아이리녹스 욕실용 스마트 미러 장치
KR101896216B1 (ko) * 2018-05-28 2018-09-06 노진호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591A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세진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70078659A (ko) * 2014-11-06 2017-07-07 톰슨 라이센싱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KR20180030318A (ko) * 2016-09-13 2018-03-22 (주)아이리녹스 욕실용 스마트 미러 장치
KR101896216B1 (ko) * 2018-05-28 2018-09-06 노진호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95909A1 (ko) * 2023-03-23 202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태양 기반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809Y1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196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living space features
US10699131B2 (en) User-upgradeable load control network
US11149938B2 (en) Luminaire system with trim component and integrated user experience elements
US6778226B1 (en) Device cabinet with dynamically controlled appearance
US9812004B1 (en) Control system for a terminal device and a switch
JP7126579B2 (ja) 生活空間機能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060215022A1 (en) A security camera and monitor system activated by motion sensor and body heat sensor for homes or offices
WO2016015500A1 (en) Smart led lighting device and remote video chat system thereof
KR200495809Y1 (ko)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KR20170087764A (ko)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JP2008252884A (ja) 通信デバイスとして使用される光スイッチ
KR950022833A (ko) 대형방상표시시스템과 텔리비젼 수신장치
JP2006148357A (ja) 位置検出システム
JP2007179857A (ja) 機器制御装置
KR100919096B1 (ko) 오디오,비디오 통합제어시스템
KR100904748B1 (ko) 도어 감시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도어 개폐시스템
KR20060107890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
CN220022999U (zh) 一种支持智能家居产品手势交互的智能音箱
KR102711601B1 (ko) 스마트 월 및 그 제어 방법
CN206575603U (zh) 门铃室内分机
KR200483246Y1 (ko) 노래반주기의 반주신호에 따른 조명등 절환용 표시기
KR20210101989A (ko) 스마트 월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09914A (ko) 스마트 월
IT201700009805A1 (it) Sistema multimediale
KR20220052994A (ko) 스마트 월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