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659A -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659A
KR20170078659A KR1020177011839A KR20177011839A KR20170078659A KR 20170078659 A KR20170078659 A KR 20170078659A KR 1020177011839 A KR1020177011839 A KR 1020177011839A KR 20177011839 A KR20177011839 A KR 20177011839A KR 20170078659 A KR20170078659 A KR 20170078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broadcast
broadcast
handover
play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 야닉 르
프레드리끄 푸빠르
하미드 부사드
마띠유 조르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7007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0Arrangements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typ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9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 1/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중간 디바이스를 통해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의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비디오 콘텐트의 핸드오버. 중간 디바이스는 그 자신의 수단에 의해, 제 1/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것과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비디오 콘텐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제 1/소스 디바이스에 의한 오디오/비디오 콘텐트의 플레이 아웃의 중단이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중간 디바이스는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타임시프트 메모리에 저장한다.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가 검출되는 경우, 중간 디바이스는 제 2/목적지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을 시작한다.

Description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METHOD OF AUDIO/VIDEO BROADCAST PLAY OUT HANDOVER AND CORRESPONDING APPARATUS}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오디오/비디오 콘텐트의 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
많은 자동차 운전자들은 집에 오는 길에 그들의 자동차 라디오로 음악 또는 정보 방송 프로그램들을 청취할 수 있다. 운전자가 그녀의/그의 구내에 도착했을 때 음악 또는 정보 방송 프로그램이 아직 끝나지 않고 그녀/그가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청취하기를 원하는 경우, 유일한 선택은 차에 머물러 음악 또는 정보 프로그램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주 발명자가 Kennedy 인 특허 출원 US2014/0200694A1 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사용자들이 그들의 라디오 프로그램들의 청취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라디오 캡처 방법을 설명한다. 기록 요청은 사용자가 그들의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청취를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이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 일부는, 멀리 떨어진 레코딩 서버들을 갖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구현하기가 쉽지도 않고 쉽게 확장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수동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추가적인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확장 가능하며 수동 사용자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핸드오버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솔루션들의 추가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개시물은 종래 기술의 불편함들 중 일부를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원리들은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의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플레이 아웃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수신을 설정하는 단계;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고,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중간 디바이스의 타임시프트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제 2 디바이스의 존재가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중간 디바이스를 제 2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의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해 중간 디바이스의 타임시프트 메모리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법은,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의 타임시프트 지연이 임계 미만인 경우, 제 2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 2 디바이스에 연관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요청을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 2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의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수신으로 스위칭했다는 확인이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수신 및 저장을 위해 사용된 중간 디바이스의 리소스들을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 안 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레벨의 중간 디바이스에 의한 측정치 (measurement) 가 임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에 기초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신호 레벨이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는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오디오 레벨이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의 존재는 거리 검출에 기초하여 검출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존재는 중간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임계 미만인 경우 검출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의 존재는 근접장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을 통해 검출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의 존재는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의 검출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의 존재는 제 2 디바이스의 존재의 중간 디바이스에 의한 물리적 검출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리적 검출은 제 2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중간 디바이스에서의 카메라의 사용을 포함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리적 검출은 제 2 디바이스로의 중간 디바이스의 포인팅을 결정하도록 포인팅 어레인지먼트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원리들은 또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의,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이 장치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플레이 아웃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및 검출 시에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타임시프트 메모리; 및 제 2 디바이스의 존재가 검출되는 경우 장치를 제 2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의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해 타임시프트 메모리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을 위해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디바이스의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또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의 타임시프트 지연이 임계 미만인 경우, 제 2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 2 디바이스에 연관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요청을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는 또한, 제 2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의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수신으로 스위칭했다는 확인이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수신기 및 타임시프트 메모리를 사용 안 하도록 구성된다.
이 디바이스의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출기는 또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디바이스의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출기는 또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신호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원리들의 더 많은 이점들은 본 개시물의 특정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들의 설명을 통해 나타날 것이다. 본 원리들의 이점들이 획득될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본 원리들의 특정 설명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는 그 특정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도면들은 본 개시물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도시하고, 따라서 본 개시물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설명된 실시형태들은 특정의 유리한 실시형태들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의 도면들에서, 이전 도면에서 이미 설명된 아이템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갖는 아이템들은 본 개시물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본 원리들의 콘텍스트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본 원리들에 따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홈 네트워크가 있는 통상적인 홈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본 원리들의 양태들의 예시의 실시형태의 시퀀스 차트이다.
도 4 는 본 원리들의 추가의 양태들을 예시하는 예시의 실시형태의 시퀀스 차트이다.
도 5 는 본 원리들에 따른 중간 디바이스의 예시의 실시형태이다.
도 6 은 본 원리들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실시형태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은 본 원리들의 애플리케이션의 콘텍스트를 예시한다. 홈 (10), 운전자 (14) 가 있는 자동차 (11), 스마트폰 (13) 및 자동차 라디오 (12) 가 도시된다. 운전자는 집에 도착할 때 라디오 프로그램을 청취하고 있다. 그러나, 라디오 프로그램은 끝나지 않고 운전자는 이 라디오 프로그램을 집에서 계속해서 청취하기를 원한다.
도 2 는 본 원리들에 따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홈 네트워크가 있는 통상적인 홈 (10) 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홈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들이 구비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101), 디지털 셋 톱 박스 (102), 디지털 텔레비전 (103), 하이파이 세트 (104), 데스크톱 퍼스널 컴퓨터 (PC)(105),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노트북 PC (106), 외부 안테나 (107) 및 외부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 (1001), 예를 들어 인터넷과의 접속을 포함한다. 디지털 텔레비전 (103) 은 외부 안테나 (107) 로부터, 디지털 셋 톱 박스 (102) 로부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101) 로부터 또는 PC들 (105, 106)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셋 톱 박스 (102) 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101) 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하이파이 세트 (104) 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101) 로부터, 데스크톱 PC (105) 로부터, 노트북 PC (106) 로부터 또는 외부 안테나 (107) 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스크톱 PC (105) 는 디바이스들 (101-102, 104 및 106)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노트북 PC (106) 는 디바이스들 (101-102, 104 및 105)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 은 본 원리들의 양태들의 예시의 실시형태의 시퀀스 차트이다. 수직 라인들은,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제 1/소스 디바이스 (또는 소스 디바이스)(12), 여기서 자동차 라디오, 중간 디바이스 (13), 여기서 스마트폰, 및 제 2 디바이스 (또는 목적지 디바이스)(101-106), 여기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교환들은 수평으로 나타내어진다. 단어 '제 1' 또는 '소스'; '중간'; '제2' 또는 '목적지'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제 1/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중간 디바이스를 통해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의 본 원리들에 따른 핸드오버를 지칭한다.
다음의 예시의 실시형태는 자동차 및 홈 환경을 포함하지만, 본 원리들은 다른 유형들의 환경들, 예컨대 환경 대 환경 핸드오버를 위해 한 작업장에서 다른 작업장으로, 자동차에서 자동차로, 자동차에서 홈으로, 홈에서 자동차로, 홈에서 오피스로, 홈에서 홈으로의 오디오/비디오 콘텐트의 핸드오버를 위한 영화 제작 스튜디오, 오피스에 동등하게 적용한다. 다음의 예시의 실시형태는 제 1/소스 디바이스로서 자동차 라디오, 중간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 및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본 원리들은 다른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소스 및 제 2/목적지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는 예시의 디바이스들은 (인터넷) 라디오/TV 수신기, 스마트폰, 텔레비전 세트, 퍼스널 컴퓨터, 넷북 또는 태블릿과 같은,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원리들에 따른 예시의 중간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현재의 원리들을 구현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전용 디바이스, 구글 안경과 같은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이다. 브로드캐스트된 콘텐트는 아날로그 브로드캐스팅 또는 디지털 스트리밍과 같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다음의 예시의 실시형태는 라디오 방송과 같은 브로드캐스트 오디오 콘텐트의 핸드오버에 대해 설명되지만, 본 원리들은 또한,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브로드캐스트 비디오 콘텐트의 핸드오버에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인 용어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비디오 콘텐트는 브로드캐스트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트 만을, 또는 브로드캐스트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트를 의미한다. 다음의 예시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목적지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에 위치되지만, 본 원리들은 홈 네트워크의 존재 없이 적용 가능하다.
도시된 시나리오는 시퀀스 A, B, C 를 따른다:
A) 중간 디바이스 (13) 를 갖는 사용자는 그의/그녀의 차에 있고, 그/그녀가 집으로 운전할 때 브로드캐스트 라디오 방송 (radio station) 을 청취한다. 참조부호들 (300-302 및 308).
B) 사용자는 중간 디바이스를 착용/홀딩하면서 자동차를 떠난다. 청취가 중단된다. 참조부호들 (303-304).
C) 사용자는 그/그녀가 그의/그녀의 차를 떠날 때 청취가 중단되었던 브로드캐스트 라디오 방송을 계속해서 청취한다. 참조부호들 (305-307).
시퀀스에서 위의 포인트들 각각은 다음의 단락들에서 더 설명된다.
A: 자동차에서, 중간 디바이스를 갖는 사용자는 브로드캐스트 라디오를 들음
이 사용자가 그의 차에 있는 경우 그/그녀는 그/그녀가 청취하는 브로드캐스트 라디오 방송을 수신한다 (굵은 화살표). 자동차 라디오는,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또는 NFC 를 통해 스마트폰과 통신하고, 튜닝된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라디오 방송의 식별자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한다 (300). 식별자는, 예를 들어 이를 테면 라디오 송신들을 위해 RDS (Radio Data System) 또는 RDBS (Radio Broadcast Data System) 에 임베딩되거나, 또는 텔레비전 송신들을 위해 서비스 정보 (SI ;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정보에 대한, DVB-SI) 로부터 판독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동차 라디오에 의해 튜닝된 라디오의 라디오 방송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해, 라디오 방송 식별자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자동차 라디오 간에 통신 링크가 존재하지 않지만, 스마트폰은 자동차 라디오의 사운드를 캡처하고, 예를 들어, 그 수신기를 다른 라디오 방송으로 튜닝하고, 자동차 라디오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시그니처 (signature) 가 대응하는 라디오 방송이 발견될 때까지 스마트폰에 의해 튜닝되는 라디오 방송의 오디오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튜닝된 라디오 방송을 결정한다. 이 변형의 실시형태는 상이한 송신 및/또는 프로세싱 지연들로 인한 오디오 신호들 간의 임의의 래그 (lag) 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이 변형은 또한, 동반하는 오디오 채널들의 오디오 신호들이 비교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중간 디바이스 (13) 내의 수신기는 전파 (radio wave) 들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갖는 라디오 브로드캐스트 수신기, 인터넷 라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URL (Unified Resource Locator) 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수신기, 또는 3G/4G/LTE (Long Term Evolution) 수신기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수신기일 수 있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디바이스 (13) 는 빌트-인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 라디오의 디스플레이 상에 도시되는 방송 명칭을 캡처하고 OCR (Optical Character Reading) 을 적용하여 라디오 방송 식별자의 텍스트 버전을 취출한다.
추가의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라디오 방송 또는 텔레비전 채널의 식별은 디스플레이된 QR (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채널 로고의 판독에 의해 행해진다.
방송국의 식별 다음에, 중간 디바이스는 이어서, 그 자신의 수신기 어레인지먼트 (예를 들어, 중간 디바이스에 포함된 인터넷 수신기 또는 전파 수신기) 를 사용하여 식별된 브로드캐스트 라디오 방송의 수신을 설정한다 (301).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라디오에 의해 수신된 바와 동일한/식별된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중간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은, 그 후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자동차 라디오로부터 멀리 이동 (moving away) 한다는 것을 결정할 때 단지 설정된다.
중간 디바이스에 의한 라디오 브로드캐스트 수신은 화살표들 (308 및 302) 에 의해 표시된다.
B: 사용자는 중간 디바이스를 갖고 자동차를 떠남; 청취가 중단됨
중간 디바이스 (13) 가 자동차 라디오에 의한 브로드캐스트의 플레이 아웃이 중단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 (303), 중간 디바이스는 그 자신의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오디오 콘텐트를 로컬 메모리 또는 유형 FIFO (First In, First Out) 의 '버퍼'에 저장한다 (304).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메모리는 중간 디바이스의 작업 메모리의 부분이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모리는 타임시프트 버퍼를 호스트하기 위한 전용 메모리 또는 메모리 존이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단은, 이전에 언급된 블루투스, WiFi 또는 NFC 와 같은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자동차 라디오와 중간 디바이스 간의 무선 접속의 수신 레벨, 또는 중간 디바이스 내의 마이크로폰으로 측정된, 오디오 레벨과 같은 라디오에 의해 생성된 물리적 파라미터의 레벨에서의, 상당한,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임계 미만의 드롭을 통해 검출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디바이스는, 그것이 라디오 방송을 식별하자마자 자동차 라디오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방송으로 '튜닝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디바이스는, 중단의 검출 시에만 식별된 라디오 방송으로 '튜닝한다'. 후자의 변형의 실시형태는 유리하게, 배터리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C: 사용자는 중단된 브로드캐스트 라디오를 끊김없이 계속해서 청취함
사용자가 그의/그녀의 자동차를 떠나 집으로 들어가는 경우, 중간 디바이스는 WiFi 홈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의 존재를 검출한다 (305). 중간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접속하고 (306)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로 브로드캐스트된 오디오 콘텐트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을 시작하여 (307),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끊김없이 라디오 방송을 계속해서 청취한다.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은, 스마트폰이, 브로드캐스트 라디오 방송을 계속 수신하고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라디오 방송을 로컬 메모리에 저장하면서,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그 로컬 메모리로부터 목적지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스트리밍하고,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는 따라서 핸드오버에 필요한 시간, 즉 멀리 이동하는 것의 검출 (303) 과 목적지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스트리밍 (307) 의 시작까지 사이의 경과 시간에 대응하는 래그로 지연되거나 타임시프트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식으로, 심리스 핸드오버가 확립된다, 즉, 사용자/청취자에 대해 어떤 정보도 손실되지 않고, 라디오 프로그램은 그것이 중단되었던 순간부터 목적지 디바이스에서 계속해서 플레이 아웃된다.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을 위해 사용된 로컬 메모리의 사이즈는 핸드오버에 필요한 시간의 및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비트 레이트에 의존한다. 로컬 메모리는 따라서, 충분한 최대 사이즈를 갖는다; 예를 들어,
- 256kbits/s 의 비트 레이트를 갖는 콘텐트 (예를 들어, 오디오 콘텐트) 의 5-분 핸드오버에 대해,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을 위해 필요한 로컬 메모리 사이즈는 5*60*256kbits = 9600kbyte 일 것이다.
- 3Mbit/s 의 비트 레이트를 갖는 콘텐트 (예 : 비디오 콘텐트) 의 5-분 핸드오버에 대해,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을 위한 로컬 메모리의 필요한 사이즈는 약 112Mbyte 일 것이고, 이 수치들은 대체로 스마트폰들과 같은 중간 디바이스들의 저장 용량 내에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가 중간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비디오 콘텐트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오디오/비디오 콘텐트 스트림에 포함된 오디오/비디오를 렌더링하는 경우, 사용자 선호 디바이스, 예를 들어 거실의 디지털 텔레비전, 서재의 데스크톱 PC, 또는 부엌의 인터넷 라디오가 선택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디바이스로부터 가장 짧은 거리에 있는 렌더링 가능 디바이스가 선택되고, 이 거리는 예를 들어 다음을 통해 결정된다: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WPS (WiFi based Positioning System; WiPS/WFPS 로도 지칭되고; GPS 가 멀티경로 및 실내 신호 차단물로 인해 부적합한 경우 사용됨).
- 블루투스 신호 세기, NFC 신호 세기 또는 WiFi 신호 세기.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디바이스의 타임시프트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의 오디오/비디오 콘텐트 스트리밍은 직접적이다, 즉 스마트폰과 제 2/목적지 디바이스 간의 직접 접속을 통해;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또는 NFC 를 통해 스트리밍된다. 이것은, 제 2/목적지 디바이스에 WiFi, 블루투스 또는 NFC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홈 네트워크는 필요하지 않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트리밍은 간접적이다, 예를 들어, WiFi 를 통해 중간 디바이스로부터 홈 게이트웨이로 스트리밍되고, 홈 게이트웨이는 그 후 유선 이더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목적지 디바이스로 스트림을 포워딩한다.
따라서, 유리하게 본 원리들에 따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 방법은, 제 1/소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자동차 라디오) 로부터 중간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를 통해 제 2/목적지 디바이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로의 심리스 브로드캐스트 수신 핸드오버를 허용한다.
본 원리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 1/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그의/그녀의 청취를 중단하고 그 후, 중단 지점으로부터 제 2 디바이스 상에서 청취를 자동으로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원리들에 따른 핸드오버는 자율적이다, 즉,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기록을 위해 멀리 떨어진 저장 서버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의해, 핸드오버가 로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로컬로 관리되고 공급자 네트워크에서 콘텐트의 기록을 위해 멀리 떨어진 콘텐트 서버들에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1 내지 10, 수백, 수천 또는 수백만의 사용자들로 쉽게 확장될 수 있다는 이점을 얻는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는 따라서, 중간 디바이스로부터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 스트리밍된다.
중간 디바이스가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경우 (멀리 이동하는 것은 멀리 이동하는 것의 검출을 위한 이전에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의 중간 디바이스의 스트리밍이 중단되고, 이것은 타임시프트 메모리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중간 디바이스가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근접도 이내로 리턴하는 경우 (이 근접도는 멀리 이동하는 것과 유사한 원리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의 핸드오버는 이전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수행된다, 즉 중간 디바이스로부터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이 다시 시작되고 제 2/목적지 디바이스 상에서의 중간 디바이스로부터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의 렌더링이 다시 시작된다.
핸드오버는 또한, 다른 제 2/목적지 디바이스에도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디바이스는 거실에서의 제 2/목적지 디바이스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부엌으로 들어가고, 거기에 존재하는 다른 제 2/목적지 디바이스 (예를 들어, 부엌 TV) 에 접근한다.
본 원리들은 많은 시나리오들, 이를 테면, 중간 디바이스가 홈에서 자동차로 이동하는 시나리오 (여기서 핸드오버가 홈 디바이스로부터 자동차 라디오로 수행된다), 또는 중간 디바이스가 한 홈으로부터 다른 홈으로 이동되는 시나리오 (여기서 핸드오버가 하나의 홈 내의 한 홈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홈 내의 다른 홈 디바이스로 수행된다) 에 적용가능하다.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의 결정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는 상이한 방식들로 결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는 거리 검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는, 중간 디바이스와 제 2/목적지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결정된 임계 미만인 경우 검출되고, 예를 들어 그 임계는 1 센티미터 (cm), 10cm, 1 미터 (m), 3m, 10m 또는 사이의 임의의 값이다. 이 거리 검출은 예를 들면, 예를 들어, 중간 디바이스가 제 2/목적지 디바이스 상에 존재하는 NFC 태그에 접근되는, 근접장 통신 (NFC) 의 검출에 기초하여, 또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에 의해 야기된, RF 필드의 검출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유리하게, 제 2/목적지 디바이스와의 정확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RF 신호의 필드 세기는 결정되는 존재에 대해 결정된 임계 위의 세기이다. 대안으로, 거리 검출은 GPS 또는 WiFi 기반의 포지셔닝과 같은 로케이팅 수단으로부터 획득되는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에 관한 중간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에 기초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는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의 중간 디바이스에 의한 물리적 검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의 이 물리적 검출은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중간 디바이스 내의 카메라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미지가 식별된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저장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 핑거프린트에 대응하면,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가 검출된다. 본 원리들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제 2/목적지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그 후, 알려진 통신 방법들, 예를 들어, WiFi, WiMAX 또는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물리적 존재는 또한, 제 2/목적지 디바이스를 포인팅하기 위한 중간 디바이스 내의 포인팅 어레인지먼트를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 포인팅 어레인지먼트는, 예를 들어 광 에미터 및 수신기를 기초로 하고, 가능하게는 포인팅되는 제 2/목적지 디바이스를 결정하기 위해 카메라와 결합된다. 포인팅된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이미지가 식별된 제 2 디바이스의 저장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 핑거프린트에 대응하면, 제 2 디바이스의 존재가 검출된다. 본 원리들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제 2/목적지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그 후, 전술된 바와 같은 알려진 통신 방법들을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대안으로, 포인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 디바이스를 사용한 움직임 검출에 기초하거나 또는, Microsoft® Kinect™ 과 같은 모션 감지 입력 디바이스에 기초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는 QR (Quick Response) 또는 바 코드 판독기를 사용하여 검출된다; 예를 들어, 제 2/목적지 디바이스는 중간 디바이스에서 QR 또는 바코드 판독기로 판독될 수 있는 QR 또는 바코드를 보여준다. 일단 QR 또는 바코드 판독기를 통해 제 2/목적지 디바이스가 식별되었으면, 본 원리들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은 알려진 통신 방법들을 사용하여 통신이 확립될 수 있다.
전술된 변형들이 결합되어, 결정된 제 2/목적지 디바이스가, 본 원리들에 따라 핸드오버를 위해 중간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하기를 원하는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일 확률을 향상시키는 특정의 강력한 변형의 실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제 2/목적지 디바이스의 존재가 WiFi 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검출 (예를 들어, 거실의 제 2/목적지 디바이스 및 주방 내의 다른 디바이스) 에 기초하여 결정될 때, 전술된 물리적 검출 및/또는 거리 검출 및/또는 포인팅 검출은 다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물리적으로 검출되고/되거나 중간 디바이스로부터 최단 거리에 있고/있거나 포인팅되는 것으로서 검출되는 제 2/목적지 디바이스는 본 원리들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서 선택된다. 또한, 다수의 제 2/목적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선택이 이루어지면, 중간 디바이스 또는 홈 네트워크에 저장된 사용자 선호도들이 바람직한 제 2/목적지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제 2/목적지 디바이스 성능들이 본 원리에 따라 HD 비디오 콘텐트를 핸드오버하는 경우 SD (표준 화질) 전용 가능 비디오 디바이스 대신에, HD (고화질) 가능 비디오 렌더링 디바이스와 같은 제 2/목적지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 는 본 원리들의 추가의 양태들을 예시하는 예시의 실시형태의 시퀀스 차트이다. 여기에 예시된 시나리오에 따르면:
D) 중간 디바이스 (13) 는, 그것이 타임시프트하고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 포워딩하는 (307)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비디오 콘텐트를 수신한다.
E) 중간 디바이스 (13) 를 착용/홀딩한 사용자는 중간 디바이스 (13) 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 상에서 빠른 포워드 액션 (400) 과 같은 트릭 모드 동작을 개시한다. 이것은 중간 디바이스 (13) 의 타임시프트 메모리에서의 판독 포인터를 타임시프트 메모리의 시작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타임시프트 메모리 사이즈를 축소시키는 추가의 효과를 갖는다. 빠른 포워드 액션이 유지되면, 타임시프트 메모리에서의 판독 포인터는 타임시프트 메모리의 시작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타임시프트 메모리 사이즈 및 타임시프트 지연은 결국 제로로 감소된다.
F) 타임시프트 지연이 결정된 임계 미만으로 떨어졌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401), 요청 (402) 은 중간 디바이스 (13) 에 의해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로 송신되어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수신으로, 또는 다시 말해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에 포함되거나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와 연관된 수신기 수단 (예를 들어, RF 튜너, 인터넷) 에 의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수신으로 스위칭한다.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가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비디오 콘텐트 (403) 의 수신을 설정한 경우, 중간 디바이스 (13) 는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비디오 콘텐트를 제 2/목적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브로드캐스트 수신으로부터 접속해제한다, 즉 포워딩을 위해 사용된 그 리소스들을 사용 안 한다 (free).
도 5 는 본 원리들에 따른 중간 디바이스의 예시의 실시형태이다. 중간 디바이스 (13) 는, 통신 버스 (507) 에 의해 상호접속된 다음의 엘리먼트들: CPU (중앙 처리 장치, 프로세서,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싱 유닛)(501), 타임시프트 메모리 (504), 브로드캐스트 수신기 (5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및 ROM/RAM (판독 전용/랜덤 액세스) 메모리 (503) 및 검출기 (509) 를 포함한다. 이 도면은 제 1/소스 디바이스 (1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와 통신할 수 있는 (화살표 508)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및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 (506) 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또는 NFC 를 따른다. 브로드캐스트 수신기 (502) 는, 예를 들어 RF (radio frequency) 수신기 또는 인터넷 수신기 또는 모바일 데이터 수신기, 예컨대 3G, 4G 또는 LTE 이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는 NFC 수신기/송신기 또는 WiFi 수신기/송신기를 포함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센서 (509) 는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로폰, 또는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다이어그램에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제공하는 화살표들은 동일한 소스로부터 오는 것으로서 예시된다. 이 표현은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단일 소스로 제한하는 것으로서 언급되지는 않는다.
디바이스들 (12 및 13) 각각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소스로부터 동일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소스 디바이스 (12) 는 RF 송신기로부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수신하는 RF 수신기를 포함하고, 중간 디바이스 (13) 는 3G/4G/LTE 를 통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라디오로부터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스마트폰이다.
본 문헌의 독자는, 디바이스 (13) 가 스마트폰인 경우, 입력/출력 수단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이 디스플레이 및/또는 키보드와 같이 디바이스에 존재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서 (501) 는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의 다른 엘리먼트들과 동작 가능하게 통신한다.
ROM/RAM (503) 메모리는 프로세싱 디바이스 (501) 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을 포함한다.
타임시프트 메모리 (504) 또는 '타임시프트 버퍼' 는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 스트림 (506) 을 임시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이 타임시프트 메모리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개의 메모리이거나 또는 ROM/RAM 메모리 (503) 에 통합되는 메모리이다.
브로드캐스트 수신기 (502) 또는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는, 디바이스 (13) 가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 특히 제 1/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해 수신되는 것과 동일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검출기 (509) 는, 이전에 설명되었던 원리들에 따라, 제 1/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중간 디바이스 (13) 가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에 가까이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는 또한,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의 존재가 결정되는 경우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타임시프트 메모리 (504) 로부터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로의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을 위해 구성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디바이스 (13) 는, 검출기 (509) 에 의해 측정된 오디오 볼륨이 임계 미만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제 1 디바이스 (12) 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한다. 이것은 중간 디바이스 (13) 가 제 1/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멀리 이동되거나 또는 제 1/소스 디바이스 (12) 가 스위치 오프되는 것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디바이스 (13) 는 상이한 유형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제 1/소스 디바이스 (12) 에 접속하기 위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및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에 접속하기 위한 WiFi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는 또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타임시프트 스트리밍의 타임시프트 지연이 임계 미만인/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제 2 디바이스 (101-106) 에 의한 라이브 수신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요청을 적어도 제 2 디바이스 (101-106) 로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 2 디바이스 (101-106) 는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갖는다. 이 임계는, 예를 들어 0 초, 10 초, 또는 1 분이다. 임계가 낮게 설정될수록 사용자에 대한 핸드오버가 원활해질 것이다. 이 임계는, 제 1/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로 플레이 아웃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에 대한 심리스 핸드오버를 위해 0 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일단 중간 디바이스가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로부터,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가 그 자신의 수신 수단을 사용하여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수신으로 스위칭했다는 확인을 수신하면, 중간 디바이스 (13) 는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수신 및 저장을 위해 사용된 리소스들, 예를 들어 수신기 (502) 및 타임시프트 메모리 (504) 를 사용 안 할 수 있다. 이들 리소스들은 그 후, 다른 목적들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확인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를 통해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로부터의 메시지이다.
변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출기 (509) 는, 제 1/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제 1/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이 검출될 수 있도록, 제 1/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 (예를 들어, 사운드 레벨, 광 세기, 전파 수신 세기) 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6 은 예를 들어, 도 5 의 중간 디바이스 (13) 에 의해 구현된, 본 원리들에 따른 제 1/소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12) 와 제 2/목적지 디바이스 (예를 들어, 101-106) 간의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의 유리한 실시형태의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 60 에서, 이 방법에 사용되는 상이한 변수들 및 메모리 존들이 초기화된다. 단계 61 에서, 중간 디바이스 (13) 의 수신기 (502) 는 제 1/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해 수신되는 것과 동일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단계 62 에서, 중간 디바이스 (13) 는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의 제 1/소스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한다. 단계 63 에서, 단계 62 에서 중단이 검출되었으면, 중간 디바이스 (13) 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가 중간 디바이스 (13) 의 타임시프트 메모리 (504) 에 저장된다. 단계 64 에서,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의 존재가 검출되는지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동작 64 는,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의 존재가 결정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존재가 결정되면, 중간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를 통해 그리고 단계 65 에서 상기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에 접속하고, 중간 디바이스 (13) 는 단계 66 에서, 타임시프트 메모리 (504) 로부터 상기 제 2/목적지 디바이스 (101-106) 로 상기 중간 디바이스 (13) 에서의 상기 수신기 (502) 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콘텐트를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한다. 그 후, 방법은 67 에서 완료된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원리들은 오디오, 비디오, 또는 오디오를 갖는 비디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면들에서 일부 엘리먼트들은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필수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동작들은 병렬로 실행될 수도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원리들의 양태들은 시스템, 방법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원리들의 양태들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실시형태,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형태, 또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 으로서 정의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태들을 결합하는 실시형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원리들의 양태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원에 제시된 다이어그램들은 본 개시물의 원리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또는 회로부의 개념적인 뷰들을 나타낸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플로우 차트들, 흐름도들, 상태 천이도들,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실질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고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 아니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에서 구현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그 내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고유 능력 뿐만 아니라 거기로부터의 정보의 취출을 제공하는 고유 능력이 있는 경우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간주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보다 특정의 예들을 제공하면서, 다음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단지 예시적이며, 완전한 목록이 아님을 이해 해야한다: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상기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

Claims (15)

  1.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제 1 디바이스 (12) 로부터 제 2 디바이스 (101-106) 로의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으로서,
    상기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은 중간 디바이스 (13) 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은,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플레이 아웃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수신을 설정하는 단계 (61);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고 (62),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상기 중간 디바이스의 타임시프트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63);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존재가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64) 상기 중간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65),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의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중간 디바이스의 상기 타임시프트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하는 단계 (66)
    를 포함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상기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의 타임시프트 지연이 임계 미만인 경우,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연관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수신으로 스위칭했다는 확인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수신 및 저장을 위해 사용된 상기 중간 디바이스의 리소스들을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 안 하게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레벨의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한 측정치가 임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에 기초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신호 레벨인,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오디오 레벨인,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존재는 거리 검출에 기초하여 검출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존재는 상기 중간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임계 미만인 경우 검출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존재는 근접장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을 통해 검출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존재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의 검출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존재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존재의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 의한 물리적 검출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검출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상기 중간 디바이스에서의 카메라의 사용을 포함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검출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의 상기 중간 디바이스의 포인팅을 결정하도록 포인팅 어레인지먼트의 사용을 포함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12.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506) 의, 제 1 디바이스 (12) 로부터 제 2 디바이스 (101-106) 로의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13) 로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플레이 아웃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502);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509), 및 상기 검출 시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타임시프트 메모리 (504);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존재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05),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의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타임시프트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을 위해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또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상기 타임시프트된 스트리밍의 타임시프트 지연이 임계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연관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수신기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상기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의 수신으로 스위칭했다는 확인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기 및 상기 타임시프트 메모리를 사용 안 하도록 구성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또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또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신호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한 플레이 아웃의 중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심리스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KR1020177011839A 2014-11-06 2015-10-28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KR201700786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06773.4A EP3018845A1 (en) 2014-11-06 2014-11-06 Method of broadcast audio/video content play out handover and corresponding apparatus
EP14306773.4 2014-11-06
PCT/EP2015/074929 WO2016071169A1 (en) 2014-11-06 2015-10-28 Method of audio/video broadcast play out handover and correspon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659A true KR20170078659A (ko) 2017-07-07

Family

ID=5198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839A KR20170078659A (ko) 2014-11-06 2015-10-28 오디오/비디오 브로드캐스트 플레이 아웃 핸드오버의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70549B2 (ko)
EP (2) EP3018845A1 (ko)
JP (1) JP6632000B2 (ko)
KR (1) KR20170078659A (ko)
CN (1) CN107078816B (ko)
TW (1) TW201618485A (ko)
WO (1) WO20160711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99A (ko) * 2020-05-08 2021-11-17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적 IoT 서비스를 위한 강화학습 및 효과도 기반 동적 미디어 선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00144U (ko) * 2020-07-07 2022-01-14 김명호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057A1 (en) * 2016-09-30 2018-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etwork nodes and method therein for handling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R3089379B1 (fr) * 2018-11-30 2023-03-17 Sagemcom Broadband Sas Procédé de suivi d’une émission audiovisuelle et équipement permettant sa mise en œuvre
CN111182456B (zh) * 2019-09-12 2020-12-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音箱的音频播放切换方法及系统、相关设备
US11418556B2 (en) * 2020-03-23 2022-08-16 Sonos, Inc. Seamless transition of source of media content
CN117098198A (zh) * 2020-08-04 2023-11-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基于mbms业务的切换方法、装置及处理器可读存储介质
US11240563B1 (en) 2020-11-09 2022-02-01 Sony Group Corporation Playback control of media content across devices in MaaS transportion network
CN116980675B (zh) * 2023-09-19 2024-01-26 深圳市华波美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的多终端同步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1957B2 (ja) * 2000-11-15 2010-06-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
US7725102B2 (en) 2001-05-11 2010-05-25 Varia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 received command with a control for performing actions with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JP2004102415A (ja) * 2002-09-05 2004-04-02 Toshiba Corp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並びに車載用電子機器
US7886333B2 (en) * 2003-03-19 2011-02-08 Panasonic Corporation In-vehicle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and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JP4277180B2 (ja) * 2003-06-30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制御システム
JP2005203012A (ja) * 2004-01-14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および中継装置
US7383983B2 (en) * 2004-05-07 2008-06-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between devices in various domains
US20070061725A1 (en) 2005-03-17 2007-03-15 Isaac Emad 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between devices having different capabilities
US8224303B2 (en) * 2008-05-27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ssion mobility of multimedia content delivered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20100046945A (ko) 2008-10-28 201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콘텐츠 자동선택시스템
US20100132122A1 (en) 2008-12-02 2010-06-03 Dan Hollingshead Bed-Mounted Computer Terminal
JP5446968B2 (ja) * 2010-02-18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レー視聴システムおよび視聴機
CN102215360A (zh) 2010-04-09 2011-10-12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中基于声音采样调谐节目频道的方法和装置
US8494439B2 (en) 2010-05-04 2013-07-23 Robert Bosch Gmbh Application state and activity transfer between devices
GB2483092A (en) 2010-08-26 2012-02-29 Sivapathalingham Sivavakeesar A converged home network with context based delivery
US9432716B2 (en) * 2010-10-08 2016-08-30 Calvin Liu In-vehicle display for audio-video distribution
JP5585545B2 (ja) * 2011-06-28 2014-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通信システム、車両用機器および携帯通信端末
US8880648B1 (en) * 2012-06-27 2014-11-04 Audible, Inc. Automated transition of content consumption across devices
JP5994630B2 (ja) * 2012-12-26 2016-09-21 アイコム株式会社 中継装置
US10320502B2 (en) 2013-01-14 2019-06-1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udio capture
CN103823655B (zh) 2014-02-24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音频输出方法、电子设备及第一音频输出装置
US9747011B2 (en) * 2014-09-16 2017-08-29 Google Inc. Continuation of playback of media content by different output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99A (ko) * 2020-05-08 2021-11-17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적 IoT 서비스를 위한 강화학습 및 효과도 기반 동적 미디어 선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637904B2 (en) 2020-05-08 2023-04-2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lectronic device for effect-driven dynamic media selection for visual IoT service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000144U (ko) * 2020-07-07 2022-01-14 김명호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7524A (ja) 2017-12-14
JP6632000B2 (ja) 2020-01-15
CN107078816A (zh) 2017-08-18
CN107078816B (zh) 2019-11-01
TW201618485A (zh) 2016-05-16
US10270549B2 (en) 2019-04-23
EP3216142A1 (en) 2017-09-13
EP3018845A1 (en) 2016-05-11
WO2016071169A1 (en) 2016-05-12
US20170310407A1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549B2 (en) Method of audio/video broadcast play out handover and corresponding apparatus
US95539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635409B2 (en) Playback device, playback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538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JP6325675B2 (ja) データ共有の方法および装置
US8782718B2 (en) Mobile terminal, television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levision receiver
JP2022507520A (ja) 同期信号ブロックの構成情報のブロードキャスト、受信方法及び装置
CN103686317A (zh) 电视频道播放方法和装置
CN105430449A (zh) 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及系统
US9497541B2 (en) Audio system for audio streaming and associated method
CN108735240B (zh) 声音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和终端
CN111159462A (zh) 播放歌曲的方法及终端
JP201521647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WO2016006087A1 (ja) 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