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08A -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0108A KR20220000108A KR1020200077655A KR20200077655A KR20220000108A KR 20220000108 A KR20220000108 A KR 20220000108A KR 1020200077655 A KR1020200077655 A KR 1020200077655A KR 20200077655 A KR20200077655 A KR 20200077655A KR 20220000108 A KR20220000108 A KR 202200001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hotovoltaic
- water
- longitudinal direction
- solar p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or 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태양광발전부와 후방태양광발전부 사이에 음영 영역에 비해 태양광 투과영역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구간에서 차광률의 조절을 통해 녹조발생이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도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와 후방태양광발전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태양광모듈(13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고, 전방부유부재(111)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전방태양광발전부(1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후방태양광모듈(18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어 후방부유부재(161)에 의해 부유되는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상기 후방태양광모듈(180)과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 영역(211) 사이에 태양광이 수중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투과영역(212)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를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전방계류부(3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권취구동부(3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결로프(351) 및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동로프(352)로 이루어진 권취로프부(350);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후방계류부(4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권취구동부(400);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조인트와이어(451) 및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링크와이어(452)로 이루어진 권취와이어부(45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마련되는 센서장착프레임(501)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도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방태양광모듈(13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고, 전방부유부재(111)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전방태양광발전부(1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후방태양광모듈(18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어 후방부유부재(161)에 의해 부유되는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상기 후방태양광모듈(180)과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 영역(211) 사이에 태양광이 수중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투과영역(212)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를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전방계류부(3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권취구동부(3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결로프(351) 및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동로프(352)로 이루어진 권취로프부(350);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후방계류부(4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권취구동부(400);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조인트와이어(451) 및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링크와이어(452)로 이루어진 권취와이어부(45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마련되는 센서장착프레임(501)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도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태양광발전부와 후방태양광발전부 사이에 음영 영역에 비해 태양광 투과영역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구간에서 차광률의 조절을 통해 녹조발생이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도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와 후방태양광발전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발전은 태양빛 에너지를 태양전지를 통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저장시켜서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발전 방식이다. 태양광발전의 장점은 무공해이며, 유지보수가 간단한 편인데 반해 일조량이 일정해야 하고, 설치장소가 한정적이며 초기투자비용이 높은 것이 단점이다.
태양광발전을 위해서 사용하는 태양전지의 경우 하나의 단위를 셀(cell)이라고 한다. 발전하고자 하는 용량에 따라 필요한 셀을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한 태양전지판(태양광발전모듈)을 제작하고, 다시 이 태양광모듈을 필요한 수만큼 직병렬로 연결하여 태양광발전에 사용한다.
태양광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태양광발전모듈이 대량으로 설치되는 공간이 필요한데, 넓고 평평하며 일조량이 일정한 대지는 태양광 발전만을 위해 매입하기에 지가가 높아서 지가에 대비해 발전량 및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은 구조물의 자중을 포함한 외력은 중력방향으로 부력체를 통하여 수중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중력방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구조체의 길이는 지상형에 비해 비교적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상에 부유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대용량의 발전시스템에 대해서도 작은 에너지로 이동이나 회전이 가능하므로, 수상 부유식 태양광시스템에 추적식을 적용할 경우 육상 추적형 보다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고장발생 확률이 줄어든다.
그러나, 저수지나 호소, 댐과 같은 수상에 설치되는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구조물은 평평하고 넓은 수면에 설치되는 특성상 상기 수상부유식 태양광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구간에 태양광이 투과되지 않아 녹조발생이나 수질오염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수상부유식 태양광발전구조물에는 녹조의 제거나 수질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상기 수상부유식 태양광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곳에서의 수질오염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4708호의 부유체 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태양광발전부와 후방태양광발전부이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를 매개로 충분한 이격거리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곳에서 태양광이 비춰지는 태양광 투과영역이 음영 영역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녹조발생이나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조도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조도값에 따라 전방태양광발전부와 후방태양광발전부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초음파장치에 의해 녹조의 공기층을 제거하여 수면의 녹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유체순환여과장치와 부유수질정화유닛의 연동구동을 통해 녹조의 효과적인 제거는 물론 태양광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구간 뿐 아니라 저수지나 호소, 댐과 같은 수상의 수질오염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가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태양광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장소나 상황에 따라 상기 태양광 투과영역의 확장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태양광모듈(13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고, 전방부유부재(111)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전방태양광발전부(1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후방태양광모듈(18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어 후방부유부재(161)에 의해 부유되는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상기 후방태양광모듈(180)과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 영역(211) 사이에 태양광이 수중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투과영역(212)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를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전방계류부(3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권취구동부(3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결로프(351) 및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동로프(352)로 이루어진 권취로프부(350);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후방계류부(4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권취구동부(400);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조인트와이어(451) 및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링크와이어(452)로 이루어진 권취와이어부(45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마련되는 센서장착프레임(501)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도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나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중 어느 하나의 발전부에는 다수개의 초음파장치(510)가 설치되어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는,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조인트유닛(210)과,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의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에 연결되는 센터조인트유닛(240)과,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프레임(250)과, 상기 센터조인트유닛(240)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강부유체(2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연장조인트폴(22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연장조인트폴(2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조인트폴(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조인트유닛(24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수용연장폴(241)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연장폴(24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인서트연장폴(24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는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과 센터조인트유닛(2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구동부(27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방계류부(340)는 해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픽싱부재(341)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픽싱부재(341)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전방계류폴(3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는 상기 전방계류폴(342)의 타측에 장착된 상태로 물결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계류폴(3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는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는,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사이의 물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사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순환여과장치(6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체순환여과장치(600)는,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 부유체를 매개로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되 측면방향에 다수개의 유체배출로(611)가 마련된 여과바디구(610)와, 상기 여과바디구(6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작동모터(613)의 구동축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중의 물을 승강시켜 상기 유체배출로(611)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임펠러(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는 상기 유체순환여과장치(600)를 통해 유동한 물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수중으로 분사하는 부유수질정화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유수질정화유닛(700)은,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내부에 미로형 유로(711)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상기 미로형 유로(711)를 통과한 물이 하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유체배출공(715)이 형성된 유닛바디(710)와, 상기 유닛바디(710)의 외측에 커넥터구(721)를 매개로 장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녹조유입공(722)이 형성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녹조수집컨테이너(720)와,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로 유입된 물을 상기 유닛바디(710)의 미로형 유로(711)로 배출하는 배출펌프부재(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태양광발전부와 후방태양광발전부이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에 의해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됨에 따라 전방태양광발전부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 영역에 비해 태양광이 비춰지는 태양광 투과영역을 넓은 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호소의 녹조발생이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도감지센서에 의한 전방태양광발전부와 후방태양광발전부의 회전을 통해 태양광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초음파장치에 의해 녹조의 공기층을 제거하여 수면의 녹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유체순환여과장치와 부유수질정화유닛의 연동구동을 통해 녹조제거의 효율증대는 물론 수질정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조인트유닛이 연장조인트폴과 삽입조인트폴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권취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권취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도감지센서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순환여과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수질정화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바디의 내측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유로에 유로여과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수집컨테이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여과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조인트유닛이 연장조인트폴과 삽입조인트폴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권취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권취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도감지센서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순환여과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수질정화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바디의 내측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유로에 유로여과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수집컨테이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여과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조인트유닛이 연장조인트폴과 삽입조인트폴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권취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권취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도감지센서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순환여과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수질정화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바디의 내측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유로에 유로여과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수집컨테이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여과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전방태양광모듈(130)이 설치된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후방태양광모듈(180)이 설치된 후방태양광발전부(150)와,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 사이에 태양광 투과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에 연결되는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와,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권취로프부(350)와 권취와이어부(45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전,후방권취구동부(300,400)와,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설치되는 조도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이 설치된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모듈(180)이 설치된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사이에 일정영역의 태양광 투과영역(21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구간에서 차광률의 조절을 통해 녹조발생이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도감지센서(500)에서 센싱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는 다수개의 전방태양광모듈(13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고, 전방부유부재(111)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는 다수개의 스텐봉이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전방부유부재(111)가 장착되는 전방틀프레임(110)과, 작업자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전방틀프레임(1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작업발판(120)과, 상기 전방틀프레임(110)의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은 태양광을 입력받아 전기를 발생하는 것으로,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집광판(131)과 상기 태양광 집광판(131)이 일정한 기울기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프레임(1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에서 발전된 전기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지상으로 보내지거나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일측에 위치한 축전기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는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후방태양광모듈(18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어 후방부유부재(161)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는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개의 스텐봉이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후방부유부재(161)가 장착되는 후방틀프레임(160)과, 작업자의 이동을 위해 상기 후방틀프레임(16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2작업발판(170)과, 상기 후방틀프레임(160)의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후방태양광모듈(18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후방태양광모듈(180)은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과 같이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집광패널(181)과 상기 태양광 집광패널(181)이 일정한 기울기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팅프레임(18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태양광모듈(180)에서 발전된 전기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지상으로 보내지거나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일측에 위치한 축전기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는 상기 후방태양광모듈(180)과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 영역(211) 사이에 태양광이 수중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투과영역(212)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를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것이다.
즉,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는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 사이 거리를 충분히 벌려 상기 음영 영역(211)에 비해 상기 태양광 투과영역(212)이 더욱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햇빛이 비춰지는 영역 확장을 통한 녹조발생이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조인트유닛(210)과,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의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에 연결되는 센터조인트유닛(240)과,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프레임(250)과, 상기 센터조인트유닛(240)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강부유체(26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 센터조인트유닛(240)은 일 실시예로써 일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스텐레스 재질의 봉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보강프레임(250)은 상기 센터조인트유닛(240)을 지지한 상태로 가로질러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에 연결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방향으로 연장되되 외주연에 노출공(221)이 형성된 중공형 연장조인트폴(22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연장조인트폴(2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되 외주연에 상기 노출공(221)을 통해 노출되는 결속나사산(231)이 형성된 삽입조인트폴(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조인트폴(220)의 폭방향 일측에는 작업자의 이동을 위해 마련되되 하측면에 슬라이딩가이드편(22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메인발판(22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조인트폴(230)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기 메인발판(222)의 슬라이딩가이드편(223)에 폭방향 양측이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발판(23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의 상기 센터조인트유닛(24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방향으로 연장되되 외주연에 내부와 연통되는 내통홀(242)이 형성된 중공형 수용연장폴(241)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연장폴(24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되 외주연에 상기 내통홀(242)을 통해 노출되는 연결나사산(244)이 형성된 인서트연장폴(243)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는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과 센터조인트유닛(2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구동부(270)가 설치되고,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조절구동부(270)는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노출공(221)에 인접되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중앙부에 웜휠(272)이 장착된 횡단회전봉(271)과, 상기 노출공(221)을 통해 노출된 상기 결속나사산(231)와 상기 내통홀(242)을 통해 노출된 상기 연결나사산(244)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횡단회전봉(27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연결기어구(273)와, 상기 웜휠(272)에 기어결합되는 웜(276)이 회전구동축(275)에 장착된 조절모터구(2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모터구(274)는 상기 보강프레임(250)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조절구동부(270)는 상기 조절모터구(274)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축(275)이 회전되면 상기 웜(276)과 웜휠(272)에 의해 상기 횡단회전봉(271)이 회전되어 상기 연결기어구(273)에 의해 상기 삽입조인트폴(230)과 인서트연장폴(243)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장소나 태양광이 비추는 정도에 따라 상기 태양광 투과영역(212)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는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전방계류부(3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계류부(340)는 해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픽싱부재(341)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픽싱부재(341)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전방계류폴(34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는 상기 전방계류폴(342)의 타측에 장착된 상태로 물결에 따라 상기 전방계류폴(3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로프부(350)는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결로프(351) 및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동로프(35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연결로프(351)가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권취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동로프(352)가 풀리게 되면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가 회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전방계류폴(342)이 관통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유체(310)와, 상기 구동부유체(3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구(315)와, 상기 구동모터구(315)의 회전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기어박스(320)와, 상기 기어박스(320)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스핀축(321)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로프(351)를 권취하는 제1로프권취드럼(325)과, 상기 기어박스(320)의 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역회전축(322)에 장착되어 상기 연동로프(352)를 권취하는 제2로프권취드럼(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구(315)의 구동시 상기 스핀축(321)과 상기 역회전축(322)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2로프권취드럼(325,330)에 상기 연결로프(351)와 연동로프(352)가 권취되거나 풀림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유체(310)가 물결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계류폴(3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게 되고, 상기 구동부유체(31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모터구(315)와 기어박스(320), 상기 제1,2로프권취드럼(325,330)을 수용하는 커버부재(31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계류부(340)의 전방계류폴(342)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픽싱부재(341)에 연결되는 일측과 상기 구동부유체(310)가 연결되는 타측은 일정길이의 봉체의 구조를 갖으면서 상기 픽싱부재(341)에 연결되는 일측과 상기 구동부유체(310)가 연결되는 타측 사이에는 와이어나 체인 등과 같은 로프의 형태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는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후방계류부(4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후방계류부(440)는 해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장착부재(441)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고정장착부재(441)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후방계류폴(44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는 상기 후방계류폴(442)의 타측에 장착된 상태로 물결에 따라 상기 후방계류폴(4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와이어부(450)는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조인트와이어(451) 및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링크와이어(45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상기 링크와이어(452)가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권취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조인트와이어(451)가 풀리게 되면서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는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와 대응되는 구조를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후방계류폴(442)이 관통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응부유체(410)와, 상기 대응부유체(4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권취모터구(415)와, 상기 권취모터구(415)의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기어결합부(420)와, 상기 기어결합부(420)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원사이드회전축(421)에 장착되어 상기 조인트와이어(451)를 권취하는 제1와이어권취드럼(425)과, 상기 기어결합부(420)의 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아더사이드회전축(422)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와이어(452)를 권취하는 제2와이어권취드럼(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는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대응되는 작동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에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대응부유체(410)가 물결에 대응하여 상기 후방계류폴(4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게 되고, 상기 대응부유체(410)의 상부에는 상기 권취모터구(415)와 기어결합부(420), 제1,2와이어권취드럼(425,4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케이스(41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방계류부(440)의 후방계류폴(442)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장착부재(441)에 연결되는 일측과 상기 대응부유체(410)에 연결되는 타측은 일정길이의 봉체의 구조를 갖으면서 상기 고정장착부재(441)에 연결되는 일측과 상기 대응부유체(410)에 연결되는 타측에는 와이어나 체인 등과 같은 로프의 형태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조도감지센서(500)는 다수개가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마련되는 센서장착프레임(501)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나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제어부(미도시)에서 다수개의 조도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조도값을 수신받아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와 후방권취구동부(400)를 연동시켜 많은 양의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를 회전시킴으로써 태양광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나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중 어느 하나의 발전부에는 다수개의 초음파장치(510)가 설치되어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수면에 녹조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의 인접구역의 부유녹조가 수면아래로 가라 앉아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수면아래로 녹조가 가라 앉는 경우에는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 설치된 유체순환여과장치(600)와,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 설치되는 부유수질정화유닛(700)을 통해 여과하여 수질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순환여과장치(600)는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사이의 물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사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유체순환여과장치(600)를 살펴보면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 부유체를 매개로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되 측면방향에 다수개의 유체배출로(611)가 마련된 여과바디구(610)와, 상기 여과바디구(6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작동모터(613)의 구동축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중의 물을 승강시켜 상기 유체배출로(611)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임펠러(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유체배출로(611)에는 다수개의 여과판(6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체배출로(611)를 통과하는 유체가 여과된 후 유출되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사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여과바디구(610)에는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의 보강프레임(25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연결구(614)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부유수질정화유닛(700)은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순환여과장치(600)를 통해 유동한 물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수중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부유수질정화유닛(700)은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내부에 미로형 유로(711)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상기 미로형 유로(711)를 통과한 물이 하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유체배출공(715)이 형성된 유닛바디(710)와, 상기 유닛바디(710)의 외측에 커넥터구(721)를 매개로 장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녹조유입공(722)이 마련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녹조수집컨테이너(720)와,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로 유입된 물을 상기 유닛바디(710)의 미로형 유로(711)로 배출하는 배출펌프부재(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미로형 유로(711)에는 유로여과재(712)가 설치되어 상기 미로형 유로(711)를 따라 유동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미로형 유로(711)의 상부에는 식생매트(713)가 설치되어 수생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유닛바디(710)에는 상기 여과유체배출공(715)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적층여과재(741)가 적층되게 설치된 적층여과부(740)와, 상기 적층여과부(740)의 하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적층여과부(740)를 통과한 여과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유제배출부(750)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여과유제배출부(750)에는 내부로 유동한 유체를 수중으로 가압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펌프(742)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배출펌프(742)에 의해 수중으로 가압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하여 수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닛바디(710)의 상측에는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의 틀프레임이 안착되어 연결된 수 있도록 하는 안착연결틀(714)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은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수면에 눕혀져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에 형성된 상기 녹조유입공(722)은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의 폭 단면상 중심점을 가로지르는 임의의 수평선상(H)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가 내부에 설치된 부유체에 의해 부유되는 경우, 수면에 인접되는 녹조층의 녹조만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물의 흡입량을 최소화항 녹조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녹조제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성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가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방태양광발전부
110: 전방틀프레임
120: 제1작업발판 130: 전방태양광모듈
150: 후방태양광발전부 160: 후방틀프레임
170: 제2작업발판 180: 후방태야광모듈
200: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 210: 메인조인트유닛
220: 연장조인트폴 230: 삽입조인트폴
240: 센터조인트유닛 250: 보강프레임
260: 보강부유체 270: 조절구동부
300: 전방권취구동부 310: 구동부유체
315: 구동모터구 320: 기어박스
325: 제1로프권취드럼 330: 제2로프권취드럼
340: 전방계류부 350: 권취로프부
400: 후방권취구동부 500: 조도감지센서
510: 초음파장치 600: 유체순환여과장치
610: 여과바디구 620: 수중임펠러
700: 부유수질정화유닛 710: 유닛바디
720: 녹조수집컨테이너 730: 배출펌프부재
740: 적층여과부 750: 여과유체배출부
120: 제1작업발판 130: 전방태양광모듈
150: 후방태양광발전부 160: 후방틀프레임
170: 제2작업발판 180: 후방태야광모듈
200: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 210: 메인조인트유닛
220: 연장조인트폴 230: 삽입조인트폴
240: 센터조인트유닛 250: 보강프레임
260: 보강부유체 270: 조절구동부
300: 전방권취구동부 310: 구동부유체
315: 구동모터구 320: 기어박스
325: 제1로프권취드럼 330: 제2로프권취드럼
340: 전방계류부 350: 권취로프부
400: 후방권취구동부 500: 조도감지센서
510: 초음파장치 600: 유체순환여과장치
610: 여과바디구 620: 수중임펠러
700: 부유수질정화유닛 710: 유닛바디
720: 녹조수집컨테이너 730: 배출펌프부재
740: 적층여과부 750: 여과유체배출부
Claims (10)
- 전방태양광모듈(13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고, 전방부유부재(111)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전방태양광발전부(1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후방태양광모듈(180)이 경사진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어 후방부유부재(161)에 의해 부유되는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상기 후방태양광모듈(180)과 상기 전방태양광모듈(130)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 영역(211) 사이에 태양광이 수중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투과영역(212)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를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전방계류부(3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권취구동부(30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결로프(351) 및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에 연결되는 연동로프(352)로 이루어진 권취로프부(350);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후방계류부(44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권취구동부(400);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조인트와이어(451) 및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권취구동부(400)에 연결되는 링크와이어(452)로 이루어진 권취와이어부(450);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마련되는 센서장착프레임(501)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도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나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중 어느 하나의 발전부에는 다수개의 초음파장치(510)가 설치되어 초음파에 의해 녹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도영 수상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는,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의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조인트유닛(210)과,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의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전,후방태양광발전부(100,150)에 연결되는 센터조인트유닛(240)과,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프레임(250)과, 상기 센터조인트유닛(240)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강부유체(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연장조인트폴(22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연장조인트폴(2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조인트폴(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조인트유닛(24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수용연장폴(241)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연장폴(24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인서트연장폴(2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는 상기 메인조인트유닛(210)과 센터조인트유닛(2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구동부(2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계류부(340)는 해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픽싱부재(341)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픽싱부재(341)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전방계류폴(3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권취구동부(300)는 상기 전방계류폴(342)의 타측에 장착된 상태로 물결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계류폴(3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는,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사이의 물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 사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순환여과장치(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순환여과장치(600)는, 상기 투과영역형성프레임부(200)에 부유체를 매개로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되 측면방향에 다수개의 유체배출로(611)가 마련된 여과바디구(610)와, 상기 여과바디구(6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작동모터(613)의 구동축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중의 물을 승강시켜 상기 유체배출로(611)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임펠러(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태양광발전부(100)와 후방태양광발전부(150)에는 상기 유체순환여과장치(600)를 통해 유동한 물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수중으로 분사하는 부유수질정화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수질정화유닛(700)은,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내부에 미로형 유로(711)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상기 미로형 유로(711)를 통과한 물이 하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유체배출공(715)이 형성된 유닛바디(710)와, 상기 유닛바디(710)의 외측에 커넥터구(721)를 매개로 장착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녹조유입공(722)이 형성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녹조수집컨테이너(720)와,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녹조수집컨테이너(720)로 유입된 물을 상기 유닛바디(710)의 미로형 유로(711)로 배출하는 배출펌프부재(7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655A KR102491863B1 (ko) | 2020-06-25 | 2020-06-25 |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655A KR102491863B1 (ko) | 2020-06-25 | 2020-06-25 |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0108A true KR20220000108A (ko) | 2022-01-03 |
KR102491863B1 KR102491863B1 (ko) | 2023-01-27 |
Family
ID=7934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7655A KR102491863B1 (ko) | 2020-06-25 | 2020-06-25 |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18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31718A (zh) * | 2022-06-30 | 2022-10-25 | 凌志环保股份有限公司 | 一种适应性强的转碟曝气系统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612B1 (ko) * | 2011-03-03 | 2011-07-25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필터 교환방식의 물순환 부유습지 시스템 |
KR20170000274A (ko) * | 2015-06-23 | 2017-01-02 |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
KR20190015075A (ko) * | 2017-08-03 | 2019-02-13 |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계류 및 회전장치 |
KR102072553B1 (ko) * | 2019-02-26 | 2020-03-02 | 송영철 | 수상태양광발전장치 |
KR102117236B1 (ko) * | 2018-09-18 | 2020-06-01 | 주식회사 케이이에스 | 수상태양광, 초음파, 생분해성 소재 및 부착성 미세조류를 이용한 효율적인 복합 녹조억제 시스템 |
-
2020
- 2020-06-25 KR KR1020200077655A patent/KR1024918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612B1 (ko) * | 2011-03-03 | 2011-07-25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필터 교환방식의 물순환 부유습지 시스템 |
KR20170000274A (ko) * | 2015-06-23 | 2017-01-02 |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
KR20190015075A (ko) * | 2017-08-03 | 2019-02-13 |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계류 및 회전장치 |
KR102117236B1 (ko) * | 2018-09-18 | 2020-06-01 | 주식회사 케이이에스 | 수상태양광, 초음파, 생분해성 소재 및 부착성 미세조류를 이용한 효율적인 복합 녹조억제 시스템 |
KR102072553B1 (ko) * | 2019-02-26 | 2020-03-02 | 송영철 | 수상태양광발전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31718A (zh) * | 2022-06-30 | 2022-10-25 | 凌志环保股份有限公司 | 一种适应性强的转碟曝气系统及其使用方法 |
CN115231718B (zh) * | 2022-06-30 | 2023-09-05 | 凌志环保股份有限公司 | 一种适应性强的转碟曝气系统及其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1863B1 (ko) | 2023-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853500B (zh) | 一种水上漂浮物清理装置及其清理方法 | |
JP5822644B2 (ja) | 海水の浸透取水におけるろ過層の洗浄装置 | |
CN111188376A (zh) | 一种水库淤泥清理装置 | |
US20120187690A1 (en) | Hydroelectric generators | |
KR101027103B1 (ko) | 바다의 모래층을 여과층으로 활용하는 해수취수 시스템 | |
KR102197606B1 (ko) |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 |
KR102418093B1 (ko) |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 |
BRPI0807930A2 (pt) | Sistemas de filtração, de tratamento de água, de passagem dupla para a dessalinização da água e métodos de tratamento de água, de fabrico de módulo de tratamento de água e de transporte de água | |
KR101538477B1 (ko) | 해수담수화를 위한 해수 전처리 장치 및 해수 전처리 방법 | |
CN215052797U (zh) | 水利水电工程用漂浮式河道漂浮物收集装置 | |
CN211931397U (zh) | 潜水式便携水草打捞设备 | |
CN111226582A (zh) | 潜水式便携水草打捞设备 | |
CN104452878A (zh) | 一种粗滤式浮船取水装置 | |
US20120187687A1 (en) | Hydroelectric Generators | |
KR20220000108A (ko) | 녹조 발생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 |
CN116517060A (zh) | 一种湖泊生态修复用淤泥清理收集设备 | |
CN107503431B (zh) | 捞渣装置及设有捞渣装置的弃流或分流井 | |
JP4741347B2 (ja) | 水域の浄化設備 | |
KR20120011375A (ko) | 풍력 또는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장치 | |
CN212316865U (zh) | 一种水上垃圾回收装置 | |
CN112973256B (zh) | 一种生态土壤污水处理装置 | |
CN214460930U (zh) | 环保型海绵城市的雨水循环系统 | |
CN115125921A (zh) | 一种定点式海洋垃圾收集装置 | |
CN112779897B (zh) | 一种水利工程用封闭水域涡流式集杂装置 | |
CN101559992A (zh) | 海洋中的淡水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