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045U -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 Google Patents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045U
KR20220000045U KR2020200002289U KR20200002289U KR20220000045U KR 20220000045 U KR20220000045 U KR 20220000045U KR 2020200002289 U KR2020200002289 U KR 2020200002289U KR 20200002289 U KR20200002289 U KR 20200002289U KR 20220000045 U KR20220000045 U KR 202200000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wreath
artificial
power supply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진
Original Assignee
장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진 filed Critical 장우진
Priority to KR2020200002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045U/ko
Publication of KR20220000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5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luminous or luminesc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환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시키는 스탠드에 형성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있어서,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이 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판으로 형성된 베이스판과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베이스판의 일면에 결합된 고정체 및 고정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엘이디와 조화가 배치된 망사부를 포함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AN ARTIFICIAL WREATH WITH LED}
본 고안은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면에 조화가 부착되고, 타면에 엘이디를 부착하는 망사부를 형성하여 조립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환은 경조사의 행사장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각 행사장에 적합한 종류의 화환에 생화나 조화 등으로 행사장의 분위기에 어울리도록 장식하게 된다.
이러한 화환은 통상 전체의 구조를 지지하는 받침판에 일정한 물을 함유할 수 있는 다수의 함수체를 고정하고, 함수체에 다수의 생화를 적절히 배치하여 치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이때, 화환을 받침판에 함수체를 고정하고, 고정된 함수체에 생화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꼽아 제작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생화를 사용함에 따라서 일정 시간 후에는 시들어 흉한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화환의 크기가 2m이상인 것이 대부분이어서 운반이 쉽지 않으며, 운반중 파손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경조사의 예식이 끝나면 화환들은 쓰레기로 취급되어 정리하기 위해 많은 인력이 동원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낭비와 환경오염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회용 생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화환에 사용되는 꽃이 조화로 제조되는 인조화환이 제안되었다.
즉, 인조화환은 꽃이 조화로 제조됨으로 한번 사용하더라도 다시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인조화환은 생화를 모방하여 만든 조화로 장식되어 생화로 장식된 화환에 비하여 생동감이 떨어진다. 그리고 질적으로 다소 열악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이 없어 제품의 가치가 떨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외면받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화를 이용한 화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하여 화환을 장식하는 새로운 방식의 화환이 제안되었다.
일례로, 측면발광 광섬유를 이용한 화환에 관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0954호(2012.06.07.)인 "측면발광 광섬유를 이용한 인조화환"을 살펴보면, 측면발광 광섬유에서 발산되는 빛이 화환의 조화에 조사되어 미관상 수려하게 보이도록 하여 화환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갖도록 함으로, 제품으로써 가치가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측면발광 광섬유의 후방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조화에 조사되도록 함으로 빛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반사판의 전방면에 불규칙한 빛 반사각을 갖도록 울퉁불퉁한 굴곡을 형상함으로 반사판에 반사되는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다.
또한, LED 화환에 관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8723호(2008.03.26. 등록)인 "LED 인조화환"을 살펴보면, 엘이디와 조화를 조합하여 엘이디에서 발광하는 빛을 적절히 산란시켜 시인성이 높은 화환을 제공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조명 장치를 부착한 화환들은 종래 단순히 조화만을 이용하는 화환에 비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이목을 집중시키는 우수한 특성이 있으나, 조명 장치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연결해야 하고, 구조적으로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환의 경우에는 주문에 의하여 생산되는 품목으로 주문과 배달의 납기가 매우 짧아 신속히 제작해야 하는 구성이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조립의 난해성에 의해서 제작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부품의 공용에 다소 번거로운점이 있어, 제작이 간편한 새로운 구조의 화환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09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872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면에 조화가 부착되고, 타면에 엘이디를 부착하는 망사부를 형성하여 조립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망사부에 부착홀을 형성하여 조화 및 엘이디의 배치가 용이하고, 엘이디에 연결된 전선을 고정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수납시킴으로써, 생화를 대신하여 화려하고 깔끔한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공급부에 구비된 기판에 엘이디를 연결하여 기판을 통해 엘이디의 제어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조도의 변화에 따라 엘이디 색상을 변화시키는 센싱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조화를 화려하게 해주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환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시키는 스탠드에 형성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있어서,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이 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판으로 형성된 베이스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결합된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엘이디와 조화가 배치된 망사부를 포함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판의 일면이 관통된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베이스판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부의 형태가 형성되는 메인판; 상기 메인판의 테두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 및 상기 메인판의 일면을 관통하는 연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있어서, 상기 망사부는 상기 고정체의 일면에 부착되는 망 형상의 바디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체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중 어느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부착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가 상기 엘이디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함체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배치되어 조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엘이디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은 일면에 조화가 부착되고, 타면에 엘이디를 부착하는 망사부를 형성하여 조립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장식물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비용을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망사부에 부착홀을 형성하여 조화 및 엘이디의 배치가 용이하고, 엘이디에 연결된 전선을 고정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수납시킴으로써, 생화를 대신하여 화려하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에 구비된 기판에 엘이디를 연결하여 기판을 통해 엘이디의 제어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조도의 변화에 따라 엘이디 색상을 변화시키는 센싱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조화를 화려하게 해줌으로써, 사용자의 구매에 따른 충족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의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의 고정체와 망사부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의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의 고정체와 망사부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10)은 전원공급부(100), 베이스판(200), 고정체(300) 및 망사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10)은 화환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시키는 스탠드(11)에 형성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있어서,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이 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100),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판으로 형성된 베이스판(200),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베이스판의 일면에 결합된 고정체(300) 및 고정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엘이디와 조화가 배치된 망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탠드(11)는 삼각형으로 지지대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봉은 스탠드(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원공급부(100)가 체결될 수 있는 홀더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부(100)는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이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00)는 케이싱(110) 및 센싱부(120)를 더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기판(111)에 연결되는 배터리와 배터리가 엘이디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함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기판(111)은 복수개의 전원단자를 형성하고, 엘이디에 연결되는 전선에 형성된 커넥터가 전원단자에 연결되어 배터리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엘이디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센싱부(120)는 케이싱(110)의 내측에 조도의 변화에 따라 엘이디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센싱부(120)는 주변의 이동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움직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판(200)은 전원공급부(100)에 연결되는 판으로 형성된다.
즉, 베이스판(200)은 목재 또는 플라스틱의 평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형태가 원판으로 형성되어 원의 지름이 서로 접하되 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되어 적어도 1단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판(200)은 원판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단 형상뿐만 아니라 화환을 제작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200)은 체결홀(210)을 더 포함한다.
체결홀(210)은 전원공급부(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판의 일면이 관통된 것으로, 전원공급부(100)를 구성하는 케이싱(110)이 억지 끼움 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210)에 패킹부재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케이싱(110)이 체결홀(210)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체(300)는 내부에 공간(301)을 형성하고, 베이스판(200)의 일면에 결합된다.
다시 설명하면, 고정체(300)는 베이스판(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부의 형태가 형성되는 메인판(310)과 메인판(310)의 테두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301)을 형성하는 측벽(320) 및 메인판(310)의 일면을 관통하는 연결홀(33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홀(330)은 망사부(400)에 배치된 엘이디에 전선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공간(301)으로 모일 수 있게 한다.
이때, 모여진 전선은 권취하여 공간(301)에 수납되고 전선의 타단이 기판(111)에 형성된 전원단자에 연결되어 엘이디를 발광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망사부(400)는 고정체(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엘이디와 조화가 배치된다.
이를 위해, 망사부(400)는 바디체(410)를 더 포함한다.
바디체(410)는 고정체(3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망 형상의 커버부재이다.
다시 설명하면, 바디체(41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망을 구비하여 메인판(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메인바디체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측벽(3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메인바디체의 테두리를 따라 망을 연결시켜 완성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바디체(410)는 내측에 메인판(310)과 측벽(320)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부착부재는 밸크로, 자석, 접착제 및 나사결합가능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체(410)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중 어느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부착홀(411)로 형성된다.
부착홀(411)은 바디체(410)의 어느 방향에 조화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조화를 배치시키기 위해 홀의 위치가 정해진 지지체를 형성하여 인조화환을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정해진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조화의 줄기부분을 끼우기 때문에 조화의 다양한 배치가 어렵다.
이와 같이, 망사부(400)는 부착홀(411)로 이루어진 망으로 형성되어 바디체(410)의 어느 위치에 상관없이 조화를 배치시킴에 따라 다양하고 화려한 인조화환을 제작할 수 있다.
특히, 고정체(300)의 측벽(320)에 위치하는 부착홀(411)에 조화를 배치할 수 있어 일반적인 화환을 대신하여 독특한 조화의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부착홀(411)에 엘이디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엘이디와 조화의 조합을 통해 보다 화려한 인조화환을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11 : 스탠드
100 : 전원공급부
110 : 케이싱
120 : 센싱부
200 : 베이스판
210 : 체결홀
300 : 고정체
301 : 공간
310 : 메인판
320 : 측벽
330 : 연결홀
400 : 망사부
410 : 바디체
411 : 부착홀

Claims (4)

  1. 화환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시키는 스탠드에 형성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에 있어서,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이 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판으로 형성된 베이스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결합된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엘이디와 조화가 배치된 망사부를 포함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판의 일면이 관통된 체결홀을 더 포함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부는
    상기 고정체의 일면에 부착되는 망 형상의 바디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체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중 어느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부착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가 상기 엘이디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함체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배치되어 조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엘이디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KR2020200002289U 2020-06-30 2020-06-30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KR202200000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89U KR20220000045U (ko) 2020-06-30 2020-06-30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89U KR20220000045U (ko) 2020-06-30 2020-06-30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45U true KR20220000045U (ko) 2022-01-06

Family

ID=7934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89U KR20220000045U (ko) 2020-06-30 2020-06-30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04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23B1 (ko) 2007-03-28 2008-04-02 이명두 Led 인조화환
KR200460954Y1 (ko) 2009-10-22 2012-08-02 주식회사신우아이티 측면발광 광섬유를 이용한 인조화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23B1 (ko) 2007-03-28 2008-04-02 이명두 Led 인조화환
KR200460954Y1 (ko) 2009-10-22 2012-08-02 주식회사신우아이티 측면발광 광섬유를 이용한 인조화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7130B2 (ja) Led光源を用いた光ファイバー装飾装置及びその装飾品
US20200173618A1 (en) Decorative solar-powered lighting system, a decorative solar module overlay, and a decorative solar module assembly for a decorative solar-powered lighting system
US11365874B2 (en) Wreath decoration system
US9822939B2 (en) Reconfigurable cornace box display system
US4937107A (en) Christmas tree decoration
US20030156405A1 (en) Decoration pad system for simulating lit stepping stones
KR20220000045U (ko)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JP2005273130A (ja) 花輪用発光装置
KR20230000620U (ko)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JP3209636U (ja) 丸太椅子又は台若しくはテーブル
EP1424524A1 (en) Decorative light
US5313377A (en) Lighting unit
US6402341B1 (en) Decorative ornamental assembly
TWM524424U (zh) 裝飾燈柱
KR20240000848U (ko) 엘이디와 로고를 구비한 인조화환
CN201265850Y (zh) 用于雾化器的激光灯具
US6294877B1 (en) Article blinking Christmas tree assembly
CN212510628U (zh) 一种带灯光的树群
CN213208066U (zh) 一种园艺空气源热泵泳池机
JP3090887U (ja) 発光式人工植物
CN211853818U (zh) 一种多功能景观灯
JP3115943U (ja) 電飾花輪装置とそれに用いられる電飾造花モジュール
JP3222340U (ja) クラッチ型ウエディングブーケ
RU178032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JP3140609U (ja) 発光装飾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