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641A -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641A
KR20210158641A KR1020200077241A KR20200077241A KR20210158641A KR 20210158641 A KR20210158641 A KR 20210158641A KR 1020200077241 A KR1020200077241 A KR 1020200077241A KR 20200077241 A KR20200077241 A KR 20200077241A KR 20210158641 A KR20210158641 A KR 2021015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ust collecting
roller
dust collector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건
Priority to KR102020007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641A/ko
Publication of KR2021015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12Saw-blades or saw-disc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tone
    • B28D1/124Saw chains; rod-like saw blades; saw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4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 B28D5/04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by cutting with wires or closed-loop blad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롤러, 및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플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메인 롤러 및 플리 시스템의 복수의 롤러는 와이어와 연결되고, 플리 시스템은 복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다. 이에, 절단용 와이어의 표면에 부착되었던 분진, 물 등의 이물질이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이물질이 제거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절단하는 공정 등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WIRE SAW WITH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어어 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절단용 와이어가 복수의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며, 와이어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 물 등의 이물질이 롤러 외주면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구조물은 다이아몬드 와이어를 이용한 절단 장치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암석 등을 절단하는 절단용 와이어는 절단하는 과정에서 분진, 물, 슬러지 등의 다양한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기 쉽다.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깔끔하게 절단함에 있어 와이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와 같은 이물질은 제거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절단용 와이어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으며,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길이가 긴 와이어의 표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었다. 이에, 다이아몬드 와이어 등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과 같은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와이어 집진 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20-00193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절단용 와이어가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절단한 후에 표면에 발생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집진 롤러를 포함하는 와이어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와이어 집진 장치가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롤러, 복수의 집진 롤러 및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플리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플리 시스템을 거친 와이어는 복수의 집진 롤러의 원심력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는 와이어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롤러, 및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플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메인 롤러 및 플리 시스템의 복수의 롤러는 와이어와 연결되고, 플리 시스템은 복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부터 이물질을 이탈시킴으로써, 와이어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 물 등의 이물질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롤러, 및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플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메인 롤러 및 플리 시스템의 복수의 롤러는 절단용 와이어와 연결되고, 플리 시스템은 복수의 롤러의 원심력 이용하여 절단용 와이어로부터 이물질을 이탈시킴으로써, 절단용 와이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신속하고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절단용 와이어가 플리 시스템의 복수의 집진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집진 롤러의 외주면에 작용되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와이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비교적 적은 에너지로 손쉽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제1 플리 시스템을 통과하며 1차적으로 와이어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이어서 제2 플리 시스템을 통과하며 2차적으로 와이어의 이물질이 다시 한번 제거됨으로써, 와이어 이물질 제거의 완벽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 집진 장치의 내부 공간의 하면이 경사진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면에서 집진부로 이물질이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와이어 집진 장치의 내부 공간에 분진 등의 이물질이 정체되는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롤러, 와이어,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롤러, 와이어,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집진 장치(100)는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 분진, 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와이어(10)가 유입되고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일측을 통하여 다시 깨끗해진 와이어(10)가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0)는 단단한 구조물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용 와이어일 수 있다. 와이어(10)는 콘크리트, 암석 등의 단단한 구조물을 절단할 수 있는 길게 연장된 형태의 유연한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10)는 절단용 다이아몬드 와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는 보호 프레임(110), 메인 롤러(120), 제1 플리 시스템(130), 제2 플리 시스템(140), 연결부(151), 제3 지지 롤러(152), 집진부(160) 및 하부 경사면(170)을 포함한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보호 프레임(110)은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둘러싸며 보호하는 구성요소이다. 보호 프레임(110)은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보호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는 메인 롤러(120), 제1 플리 시스템(130), 제2 플리 시스템(140), 연결부(151), 제3 지지 롤러(152), 집진부(160) 및 하부 경사면(17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프레임(110)은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할 수 있는 막힌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프레임(110)은 일측이 개방된 구조일 수 있고,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와이어(10)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보호 프레임(110)의 개방된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보호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막힌 구조일 수 있고, 이에,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분진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메인 롤러(120)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일 수 있다. 메인 롤러(12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연결될 수 있고, 모터에 의하여 메인 롤러(120)는 회전할 수 있다. 모터는 와이어 집진 장치(100)가 포함하는 내부 모터일 수 있고, 이와 달리, 모터는 와이어 집진 장치(100) 외부에 배치되어 메인 롤러(1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메인 롤러(120)는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고, 메인 롤러(12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와이어(10)는 메인 롤러(120)의 회전에 의하여 메인 롤러(12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제1 플리 시스템(130)은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와이어(10)는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외부에서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며 제1 플리 시스템(130)을 거쳐 메인 롤러(120)로 이어질 수 있다. 제1 플리 시스템(130)은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와이어(10)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리 시스템(130)은 제1 상부 집진 롤러(131), 제1 하부 집진 롤러(132) 및 제1 지지 롤러(133)를 포함한다. 제1 상부 집진 롤러(131)의 하부에는 제1 하부 집진 롤러(13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부 집진 롤러(131)와 제1 하부 집진 롤러(132)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집진 롤러(132)는 제1 상부 집진 롤러(131)보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개방된 일측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상부 집진 롤러(131)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132)를 연결하는 직선은 지면에 수직인 직선과 비교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제2 각도(θ2)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상부 집진 롤러(131)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132)는 와이어(10)가 엇갈려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리 시스템(130)으로 진입하는 와이어(10)는 제1 하부 집진 롤러(132)의 외주면을 먼저 통과하여 제1 하부 집진 롤러(132)와 제1 상부 집진 롤러(131) 사이 공간을 지나 제1 상부 집진 롤러(131)의 외주면을 이어서 통과할 수 있다. 이처럼 와이어(10)는 제1 상부 집진 롤러(131)와 제1 하부 집진 롤러(132) 사이를 가로질러 어긋나게 통과함으로써, 제1 상부 집진 롤러(131)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132) 각각과의 접촉 면적이 보다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제1 상부 집진 롤러(131)를 통과한 와이어(10)는 제1 지지 롤러(133)의 외주면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지지 롤러(133)는 와이어(10)가 메인 롤러(120)까지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와이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지지 롤러(133)는 제2 플리 시스템(140)의 제2 지지 롤러(143)와 연결부(151)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1)는 제1 지지 롤러(133) 및 제2 지지 롤러(143)를 연결하여, 제1 지지 롤러(133) 및 제2 지지 롤러(143)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플리 시스템(130)은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도 3a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0)는 제1 상부 집진 롤러(131)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132)를 통과하며, 제1 상부 집진 롤러(131)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132) 각각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집진 롤러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분진, 물 등의 이물질은 제1 상부 집진 롤러(131)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132)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된 이물질은 중력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1 플리 시스템(130)을 통과한 와이어(10)는 제3 지지 롤러(152)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이어서 메인 롤러(120)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지지 롤러(152)는 제1 플리 시스템(130)과 메인 롤러(120) 사이에서 와이어(1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롤러일 수 있다.
제3 지지 롤러(152)를 통과한 와이어(10)는 메인 롤러(120)를 이어서 통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메인 롤러(120)의 외주면과 접촉된 와이어(10)에는 메인 롤러(120)가 제공하는 동력이 작용될 수 있고, 와이어(10)는 외주면을 따라 밀려나며 이동될 수 있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제2 플리 시스템(140)은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메인 롤러(120)를 통과한 와이어(10)는 제2 플리 시스템(140)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2 플리 시스템(140)은 와이어(10)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플리 시스템(140)은 제1 플리 시스템(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리 시스템(140)은 제2 상부 집진 롤러(141), 제2 하부 집진 롤러(142) 및 제2 지지 롤러(143)를 포함한다. 메인 롤러(120)를 통과한 와이어(10)는 제2 지지 롤러(143)의 외주면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지지 롤러(143)는 와이어(10)가 메인 롤러(120)에서 제2 상부 집진 롤러(141)까지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와이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상부 집진 롤러(141)의 하부에는 제2 하부 집진 롤러(14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상부 집진 롤러(141)와 제2 하부 집진 롤러(142)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부 집진 롤러(142)는 제2 상부 집진 롤러(141)보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개방된 일측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상부 집진 롤러(141)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142)를 연결하는 직선은 지면에 수직인 직선과 비교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각도(θ3)를 이룰 수 있다. 제3 각도(θ3)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3 각도(θ3)는 제2 각도(θ2)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상부 집진 롤러(141)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142)가 경사진 정도는 제1 상부 집진 롤러(131)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132)가 경사진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상부 집진 롤러(141)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142)는 와이어(10)가 엇갈려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플리 시스템(140)으로 진입하는 와이어(10)는 제2 상부 집진 롤러(141)의 외주면을 먼저 통과하고, 제2 상부 집진 롤러(141)와 제2 하부 집진 롤러(142) 사이 공간을 지나 제2 하부 집진 롤러(142)의 외주면을 이어서 통과할 수 있다. 이처럼 와이어(10)는 제2 상부 집진 롤러(141)와 제2 하부 집진 롤러(142) 사이를 가로질러 어긋나게 통과함으로써, 제2 상부 집진 롤러(141)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142) 각각과의 접촉 면적이 보다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플리 시스템(140)은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도 3b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0)는 제2 상부 집진 롤러(141)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142)를 통과하며, 제2 상부 집진 롤러(141)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142) 각각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집진 롤러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분진, 물 등의 이물질은 제2 상부 집진 롤러(141)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142)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된 이물질은 중력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다.
와이어(10)는 제1 플리 시스템(130)을 거치며 1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며, 제2 플리 시스템(140)을 거치며 2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100)는 제1 플리 시스템(130) 및 제2 플리 시스템(140)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와이어 집진 장치(100)는 제1 플리 시스템(130) 만을 포함하거나 제2 플리 시스템(14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와이어 집진 장치(100)는 하나의 플리 시스템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플리 시스템(130) 및 제2 플리 시스템(140)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은 집진부(160)에 수집될 수 있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집진부(160)는 와이어(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수집되고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집진부(160)는 수집부(161) 및 배출구(162)를 포함한다. 집진부(160)의 수집부(161)는 제1 플리 시스템(130) 및 제2 플리 시스템(140)으로부터 발생되는 와이어(10)의 이물질을 수집하는 구성이다. 수집부(161)는 제1 플리 시스템(130) 및 제2 플리 시스템(140) 모두와 중첩되도록 제1 플리 시스템(130) 및 제2 플리 시스템(1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집부(161)는 상부가 오목한 구조로서 이물질이 안정적으로 수집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리 시스템(130) 및 제2 플리 시스템(140)에서 지면 방향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은 수집부(161)에 안착될 수 있다.
집진부(160)의 배출구(162)는 수집부(161)의 일부가 개방된 개구일 수 있다. 즉, 배출구(162)는 수집부(161)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일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출구(162)에는 집진 장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집진 장치는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가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집진 장치는 배출구(162)에 설치되고, 흡입력을 작용하여 수집부(161)에 수집된 이물질을 배출구(162)를 통하여 외부로 흡입할 수 있다. 이에, 수집부(161)에 모인 이물질은 배출구(16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하부 경사면(170)은 메인 롤러(120)에서 이탈되는 와이어(10)의 이물질이 집진부(160)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진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내부 하면일 수 있다. 와이어 집진 장치(100)의 내부 공간의 하면은 하부 경사면(170)에 의하여 제1 각도(θ1)만큼 경사질 수 있다. 하부 경사면(170)은 메인 롤러(120)와 인접한 부분의 높이가 높고 메인 롤러(120)에서 집진부(160)와 가까위 지면서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처럼 하부 경사면(170)이 제1 각도(θ1)만큼 기울어져 있음으로써, 하부 경사면(170)에 떨어진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집진부(160)로 흘러내리며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100)는 상부 집진 롤러(131, 141), 하부 집진 롤러(132, 142) 및 지지 롤러(133, 143)를 포함하는 플리 시스템(130, 140)을 포함함으로써 와이어(10)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 물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부 집진 롤러(131, 141) 및 하부 집진 롤러(132, 142)의 외주면을 어긋나게 통과하는 와이어(10)는 집진 롤러들(131, 141, 132, 143)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와이어(10) 표면에 부착되었던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하여 외주면의 접선 ?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거된 이물질은 중력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떨어져 집진부(160)로 모이게 되며, 수집된 이물질은 배출구(16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100)는, 집진 롤러(131, 141, 132, 143)의 원심력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와이어(1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롤러들을 회전시키는 에너지만이 소비되는 바, 에너지 절감에 효과적인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와이어(10)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는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서로 상하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제1 플리 시스템(130) 및 제2 플리 시스템(140)과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리 시스템은 제2 플리 시스템보다 와이어 집진 장치의 개방된 부분과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플리 시스템은 제1 플리 시스템보다 와이어 집진 장치의 개방된 부분과 더 가깝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형성됨으로써, 제1 플리 시스템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제2 플리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즉, 제1 플리 시스템의 하부에는 제2 플리 시스템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곧바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고, 제1 플리 시스템에서 중력에 의하여 수직 낙하하는 이물질은 제2 플리 시스템으로 유입되지 않고 곧바로 집진부(160)로 낙하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 집진 장치는 보다 효과적으로 와이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는 제1 플리 시스템의 제2 각도가 제2 플리 시스템의 제3 각도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리 시스템의 제1 상부 집진 롤러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는 지면과 수직인 직선을 기준으로 제2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리 시스템의 제2 상부 집진 롤러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는 지면과 수직인 직선을 기준으로 제3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4의 와이어 집진 장치(100)가 제2 각도(θ2) 및 제3 각도(θ3)가 서로 동일했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는 제2 각도가 제3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제1 상부 집진 롤러 및 제1 하부 집진 롤러가 이루는 경사는 제2 상부 집진 롤러 및 제2 하부 집진 롤러가 이루는 경사보다 지면에 대하여 보다 완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플리 시스템이 차지하는 면적은 제2 플리 시스템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제1 플리 시스템에서 제거되는 와이어(10)의 이물질 전부가 제2 플리 시스템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고, 제2 플리 시스템은 보다 효과적으로 와이어(1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의 와이어 집진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4의 와이어 집진 장치(100)와 비교하여 보호 프레임(210)이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 집진 장치(200)의 보호 프레임(210)은 지지 프레임(211) 및 투명 윈도우(212)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211)은 보호 프레임(210)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 프레임(211)은 와이어 집진 장치(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 윈도우(212)는 지지 프레임(211)의 복수의 개구에 형성되어 와이어 집진 장치(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차단할 수 있다. 투명 윈도우(212)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와이어 집진 장치(200)는 투명 윈도우(212)를 통하여 와이어 집진 장치(200)의 내부가 시인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 집진 장치(200)의 사용자는 투명 윈도우(212)를 통하여 와이어 집진 장치(200)의 와이어(10)의 이물질 제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의 와이어 집진 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4의 와이어 집진 장치(100)와 비교하여 하부 경사면(370)이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경사면(370)은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경사면(370)은 복수의 롤러 및 복수의 롤러를 감싸며 복수의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경사면(370)의 복수의 롤러는 와이어 집진 장치(300)의 내부나 외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고, 복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벨트의 상부 면이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하부 경사면(370)은 제1 각도(θ1)만큼 경사져 있을 수 있고, 하부 경사면(370)의 벨트는 메인 롤러(120)와 인접한 부분에서 집진부(160)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이동될 수 있다. 이에, 하부 경사면(370)에 떨어진 이물질은 이동하는 벨트를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집진부(160)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의 와이어 집진 장치(400)는 도 1 내지 도 4의 와이어 집진 장치(100)와 비교하여 공기 순환부(480)를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와이어 집진 장치(400)의 공기 순환부(480)는 와이어 집진 장치(4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집진부(160)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공기 순환부(48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팬(fan)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 순환부(480)에서 생성하는 바람은 하부 경사면(170)의 표면을 따라 집진부(160)로 이어지는 공기의 흐름일 수 있다. 이에, 하부 경사면(170)에 떨어진 분진 등의 이물질은 공기 순환부(480)가 생성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집진부(160)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집진 장치(400)의 하부 경사면(170)은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태를 이룸으로써 이물질이 흘러내려 집진부(160)로 이동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부(480)가 생성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이러한 이물질의 이동이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 경사면(170)에서 흘러내리지 못하고 정체되는 이물질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됨으로써 이물질이 흘러내지리 못하고 정체되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롤러, 및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플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메인 롤러 및 플리 시스템의 복수의 롤러는 와이어와 연결되고, 플리 시스템은 복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부터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리 시스템은, 와이어가 차례로 연결된 지지 롤러, 상부 집진 롤러 및 하부 집진 롤러를 포함하고, 상부 집진 롤러 및 하부 집진 롤러는 와이어가 엇갈려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부 집진 롤러 및 하부 집진 롤러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리 시스템은 상하로 배치된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와이어 집진 장치는, 플리 시스템 하부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이 안착되는 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집진부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부 및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와이어 집진 장치는, 메인 롤러 하부에 배치된 하부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와이어 집진 장치는, 투명 윈도우를 포함하는 보호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집진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롤러, 및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플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메인 롤러 및 플리 시스템의 복수의 롤러는 절단용 와이어와 연결되고, 플리 시스템은 복수의 롤러의 원심력 이용하여 절단용 와이어로부터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와이어
100, 200, 300, 400: 와이어 집진 장치
110, 210: 보호 프레임
211: 지지 프레임
212: 투명 윈도우
120: 메인 롤러
130: 제1 플리 시스템
131: 제1 상부 집진 롤러
132: 제1 하부 집진 롤러
133: 제1 지지 롤러
140: 제2 플리 시스템
141: 제2 상부 집진 롤러
142: 제2 하부 집진 롤러
143: 제2 지지 롤러
151: 연결부
152: 제3 지지 롤러
160: 집진부
161: 수집부
162: 배출구
170, 370: 하부 경사면
480: 공기 순환부
θ1: 제1 각도
θ2: 제2 각도
θ3: 제3 각도

Claims (8)

  1.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롤러; 및
    복수의 롤러를 가지는 플리 시스템을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메인 롤러 및 상기 플리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롤러는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플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 시스템은, 상기 와이어가 차례로 연결된 지지 롤러, 상부 집진 롤러 및 하부 집진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집진 롤러 및 상기 하부 집진 롤러는 상기 와이어가 엇갈려 연결된,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집진 롤러 및 상기 하부 집진 롤러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져 배치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 시스템은 상하로 배치된 제1 플리 시스템 및 제2 플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집진 장치는,
    상기 플리 시스템 하부에서 이탈되는 상기 이물질이 안착되는 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집진 장치는,
    상기 메인 롤러 하부에 배치된 하부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집진 장치는,
    투명 윈도우를 포함하는 보호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쏘.
  8.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롤러; 및
    복수의 롤러를 가지는 플리 시스템을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메인 롤러 및 상기 플리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롤러는 절단용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플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롤러의 원심력 이용하여 상기 절단용 와이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쏘.
KR1020200077241A 2020-06-24 2020-06-24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 KR20210158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241A KR20210158641A (ko) 2020-06-24 2020-06-24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241A KR20210158641A (ko) 2020-06-24 2020-06-24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641A true KR20210158641A (ko) 2021-12-31

Family

ID=7917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41A KR20210158641A (ko) 2020-06-24 2020-06-24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86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29A (ko) 2018-08-14 2020-02-24 하원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29A (ko) 2018-08-14 2020-02-24 하원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573B1 (ko)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구조물 건식 절단용 분진포집장치 및 집진방법
CN105534405B (zh) 具有电机冷却的真空吸尘器
KR101183632B1 (ko) 자체동력과 냉각미스트를 이용한 건식휠쏘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건식휠쏘절단공법
KR101620277B1 (ko) 파쇄장치
PT1692397E (pt) Bomba centrífuga
JP5348723B2 (ja) 立体状のビードとサイクロン集塵器を利用した構造物の解体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解体工法。
KR20210158641A (ko) 집진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쏘
KR102410332B1 (ko) 친환경적 와이어 집진 장치
CN107975479B (zh) 带切割的排污泵无堵进水管
EP2062682B1 (de) Staubabsaug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und deren Verwendung
US20220410434A1 (en) Wire saw having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01121841B1 (ko) 청소용 블레이드모듈체
KR102286978B1 (ko) 건식 절단 공법으로 절단하여 발생한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와이어쏘 장치
CN201240008Y (zh) 地砖切割机
JP6975449B6 (ja) 集塵型穿孔機のスイベル装置
CN108015639A (zh) 一种镜片加工设备
KR20110137717A (ko) 면취용 커터
CN103624896A (zh) 海绵回收机
CN215512464U (zh) 一种无尘式礼品盒开槽机
CN209774814U (zh) 一种手机玻璃裁切用收集装置
CN215991841U (zh) 一种主动旋转分茬式种带清理防堵装置
EP0079260B1 (fr) Appareil dépoussiéreur
CN1875842A (zh) 真空吸尘器的集尘装置
CN216830350U (zh) 一种管线施工用砂轮机
CN211194228U (zh) 集尘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