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018A -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018A
KR20210158018A KR1020200076263A KR20200076263A KR20210158018A KR 20210158018 A KR20210158018 A KR 20210158018A KR 1020200076263 A KR1020200076263 A KR 1020200076263A KR 20200076263 A KR20200076263 A KR 20200076263A KR 20210158018 A KR20210158018 A KR 2021015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registered
time token
relay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종
Original Assignee
이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종 filed Critical 이우종
Priority to KR102020007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018A/ko
Publication of KR2021015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06Q50/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06F21/335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for accessing specific resources, e.g. using Kerberos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핀(I-PIN) 정보에 포함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이용하여 기관 등에서 요청하는 등기가 수신 대상자의 스마트 폰에 MMS 형태로 발송되도록 하며, 수신 대상자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URL을 통해 문서에 접근할 때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OneTime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하면서 본인확인 후 문서에 대하여 제한된 시간 안에 1회성으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registered electronic documents using one-time token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아이핀(I-PIN) 정보에 포함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이용하여 기관 등에서 요청하는 등기 전자문서가 수신 대상자의 스마트 폰에 MMS 형태로 발송되도록 하며, 수신 대상자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URL을 통해 문서에 접근할 때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OneTime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하면서 본인확인 후 문서에 대하여 제한된 시간 안에 1회성으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우편물은 보낸 사람이 우편물을 받는 사람의 주소를 적어 우체통에 넣거나 가까운 우체국에서 직접 접수하는 방법으로 접수 우체국에 모여진다.
접수 우체국에 모여진 우편물은 그 지역을 관할하는 더 큰 우체국이나 발송 집중국에 모여 지역별로 분류되며, 지역별로 분류된 우편물은 상기 우편물의 목적지 인근의 도착 집중국으로 운반되고, 목적지가 먼 거리라면 중간에 있는 교환센터를 거쳐 운반된다.
운반된 우편물은 도착 집중국에서 한번 더 분류된 후 배달 우체국에 도착하고, 마지막으로 우체부가 우편물을 받는 사람 주소로 배달한다.
한편 우편물의 특수성이 요구되는 등기 우편물의 경우 일반 우편물과는 달리 우편물의 안전한 송달과 보증을 위하여 겉봉투에는 등기 우편물이 우체국에 접수됨과 동시에 바코드가 부착되고, 이 바코드는 등기 우편물의 발송자와 수신자 등과 발송에 관련된 정보가 우편물류시스템 서버에 기록되도록 되도록 한다.
종래에는 집중국에 접수된 등기 우편물을 각각의 행선지 별로 구분하기 위하여 많은 작업자가 일일이 핸드 스캐너로 등기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토대로 관할 우체국 또는 집배계 별로 구분함으로써 구분하는데 다수의 인원이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했으므로 인적낭비와 시간적인 낭비가 초래되었었다.
즉, 상기한 방식은 바코드에 수록된 내용을 판독하는 과정과, 이들 내용을 조합하여 저장하는 과정 및, 송달증을 작성하는 과정 등이 모두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작업의 신속성이 떨어지고, 번거로우며,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인 관계로 중복해서 작업할 염려가 있고, 작업의 신뢰성 및 업무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근래 들어 등기 우편물을 전자문서 형태로 가공하고 이를 온라인으로 받는 사람의 모바일 기기로 발송하는 서비스들이 개발되었으나, 등기 우편물의 특성상 받는 사람의 신원 확인과 전화번호의 수집 과정에서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의 유출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등기 전자문서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인이 아닌 타인의 등기 전자문서 열람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1848 (2013.12.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핀(I-PIN) 정보에 포함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이용하여 기관 등에서 요청하는 등기 전자문서가 수신 대상자의 스마트 폰에 MMS 형태로 발송되도록 하며, 수신 대상자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URL을 통해 문서에 접근할 때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OneTime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하면서 본인확인 후 문서에 대하여 제한된 시간 안에 1회성으로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정확한 문서 접근과 최초 열람 이 후 타인이 열람시 열람이 되지 않는 보안이 강화된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은, a) 등기발송기관에서 등기 전자문서를 웹페이지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URL를 생성하고, 생성한 연결URL과 수신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등기내역을 중계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중계서버에서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본인확인이 완료되면 인증서버에서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생성하여 상기 중계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중계서버가 전달된 원타임토큰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인증서버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연결URL을 전달받고, 전달된 연결URL에 생성한 원타임토큰이 포함되도록 가공하여 인증URL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송된 인증URL을 통해 상기 등기발송기관에 접속하고 등기 전자문서 열람을 요청하는 단계; f) 상기 등기발송기관에서 상기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 토큰을 추출하여 상기 중계서버로 전달하면서 해당 원타임토큰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g) 상기 중계서버에서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과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비교 분석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h) 상기 등기발송기관에서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g)단계에서 상기 중계서버는,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이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에 존재하며 해당 토큰이 설정된 제 1시간 이내 생성된 경우를 인증 성공이라 판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시간은 3분 내지 5분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b)단계는, 상기 중계서버에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로서 상기 등기발송기관으로부터 수신대상 사용자에 대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I-PIN)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에서 수신한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 정보를 각 통신사별로 송신하면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에서 통신사별 응답정보를 회신하여 조회하고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통신사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서버에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은,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본인확인 과정을 수행하고,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이용하여 접속 권한이 부여되어 등기 전자문서를 열람하는 사용자단말; 등기 전자문서를 웹페이지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URL를 생성하고, 생성한 연결URL과 수신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등기내역을 출력하여 송신하는 등기발송기관; 상기 등기발송기관으부터 송신되는 등기내역을 수신하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계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본인확인이 완료됨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생성하여 상기 중계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연결URL을 전달받고 전달된 연결URL에 생성한 원타임토큰이 포함되도록 가공하여 인증URL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송된 인증URL을 통해 상기 등기발송기관에 접속하여 등기 전자문서 열람을 요청하며, 상기 등기발송기관은 상기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추출하여 상기 중계서버로 전달하면서 해당 원타임토큰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며,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원타임토큰을 임시 저장하며,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과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비교 분석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중계서버는,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이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에 존재하며 해당 토큰이 설정된 제 1시간 이내 생성된 경우를 인증 성공이라 판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시간은 3분 내지 5분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등기발송기관으로부터 수신 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로 사용자에 대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I-PIN)정보를 수신하는 등기내역수신부; 상기 등기내역수신부에서 수신한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 정보를 각 통신사별로 송신하고 수신 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전화번호요청부; 상기 전화번호요청부의 전화번호 요청에 따라 각 통신사별 응답정보를 회신하여 조회하고 상기 수신 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통신사를 파악하는 전화번호관리부; 및 상기 전화번호관리부에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기알림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점자가 입출력이 되도록 하는 점자입출력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출력되는 텍스트정보를 수신하고 텍스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텍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점자로 변환하거나 상기 점자입출력부에서 입력된 점자를 텍스트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점자를 상기 점자입출력부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자입출력기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점자입출력부에 입력되고 출력되는 점자에 대응하는 텍스트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전자문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와,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이용하여 접속 권한이 부여된 전자문서와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부로부터 도출하는 분석부가 더 구성되어,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분석부로부터 도출된 데이터를 점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점자가 상기 점자입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이핀(I-PIN) 정보에 포함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이용하여 기관 등에서 요청하는 등기가 수신 대상자의 스마트 폰에 MMS 형태로 발송되도록 하며, 수신 대상자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URL을 통해 문서에 접근할 때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OneTime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하면서 본인확인 후 문서에 대하여 제한된 시간 안에 1회성으로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문서 접근과 그에 대한 보안이 강화될 수 있음은 물론 OneTime 토큰을 이용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서버로 사용자의 쿠키 정보를 전달하지 않음으로 쿠키 사용으로 인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서버의 원타임토큰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핀을 이용한 사용자 전화번호 파악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서버의 원타임토큰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칭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URL를 포함하는 등기내역을 출력하고 등기 내역에 대한 등기 발송을 요청하는 등기발송기관(10)과, 상기 등기발송기관(10)의 발송 요청에 따라 수신대상 사용자에게 등기알림 메시지를 발송하는 중계서버(20)와,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생성하고 수신대상 사용자가 연결URL을 통해 등기 전자문서에 접근할 때 접근 가능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서버(30) 및 상기 중계서버(20)로부터 발송되는 등기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서버(30)에 의한 원타임토큰 인증 과정을 거쳐 등기 전자문서를 열람하는 사용자단말(30)을 포함한다.
상기 등기발송기관(10)은 등기 전자문서를 웹페이지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URL를 생성하고, 생성한 연결URL과 수신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등기 내역을 출력하며 이를 상기 중계서버(2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등기 내역은 상기 연결 URL뿐 아니라 개인 전자문서를 식별하는 유일한 식별키를 발송내역에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I-PIN)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기발송기관(10)은 정부기관 또는 금융기업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아이핀관리기관(60)에서 개인별로 부여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I-PIN) 정보를 상기 아이핀관리기관(60)에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핀관리기관(60)에서 송신하는 CI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 정보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등기발송기관(10)에서 제공하는 연결URL은 웹페이지상에서 전자 등기 내용과 전자 등기 유형 등을 열람하기 위한 URL로, 사용자단말이 등기 전자문서 열람 요청에 따라 접근할 수 있으며, 원타임토큰의 인증과정을 거쳐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단말에 한하여 열람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기 유형은 상기 등기발송기관(10)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일반고지, 체납고지, 수시성고지, 과태료고지 등과 같은 국세 및 지방세 고지서, 과속, 주정차위반, 속도위반 등에 대한 범칙금 고지서, 과오납환불, 연금 등의 통지(안내)장, 전기, 가스, 상수도 등에 대한 사용료, 보험, 통신사, 은행 등의 전자계약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등기발송기관(1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전자 등기 내용과 유형에 따라 웹페이지에서 열람이 가능하도록 전자문서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가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수단은 전자문서를 가공함에 있어 상기 등기 내용을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음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중계서버(20)는 상기 등기발송기관(10)으부터 송신되는 전자 등기 내역을 수신하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계서버(20)는 등기내역수신부(200), 전화번호요청부(210), 전화번호관리부(220), 등기알림송신부(230) 및 데이터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등기내역수신부(200)는 등기 발송을 의뢰한 등기발송기관(10)으로부터 수신 대상 사용자에 대한 전자 등기내역 즉, 등기 전자문서를 웹페이지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URL과 수신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 발송내역에 대한 관리키, 전자문서 등기 유형 등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등기발송기관(10)에서 아이핀관리기관(60)으로부터 사전 취득한 사용자의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I-PIN)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요청부(210)는 상기 등기내역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수신대상 사용자의 CI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 정보를 각 통신사별(50-1, 50-2, 50-3)로 송신하고, 수신 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각 통신사별(50-1, 50-2, 50-3)로 요청한다.
즉 통신사(50)를 통해 개인의 전화번호를 수집함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주민번호가 아닌 아이핀 정보에 포함되는 CI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이핀에 포함되는 CI코드의 경우 개인별로 부여된 고유의 연계정보로, 이러한 CI코드는 금융기관이나 통신사 등에서 공유하고 있으므로 회원 가입된 고객의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관리부(220)는 상기 전화번호요청부(210)의 전화번호 요청에 따라 각 통신사별(50-1, 50-2, 50-3) 응답정보를 회신한다.
그리고 상기 전화번호관리부(220)는 회신한 각 통신사별(50-1, 50-2, 50-3) 응답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해당 통신사(50)를 파악한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관리부(220)는 회신한 각 통신사별(50-1, 50-2, 50-3) 응답정보를 조회하여 통신사별(50-1, 50-2, 50-3) 중복 가입을 판단할 수 있으며, 중복 가입이 확인되는 경우 선택된 하나의 통신사(50)와 전화번호를 대표 전화번호로 등록하여 등기알림송신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수신대상 사용자 1인이 1개 통신사(50) 기준 2개 이상의 사용자단말을 보유하거나, 2개 통신사(50) 이상 단말기 1개 이상씩의 사용자단말를 보유하는 경우 이를 중복 가입자로 판단하여 서비스 시점에서 대표 전화번호와 통신사(50)를 등록하는 등 별도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화번호 및 통신사(50) 변경 이력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데이터저장부(240)에 의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등기알림송신부(230)는 상기 전화번호관리부(220)에서 수신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등기알림송신부(230)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상기 전화번호관리부(220)에 의해 파악된 통신사(50)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로의 송신은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ode service) 등 공지의 메시지 전송 방법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등기알림송신부(230)에서 발송되는 등기발송알림 메시지는 등기발송기관명과 전자 등기 유형 등을 간략히 설명하는 문장 형태일 수 있으며, 본인확인 메시지는 상기 인증서버(30)에 접속되어 본인확인이 이루어지게 하는 URL 형태이나 자동 앱(App) 실행으로 본인확인이 수행되게 하는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240)는 상기 등기내역수신부(200), 전화번호요청부(210), 전화번호관리부(220), 등기알림송신부(230)의 데이터 처리 과정과 결과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저장부(24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 통계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신대상 사용자와 등기발송기관(10)의 정보가 저장된다. 일 예로 상기 수신대상 사용자 정보는 CI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 정보와 수신대상 사용자의 CI코드를 이용하여 파악된 전화번호 및 통신사 정보와 변경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등기 발송을 의뢰한 등기발송기관(10)별 고유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계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등기내역수신부(200), 전화번호요청부(210), 전화번호관리부(220) 및 등기알림송신부(230)의 데이터 처리과정에서의 실시간 로우 데이터와 누적된 데이터를 통계 처리한 통계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관리부는 상기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 통계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저장을 명령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관리부는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게 저장될 수 있도로 명령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관리부는 변경된 정보와 이력 갱신 등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며, 외부의 요청 명령에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은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본인확인 과정을 수행하고, 원타임토큰(One-Time Token)를 이용하여 접속 권한이 부여되어 등기 전자문서를 열람한다.
이러한 사용자단말은 전화번호가 등록된 스마트폰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핀정보를 통한 메시지 전송이 구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이루어지는 본인확인은 공지의 다양한 인증 방법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계서버(20)가 본인확인 메시지를 사용자단말에 송신함에 있어 상기 인증서버(30)에 접속되게 하는 URL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서버(30)는 상기 중계서버(2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식별정보 등을 통해 본인확인이 인증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인확인인증부(300)와 토큰생성부(310) 및 연결URL전달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인확인인증부(300)는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본인확인이 완료됨을 감지한다. 상기 토큰생성부(310)는 상기 본인확인인증부(3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원타임토큰(One-Time Token)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서버(2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URL전달부(320)는 상기 중계서버(20)로부터 연결URL을 전달받고 전달된 연결URL에 생성한 원타임토큰이 포함되도록 가공하여 인증URL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한다.
즉 상기 인증서버(30)는 사용자단말의 본인확인 완료 후 생성된 하나의 원타임토큰을 중계서버(20)로 전달하면서, 상기 연결URL에 개인식별정보와 원타임토큰 정보가 포함되게 가공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증서버(30)에서 전달 또는 전송되는 정보는 암호화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하는 등기발송기관(10) 또는 사용자단말은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본인확인 완료에 따라 상기 인증서버(30)로부터 인증URL을 메시지 형태로 회신하게 되고, 상기 인증URL을 통해 등기발송기관(10)에서 웹페이지상으로 제공되는 등기 전자문서에 접근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의 접근 시도에 따라 상기 등기발송기관(10)은 상기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조회 및 추출하고, 토큰의 검증 여부를 위하여 상기 중계서버(20)로 추출한 원타임토큰을 전달하면서 해당 원타임토큰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등기발송기관(10)은 상기 중계서버(20)에서 원타임토큰에 대한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원타임토큰 인증을 통해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단말에 한하여 등기 전자문서를 제공함으로써 열람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상기 중계서버(20)는 상기 인증서버(30)로부터 전달되는 원타임토큰을 임시 저장하며,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과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비교 분석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계서버(20)의 토큰 인증 기준은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이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에 존재하며 해당 토큰이 설정된 제 1시간 이내 생성된 경우를 인증 성공이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 1시간은 3분 내지 5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MMS 등기알림 발송 후 수신대상 사용자가 등기발송기관(10)에서 제공하는 URL을 통해 문서에 접근할 때 접근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원타임토큰을 이용하여 인증하는 것인 바, 본인확인 후 제한된 시간 안에 1회만 문서에 대한 접근과 문서 열람이 가능함으로써 문서 접근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이하 '본 발명의 방법'이라 함)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등기발송기관(10)에서 등기 전자문서를 웹페이지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URL를 생성하고, 생성한 연결URL과 수신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등기내역을 중계서버(20)로 전달하는 과정을 갖는다.(S100)
이 과정에서 상기 등기발송기관(10)은 아이핀관리기관(60)과 연계하여 수신대상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CI코드가 포함된 아이핀이 활용되게 하여 메시지를 발송할 수신대상 사용자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전화번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등기내역의 경우 연결URL뿐 아니라 개인 전자문서를 식별하는 고유한 식별키로 발송내역에 대한 관리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서버(20)에서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갖는다.(S2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S200단계는, 상기 중계서버(20)에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로서 상기 등기발송기관(10)으로부터 수신대상 사용자에 대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I-PIN)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10)와, 상기 중계서버(20)에서 수신한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 정보를 각 통신사(50-1, 50-2, 50-3)별로 송신하면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단계(S220)와, 상기 중계서버(20)에서 통신사(50-1, 50-2, 50-3)별 응답정보를 회신하여 조회하고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통신사(50)를 파악하는 단계(S230) 및 상기 중계서버(20)에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대상 사용자를 식별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로 등기알람 메시지 등을 발송하기 위하여 개인의 주민번호가 아닌 아이핀 정보에 포함되는 CI코드를 이용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S200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본인확인이 완료되면 인증서버(30)에서 원타임토큰(One-Time Token)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서버(20)에 전달하고 상기 중계서버(20)가 전달된 원타임토큰을 임시 저장하는 과정을 갖는다.(S300)
상기 중계서버(20)로 전달된 원타임토큰은 이후 등기발송기관(10)으로부터 토큰 인증 요청 시 비교분석 데이터로 활용된다.
그리고 상기 인증서버(30)가 상기 중계서버(20)로부터 연결URL을 전달받고, 전달된 연결URL에 생성한 원타임토큰이 포함되도록 가공하여 인증URL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갖는다.(S400)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인증서버(30)로부터 전송된 인증URL을 통해 상기 등기발송기관(10)에 접속하고 등기 전자문서 열람을 요청하고(S500), 상기 등기발송기관(10)에서는 상기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추출하여 상기 중계서버(20)로 전달하면서 해당 원타임토큰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S600)
상기 S600단계의 인증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중계서버(20)에서는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과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비교 분석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700)
이때 상기 S700단계에서 상기 중계서버(20)는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이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에 존재하며 해당 토큰이 설정된 제 1시간 이내 생성된 경우를 인증 성공이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시간은 3분 내지 5분인 것이 바람직한 바, 본인확인 후 제한된 시간 안에 1회만 문서에 대한 접근과 문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등기발송기관(10)에서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과정을 갖는다.(S800) 이 과정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신 대상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을 통해 웹페이지상 표출되는 등기 전자문서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40)과 연동하는 점자입출력기(70)가 더 구성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의 경우도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점자입출력기(70)는 웨어러블 기기로 구성하여 시각장애인이 팔목 등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자입출력기(70)는 점자가 입출력이 되도록 하는 점자입출력부(71); 상기 사용자단말(40)에서 출력되는 텍스트정보를 수신하고 텍스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72); 상기 통신부(72)로부터 텍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점자로 변환하거나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서 입력된 점자를 텍스트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73); 상기 변환부(73)에서 변환된 점자를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입출력부(71)는 사용자가 점자입출력부(71)에 점자를 입력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하는 변환부(73)와 연계하여 사용자단말(40)로 텍스트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사용자단말(40)로부터 텍스트정보가 상기 변환부(73)와 연계하여 점자로 출력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이 사용자단말(40)의 텍스트정보를 인지하고 이러한 인지에 따라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텍스트정보라 함은 일반적인 문자메시지는 물론 상기에서 언급하는 등기발송알림, 본인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본인확인 과정에 따른 인증절차와 관련된 정보,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이용하여 접속 권한이 부여된 등기 전자문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점자입출력부(71)는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공지의 구조를 차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토록 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점자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출력의 경우도 진동, 돌출 등 기계적 구성에 의해 점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 돌출 등 기계적 구성의 경우도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차용될 수 있는 바,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점자입출력부(71)의 구성에 의해 시각장애인에 의한 사용자단말(40)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에서 언급한 등기 전자문서에 대한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이용한 접속절차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절차에 의해 접속이 가능해진 등기 전자문서에 대해 점자를 통한 인지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통신부(72)는 상기 사용자단말(40)에서 출력되는 텍스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 점자로 입력되어 변환된 텍스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40)로 송신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변환부(73)는 상기 통신부(72)로부터 텍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점자로 변환하거나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서 입력된 점자를 텍스트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상기 제어부(74)는 상기 변환부(73)에서 변환된 점자를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74)의 작동기작의 예로는 상기 제어부(74)는 우선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서 점자로 돌출 또는 진동 발생을 위해 돌출 또는 진동될 점자 구역을 계산하고 이를 인가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 내장된 점자돌출 또는 진동을 위한 기계적 구조는 상기 전기신호에 따라 점자를 돌출하여 사용자가 인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성출력부(75)가 더 구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음성출력부(75)는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 입력되고 출력되는 점자에 대응하는 텍스트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 점자입력시는 음성출력부(75)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의해 입력되는 점자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는지가 확인되도록 하는 것이고, 점자출력시는 점자에 의한 인지와 음성인식에 의한 인지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점자에 대응하는 텍스트정보가 인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로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이용한 접속절차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절차에 의해 접속이 가능해진 등기 전자문서에 대한 인지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발현되는 음성출력부(75)는 당연히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on/off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접속이 가능해진 등기 전자문서를 점자 또는 음성에 의해 인지가 가능토록 하면서 해당 등기 전자문서에 대한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부(76)와 분석부(77)가 더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예로 해당 등기 전자문서가 과태료 통지문서인 경우 이러한 과태료 통지문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로서 발행기관, 해태시 벌칙 등이 선택에 의해 부가적으로 인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해당 등기 전자문서의 일반적인 기본정보가 인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등기 전자문서에 대한 인지력을 더욱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테이터부(76)는 전자문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서, 발급될 수 있는 전자문서들에 대한 기본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부(76)에 기 입력되는 것이다.
상기 분석부(77)는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이용하여 접속 권한이 부여된 전자문서와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부(76)로부터 도출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사용자에게 접속 권한이 부여된 전자문서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정보를 데이터부(76)에서 추출하여 매칭토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당 등기 전자문서와 매칭되는 일반적인 데이터는 상기 변환부(73)에서 점자로 변환되고 변환된 점자는 상기 제어부(7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점자입출력부(71)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선택에 의해 접속 권한이 부여된 등기 전자문서와 대응하는 해당 전자문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등기발송기관 20 : 중계서버
30 : 인증서버 40 : 사용자단말
50 : 통신사 60 : 아이핀관리기관

Claims (11)

  1. a) 등기발송기관에서 등기 전자문서를 웹페이지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URL를 생성하고, 생성한 연결URL과 수신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등기내역을 중계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중계서버에서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본인확인이 완료되면 인증서버에서 원타임토큰(One-Time Token)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중계서버가 전달된 원타임토큰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인증서버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연결URL을 전달받고, 전달된 연결URL에 생성한 원타임토큰이 포함되도록 가공하여 인증URL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송된 인증URL을 통해 상기 등기발송기관에 접속하고 등기 전자문서 열람을 요청하는 단계;
    f) 상기 등기발송기관에서 상기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추출하여 상기 중계서버로 전달하면서 해당 원타임토큰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g) 상기 중계서버에서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과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비교 분석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h) 상기 등기발송기관에서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상기 중계서버는,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이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에 존재하며 해당 토큰이 설정된 제 1시간 이내 생성된 경우를 인증 성공이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시간은 3분 내지 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중계서버에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로서 상기 등기발송기관으로부터 수신대상 사용자에 대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I-PIN)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에서 수신한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 정보를 각 통신사별로 송신하면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에서 통신사별 응답정보를 회신하여 조회하고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통신사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서버에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5.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본인확인 과정을 수행하고,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이용하여 접속 권한이 부여되어 등기 전자문서를 열람하는 사용자단말;
    등기 전자문서를 웹페이지 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URL를 생성하고, 생성한 연결URL과 수신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등기내역을 출력하여 송신하는 등기발송기관;
    상기 등기발송기관으부터 송신되는 등기내역을 수신하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계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본인확인이 완료됨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원타임토큰(One-Time Token)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연결URL을 전달받고 전달된 연결URL에 생성한 원타임토큰이 포함되도록 가공하여 인증URL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송된 인증URL을 통해 상기 등기발송기관에 접속하여 등기 전자문서 열람을 요청하며,
    상기 등기발송기관은 상기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추출하여 상기 중계서버로 전달하면서 해당 원타임토큰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며,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원타임토큰을 임시 저장하며,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과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을 비교 분석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인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인증URL에 포함된 원타임토큰이 임시 저장된 원타임토큰에 존재하며 해당 토큰이 설정된 제 1시간 이내 생성된 경우를 인증 성공이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시간은 3분 내지 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등기발송기관으로부터 수신 대상 사용자의 식별정보로 사용자에 대한 CI(연계정보 ; Connecting Information)코드를 포함하는 아이핀(I-PIN)정보를 수신하는 등기내역수신부;
    상기 등기내역수신부에서 수신한 수신대상 사용자의 아이핀 정보를 각 통신사별로 송신하고 수신 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전화번호요청부;
    상기 전화번호요청부의 전화번호 요청에 따라 각 통신사별 응답정보를 회신하여 조회하고 상기 수신 대상 사용자의 아이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통신사를 파악하는 전화번호관리부; 및
    상기 전화번호관리부에서 수신 대상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부여된 사용자단말로 등기발송알림과 본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기알림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점자가 입출력이 되도록 하는 점자입출력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출력되는 텍스트정보를 수신하고 텍스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텍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점자로 변환하거나 상기 점자입출력부에서 입력된 점자를 텍스트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점자를 상기 점자입출력부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자입출력기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입출력부에 입력되고 출력되는 점자에 대응하는 텍스트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전자문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와, 원타임토큰(One-Time Token)을 이용하여 접속 권한이 부여된 전자문서와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부로부터 도출하는 분석부가 더 구성되어,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분석부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점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점자가 상기 점자입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시스템.
KR1020200076263A 2020-06-23 2020-06-23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8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63A KR20210158018A (ko) 2020-06-23 2020-06-23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63A KR20210158018A (ko) 2020-06-23 2020-06-23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18A true KR20210158018A (ko) 2021-12-30

Family

ID=7917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63A KR20210158018A (ko) 2020-06-23 2020-06-23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80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670B1 (ko) 2023-01-17 2024-02-05 주식회사 포스토피아 전자 등기 통합 발송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48B1 (ko) 2012-09-10 2013-12-17 (주)스윗트래커 택배 배송 정보 자동 조회 시스템 및 자동 조회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48B1 (ko) 2012-09-10 2013-12-17 (주)스윗트래커 택배 배송 정보 자동 조회 시스템 및 자동 조회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670B1 (ko) 2023-01-17 2024-02-05 주식회사 포스토피아 전자 등기 통합 발송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201B1 (ko) 아이덴티티 관리서버,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108540528B (zh) 确认电子文书送达的方法及系统、计算机存储介质
CN103745397A (zh) 基于位置场景识别实现电子交易风险控制的系统及方法
EP0749618B1 (en) Method to identify clients and method for using a teleterminal device
KR102317712B1 (ko) 아이핀을 이용한 온라인 등기 발송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8018A (ko)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
JP6321847B1 (ja) 送金支援システム、送金支援方法及び送金支援プログラム
KR20190033727A (ko) 실명 기반의 가상계좌 운영 방법
KR100932545B1 (ko) 공인전자문서보관소와 전자서명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보험청약의 전자화 시스템
JP4261952B2 (ja) 携帯機器を用いた身分証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61681A (ko) 원타임 토큰 인증을 이용한 등기 전자문서 열람 방법 및 시스템
KR101591909B1 (ko) 음성 동의 파일이 결합된 전자 위임장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90104215A (ko) 금매매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10008248A (ko) 입증자료의 저장을 통한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48217B1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신용정보 조회관리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신용정보 조회관리 방법
KR101861292B1 (ko) 은행계좌를 이용한 본인확인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7340B1 (ko) Vasp를 위한 트래블룰을 만족하는 kyc/aml 솔루션 프로토콜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방법
KR101093127B1 (ko) 수입금융 대표한도 설정 방법
KR20160006652A (ko) 결제계좌와 결제수단 연계 방법
KR20080022826A (ko) 비대면 채널을 통한 보안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20033543A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신용정보 조회관리 방법
JP20231198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32318A (ko) 가상 화폐 지불을 통한 전자 문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25471B1 (ko)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 중개 시스템 및 단말 장치
KR100387935B1 (ko)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온라인 본인여부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