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854A - 기능성 마스크 - Google Patents

기능성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854A
KR20210157854A KR1020210044740A KR20210044740A KR20210157854A KR 20210157854 A KR20210157854 A KR 20210157854A KR 1020210044740 A KR1020210044740 A KR 1020210044740A KR 20210044740 A KR20210044740 A KR 20210044740A KR 20210157854 A KR20210157854 A KR 20210157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ermal discoloration
mask
outer layer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용
윤응식
정동하
Original Assignee
안재용
윤응식
정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용, 윤응식, 정동하 filed Critical 안재용
Publication of KR2021015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A61B2562/0276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comprising a thermosensitive comp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기능성 마스크에 관련한다 개시된 마스크:는 내측 레이어와 외측 레이어, 그리고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간 레이어 또는 상기 내측 레이어에 온도 감응에 의해 체색이 변화하는 감열 변색부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열 변색부가 마련되는 레이어의 바같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상기 감열 변색부를 외부에서 인지할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해당 레이어 자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투명화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기능성 마스크{Functional Mask}
본 개시는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체온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체온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마스크가 등록 특허10-1913045호와 등록특허 10-1966964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등록 특허10-1913045의 마스크는 전면에 PET 필름으로 된 외피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10-1966964의 마스크는 변색물질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오염되기 쉽고, 대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 온도에 영향을 크게 받고, 따라서 변색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체온 변화를 표시하는 마스크는 외부 노출에 따른 오염이 방지되어야 하며, 호흡에 곤란을 주어서는 안되며, 그리고 제조도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KR 10-1966964 B1 KR 10-1913045 B1 KR 1020100087266 A1
본 개시는 체온 변화를 시각화하는 것으로서 제작이 용이한 마스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개시는 체온 변화를 시각화하는 구조가 호흡에 지장을 주지 않고 체온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마스크를 제시한다.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 착용인의 피부를 향하는 내측 레이어;
그 반대에서 바깥을 향하는 외측 레이어;
그리고 상기 내측 레이어와 외피 레이어의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
상기 내측 레이어와 외측 레이어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온도 감응에 의해 체색이 변화하는 적어도 한 층으로 된 감열 변색부; 그리고
상기 감열 변색부에 대응하게 상기 외측 레이어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감열 변색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측 레이어 및 중간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국부적 열압착에 의해 투명화되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감열 변색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광창;을 구비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열 변색부는 내측 레이어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광창은 상기 내측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의 열압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열 변색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측 레이어 및 중간 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투광창과 함께 투광영역을 제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열 변색부는 상기 외측 레이어에 인접한 중간 레이어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감열 변색부에 접한 외측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 레이어는 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감열 변색부는 둘 이상 중간 레이어에서 내측 레이어에 인접한 중간 레이어에 위치하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외측 레이어 및 감열변색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간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열 변색부는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시온안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중간 레이어 또는 내측 레이어에 직접 코팅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열 변색부는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시온안료가 코팅되어 있는 별도의 온도 감음 변색 스티커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열 변색부는 상기 중간 레이어 및 내측 레이어에 상호 중첩되게 공히 형성되어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레이어와 상기 감열 변색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를 마련되고,
상기 감열 변색부는 상기 내측 레이어의 내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외측 레이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내측 레이어의 내면 측에 마련된 감열 변색부가 외부에서 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는 다층 레이어를 가지는 기존 마스크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며, 하나의 레이어에 하나 이상의 감열 변색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바깥측 레이어의 일부분을 물리적으로 변형, 예를 들어 부직포 상태의 섬유상 부분을 열압착에 의해 투명화함으로써 그 안쪽에 있는 감열 변색부에 까지 시선일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혹은 변색부 앞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관통을 시켜 변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마스크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3은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다.
도4는 도2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개시에 따른 감열 변색부 및 이를 보호하는 투광창의 형성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5는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투광창을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6은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에서 감열 변색부의 위치 및 이를 보호하는 투광창의 다양한 형성 구조를 예시한다.
도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광창의 형성 방법 및 그 결과물을 보인다.
도8은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에서 감열 변색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9은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에서 투광창의 다양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10은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에서 투광창의 다양한 배치구조를 예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개념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 개념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 개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로 인해 한정 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 개념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 개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 지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개념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 개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표현은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프로세스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프로세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기능성 마스크에 관련한 것으로, 사스, 메르스, 코로나 같은 바이러스성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러스 감염등에 의한 발열을 시각화하여 이를 인지시킬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비하고, 인간의 체온이 비정상적 발열 상태인지 아니지를 사전에 인지하여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예비 바이러스 전파자가 발열 증세가 있어도 공공 장소나 밀집된 장소에서 쉽게 건강한 사람들과 분리해 낼 수가 없다. 만약에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 갔을 때 외부에서 쉽게 발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전에 예방조치를 취하기 용이해 진다. 예를 들어 콜센타 혹은 크린룸 같은 환경에서 방진복과 마스크로 가려진 작업자가 발열 증상을 숨길 때 급속히 전파가 될수 있다. 이때에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에 의해 발열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면 관리자가 즉각적인 조치로 방역 작업 예비 환자를 바로 격리 할 수 있게 되어 공중 보건 안전에 기여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는 날숨에 의해 체외로 배출되는 폐공기의 온도에 감응하는 감열 변색부를 포함하며, 이 감열 변색부는 마스크 자체의 레이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국부적으로 투명화된 투명창에 의해 보호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1은 본 개시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며, 도2는 그 정명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는 필터 및 보호층 등의 다층 구조의 마스크 본체((11) 및 본체(11) 양 측단부에 고정되는 귀걸이 끈(12)을 갖춘다. 여기에서 마스크 본체(11)에는 마스크 본체의 재료를 국부적으로 투명화하여 형성한 투광창(13)이 마련된다.
도3는 마스크 본체(11)를 구성하는 다층의 레이어(111, 112, 113, 114)를 전개하여 보인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는 1층 또는 2층 이상의 필터로 된 중간 레이어(112, 113), 예를 들어 멜트다운에 의해 형성되는 나노파이버 필터를 포함하는 다층의 필터 구조를 가지며, 필터층의 전후에 부직포 등으로 된 보호층으로서 외측 레이어(111)와 내측 레이어(114)를 갖춘다.
한편, 내측 레이어(114)의 안쪽면 일측에는 감열 변색부(1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다른 레이어(111,112,113)에는 상기 감열 변색부(15)에 중첩되는 투광창 영역(13a)을 가진다. 상기 투광창 영역(13a)은 열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등에 의해 상기 레이어(111, 112,113,114)를 하나로 결합하는 공정에서 열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등에 의해 투명화되는 영역이다.
도4는 도2의 A-A 선 단면도로소 마스크 본체(11)에서 투명창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감열 변색부(15)가 안면에 접촉하는 최내측의 내측 레이어(114)의 내면에 형성된다. 투광창(13)은 상기 레이어(111,112,113,114) 들이 하나로 융착된 얇은 투명막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투광창(13)은 마스크 본체(11)를 구성하는 기존의 레이어(111,112,113,114)들의 물리적 변형부분으로 감열 변색부(15)를 보호할 뿐 아니라 감열 변색부(15)가 외부에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5는 상기 마스크 본체(11)에 포함되는 다수의 레이어,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레이어(111,112,113,114)를 국부적으로 열압착하여 4개의 레이어(111,112,113,114)의 투명창 영역(13a)을 하나로 융착하면서 투명창(13)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감열 변색부(15)가 최내측의 내측 레이어(114)의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열 변색부(15)는 내측 레이어(114)와 외측 레이어(111)의 바깥측면을 제외한 어느 부분에도 형성이 가능하다.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레이어(114)와 외측 레이어(111), 그리고4이 사이의 제1, 제2중간 레이어(112, 113)에 의한 마스크 본체(11)에서, 외측 레이어(111)의 내측면 즉, 외측 레이어(111)와 이에 인접한 제1중간 레이어(112)의 사이에 상기 감열 변색부(15)가 코팅에 의해 형성 되거나 또는 위치될 수 있다.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레이어(111, 112, 113, 114)에 의한 마스크 본체(11)에서 제1중간 레이어(112)와 제2중간레이어(113)의 사이에 상기 감열 변색부(15)가 형성되거나 또는 위치할 수도 있다.
도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레이어(111, 112, 113, 114)에 의한 마스크 본체(11)에서 내측 레이어(114)의 내측면 즉, 제2 중간 레이어(113)과 내측 레이어(114)의 사이에 상기 감열 변색부(15)가 형성 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도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레이어(111, 112, 113, 114)에 의한 마스크 본체(11)에서, 제1중간 레이어(112)와 제2중간레이어(113)의 사이에와, 제2 중간 레이어(113)과 내측 레이어(114)의 사이에 각각 상기 감열 변색부(15)가 형성 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이 구조는 감열 변색부(15)가 다양한 형태의 다층을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7은 상기 감열 변색부(15)에 대한 투시 경로를 제공하는 투광창(113)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다.
도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내측 레이어(114)의 내측면에 감열 변색부(15)가 위치하고, 이에 대면하는 제1, 제2중간 레이어(112, 113)의 투광 영역에는 관통공(112a, 113a)이 형성되고, 외측 레이어(111)의 투광창 영역(111a)는 이를 막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가열압착에 의해 외측 레이어(111)에 의해서만 투광창(13)이 형성되며, 따라서 투광창(13)은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통공의 형성 위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감열 변색부(15)가 형성되는 레이어에 따라 바뀌게 될 것이다.
도8은 본 개시에 따른 감열 변색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감열 변색부(15)가 해당 레이어에 직접 코팅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런데,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열 변색부(15)는 스티커 형으로 제작되어 해당 레이어(112, 113,114) 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감열 변색부(15)는 기본적으로 온도에 의해 체색이 변화하는 감온 변색물질을 이용하며, 예를 들어 -15도에서 영상 70도의 범위 내에서 채색이 바뀌는 시온안료를 적용할 수 있다.
감온 변색부가 레이어에 변색물질이 직접 코팅되는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시온 안료를 인쇄법, 또는 승화 전사방식으로 해당 레이어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스티커형의 경우는 그 저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스티커 베이스(151)의 상면에 시온안료 등의 감열 변색 물질(152)을 도포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스티커형 감온 변색부(15)는 마스크(10) 제조 시 해당 레이어에 단순 부착하면 된다.
도9은 상기 투광창(13)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창(13)은 꽃모양(A), 별모양(B), 원형(C)등으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이외에 어떠한 다른 형상으로도 디자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투광창(13)의 다양한 형태에 부응하는 감열 변색부(15)의 패턴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모양의 투광창(13)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 투광창(13) 내부가 전체적으로 열압착되거나, 아니면 모자크 형으로 압착되어 투광창(13) 내에 압착되어 투명화된 부분과 압착되지 않은 불투명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감열 변색부는 색상 변화를 일으키므로 여기에 특정한 모양이나 패널을 가미함으로써 좀더 효과적으로 체온 변화를 시각화할 수 있다.
도10은 마스크 본체(10)에 대한 투광창(13)의 다양한 배열 형태를 예시한다. 즉, 도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창(13)의 마스크 본체(11)의 정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의 일측에 만 형성될 수 도 있다.
안면에 착용하는 마스크에 감열 변색물질에 의한 감열 변색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안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체온 또는 구강으로부터 토출되는 폐공기에 마스크 내에 마련되는 감열 변색부가 온도에 따라 변색한다. 이러한 변색은 마스크를 외부 측에서 관측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마스크 자체의 레이어에 형성되어 있는 물리적 변형에 의한 투명화된 투광층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감열 변색부는 온도 표시 잉크 혹은 물질에 의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시온잉크 혹은 카멜레온 잉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잉크는 마스크를 구성하는 다층의 레이어에서 최외곽 레이어, 즉 외피를 제외한 그 안쪽의 레이어, 예를 들어 중간의 하나 또는 복수의 필터층, 또는 안면에 맞닿는 내피층에 도포 또는 인쇄될 수 있다. 인쇄 방법에는 일반적인 스크린 프린팅, 열전사 프린팅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열 변색부의 재료는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것으로 온도가 올라 가면특정 색상으로 변색하고 온도가 내려 가면 가역적으로 무색 또는 원상태의 색상을 띄게 된다.
상기 감열 변색부는 마스크를 구성하는 모든 레이어에 전체적으로 상호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이어, 또는 선택된 복수의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열 변색부이 형성되는 레이어는 필터로서의 기능도 같이 수행하며 따라서 감열 필터층이라 명명할 수 있다.
상기 감열 변색부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광창은 감열 변색부가 형성되는 레이어의 바깥으에 마련되는 외곽측 레이어에 형성되며, 이를 해당 레이어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투명창은 레이어의 국부적 물리적 변형, 예를 들어 섬유상 부분을 열압착에 의해 얇고 투명한 박막 부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투광창은 완전히 맑은 고투명도를 가질 수 있으며, 한편으로도 어느 정도의 탁도를 가지는 흐릿한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투광창은 그 안쪽에 있는 감열 변색부에 까지 외부의 빛이 도달하고, 반사된 그 빛이 외부로 새어나올 수 있는 정도의 낮은 투명도를 가져도 무방하다. 그러나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투명도를 높이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하여는 국부적 열압착시 섬유가 크게 손상되지 않는 적정 수준까지 높은 열을 가하여 그 부분이 충분이 용융되어 투명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기능성 마스크는 감열 변색부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하지만, 호흡에 필요한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는 반기능적 요소의 필름을 가지나, 본 개시에 따른 기능적 마스크는 이러한 반기능적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에에 따른 투광창은 부직포와 같은 섬유상 레이어, 특히 합성수지 섬유로 되어 있는 섬유층 (레이어)을 국부적으로 압착하여 이 부분을 얇고 투명한 돗트 또는 아일랜드 형태의 박막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섬유상 레이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투광창은 공기의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범적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8)

  1. 마스크 착용인의 피부를 향하는 내측 레이어;
    그 반대에서 바깥을 향하는 외측 레이어;
    상기 내측 레이어와 외피 레이어의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
    상기 내측 레이어와 외측 레이어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온도 감응에 의해 체색이 변화하는 적어도 한 층으로 된 감열 변색부; 그리고
    상기 감열 변색부에 대응하게 상기 감열 변색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측 레이어 및 중간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국부적 열압착에 의해 투명화된 투광창;을 구비하는 기능성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변색부는 내측 레이어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광창은 상기 내측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의 열압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변색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측 레이어와 중간 레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투광창과 함께 투광영역을 제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변색부는 상기 외측 레이어에 인접한 중간 레이어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감열 변색부에 접한 외측 레이어에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레이어는 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감열 변색부는 상기 둘 이상 중간 레이어에서 상기 내측 레이어에 인접한 중간 레이어에 위치하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외측 레이어 및 감열변색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간 레이어에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변색부는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시온안료가 스티커 베이스에 코팅되어 있는 감열 변색 스티커에 의해 마련되어 있는, 기능성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변색부는 상기 중간 레이어 및 내측 레이어에 상호 중첩되게 공히 형성되어 다층 구조를 가지는, 기능성 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레이어와 상기 감열 변색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가 마련되고,
    상기 감열 변색부는 상기 내측 레이어의 내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외측 레이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이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마스크.
KR1020210044740A 2020-06-22 2021-04-06 기능성 마스크 KR20210157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47 2020-06-22
KR20200075947 2020-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854A true KR20210157854A (ko) 2021-12-29

Family

ID=7917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740A KR20210157854A (ko) 2020-06-22 2021-04-06 기능성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785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266A (ko) 2009-01-26 2010-08-0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에칭 방법, 플라즈마 에칭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1913045B1 (ko) 2017-09-12 2018-10-29 김회철 다양한 패턴의 인쇄수단이 구비되는 황사마스크.
KR101966964B1 (ko) 2017-06-15 2019-08-13 주식회사 이앤씨 온도 가변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266A (ko) 2009-01-26 2010-08-0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에칭 방법, 플라즈마 에칭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1966964B1 (ko) 2017-06-15 2019-08-13 주식회사 이앤씨 온도 가변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3045B1 (ko) 2017-09-12 2018-10-29 김회철 다양한 패턴의 인쇄수단이 구비되는 황사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7385B2 (en) Low reflectance optical web
US5020533A (en) Face mask with liquid and glare resistant visor
US5383450A (en) Liquid shield visor for a surgical mask
KR102233818B1 (ko) 입술이 투시되는 투명 마스크
JP3129053U (ja) 多層式マスク
WO2020197072A1 (ko) 마스크 부착형 기능성 패드
CN104185442B (zh) 血压计
CN108472522A (zh) 由可变拉伸针织和编织纺织品材料制成的防护兜帽
KR102292047B1 (ko) 흘러내림과 누설방지 기능을 갖고 체온 감응 표시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
KR20210157854A (ko) 기능성 마스크
PT1974621E (pt) Vestuário de protecção para forças de intervenção
JP2007021030A (ja) マスク
JP2018066107A (ja) 使い捨てのマスク
KR20220005393A (ko) 시온 변색 마스크
KR20220060221A (ko) 체온감응 변색부를 가진 마스크
KR20220057682A (ko)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온도감지 스티커부착형 마스크
KR102306605B1 (ko) 온도 체크가 가능한 마스크 유닛
US6117800A (en) Surgical gown material
CN213307598U (zh) 一种变色口罩
KR102354471B1 (ko)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KR20220144532A (ko)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KR102483051B1 (ko) 체온표시부가 융착된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TWM600551U (zh) 面罩
CN212994607U (zh) 一种一次性口罩
JP2018012895A (ja) 医療用ガウ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