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348A - 카테터 마우스 설계 - Google Patents

카테터 마우스 설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348A
KR20210157348A KR1020210078733A KR20210078733A KR20210157348A KR 20210157348 A KR20210157348 A KR 20210157348A KR 1020210078733 A KR1020210078733 A KR 1020210078733A KR 20210078733 A KR20210078733 A KR 20210078733A KR 20210157348 A KR20210157348 A KR 20210157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expandable
support
distal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베일
칼 키팅
로날드 켈리
Original Assignee
뉴라비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라비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뉴라비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5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4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 A61B2017/00845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of moving part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81Treatment of vulnerable pl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7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single wire changing shape to a gripping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4Expandable catheters or she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having a collapsible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61M2025/0046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025/0096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laterally outward extensions or tools, e.g. hooks or fibres

Abstract

카테터를 위한 확장가능 마우스는 국소 유동 제한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폐색 혈전에 도달하여 이를 회수하도록 가요성을 가지면서 충분한 반경방향 힘을 제공하는 큰 마우스 개구를 제공할 수 있다. 확장가능 마우스는, 혈전 회수 카테터가 저-프로파일 외측 카테터와 상용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붕괴된 상태 및 혈관의 벽과 접촉하여 근위 유동을 밀봉 또는 제한하기 위한 확장된 상태를 갖는 프레임워크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는 협소 세그먼트, 파상부, 폐쇄 셀, 및 다른 가요성 향상 특징부를 가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 및 원위 지지 후프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레임워크는 폐쇄 셀들의 어레이를 갖는 메시일 수 있다. 확장가능 마우스는 지지 프레임워크 둘레에 배치된 멤브레인 커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개선은 복잡한 영역에의 안전하고 신속한 접근을 제공하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폐색물을 더욱 신뢰성 있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마우스 설계{CATHETER MOUTH DESIG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혈관내(intravascular) 의료 치료 동안 혈관으로부터 급성 폐색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회수 흡인 카테터(retrieval aspiration catheter)를 위한 확장가능 팁(tip)에 관한 것이다.
흡인 및 혈전 회수 카테터 및 장치는, 흔히 환자가 급성 허혈성 뇌졸중(acute ischemic stroke, AIS), 심근 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 및 폐 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과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 혈관내 중재술을 위한 기계식 혈전절제술(thrombectomy)에 사용된다. 특히 신경혈관상(neurovascular bed)에 접근하는 것이 통상적인 기술로는 어려운데, 이는 표적 혈관은 직경이 작고, 삽입 부위에 대해 멀리 떨어져 있으며, 매우 사행형(tortuous)이기 때문이다.
효과적인 장치를 작고 고도로 분지형인 뇌동맥계로 전달함에 있어서, 통상적인 카테터는 다수의 인자를 시도하고 균형을 맞춰야 한다. 카테터는 또한 혈관구조(vasculature)를 내비게이팅하고 높은 휨 변형을 견디기에 충분히 가요성이어야 하는 동시에, 또한 경로를 따라 매끄럽고 일관된 전진을 제공하기 위한 축방향 강성을 가져야 한다. 부가적으로, 급격한 강성 또는 기하학적 변화는 추적성을 방해하고, 상당한 응력 집중을 도입하고, 장치 뒤틀림(kinking) 또는 좌굴(buckling)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고정된 마우스를 갖는 것들과 같은 흡인 혈전 회수 카테터들을 위한 일부 설계는 마우스에 대하여 원위에 있는 일정 부피의 유체 및 혈전까지 최대 흡인 흡입력을 안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표적 혈관과 함께 밀봉할 수 없는 카테터로 흡인할 때, 흡인 유동의 상당한 부분은, 혈전을 갖는 원위(distal) 혈관 영역이 아니라, 카테터 팁에 대해 근위에 있는 혈관 유체로부터 결국 유래한다. 이는 흡인 효율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혈전 제거의 성공률을 저하시킨다. 또한, 단단한 피브린-풍부 혈전(fibrin-rich clot)들은 그들이 전통적인 고정-마우스 카테터의 팁 내에 박히게 될 수 있기 때문에 흔히 추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박힘은 더 연성인 부분이 혈전의 더 단단한 영역으로부터 전단되어 떨어지게 할 수 있다.
개선된 효율을 위한 더 크거나 확장가능한 마우스를 특징으로 하는 흡인 카테터를 위한 설계는 전달을 위한 가요성을 적절한 반경방향 힘 및 비외상성 전개와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카테터 요소는 부여되는 심각한 기계적 변형을 견뎌야 하지만, 또한 흡인 흡입력 하에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확장될 때 충분한 반경방향 힘을 생성하여야 한다. 이들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일부 흡인 카테터의 마우스는 전형적인 전달 카테터 또는 시스(sheath)보다 상당히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설계되어 왔다. 이들 설계는 매우 다양한 절차 조건에 대해 진정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하도록 경쟁적인 요건들을 효과적으로 균형을 맞추는 데 실패할 수 있다.
본 설계는 확장가능 팁을 갖는 개선된 회수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전술된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특징부들을 통합한다.
본 명세서의 설계는 큰 혈전-대면 마우스를 가지고서 표적 혈관 내에서 국소 유동 제한/정지를 제공할 수 있는 혈전 회수 카테터의 확장가능 원위 팁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카테터는 폐색 혈전에 도달하기 위해, 신경혈관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의 매우 구불구불한 영역을 내비게이팅할 수 있도록 충분히 가요성일 수 있다. 카테터의 확장가능 팁은 또한 전달성 이점을 위한 비교적 저-프로파일의 접근 시스 및 카테터와 상용가능할 수 있다.
혈전 회수 카테터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튜브형인 지지 튜브를 가질 수 있다. 큰 중심 카테터 루멘(lumen)이 가이드와이어, 마이크로카테터, 스텐트 회수기, 및 다른 그러한 장치의 통과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루멘은 또한 흡인을 카테터 팁으로 안내할 수 있다. 튜브형 몸체는 원위 단부에서 종단될 수 있으며, 여기서 확장가능 팁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테터는 다공성 프레임워크로 형성된 복수의 상호 연결된 스트럿(strut)들을 갖는 자가-확장 마우스 프레임워크를 가질 수 있다. 마우스 프레임워크는, 폐색 혈전의 부위에서 전개될 때, 붕괴된 전달 구성(collapsed delivery configuration)으로부터 확장된 전개 구성(expanded deployed configuration)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장된 전개 구성에서, 팁은 실질적으로 원추형 또는 깔때기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팁에 의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은 흡인 효율을 개선하고, 원치않는 유동을 정지시키며, 혈관 개구에 걸리는(snagging) 것으로부터의 혈관 외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전개 상태에서, 확장가능 팁은, 팁의 근위(proximal) 단부가 제1 반경방향 치수를 갖고 팁의 더 원위인 부분이 제1 반경방향 치수보다 더 큰 제2 반경방향 치수를 갖도록 테이퍼 형성된다. 제2 반경방향 치수는 표적 혈관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팁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측 카테터의 내경보다 더 큰, 확장된 전개 구성에서의 반경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주연부를 형성하는 스트럿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피크 최대 반경방향 크기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최대 반경방향 크기는 프레임워크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중간의 축방향 위치에서 발생한다. 그러한 구성은 팁이 확장된 상태에서 크고 완만한 반경으로 혈관 벽들과 접촉하게 하여 혈관 외상을 피하고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확장되고 구속되지 않은 때, 팁 프레임워크의 직경은 1 mm 내지 10 mm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mm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마우스의 스트럿 프레임워크는 시트 또는 튜브 스테인리스강, 또는 니티놀(Nitinol)과 같은 초탄성 형상 기억 합금의 절삭된 패턴일 수 있다.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스트럿들은 폐쇄 셀(closed cell), 루프, 또는 파상(undulating) 패턴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원위 후프(hoop)들 또는 크라운(crown) 스트럿들이 팁 마우스 개구의 원주방향 주연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arm) 스트럿이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프 골(trough)들에서 만나는 인접 후프들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지지 아암들은 후프 골들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되어, 확장가능 팁을 지지 튜브와 연결하고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카테터 몸체는 실질적으로 튜브형인 형상을 한정하는 리브(rib)들과 스파인(spine)들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확장가능 마우스는, 예를 들어 동일한 하이포튜브 스톡(hypotube stock)으로부터 튜브 및 마우스를 함께 기계가공하는 것을 통하여, 모놀리식(monolithic) 구조체를 위해 지지 튜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튜브형 몸체는 금속 또는 중합체 편조물(braid)/메시(mesh), 또는 코일링된 와이어(coiled wire)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아암들은 카테터의 길이방향 축과 축대칭일 수 있거나, 이들은 축을 중심으로 나선형 방식으로 비틀리거나 위치될 수 있다. 개별 지지 아암들은 최원위 리브에 독립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지지 튜브의 하나 이상의 축방향 스파인 중 하나로부터 연장될 수 있거나 그와 정렬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지지 아암들 중 일부는 슬롯, 아일릿(eyelet), 또는 일부 다른 비-강성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아암들이 스트럿 프레임워크에 강성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후프들 및 지지 아암들의 스트럿들은 또한, 구조체의 가요성을 향상시키거나 조정하기 위해 협소 세그먼트(narrowed segment), 만곡부 및/또는 파상부(undulation)와 같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아암들은 아암들의 축을 따라 더 큰 굽힘 자유를 허용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파형(waveform) 또는 사인곡선형 패턴을 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지지 아암들의 스트럿들은 지지 아암들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더 좁은 부분을 가질 수 있거나, 지지 아암들은 마우스 주연부를 구성하는 원위 후프들 또는 크라운들의 적어도 일부의 폭과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후프들 및 지지 아암들의 스트럿들은 길이방향 축 둘레의 다양한 축방향 및 클로킹(clocking) 위치들에 위치된 다수의 골들에서 교차할 수 있다. 골 교차점들의 개수 및 위치는, 부분적으로, 프레임워크의 국소화된 강성을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아암은 지지 골에서 근위방향으로 그리고 후프 골에서 원위방향으로 종단되어 폐쇄 셀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경우에, 인접한 지지 아암들은 하나 이상의 셀을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지지 아암들은 후프 골에서 하나 이상의 후프와의 교차부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튜브의 스파인에서 또는 최원위 리브에서 종단되어 폐쇄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셀은 혈전제거 시술 동안에 인장 또는 압축 하중 하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어지거나 단축되도록 마우스 프레임워크를 도울 수 있다.
팁이 붕괴된 전달 구성에 있을 때, 프레임워크의 골들은 스트럿 프레임워크가 절첩되는 중심인 힌지들로서 역할할 수 있다. 확장될 때,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지지 아암들은 길이방향 축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각도는 확장된 팁의 원추형 깔때기 형상을 위한 테이퍼율을 결정한다. 이 각도는, 예를 들어 대략 10도 내지 대략 45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테이퍼는 얕을 수 있고, 지지 아암들과 길이방향 축 사이의 각도는 대략 30도일 수 있다.
스트럿 프레임워크는 시트 또는 튜브 스테인리스강, 또는 니티놀과 같은 초탄성 형상 기억 합금의 절삭된 패턴일 수 있다. 팁에 의해 형성된 깔때기 형상은 흡인 효율을 개선하고, 마찰을 감소시키고, 혈관 개구에 걸리는 것으로부터의 혈관 외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깔때기 형상은 또한, 전개 상태에서, 확장가능 팁이, 팁의 근위 단부가 제1 반경방향 치수를 갖고 팁의 더 원위인 부분이 제1 반경방향 치수보다 큰 제2 반경방향 치수를 갖도록 테이퍼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제2 반경방향 치수는 표적 혈관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카테터는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가요성 탄성중합체 커버(cover)를 더 가져, 혈전 회수 카테터의 확장가능 팁 및 지지 튜브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슬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는 균질할 수 있거나 다수의 층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커버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재킷일 수 있다.
혈전 회수 카테터를 위한 다른 확장가능 마우스는 길이방향 축 둘레에 배치된 자가-확장 마우스 프레임워크를 가질 수 있다. 마우스 프레임워크는 외측 카테터 내에 구속된, 표적 부위로 전달될 때의 붕괴된 전달 구성; 및 외측 카테터가 후퇴되어 프레임워크를 덮지 않을 때의 확장된 전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 프레임워크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스트럿들을 가질 수 있고, 스트럿들은 길이방향 축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페탈-유사(petal-like) 형상들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페탈은 전술된 지지 아암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동하는 길이방향 아암 스트럿들을 가질 수 있다. 페탈들은 향상된 가요성을 위해 파상부들을 구비할 수 있거나 협소 세그먼트들을 갖는 가변 폭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특징부는 각각의 아암의 축을 따라 구부리고 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길이방향 아암들은 개별적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아암 스트럿이 분할되어 원위 후프들에 의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폐쇄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셀들은 혈전 후퇴 동안에 지지 튜브가 마우스 프레임워크를 근위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피하도록 페탈들이 독립적으로 연신되게 할 수 있다.
중합체 멤브레인(membrane) 또는 커버는, 흡인의 흡입력이 혈전제거 시술 동안에 카테터를 통해 안내될 때 멤브레인에 지지가 제공되도록 마우스 프레임워크 위에, 그 둘레에 배치되거나 이를 캡슐화할 수 있다. 커버는 팽팽하여, 팁이 전개 구성으로 확장될 때 커버가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반경방향 힘 하에서 확장될 수 있거나, 커버는 느슨하거나 헐렁하여, 모든 반경방향 힘이 혈관 벽들로 안내될 수 있다.
자가-확장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페탈들은 길이방향 지지 아암들을 골들, 연결 스트럿들, 공통 스파인들에서 근위 방향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카테터 지지 튜브의 최원위 리브에 연결함으로써 더 가요성 있게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페탈의 원위 피크는 인접한 페탈 크라운들에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크라운 또는 후프 부재일 수 있어, 각각의 페탈은 그의 근위 연결부 또는 연결부들로부터 독립적으로 되튀어나온다. 그 결과, 페탈들은 힘 및 혈전 모폴로지(morphology)에 개별적으로 반응하여, 각각의 페탈이 인접한 페탈들의 구속 없이 개별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혈전 회수 카테터를 위한 확장가능 마우스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길이방향 축 둘레에 배치되고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폐쇄 셀 메시를 형성하는 반경방향 스트랜드 어레이(strand array)를 가질 수 있다. 메시 어레이는, 마우스가 붕괴된 전달 구성으로부터 확대된 전개 구성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와이어 또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확대된 전개 구성에서 외측 카테터에 의해 구속되지 않을 때, 셀 메시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들과 유사하게, 가요성 중합체 멤브레인이 카테터 팁의 폐쇄 셀 메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다.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폐쇄 셀 메시 어레이는 인접한 셀들의 꼭짓점(vertex)들을 통해 상호 로킹되는 삼각형 또는 사변형 셀들과 같은 연속적인 다각형 패턴일 수 있다. 패턴은 스텐팅(stenting) 응용에서 통상적으로 보여지는 것들 중 하나일 수 있는데, 여기서 개방된 혈관 통로들을 지지하고 유지하기 위해 최소 침습성 메시가 사용된다. 하나의 경우에, 세장형 사변형 패턴이 국소 어레이 피크들이 공유 꼭짓점들을 나타내는 셀 기공(pore)들을 형성한다. 패턴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 방식으로 반복될 수 있고, 인접 기공들의 최원위 어레이 피크들은 만곡된 원위 후프들 또는 크라운들에 의해 연결되어 확장가능 마우스의 주변부를 나타낼 수 있다.
폐쇄 셀 메시 패턴의 밀도는 변할 수 있다. 더 조밀한 메시는 더 큰 강성 및 반경방향 힘을 가질 수 있지만, 또한 중첩하는 커버 또는 멤브레인에 대한 더 큰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패턴은 메시를 가로지른 혈류가 기공들의 작은 크기에 의해 저지되는 경우까지 충분히 조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멤브레인 커버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기공들의 패턴이 팁의 근위에 있는 혈관 내의 혈액을 차단하는 시일(seal)로서 기능하기에 충분히 미세하기 때문이다.
외측 카테터를 통한 혈전 회수 카테터의 원활한 전달을 허용하기 위해, 외측 재킷들 또는 멤브레인의 외측 표면 및/또는 팁의 폐쇄 셀 메시는 PTFE 또는 FEP와 같은 저마찰 재료, 또는 서모딕스(Surmodics), 디에스엠(DSM), 및 할랜드 메디컬(Harland medical)에 의해 제공되는 것들과 같은 친수성 윤활성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은 정적 또는 동적 마찰의 축적을 방지하고, 혈관구조의 구불구불한 영역들에서의 카테터 결착(binding) 또는 뒤틀림의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 및 특징이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추가의 태양이, 유사한 도면 부호가 기능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특징부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 설명을 참조하여 추가로 논의된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는 않으며,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도면은 본 발명의 장치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를 제한으로서가 아닌 단지 예로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카테터 지지 튜브 및 확장가능 원위 팁의 등각도.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혈관 내의 표적 부위로부터 혈전을 회수하는 과정에서의 카테터의 확장된 원위 팁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예시적인 확장가능 팁의 등각도 및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6a 및 도 6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대안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 설계의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추가의 예시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9a 및 도 9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대안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 설계의 다양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추가의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대안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확장가능 팁을 위한 다른 설계의 도면.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17a 및 도 17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대안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확장가능 팁 설계의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중합체 커버 내에 봉입된 예시적인 확장가능 팁 및 카테터 지지 튜브를 예시하는 도면.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확장가능 팁을 위한 중합체 커버의 원위 프로파일에 대한 상이한 가능성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평탄 면 및 원위 리브를 갖는 중합체 커버의 다른 예의 도면.
도 23a 내지 도 23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들을 갖는 확장가능 팁의 등각도 및 측면도.
도 24a 내지 도 24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25a 내지 도 25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26a 내지 도 26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대안적인 확장가능 팁 설계의 도면.
도 27a 내지 도 27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28a 내지 도 28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독립적인 길이방향 아암들을 갖는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29a 내지 도 29c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대안적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30a 내지 도 30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확장가능 팁의 도면.
도 31a 및 도 31b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메시 구조물을 갖는 확장가능 팁의 도면.
개시된 설계의 목적은, 충분한 반경방향 힘을 제공하도록 맞춤된 대형 원위 대면 마우스에 의한 국부적 유동 제한/저지, 및 외측 카테터 내에서 혈관구조의 구불구불한 영역을 내비게이팅하여 폐색 혈전에 도달할 수 있는 고도의 가요성 둘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혈전 회수 카테터를 위한 확장가능 마우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대형 마우스 설계는 실질적으로 더 큰 흡인 효율 및 유동 제한 능력을 제공한다. 그러한 이점은 또한, 신경혈관상 내의 혈관이 특히 작고 우회적이며 손상되기 쉬운 뇌졸중 중재 시술(stroke intervention procedure)의 경우에 특히 유익할 수 있다. 그 결과, 확장가능 마우스 팁의 맞춤된 축방향 및 굽힘 강성 프로파일들은 이들 혈관을 통해 추적하면서 뒤틀림 및 결착을 억제할 수 있다. 팁은 붕괴된 상태를 가질 수 있어서, 혈전 회수 카테터가 비교적 낮은-프로파일의 접근 시스 및 외측 카테터와 호환될 수 있어, (대퇴부 접근의 경우에) 환자의 서혜부 내의 천자 상처가 쉽고 신뢰성 있게 폐쇄될 수 있다. 확장가능 마우스는 또한 내부 및/또는 외부 저-마찰 라이너(liner), 및 지지 구조체 둘레에 배치되는 외측 중합체 재킷 또는 멤브레인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개선은 폐색물을 더 신뢰성 있게 제거하고 시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카테터 및 다른 장치가 복잡한 영역에 안전하고 더욱 신속하게 접근하게 할 수 있다.
외측 카테터를 통해 전달되는 확장식 마우스를 갖는 혈전 회수 카테터를 사용하고 이를 구비하는 다른 이점은, 일단 혈전이 혈전 회수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진입하였다면, 혈전 회수 카테터는 외측 카테터가 표적 치료 위치에서의 접근을 유지하기 위해 제자리에 남겨지도록 외측 카테터를 통해 후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정 혈전이 또한 외측 카테터가 혈전 및 내측 혈전 회수 카테터와 함께 후퇴될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지만, 대부분의 혈전은 내측 혈전 회수 카테터를 통해 제거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조합에 의해, 잠재적인 혈전 찌꺼기가 카테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조영제 주입 동안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측 카테터의 루멘에 부스러기가 없다는 더 큰 확신이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카테터에 의하면, 사용자는 표적 치료 위치에 대한 접근의 상실을 희생하여, 조영제를 주입하기 전에 신체 외측에서 임의의 혈전 찌꺼기를 플러싱하도록(flush) 외측 카테터를 종종 제거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를 치료하는 데 필요한 카테터 전진의 횟수를 최소화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그에 의해 다수의 통과가 요구되는 경우에 혈관 손상의 가능성 및 연관된 혈관 절개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팁 프레임워크, 마우스 프레임워크, 지지 프레임 등이 상호 교환가능하고 모두 동일한 구조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설계는 종종 중합체 멤브레인 커버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 놓인 프레임워크의 명료함을 위해 전형적으로 도시되지 않는다. 설명이 많은 경우에 기계식 혈전절제 치료와 관련하여 이루어지지만, 설계는 다른 시술을 위해 그리고 또한 다른 신체 통로를 위해 조정될 수 있다.
혈관계 내의 다양한 혈관에, 그들이 심장이든, 폐이든, 또는 뇌이든 간에, 접근하여 혈전에 도달하는 것은 잘 알려진 시술 단계 및 다수의 통상적인 구매가능한 부속 제품의 사용을 수반한다. 혈관조영 물질, 회전 지혈 밸브, 전달 접근 카테터, 및 가이드와이어와 같은 이들 제품은 실험실 및 의료 시술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들 또는 유사한 제품이 아래의 설명에서의 본 발명의 개시 내용과 관련하여 채용될 때, 그들의 기능 및 정확한 구성은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혈전 회수 카테터는 근위 튜브형 부분(35) 및 원위 확장가능 팁(100)을 가질 수 있는데, 원위 확장가능 팁은 원위 확장가능 팁이 내부에서 전달되는 외측 카테터 또는 중간 카테터를 빠져나갈 때 반경방향으로 확장된다. 팁(100)은,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되지 않은 때 표적 혈관 직경의 예상된 상부 단부와 직경이 거의 동일하거나 단지 더 큰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하는 크기로 된, 혈전(40) 또는 혈색의 포착을 포함한 흡인을 위한 대형 원위 마우스(113)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개될 때, 팁(100)의 마우스(113)는 혈관(20) 직경과 부합될 수 있고 혈관과 밀봉을 이루기 위한 반경방향 힘을 가질 수 있거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은) 흡인이 인가될 때 팁의 근위에 있는 혈액보다는 오히려 마우스의 원위에 있는 혈전 및 혈액이 카테터 내로 끌어당겨지도록 충분한 유동 제한부를 생성할 수 있다. 확장된 팁이 밀봉하지 않거나 단지 부분 시일만을 형성하면, 혈전에 인가되는 흡입력은, 덜 제한될 가능성이 있을 혈관 및 외측 카테터(30)의 영역들로 팁의 근위로 유동이 안내될 것이기 때문에 덜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심지어 부분 밀봉 확장가능 팁(100)은, 더 큰 단면적을 팁의 근위에 있는 혈관으로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는 많은 현재의 흡인 카테터보다 여전히 성능이 뛰어날 것이다. 다른 예에서, 확대된 카테터 몸체 지지 튜브(35) 또는 전용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또한 혈전 회수 카테터와 외측 카테터(30) 사이의 루멘을 차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혈전 회수 카테터의 지지 튜브(35)는 많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튜브(35)는 지지 튜브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스파인(42)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지지 튜브(35)는 180도 이격된 2개의 스파인을 갖는다. 스파인 또는 스파인들은 혈관계 내에서 내비게이팅하기 위한 우수한 측방향 가요성을 가지면서 카테터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양호한 축방향 강성을 생성하도록 튜브형 또는 와이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스파인의 사용은 한정된 평면을 따른 휨을 촉진하면서, 확장가능 팁(100)이 외측 카테터의 마우스 내로 인출될 때와 같이, 지지 튜브(35)가 인장 하중 하에서 연신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축방향 스파인 또는 스파인들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은 지지 튜브(35)의 내측 루멘(44)을 한정하는 일련의 리브 또는 튜브형 메시 또는 편조물을 갖는 지지 구조체일 수 있다. 지지 구조체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단순한 원형 구성이거나 요구되는 바대로 더 복잡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도시된 예는 스파인(42)들에 연결되는 축방향 만곡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평평한 단면을 갖지 않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지지 튜브(35)는, 탄성중합체 커버 또는 재킷에 의해 덮일지라도, 혈전의 후퇴 동안에 압축 하에서 확장하는 능력을 가져, 그렇지 않으면 비확장가능 루멘으로 진입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는 고밀도 혈전을 튜브가 "집어 삼키게" 할 수 있다.
지지 튜브(35)는 하이포튜브 또는 다른 튜브 스톡(tube stock)의 레이저 절삭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오버레이된 또는 상호 엮인 스파인(들)을 갖는 편조물을 포함한 유사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 튜브(35)가 양호한 압입 및 토크 특성들, 작은 굽힘 반경, 뒤틀림 저항성, 및 인장 연신에 대한 솔리드 저항성(solid resistance)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니티놀 및 친숙한 의료 등급의 스테인리스강 합금, 예컨대 304 및 316을 포함한다. 튜브형 지지체의 근위 섹션을 위한 스테인리스강, 및 튜브형 지지 튜브의 원위 섹션을 위한 그리고 확장가능 마우스를 위한 니티놀과 같은 상이한 재료의 하이포튜브에서, 상기 상이한 재료는 용접, 접합에 의해, 또는 상호 로킹 특징부를 내측 및/또는 외측 중합체 재킷 재료와 함께 제위치로 유지시킴으로써 결합된다.
개시된 예의 확장가능 팁(100)의 깔때기 설계는 카테터 샤프트의 지지 튜브(35)와 일체로 그리고 직접 레이저 절삭되는 일체형 격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확장가능 팁 격자는, 단일편으로서 구성되고 열 용접, 접착제,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해 지지 튜브에 부착될 수 있는, 사출 성형된 지지체 또는 메시 프레임일 수 있다. 팁은 경동맥 말단(3.2 내지 5.2 mm), 중간대뇌동맥의 수평 M1 세그먼트(1.6 내지 3.5 mm), 및/또는 내경동맥(ICA, 2.7 내지 7.5 mm)과 같은 넓은 범위의 표적 혈관 직경들로 확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카테터가 이어서 M1 세그먼트로부터 ICA(또는 근위로 증가하는 혈관 내경을 가진 다른 경로)로 후퇴되는 경우, 확장가능 팁(100)은 일정 범위의 혈관 크기에 걸쳐 혈관을 계속 밀봉할 것이다. 추가로, 일정 범위의 표적 혈관 직경이 가능한 팁이 또한 혈관 분기부에서 밀봉할 수 있는데, 혈관 분기부는 분기부의 근위에 있는 혈관 및 원위에 있는 혈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테터의 확장가능 팁(100)은 확장된 팁을 혈관구조를 통해 전진시켜야 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치료 위치에서 확장된다.
지지 튜브(35)의 스파인(42)들 중 하나 이상과 인라인으로 연결들을 갖도록 확장가능 팁(100)을 배열하는 것은, 향상된 압입성을 위해, 외측 카테터를 통한 전진 동안에 전진 힘이 스파인들을 통해 팁으로 직접 전달되게 한다. 인라인 연결은 또한, 외측 카테터와의 증가된 마찰을 통한 카테터의 전달성에 대한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 지지 튜브(35)의 다른 원주방향 부분이 인접한 리브 또는 팁에 대한 조인트가 없는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카테터는 또한 확장가능 팁(100) 및 지지 튜브(35)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배치되거나 이를 캡슐화하는 커버 또는 멤브레인(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멤브레인 재료는 40A 이하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를 가질 수 있는, 크로노프렌(Chronoprene)과 같은 탄성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또는 가변 강성 커버가 지지 튜브(35) 및 팁(100) 위로 압출되거나 후-성형될 수 있다. 커버는 또한 구조체에 라미네이팅되거나 열 용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버는 또한 일련의 중합체 재킷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재킷 또는 재킷들의 세트가 카테터의 튜브형 부분의 상이한 섹션들에 별개의 압입성 및 가요성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 튜브(100)의 축(111)을 따라 별개의 길이들로 배치될 수 있다. 재킷을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카테터의 전체 강성을 근위 단부에서 더 강성인 것으로부터 원위 단부에서 극도로 가요성인 것으로 전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커버의 중합체 재킷은 두께를 통한 재료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지지 튜브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재킷들 사이의 전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맞닿는 재킷들의 가요성 프로파일 사이의 더욱 끊김없는 전이를 제공하도록 테이퍼 형성되거나 슬롯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예에서, 도 1로부터의 확장가능 팁(100)은 4개의 원위 후프(118) 및 2개의 지지 아암(116)을 갖는 스트럿들의 마우스 지지 프레임(110)을 가질 수 있다. 원위 후프(118)들은 4개의 근위 후프 골(121) 및 4개의 원위 피크(119)를 가질 수 있다. 지지 아암(116)들은 팁(100)의 깔때기 형상을 윤곽 형성할 수 있으며, 확장되고 구속되지 않을 때, 팁의 직경은 ICA, 경동맥 말단, M1 및 M2 위치들에서의 폐색물을 치료하도록 의도된 장치에 대해 1 mm 내지 10 mm, 또는 더 구체적으로 2.5 mm 내지 7.0 mm의 범위일 수 있다. 지지 아암(116)들은 또한 지지 아암들에 완전히 연결되는 4개의 근위 후프 골(121)을 갖는 원위 후프(118)들을 구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확장된 마우스의 후퇴 동안에 후프 골이 외측 카테터의 마우스 상에 걸릴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지지 아암(116)들은, 지지 튜브(35)로부터 연장되어 확장가능 팁(100)의 근위 단부(112)에서의 스파인(42)들 또는 지지 튜브에 대한 2개의 연결부 및 원위 후프(118)에 대한 4개의 연결부로 병합되는 V- 또는 Y-형상의 스트럿들일 수 있다. V- 또는 Y-형의 지지 아암(116)들은 4개 이상의 지지 아암을 갖는 장치와 유사한 지지를 프레임(110)에 제공하면서 지지 튜브(35)에 대한 연결부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180도 이격된 지지 튜브에 대한 2개의 연결부를 갖는 것은, 구불구불한 혈관구조를 통한 전진 동안에 외측 카테터 내에서 붕괴될 때, 또는 혈관 벽들과 후프(118)들을 완전히 병치시키도록(appose) 만곡된 혈관들 내에서 전개될 때, 지지 프레임(110)이 연결부들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움직이게 한다. 힌지식 작용은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축(111) 및 2개의 연결부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따라 굽힘부를 편의시킨다(bias). 지지 튜브(35)에 대한 2개의 연결부를 갖는 지지 프레임(110)이, 4개 초과의 근위 골(121)들을 갖는 원위 후프(118)들이 사용되는 단일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추가의 지지 아암을 가질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마우스 지지 프레임(110)에 대한 강성 및 강성 변화는 거리 및 사행성이 중요할 수 있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 프레임이 환자의 내측 대퇴부로부터, 심장 아치를 지나, 두개골 내측의 신경혈관계 내로 상향으로 전진되어야 할 때 중요하다. 강성을 추가로 조정하기 위해, 지지 아암(116)들 및 원위 후프(118)들의 스트럿 폭은 하나 이상의 협소 세그먼트(124)들을 포함함으로써 스트럿의 길이를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형상의 지지 아암(116)의 피크에서의 더 큰 폭은 보다 큰 반경방향 힘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 협소 중간 섹션들은 구불구불한 혈관구조를 통해 추적하기 위한 굽힘을 돕기 위해 측방향 강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원위 후프(118)의 근위 골(121)들에 인접하여 더 큰 폭을 갖는 것은 또한 증가된 반경방향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원위 후프 피크(119)에서의 협소 세그먼트(124)는 팁의 비외상성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확장가능 팁(100)의 원위 단부를 연화시킬 수 있고, 협소 세그먼트(124)는 또한 프레임(110)의 원위 피크(119)를 붕괴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후프(118)가 외측 카테터의 마우스 내로 다시 붕괴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로 가면, 지지 프레임(110)은 각각 2개의 지지 스트럿을 갖는 4개의 Y-형상의 지지 아암(116)의 어레이, 및 4개의 후프 골(121)과 4개의 원위 후프 피크(119)를 갖는 4개의 원위 후프(118)의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아암(116)이 2개의 지지 스트럿을 갖는 배열은 원위 피크(119)의 개수를 4개로 제한하면서 커버 또는 외측 재킷에 대한 더 큰 지지를 허용하여, 원위 후프(118)에 대한 비외상성의 더 크고 더 둥근 윤곽을 허용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지지 아암(116)을 갖는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근위 단부(112)와 지지 튜브(35) 사이에서 4개의 연결부를 갖는 것은 팁(100)이 확장된 구성으로 전진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단지 2개의 연결부만을 갖는 팁에 비해 조인트에 더 큰 축방향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 아암(116)의 곡률은 또한 프레임(110)이 구불구불한 혈관을 통한 향상된 추적성을 위해 외측 카테터 내에서 붕괴될 때 프레임(110)이 반대 측들에서 길어지고 짧아지게 할 수 있다.
다른 지지 프레임(110)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Y-형상의 지지 아암(116), 및 6개의 원위 피크(119)를 갖는 6개의 후프(118)를 가질 수 있다. 이용되는 원위 피크(119) 및 지지 아암(116)의 개수가 1부터 50 이상까지 변할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원위 피크(119), 후프(118), 및/또는 지지 아암(116)의 개수의 증가를 갖는 구성은 외측 커버 또는 재킷에 대한 증가된 지지, 증가된 측방향 프레임 강성 및 반경방향 힘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들과 유사하게, 프레임(110)의 섹션들은 원하는 가요성 특성들을 조정하고 프레임 상의 소정 지점들에서 굽힘부를 편의시키기 위해 가변 폭의 스트럿들을 가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6개의 후프(118), 6개의 원위 피크(119), 및 6개의 지지 아암을 가질 수 있는 확장가능 팁(100)을 위한 지지 프레임(11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지지 아암들 중 2개는 프레임(110)의 근위 단부(112)에서 지지 튜브(35)에 대한 연결부들을 갖는 Y-형상의 지지 아암(152)들일 수 있는 반면, 다른 4개의 아암은 그들의 각각의 후프 지지 골(121)들의 근위에 있는 피크(117)에서 종단될 수 있는 V-형상의 지지 아암(154)들일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지지 튜브(35)에 대해 2개의 연결부만을 가지면서 팁(100)의 반경방향 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레임(110)에 폐쇄 셀 지지 후프(118)들을 제공할 것이다. 180도 이격된 지지 튜브(35)와의 2개의 연결부를 갖는 것은, Y-형상의 지지체(152) 및 길이방향 축(111)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상에서 지지체들을 중심으로 프레임이 힌지식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힌지식 움직임은 전개 위치가 만곡된 혈관일 때 외측 카테터를 통한 향상된 추적성 및 벽에 대한 개선된 정합성을 허용한다.
V-형상의 지지 아암(154)은 외측 커버 또는 멤브레인(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표면적을 제공한다. 외측 멤브레인은 후퇴 동안에 V-형상의 아암(154)의 근위 피크(117)가 외측 카테터의 마우스 또는 분기되는 혈관에 걸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아암(154)의 근위 피크(117)는 지지 후프(118)의 원위 피크(119)와 유사하게 더 둥글거나 U-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혈전 회수 카테터를 위한 마우스 지지 프레임워크(110)는 도 7a 내지 도 7d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6개의 원위 후프 피크(119), 2개의 Y-형상의 지지 아암(152), 및 4개의 V-형상의 지지 아암(154)을 가질 수 있다. V-형상의 지지 아암(154)들은 지지 튜브(35)의 아일릿들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그들의 근위 피크(117)들에서 아일릿(127)들을 가질 수 있다. 링크 부재(128)들의 어레이가 아일릿(127)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매듭, 용접 또는 소성 변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아일릿들에 연결되어 벌브(bulb), 루프, 또는 확대된 맞닿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중합체 부재는 열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벌브를 형성할 수 있다. 링크 부재(128)는 스트링-유사(string-like) 부재, 체인-링크 부재, 강성 또는 반강성(semi-rigid) 부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도시되지 않음)가 마우스(110)의 위치설정을 돕기 위해 아일릿(12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들과 유사하게, 이러한 설계는 원위 후프(118)를 위한 폐쇄 셀 구조체를 제공하여 향상된 반경방향 힘을 제공하는 반면, 아일릿(127) 및 링크 부재(128)는 근위 단부(112)에서 지지 튜브에 대한 Y-형상의 아암(152)과의 2개의 강성 연결부만이 있음을 의미한다. 튜브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들에서 지지 튜브(35)와 Y-형상의 아암(152) 사이의 연결부들을 이격시키는 것은 프레임(110)이 외측 카테터를 통한 추적성을 위해 연결부들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움직이게 하고, 표적 위치가 만곡된 혈관 내에 있을 때 더 잘 정합하게 한다.
링크 부재(128)들의 어레이는 확장가능 팁(100)이 후퇴될 때, V-형상의 지지 아암(154)들의 자유 근위 피크(117)들이 외측 카테터의 마우스에 걸릴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V-형상의 아암(154)들의 근위 피크(117)들에서의 아일릿(127)들 및 지지 튜브의 아일릿들에 대한 링크 부재들의 연결부들은 강성이 아니어서, 부재들이 느슨한 방식으로 이들 연결부의 아일릿(127)들을 통해 이동하게 하여 지지 프레임(110)이 구불구불한 혈관 내에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링크 부재(128)들이 가요성으로 제조되는 경우, 이들은 붕괴된 상태에서 팁(100)의 굽힘 강성에 기여하지 않을 것이지만, 일단 원위 지지 후프(118)가 확장되면 팽팽해질 수 있다. 가요성 부재는 흡인 동안 커버에 가해지는 부압 힘에 대항하도록 외측 커버 또는 멤브레인을 지지하기에 충분히 강인할 수 있다.
다른 마우스 프레임(110) 예는 도 8a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의 주연부 둘레에서 6개의 피크(119)를 갖는 원위 지지 후프(118)들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인접한 후프 골(121)들을 지지 튜브(35)와 연결하는 3개의 Y-형상의 지지 아암(152)을 가질 수 있다. 전술된 예들과 일부 방식에서 유사하지만, 3개의 지지 아암을 갖는 확장가능 팁(100)은 더 많은 아암을 갖는 팁보다 붕괴된 전달 구성에서 더 가요성일 것이다. 지지 튜브에 대한 더 적은 연결부들을 갖는 것은 또한 프레임(110)이 후퇴시 구속된 상태로 다시 붕괴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4개의 둥근 원위 피크(119)와 4개의 후프 골(121)을 갖는 4개의 원위 후프(118)를 구비하는 다른 지지 프레임(110)을 도시한다. 원위 후프(118)들의 스트럿들은 각각의 후프 골(121)들로부터 지지 튜브(35)로 연장되는 4개의 지지 아암(116)과 접선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지지 아암들은 그들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원주방향 파상부(undulation) 또는 사인곡선형 파형 패턴(130)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종합하여 볼 때 지지 아암들은 지지 프레임(110)을 위한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프로파일을 한정한다. 사인곡선형 패턴(130)은, 팁(100)이 붕괴된 구성에 있을 때, 인접하는 지지 아암(116)들의 국소 피크들이 중첩되지 않고 대신에 함께 포개져서 프레임을 상보적인 방식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파형 패턴(130)의 진폭은, 외측 카테터 내에서 깔끔하게 붕괴되기 위해 지지 아암(116)들이 길이방향으로 길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만큼 너무 크지 않으면서, 중합체 커버 또는 외측 재킷을 위한 넉넉한 지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크도록 선택될 수 있다. 파형 패턴(130)은, 팁이 구불구불한 혈관 내에서 외측 카테터를 통해 추적되고 있을 때 다양한 방향으로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하는, 또는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표적 위치에서 전개될 때 혈관 벽과 정합하여 혈관 벽과의 완전한 병치를 달성하게 하는 가요성을 프레임(110)에 제공한다.
최적화된 측방향 가요성을 위하여, 지지 프레임(110)은, 지지 아암(116)들의 파형 패턴(130)을 형성하는 스트럿들이, 프레임이 평면도에서 평탄한 패턴으로 있을 때, 중심 길이방향 축(111)에 대해 45도 내지 135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지지 아암(116)들의 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부분들은, 프레임이 비틀림 모멘트를 받을 때 파형 패턴(130)의 피크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트럿들에 대해 굽힘부를 편의시켜, 지지 아암들을 측방향 가요성보다 비틀림 가요성에 더 의존적이게 할 수 있다. 굽힘부에서의 추가의 측방향 가요성을 위해 약간의 비틀림 가요성을 교환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패턴의 스트럿들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45 내지 135도 범위 밖에 속할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서 보여지는 유사한 예에서, 지지 프레임(110)은 4개의 둥근 원위 피크(119)를 갖는 원위 후프(118)들, 및 후프 골(121)들로부터 연장되는 사인곡선형 파형 패턴(130)들을 갖는 4개의 지지 아암(11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a의 예와 비교하여, 지지 아암(116)들은, 프레임이 인접한 지지 아암들 사이에서 유효 간극을 덜 가질 수 있게 하고 가요성 외측 멤브레인 또는 커버를 위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파(wave) 패턴(130) 내에 추가의 국소 피크들을 구비할 수 있다. 패턴 내에서의 추가의 파상부는 또한, 프레임(110)이 외측 카테터를 통해 추적되는 동안 굽힘 상태에 있을 때 비틀림 및 측방향 변형들이 걸쳐 분포될 수 있는 더 많은 스트럿 길이를 생성한다.
도 10a 내지 도 10d의 것과 유사한 확장가능 팁(100)의 다른 지지 프레임(110)이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은 4개의 원위 후프(118), 및 그들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사인곡선형 파 패턴(130)을 갖는 4개의 지지 아암(116)을 구비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파 패턴(130)의 피크의 개수 및 파상부의 진폭은 프레임(110)의 요구되는 가요성 특성을 위해 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스트럿의 폭은 요구되는 반경방향 힘을 달성하면서 가요성을 유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지지 후프(118)들의 근위 후프 골(121)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비틀림 부재(132)에 작용하는 추가의 스트럿 또는 스트럿들을 가질 수 있다. 비틀림 부재(13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중심 길이방향 축(111)을 중심으로 원형 방식으로 연장되어, 외측 카테터 내로의 후퇴 동안에 비틀림 하중 하에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그렇지 않으면 카테터 루멘(44)으로 완전히 진입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는 단단한 혈전을 핀칭(pinching)함에 있어서 프레임(110)을 도울 수 있어, 카테터가 혈관구조를 통해 인출될 때 혈전 상에서의 파지가 확실하게 한다. 다른 예에서, 후프 피크(119)들 및/또는 비틀림 부재(132)들의 일부분은 축방향으로 둥글거나 만곡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거나, 스트럿들은 중간 지점에서 교차하여 힌지로서 역할하고, 프레임(110)이 붕괴될 때 비틀림 모멘트의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소된 모멘트는 외측 커버 또는 재킷이 감소된 탄성 변형 능력과 파단 연신율(elongation at break)을 갖는 더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는 장치에서 유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프레임이 외측 카테터 내로 절첩되거나 붕괴된 만큼 많이 커버가 이동할 필요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원위 후프(118)들, 4개의 지지 아암(116), 및 4개의 후프 피크(119)를 갖는 지지 프레임(110)의 추가의 예가 도 12a 내지 도 12d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지지 아암(116)은 확대된 셀 또는 개구(220)를 형성하기 위해 후프 골(121)과 더 근위의 지지 골(126) 사이에서 분기될 수 있다. 아암(116)들 내의 확대된 개구들은 아암들이 프레임의 길이방향 축(111) 주위의 반대 측들에서 짧아지게 그리고 길어지게 할 수 있어, 장치가 구불구불한 혈관 경로에서 외측 카테터를 통해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다. 지지 아암(116) 스트럿들의 분기는, 단일 스트럿이 후프 골(121)들을 셀 없이 지지 골(126)들과 직접 연결하는 경우보다 더 자유롭게 아암들이 토크를 전달하고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후프 골(121)들에서의 조인트는 또한 도 12c에 도시된 것보다 축방향으로 더 길어, 프레임(110)이 후프 피크(119)들 사이에서 휘어지도록 요구될 때 측방향 및 비틀림 변형들을 더 양호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확대된 개구는 또한 도시된 것보다 더 작거나 더 큰 간격을 가져, 서로에 대한 지지 아암(116)들의 독립적인 운동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원위 후프(118)들의 스트럿들은 또한 지지 아암(116)들의 것들과는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프 피크(119)들에 근접한 후프의 더 넓거나 더 두꺼운 스트럿들은 후프에서의 더 큰 반경방향 힘 능력 및 더 가요성인 지지 아암을 갖는 지지 프레임(110)을 제공할 수 있다. 피크(119)들 부근의 더 좁은 스트럿들은, 혈관의 벽들과 함께 밀봉할 때, 후프들이 더 순응하게 할 수 있다.
4개의 분기 지지 아암(116) 및 4개의 후프 피크(119)를 갖는 다른 지지 프레임(110)이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에서의 것과 비교하여, 이러한 설계는 후프 골(121) 연결 조인트들을 위한 변형된 형상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직접 연결은 지지 아암(116)들의 확대된 셀(220)들과 원위 후프(118)의 섹션들 사이에서 하중을 더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후프 골(121)들의 형상은 또한 지지 프레임(110)의 축방향 강성을 조정하기 위해 지지 아암(116)들 및 원위 후프(118)를 형성하는 분기 스트럿들의 교차 각도들을 조절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확대된 셀 개구(220)들을 갖는 4개의 지지 아암(116), 및 근위 지지 후프(134)들과 원위 지지 후프(118)들 둘 모두를 구비하는 마우스 지지 프레임워크(110)의 다른 버전을 도시한다. 원위 지지 후프(118)들은 4개의 후프 피크(119)를 가질 수 있고, 4개의 각자의 후프 골(121)에서 근위방향으로 합쳐질 수 있다. 커넥터 스트럿(136)들의 어레이는 지지 아암(116)들과 근위 지지 후프(134)들의 스트럿들 사이에서 조인트로서 역할하는 근위 후프 골(123)들과 더 원위의 후프 골(121)들을 연결할 수 있다. 축방향 시리즈로 다수의 지지 후프를 갖는 장치는 개선된 병치 및 표적 혈관과의 밀봉을 위한 더 큰 반경방향 힘을 가할 수 있다. 확장가능 팁(100)에 의해 제공되는 시일은 완전 흡인력을 팁의 원위에 있는 혈관의 부분으로 안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흡인을 허용할 수 있는 반면, 깔때기-형상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것은 혈전이 점진적으로 연신되는 수렴식 진입을 제공하여 혈전 전단 및 단편화를 방지한다.
확장가능 지지 프레임(110)이 원위 후프(118)들과 지지 아암(116)들 사이에서 세장형 커넥터 스트럿(136)들을 갖는 설계에 대한 다양한 도면이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스트럿(136)들은 원위 후프(118)의 스트럿들과 지지 아암(116)들의 확대된 셀 개구(220)의 종단부(termination)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아암(116)들에서의 확대된 개구(220)들은 외측 카테터 내에서 조작될 때 팁(100)이 반대 측들에서 짧아지고 길어지게 할 수 있는 반면, 더 큰 길이를 갖는 커넥터(136)를 구비하는 것은 굽힘부에서 더 큰 측방향 가요성을 제공하여, 원위 지지 후프(118)들이 구불구불한 경로에서 지지 아암들에 대해 구부러지고 휘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스트럿(136)들의 길이는, 혈관의 벽과의 보다 비외상성인 계면을 제공하도록 커버 또는 외측 재킷의 상이한 프로파일링을 허용하기 위해, 변화될 수 있거나, 심지어 곡선부 또는 파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가요성을 위한 확대된 개구들을 갖는 4개의 지지 아암(116) 및 원위 지지 후프(118)를 구비하는 다른 지지 프레임(110) 변형을 도시한다. 지지 아암(116)들의 스트럿들은 지지 후프(118)에 사용되는 제2 스트럿 폭(146)과는 상이한, 지지 골(126)들과 후프 골(121)들 사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른 제1 스트럿 폭(114)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프의 제2 스트럿 폭(146)은 더 얇아서, 후프에 의해 발생되는 반경방향 힘을 감소시키고 혈관 벽과의 더 부드러운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더 얇은 후프는 또한 후프(118)와 외측 카테터의 내경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켜 외측 카테터를 통한 팁의 더 용이한 전진 및 후퇴를 허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지지 아암(116)들에서의 제1 스트럿 폭(114)에 대한 증가된 두께는, 프레임(110)을 확장되어 혈관 벽과 병치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흡인 동안에 발생되는 부압에 저항하도록 팁(100)이 확장된 때 부가된 강성을 제공함으로써 지지 후프(118)의 감소된 반경방향 힘을 상쇄할 수 있다. 아암(116)들은 또한 외측 커버 또는 멤브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더 많은 표면을 제공하도록 폐쇄 셀들 또는 파상부들을 가질 수 있다.
폐색 혈전의 위치 및 지지 프레임에 대한 압입성 및 가요성 요구들에 따라, 프레임의 지지 아암들의 스트럿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이점들이 얻어질 수 있다. 확대된 폐쇄 셀 개구들 및 가변 두께의 스트럿들을 갖는 4개의 지지 아암(116)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110)을 도 17a 내지 도 17d에서 볼 수 있다. 지지 아암 스트럿들은 근위 지지 골(126)들과 원위 후프 골(121)들 사이의 그들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협소 세그먼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협소 세그먼트(124)들은 외측 카테터를 통한 전진을 위해 붕괴된 구성에 있을 때, 또는 만곡된 혈관 내에서 전개될 때 프레임(110)의 측방향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프레임은 혈관 벽에 대한 완전한 병치를 유지하면서 뒤틀릴 수 있다. 협소 세그먼트(124)들이 지지 아암(116) 스트럿들의 중간 스팬(mid-span)에 그리고 지지체(126)와 후프 골(121)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경우, 프레임은 멤브레인을 위한 지지를 가지고서 고도로 가요성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요성 특성이 팁 프레임워크(110)의 지지 아암(116)들에 부가될 때, 팁(100)의 반경방향 힘 능력은 길이방향 축(111)에 대한 더 넉넉한 지지 아암 각도(α)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반경방향 힘은 혈관 외상에 기여함이 없이 적절한 시일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 프레임워크(110)가 30도 이상의 각도(α)로 열 고정된 때, 확장 힘의 더 큰 성분이 반경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다.
감소된 지지 아암 각도(θ)를 갖는 4개의 지지 아암(116) 및 덜 테이퍼 형성된 깔때기 형상을 구비하는 확장 지지 프레임(110)에 대한 유사한 설계의 다양한 도면이 도 18a 내지 도 18d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 아암 각도(θ)는 예를 들어 도 17a 내지 도 17d에서의 대략 45도와는 대조적으로 대략 30도일 수 있다. 하부 지지 아암 각도는 외측 카테터를 통해 장치를 전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면서, 또한 시술 동안에 확장된 프레임(110)을 외측 카테터 내로 후퇴시키는 데 필요한 대응하는 힘을 낮출 수 있다. 이들 힘은 광폭 또는 협소 세그먼트(124)를 아암(116) 및/또는 원위 후프(118) 내로 통합시킴으로써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아암 각도(θ)는 카테터 팁(100)이 외측 시스 또는 혈관 내에서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때 확장될 가능성이 더 적도록 45도 미만이지만 카테터의 마우스 프레임워크(110)가 비교적 짧은 길이로 유지되도록 10도 초과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지지 아암 각도(θ)를 최적화하는 것은 또한 외측 카테터의 원위 팁 및 표적 혈관의 벽에 대항하여 안착되도록 팁(100)을 도울 수 있다.
확장된 상태에 있을 때, 마우스 프레임워크(110)의 적어도 일부는 더 큰 피크 반경방향 치수로부터 더 작은 반경방향 치수로 원위방향으로 테이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팁 몸체의 외부 축방향 프로파일은 또한 혈관 벽과 매끄러운 계면을 제공하도록 넓게 둥글 수 있다. 원위 지지 후프(118)의 일부분이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어, 원위 후프 피크(119)들이 혈관 벽 내로 가압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혈관 손상을 야기함이 없이 짧은 거리에 걸쳐 확장된 팁이 혈관을 통해 전진되게 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4개의 지지 아암(116)을 갖는 지지 튜브(35)에 연결된 확장가능 팁(100)의 다른 지지 프레임(110)을 도시한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또한 이전에 보여진 설계의 것보다 더 작은 지지 아암 각도(θ)를 가질 수 있다. 원위 지지 후프(118)들의 부분들이 인접한 후프 골(121)들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아암(116)들은 길이방향 축(111) 둘레에서 시계형으로 90도 떨어져 있을 수 있고, 분기되어 하나 이상의 폐쇄 셀을 형성하여, 프레임이 혈관구조의 구불구불한 영역들을 통해 네비게이팅하면서 반대 측들에서 길어지고 짧아지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지지 아암(116)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근위의 지지 골(126)들 및 더 원위의 후프 골(121)들에 인접한 폐쇄 셀들 또는 세그먼트들의 부분들을 포함한, 팁의 근위 단부(112)와 원위 단부(114) 사이의 하나 이상의 파형 패턴 또는 파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협소 세그먼트(124)들과 조합된 파상부(130)들은 지지 프레임의 측방향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 아암(116)들은 마우스 프레임(110)의 근위 단부(112)에서 카테터의 지지 튜브(35)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튜브의 하나 이상의 스파인(42)은 지지 아암들 중 하나 이상과 정렬되어 스파인들과 프레임 사이에서 길이방향 힘의 매끄러운 전달을 허용할 수 있다. 스파인(42)들과 정렬되지 않은 지지 아암(116)들은 지지 튜브(35)의 원위 단부에 근접한 지점들에서 정렬되거나 종단되는 지지 아암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혈전 회수 동안에 발생되는 압축력은 시술 동안 지지 튜브(35) 또는 마우스 프레임(110)의 원치않는 확장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마우스 지지 프레임(110)들 중 임의의 것은 탄성중합체 멤브레인 커버(50)에 의해 봉입되거나 캡슐화될 수 있다. 이전의 도면들 중 많은 도면들이 명료함을 위해 커버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0은 멤브레인(50)이 지지 튜브(35)의 축방향 스파인(42)들과 원주방향 리브(43)들의 적어도 일부 및 확장가능 팁(100)의 마우스 프레임워크(110)의 스트럿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어떻게 덮을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멤브레인 커버(50)의 두께는 마우스 지지 프레임(110)의 스트럿들 사이에서 그리고 그들 위에서 유지될 수 있거나, 프레임(110)을 따라 두께가 변할 수 있다. 일례에서, 커버(50)는 스트럿들 사이의 멤브레인의 두께가 스트럿들 위 및 아래에서 멤브레인의 인대(ligament) 두께에 근사한 곳에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커버는 스트럿들 사이의 두께가 스트럿들 위와 아래에서 남아 있는 인대 두께보다 더 큰 곳에서 균일한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 커버(50)는 또한, 지지 프레임(110)과 커버의 함께의 전체 조립체에 대한 멤브레인으로부터의 강성의 기여를 변화시키도록 적절하게 위치된 기하학적 특징부 및/또는 박화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커버(50)는 마우스 프레임(110) 및 지지 튜브(35)의 스트럿들에 스티칭될(stitched) 수 있거나, 멤브레인 커버는 스트럿들 위에서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환류되고(지지 스트럿들의 내측 표면과 동일 높이에 있도록 함, 또는 내측 층 및 외측 층이 이용되어 스트럿들이 지지 스트럿들의 외측 표면 위와 내측 표면 아래에서 멤브레인 재료를 가질 수 있음), 열 수축되며, 지지 스트럿들의 외측 표면에 접합되거나 한정된 구역(52) 내의 제 위치에서 용접될 수 있다. 커버(50)는 또한 침지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지지 스트럿들의 내측 표면과 동일 높이에 있도록 함, 또는 내측 층 및 외측 층이 이용되어 스트럿들이 지지 스트럿들의 외측 표면 위와 내측 표면 아래에서 멤브레인 재료를 가질 수 있음). 커버(50)가 마우스 프레임워크(110)의 원위 단부(114)에 어떻게 정합되는지는 또한 도 21a 내지 도 21c의 프로파일 예들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변화될 수 있다. 멤브레인 커버(50)는 평평한 면(도 21a)으로 마무리될 수 있거나, 커버는 지지 프레임(110) 스트럿들의 윤곽을 따르도록 트리밍되고(trimmed) 원위 후프(118)의 주연부를 따라 구역(52)에서 열 용접될 수 있다(도 21b). 열은 멤브레인을 국소적으로 환류시킬 수 있고/있거나 멤브레인을 지지 스트럿들에 접합시킬 수 있고, 적어도 원위 후프(118)의 후프 피크(119)들의 영역에서 접합될 수 있다. 도 21c의 다른 예에서, 커버(50)는 마우스 프레임워크 후프 스트럿(118)들의 원위 단부(114)의 근위에 있는 위치로 반경방향 내향으로(또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절첩되기에 충분히 느슨하거나 헐렁하며, 내측 층과 외측 층 사이에 열 용접되거나 달리 접합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프레임 내에서 완전히 연장되어 프레임 스트럿들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멤브레인 커버(5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 놓인 지지 프레임(110)으로부터의 최소 반경방향 힘에 의해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도록 양호한 연성 및 높은 탄성 변형 한계를 갖는 구성의 것일 수 있다. 또는, 커버(50)가 탄성중합체 또는 비순응성 재료로 확장된 구성으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는 전달을 위해 붕괴된 경우 깔끔하게 감싸일 수 있고 사용을 위해 확장되는 경우 회복될 수 있다. 멤브레인 커버(50)에는 원형 마우스가 형성될 수 있고, 멤브레인 커버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혈관 벽과의 비외상성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환류, 침지, 또는 성형 공정을 통해 형성된) 연질 탄성중합체 또는 겔 리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 지지 프레임(110)의 커버는 또한 와류 또는 층류를 동반하는 구성으로 외측 및/또는 내측 원주 둘레에 배치되는 유동 안내 특징부, 예를 들어 복수의 가요성 핀(fin), 베인(vane), 또는 리세스(recess)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특징부는 형성 또는 성형 맨드릴(mandrel)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외측 카테터를 통한 혈전 회수 카테터의 원활한 전달 그리고 혈전 회수 카테터의 루멘을 통한 보조 장치의 원활한 전달을 허용하기 위해, 멤브레인 또는 외측 재킷의 확장가능 팁 및/또는 외측 표면은 저마찰 또는 윤활성 친수성 재료, 또는 저마찰 재료, 예를 들어 PTFE 또는 FEP와 같은 플루오로중합체로 코팅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확장가능 팁의 스트럿들의 내측 표면들, 또는 멤브레인 커버가 팁을 캡슐화하는 경우 멤브레인 커버의 내측 표면들은 또한 라이너로 코팅될 수 있거나 저마찰 특성으로 달리 제조될 수 있다.
많은 예에서, 지지 튜브(35)는 또한 외부 및/또는 내부 윤활성 필름 또는 코팅을 팁(100)과 공유할 수 있다. 코팅은 침지, 분무, 플라즈마, 프로파일링된 맨드릴, 또는 임의의 다른 통상 사용되는 기법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멤브레인 커버 또는 재킷에는 저마찰 특성을 갖는 입자가 함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마우스 프레임워크(110)는 팁-혈관 벽 시일의 근위 측으로부터 감소된 혈류를 허용하는 전기-방사된 또는 다른 다공성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50% 내지 99%,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유동 감소가, 근위 측으로부터 작은 복원 유동 부분을 허용하면서, 여전히 흡인 유동의 대부분을 혈전으로 유도할 것이다. 이러한 유동은, 혈관이 주위 조직으로부터 지지를 거의 받지 않는 위치에서, 또는 차단된 혈관과 확장된 팁(100) 사이에 측분지가 없고 기계식 혈전제거 장치 또는 스텐트리버(stentriever)가 차단된 혈관의 일부분을 개방할 수 없었던 경우에, 과도한 흡인 하에서 혈관 붕괴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마우스 지지 프레임 예들은 원위방향으로 서로 독립되어 개별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길이방향 지지체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d는 확장가능 팁(200)이 장치의 길이방향 축(111) 둘레에 배열된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들로 형성된 복수의 상호 연결된 스트럿들을 갖는 지지 프레임(210)을 구비하는 하나의 경우를 도시한다. 페탈(215)들은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아암(216)을 결합시키는 원위 후프 부재(218)들을 가질 수 있고, 페탈들은 그들 사이에 중첩이 없도록 크기가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페탈(215)들은 멤브레인 커버에 의해 원하는 확장된 형상에서 유지될 때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과대 크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첩하는 페탈들은, 시술 동안 변형들을 공유하고 분배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활주하면서 프레임의 반경방향 힘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개시된 예들과 유사하게,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페탈(215)들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길이방향 축(111) 둘레에서의 아암(216)들의 조합에 의해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아암(216)들의 스트럿들은 분기되어 하나 이상의 파상부 또는 폐쇄 셀(220)을 형성하여, 팁(200)이 표적 부위에서 전개되고 확장될 때, 외측 카테터를 통한 내비게이션 동안에 또는 혈전제거 시술 동안에 겪게 되는 힘들에 응답하여 페탈(215)들이 독립적으로 길어지게 하고 짧아지게 할 수 있다. 팁(200)의 길이방향 축(111)과 밀접하게 정렬된 길이방향 아암(216)들을 갖는 것은 양호한 기둥 강성 및 압입성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페탈(215)들은 또한, 발생된 반경방향 힘을 향상시키고 흡인 동안 멤브레인 커버를 추가로 지지하기 위한 다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은 또한,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카테터의 지지 튜브와의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지지 골(126)들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근위 지지 후프(230)들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스트럿(236)들은 근위 지지 후프(230)들의 원위 종단 피크들을 형성할 수 있고, 후프들을 프레임의 길이방향 아암(216)들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들을 갖는 카테터를 위한 대안적인 지지 프레임(210)의 다양한 도면을 갖는다. 근위 지지 후프(230)들, 길이방향 아암(216)들, 및 원위 후프 부재(218)들의 스트럿들은 지지 프레임(210)의 근위 단부(112)와 원위 단부(114) 사이에서 가변 또는 테이퍼링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지지 후프(230)들의 스트럿들은, 예를 들어 연결 스트럿(236)들의 것들보다 더 두꺼울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폐쇄 셀(220)들을 형성하는 길이방향 아암(216)들의 스트럿들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의 국소적 협소 세그먼트들과 유사하게, 마우스 프레임(210)의 스트럿 폭의 이러한 점진적인 원위 박화는 개별 페탈(215)들을 측방향 하중들에 독립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가요성 있게 유지하면서 반경방향 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유사한 변형에서, 도 25a 내지 도 25d는 4개의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들을 연결하는 8개의 근위 지지 후프(230)들을 갖는 확장가능 팁(200)을 위한 지지 프레임(210)의 다양한 배향을 도시한다. 도 25b에서, 지지 후프들에 대한 근위 종단부를 형성하는 지지 골(126)들은 엇갈린 축방향 간격을 가질 수 있고, 커넥터(236)들과 폐쇄 셀(220)들의 근위 측과 원위 측에서의 스트럿들의 교차들은 프레임(210) 전체에 걸쳐 더 동등하고 균형잡힌 스트럿 간격을 허용하도록 도 24c의 것과는 상이한 각도들로 일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들을 갖는 마우스 지지 프레임(210)은 지지 튜브에 대한, 공통 축방향 스트럿에 대한 또는 최원위 리브 또는 립(lip)(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직접 연결부들을 가질 수 있다. 4개의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을 형성하도록 4개의 원위 후프 부재(216)를 연결하는 8개의 길이방향 아암(216)들을 갖는 직접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이 도 26a 내지 도 26d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210)의 근위 단부(112)에서의 길이방향 아암(216)들의 직접 연결부들은 다른 설계들에서 형성된 근위 지지 후프(230)들을 대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 직접 연결부들은 카테터가 구불구불한 전진 경로에 직면할 때 개별 페탈들이 지지 프레임 주위에서 그리고 서로에 대해 더 자유롭게 휘어지고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길이방향 아암(216)들은 멤브레인 커버를 위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면서 필요한 반경방향 힘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폐쇄 셀(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직접 연결부들 및 폐쇄 셀들의 간격은, 페탈들이 커버에 의해 프레임의 원하는 반경방향 형상으로 유지될 때 서로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팁이 외측 카테터 내로 절첩될 때 깔끔하게 붕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마우스 프레임(210)이 6개의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 및 근위 단부(112)에서의 직접 연결부로부터 지지 튜브(도시되지 않음)까지 각각 연장되는 6개의 길이방향 아암(216)을 갖는, 대안적인 확장가능 팁(200)을 도시한다. 길이방향 아암(216)들 각각은 원위 단부(114)에서 넓게 둥근 후프 부재(218)들로 종료하는 하나 이상의 폐쇄 셀(220)을 포함할 수 있다. 페탈(215)들의 후프 부재(218)들의 일부분은 반경방향 내향으로 만곡됨으로써 팁(200) 프로파일의 피크 최대 확장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은 원위 후프 부재(218)들이 혈관 벽 내로 가압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필요할 때 혈관 손상을 유발함이 없이 확장된 팁이 혈관을 통해 간단히 전진되게 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은 또한, 도 28a 내지 도 2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을 형성하도록 근위 단부(112)에서의 직접 연결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6개의 길이방향 아암(216)을 가질 수 있다. 구속되지 않을 때, 페탈(215)들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길이방향 축(111) 둘레에서의 아암(216)들의 조합의 윤곽은 실질적으로 원추형일 수 있다. 길이방향 아암(216)들 중 하나 이상은 그들의 프로파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원주방향 파상부(130)들 또는 파형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파상부(130)들은 프레임(210)의 측방향 가요성을 향상시키면서 멤브레인 커버에 대한 더 큰 지지 면적을 제공하는 프로파일을 아암들에 제공한다. 커버를 위한 지지 영역은 파상부의 진폭을 증가시킴으로써, 그들의 요동(oscillation) 주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파상부(130)들은 또한 프레임이 붕괴된 구성에 있을 때 상보적인 방식으로 함께 포개지고 절첩되도록 엇갈리거나 달리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길이방향 아암(216)들은 루프들 또는 폐쇄 셀(220)들을 형성하도록 후프 부재(218)들에 의해 원위 단부에서 캡핑될(capped) 수 있다. 아암(216)들의 폐쇄 셀(220)들의 최원위 단부는 도 28b 및 도 2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최대 확장 직경으로부터 내향으로 테이퍼 형성되어 프레임(210)에 더 비외상성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c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이, 대안적인 확장가능 마우스 지지 프레임(210)은 길이방향 축(111) 둘레에서 동등하게 이격된 5개의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페탈을 구성하는 길이방향 아암(216)은 지지 튜브에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길이방향 아암(216)들의 스트럿들은 양호한 압입성을 원위 가요성과 조합하기 위해 아암들의 더 원위인 영역에서의 스트럿들의 제2 두께와 상이한 제1 두께를 근위 단부(112) 부근에서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들과 유사하게, 아암(216)들은 아암들이 그들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구부러지고 휘어지게 하도록 파상부(130)들을 가질 수 있고, 멤브레인 커버에 대한 더 큰 지지를 제공하는 원위 폐쇄 셀(220)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들의 설계들의 6개 이상과 비교하여 도 29a 내지 도 29c에서의 더 적은 연결되지 않은 페탈(215)들이 주어진 스트럿 두께 및 폭에 대한 증가된 굽힘 가요성 및 팁의 마우스에 대한 비외상성 곡선을 제공할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멤브레인 커버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더 적은 페탈들을 갖는 설계는 시술 동안 흡인의 흡입력 하에서 커버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절한 반경방향 힘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추가의 파상부(130)들 및/또는 폐쇄 셀(2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방향 아암(216)들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파상부 또는 파형(130)을 갖고 원위 단부(114)에서 길이방향 축(111) 둘레에 폐쇄 셀(220)들의 어레이를 갖는 지지 프레임(210)의 몇몇 도면이 도 30a 내지 도 30d에서 고려된다. 파상부(130)들은 원주방향일 수 있고 매끄러운 주기적 요동을 가질 수 있거나, 아암들 및 요동부들은 축(111)에 대해 나선형 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다. 아암(216)에서의 파상부들의 추가의 길이는 각각의 페탈(215)이 다른 페탈들과 독립적으로 아암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더 양호하게 토크를 전달하고 구부러지게 하여, 프레임이 붕괴된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카테터를 통해 더 용이하게 추적할 장치를 제공한다. 아암(216)들에서의 나선형 비틀림은 또한 구불구불한 혈관 해부학적 구조물을 통해 토크를 전달함에 있어서 페탈(215)들을 도울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구성에서, 카테터의 확장가능 마우스 팁(300)은 도 31a 및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셀 메시(310)로 조직화된 스트럿들 또는 스트랜드(strand)들의 반경방향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메시는 근위 단부(112), 원위 단부(114)를 가질 수 있고, 외측 카테터를 빠져나갈 때 구속되지 않고 확장되게 되는 경우에 길이방향 축(111)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원추형 또는 깔때기-유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메시 어레이는, 마우스가 붕괴된 전달 구성으로부터 확대된 전개 구성으로 자가-확장하기 위해 열 고정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제조되거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절삭될 수 있다. 메시(310)는 근위 단부(112)에서 카테터의 지지 튜브(35)에 접착되거나 달리 연결될 수 있다. 메시 패턴(310)은 근위 단부를 부착하기 위한 단일 원주방향 조인트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거나, 지지 튜브(35)가 스파인(42)들 및 리브(43)들의 구조체를 가질 때, 메시의 개별 스트랜드들은 튜브의 최원위 리브에 접합될 수 있다. (도 22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가요성 중합체 멤브레인(50)이 카테터 팁(300)의 폐쇄 셀 메시(3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지지 튜브(35)는 패턴화된 메시 또는 코일형 구조체로 형성된 금속 및/또는 중합체 스트랜드 구성물을 가질 수 있다. 구조체는 연속 튜브형 카테터 몸체로서 반경방향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심지어 확장가능 팁(300)과 일체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 튜브(35)와 팁(300) 사이의 강성 전이는 최소화되어, 단일 지지편에 근사하고 변형을 더 양호하게 분포시킨다. 튜브는 보조 장치의 내부 통로 및 외측 카테터 내에서의 추적성을 위한 매끄러운 표면들을 제공하도록 커버 또는 멤브레인으로 코팅되거나 캡슐화될 수 있다.
도 31b는 확장가능 팁(300)의 폐쇄 셀 메시(310)의 가능한 반복 패턴을 보여주는 확대도를 도시한다. 평탄 패턴으로부터 절삭된 때, 형성된 메시 패턴(310)의 반경방향 프로파일은 길이방향 축(111)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갖고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파일은 혈관의 벽과의 접촉을 위한 더 비외상성이고 둥근 외측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더 넓게 벌어진 오목한 원호일 수 있다.
마우스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폐쇄 셀 메시 어레이(310)는 인접한 셀들의 꼭짓점들의 공유를 통해 상호 로킹되는 삼각형 또는 사변형 셀들과 같은 도시된 바와 같은 연속적인 다각형 패턴일 수 있다. 하나의 경우에, 어레이(310)는, 국소 어레이 피크(312)들이 공유 꼭짓점들을 나타내는 곳에서 개별 폐쇄 셀들이 형성되는, 도 31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세장형의 사변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패턴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 방식으로 반복될 수 있고, 인접 셀들의 최원위 어레이 피크(312)들은 만곡된 원위 후프(314)들 또는 크라운들에 의해 연결되어 확장가능 마우스의 주변부를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원위 후프들의 피크들은 단일의 완전히 원주방향인 후프 또는 크라운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개별 원위 후프들이 분기된 혈관들 또는 유사한 특징부들에 끼이거나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유되는 어레이 피크(312)들에 의해 형성된 셀들은 폐쇄 셀 메시(310) 구조체의 개방된 기공(316)들을 한정한다. 메시의 기공(316)들은 확장가능 팁(300)의 여과 특성들을 조정하도록 하는 크기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기공은 향상된 가요성을 팁에 제공하여, 표적 부위에서 확장된 구성으로 전개될 때 팁에 대해 근위인 영역들로부터의 혈류를 차단 또는 제한하기 위해 외측 멤브레인 커버 또는 재킷(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면서 전달성 이점을 낳는다.
대안적으로, 기공(316)들은 외부 재킷 또는 멤브레인 커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까지 충분하게 유동을 저지하기에 충분히 조밀한 메시 어레이(310)를 형성하도록 마이크로-크기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 튜브(35)의 외측 커버는, 팁의 직경이 전개 구성으로 확장되기 시작하는, 확장가능 팁(300)의 근위 단부(112)의 바로 원위에 있는 영역에서 또는 그에 가까이서 종단될 수 있다. 외측 멤브레인 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확장가능 팁(300)은 외측 카테터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고, 요구되는 전진 힘이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여전히 적용될 수 있지만, 윤활 또는 저마찰 코팅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능력 및 응용을 갖는 구매가능한 제품에서 발견되는 매우 다양한 최소 침습성 스텐트 패턴, 메시, 또는 스크린이 있다. 확장가능 팁(300)의 폐쇄 셀 메시(310)가 스텐트 특허 및 제품의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확장 스텐트 패턴을 이용할 수 있음과, 기공(316) 크기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들로 제한될 필요가 없음이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 및 상세사항이 변화될 수 있는 기술된 예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원위" 및 "근위"는 이전의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사용되고, 치료 의사에 대한 위치 및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와 같이, "원위" 또는 "원위방향으로"는 의사에게 먼 위치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근위" 또는 "근위방향으로"는 의사 근처의 위치 또는 그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이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수치 값 또는 범위에 대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집합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그의 의도된 목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적합한 치수 허용오차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약" 또는 "대략"은 열거된 값의 ±20%의 값의 범위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약 90%"는 71% 내지 99%의 값의 범위를 지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술함에 있어서, 명확함을 위해 용어가 참조되었다. 각각의 용어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그의 가장 넓은 의미로 고려되며,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유사하게, 장치 또는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언급이 명확하게 식별되는 그러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추가의 구성요소 또는 개재하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의 언급은 명확하게 식별되는 그러한 단계들 사이의 추가의 방법 단계 또는 개재하는 방법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확함 및 간결함을 위해, 모든 가능한 조합이 열거된 것은 아니며, 그러한 변형은 흔히 당업자에게 명백하고 하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혈전 회수 카테터(clot retrieval catheter)를 위한 확장가능 마우스(mouth)로서,
    근위(proximal) 단부;
    원위(distal) 단부;
    길이방향 축; 및
    복수의 상호 연결된 스트럿(strut)들, 붕괴된 전달 구성(collapsed delivery configuration), 확장된 전개 구성(expanded deployed configuration), 및 중합체 멤브레인 커버(membrane cover)를 포함하는 자가-확장 마우스 프레임워크(framework)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상기 스트럿들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개 구성에서 상기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표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arm), 및
    상기 혈전 회수 카테터의 마우스 개구의 원주방향 주연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원위 후프(hoop)를 포함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에 근위방향으로 연결된 지지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튜브는 복수의 리브(rib)들 및 하나 이상의 축방향 스파인(spine)을 포함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는 하나 이상의 협소 세그먼트(narrowed segment)를 더 포함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튜브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스파인은 지지 아암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확장가능 마우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는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근위 부분이 제1 반경방향 크기를 갖고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원위 부분이 상기 제1 최대 반경방향 크기보다 더 큰 제2 반경방향 크기를 갖도록 테이퍼 형성되는, 확장가능 마우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최대 반경방향 크기는 직경이 2.5 mm 이상이고, 표적 혈관의 내경보다 더 큰 크기로 되는, 확장가능 마우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후프 또는 후프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상기 최대 반경방향 크기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확장가능 마우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들의 스트럿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원위 후프들의 스트럿들의 폭의 적어도 일부분의 폭과 상이한 폭을 갖는, 확장가능 마우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의 스트럿들은 지지 골(trough) 및 후프 골에서 종단되어 폐쇄 셀(closed cell)을 형성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파상부(undulation)를 포함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의 스트럿들은 상기 지지 튜브 및 후프 골에서 종단되어 폐쇄 셀을 형성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들과 상기 길이방향 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는 대략 10도 내지 대략 45도의 범위를 갖는, 확장가능 마우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들과 상기 길이방향 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대략 30도인 것을 더 포함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14. 혈전 회수 카테터를 위한 확장가능 마우스로서,
    길이방향 축;
    복수의 상호 연결된 스트럿들을 포함하고, 붕괴된 전달 구성 및 확장된 전개 구성을 갖는 자가-확장 마우스 프레임워크로서,
    상기 복수의 상호 연결된 스트럿들은 상기 길이방향 축 둘레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petal)로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페탈들은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아암을 연결하고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상기 스트럿들로부터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원위 후프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자가-확장 마우스 프레임워크; 및
    상기 마우스 프레임워크의 적어도 일부분을 코팅하는 중합체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들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아암 각각의 스트럿들은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파상부를 포함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원위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은 페탈 각각의 스트럿들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 셀을 형성하는, 확장가능 마우스.
  17. 흡인(aspiration)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형성하는 확장가능 마우스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상기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 둘레에 배치되는 폐쇄 셀 메시(mesh)를 형성하는 반경방향 스트랜드 어레이(strand array)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셀 메시는 붕괴된 전달 구성으로부터 확대된 전개 구성으로 자가-확장가능하고, 상기 확대된 전개 구성은 상기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폐쇄 셀 메시의 스트랜드들은 국소 어레이 피크들과 에워싸인 기공(pore)들의 완전히 연결된 스텐트(stent) 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확장가능 마우스의 상기 원위 단부에서의 인접한 어레이 피크들은 원위 후프들에 의해 연결되는, 확장가능 마우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셀 메시의 상기 기공들은 혈류를 저지하도록 하는 크기로 된, 확장가능 마우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셀 메시의 적어도 일부분은 중합체 멤브레인 커버로 덮이는, 확장가능 마우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셀 메시의 적어도 일부분은 저마찰 코팅으로 코팅되는, 확장가능 마우스.
KR1020210078733A 2020-06-18 2021-06-17 카테터 마우스 설계 KR20210157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46,371 US20210393277A1 (en) 2020-06-18 2020-06-18 Catheter mouth designs
US16/946,371 2020-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348A true KR20210157348A (ko) 2021-12-28

Family

ID=7680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733A KR20210157348A (ko) 2020-06-18 2021-06-17 카테터 마우스 설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93277A1 (ko)
EP (1) EP3925551A3 (ko)
JP (1) JP2022000144A (ko)
KR (1) KR20210157348A (ko)
CN (1) CN1138134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804A (ko) 2022-08-09 2024-02-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조향 및 확장 가능한 흡인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7156A1 (en) * 2021-03-01 2022-09-09 Endovascular Engineering, Inc. Aspi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thrombosis including expandable distal end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WO2023178212A2 (en) * 2022-03-15 2023-09-21 Shifamed Holdings, Llc Thrombus removal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20240066264A1 (en) * 2022-08-25 2024-02-29 Neuravi Limited Collapsible and expandable support frames for catheter tips
US20240074770A1 (en) * 2022-09-01 2024-03-07 Endovascular Engineering,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spiration, including expandable structures and rotatable shafts
US20240100298A1 (en) * 2022-09-26 2024-03-28 Neuravi Limited Catheter with spine reinforce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7320B2 (en) * 2001-12-21 2006-05-02 Salviac Limited Support frame for an embolic protection device
JP3660931B2 (ja) * 2003-09-22 2005-06-15 新 石丸 血栓塞栓捕獲装置
US20080188928A1 (en) * 2005-09-16 2008-08-07 Amr Salahieh Medical device delivery sheath
US8066757B2 (en) * 2007-10-17 2011-11-29 Mindframe, Inc. Blood flow restoration and thrombus management methods
US8777976B2 (en) * 2008-07-22 2014-07-15 Neuravi Limited Clot capture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WO2010102307A1 (en) * 2009-03-06 2010-09-10 Lazarus Effect, Inc. Retrieval system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11259824B2 (en) * 2011-03-09 2022-03-01 Neuravi Limited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US20190216476A1 (en) * 2011-10-05 2019-07-18 Penumbra,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ischemic stroke
US20130144328A1 (en) * 2011-12-06 2013-06-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xpanding distal sheath with combined embolic protection
US10688230B2 (en) * 2013-03-07 2020-06-23 Circulite, Inc. Malleable cannula
US10792056B2 (en) * 2014-06-13 2020-10-06 Neuravi Limited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al of acute blockages from blood vessels
WO2016189394A1 (en) * 2015-05-27 2016-12-01 Angioworks Medical, B.V. Devices and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tissue removal
AU2018204059A1 (en) * 2017-06-28 2019-01-17 Neuravi Limited Clot retrieval system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CN111511296A (zh) * 2017-09-30 2020-08-07 赛瑞特锐弗有限公司 取出系统
EP3697326A4 (en) * 2017-10-16 2021-07-14 Shanghai Wallaby Medical Technologies Co.,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CLOGGED BLOOD VESSELS
US11305095B2 (en) * 2018-02-22 2022-04-19 Scientia Vascular, Llc Microfabricated catheter having an intermediate preferred bending s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804A (ko) 2022-08-09 2024-02-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조향 및 확장 가능한 흡인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5551A2 (en) 2021-12-22
EP3925551A3 (en) 2022-03-09
CN113813489A (zh) 2021-12-21
JP2022000144A (ja) 2022-01-04
US20210393277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7348A (ko) 카테터 마우스 설계
US11259824B2 (en)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US20210259720A1 (en)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a clot from a blood vessel
US11779364B2 (en) Actuated expandable mouth thrombectomy catheter
US11944327B2 (en) Expandable mouth aspirating clot retrieval catheter
US11759217B2 (en) Catheter tubular support
KR20230065172A (ko) 편조 지지된 플레어 팁을 갖는 슈퍼-보어 카테터
US20230414337A1 (en) Embolic Protection Device
EP4066784A1 (en) Embolic protec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