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022A -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 Google Patents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022A
KR20210157022A KR1020200074780A KR20200074780A KR20210157022A KR 20210157022 A KR20210157022 A KR 20210157022A KR 1020200074780 A KR1020200074780 A KR 1020200074780A KR 20200074780 A KR20200074780 A KR 20200074780A KR 20210157022 A KR20210157022 A KR 2021015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ventilation device
coupled
protrusion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박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화 filed Critical 박경화
Priority to KR1020200074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022A/ko
Publication of KR2021015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022A/ko
Priority to KR1020230093081A priority patent/KR20230113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환풍 장치는, 환풍기 몸체부; 상기 환풍기 몸체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창틀에 형성된 제 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1 함몰부; 및 상기 제 1 함몰부에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함몰부 내부에 구비된 제 1 탄성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REMOVABLE VENTILATOR FOR WINDOW FRAME}
본 개시는 환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창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환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공기는 실내에서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나 각종 건축자재와 전자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물질 등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는데, 이렇게 오염된 공기가 실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거주자의 건강을 악화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실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환풍 장치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환풍 장치는 최초 설치될 때 창틀이나 벽 등에 구멍을 뚫거나 나사 등을 체결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후에는 환풍 장치의 제거나 이동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풍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구멍을 뚫고 전문가에 의해 시공이 진행되어야 하는 바, 설치비용과 시간이 만만치 않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환풍 장치에 대한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8542호는 창틀 부착 환풍기로서, 별도의 판넬을 이용하여 환풍기 아래를 지지함으로써 창틀에 설치되는 환풍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시공 없이 창틀에 환풍기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었으나, 부피가 크고 보관이 비용이한 판넬 없이는 환풍기를 설치할 수 없어 일반 가정에서의 사용이 결코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0000821호는 이동식 환풍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환풍기를 창틀 홈에 세워 넣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어 설치 위치가 창틀 하단으로 제한되고, 창틀에 설치되더라도 창틀 홈과의 유격으로 인해 환풍기의 작동이 불안정해지거나 장기간 사용에 따라 변형 또는 파손이 생기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창틀마다 상이한 창틀 홈의 간격으로 인해 설치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저렴하고 손쉽게 설치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되는 경우 창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파손 내지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창틀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한 환풍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854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0000821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환풍 장치는, 환풍기 몸체부; 상기 환풍기 몸체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창틀에 형성된 제 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1 함몰부; 및 상기 제 1 함몰부에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함몰부 내부에 구비된 제 1 탄성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풍 장치는, 상기 창틀에 상기 환풍기 몸체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창틀과 상기 환풍기 몸체부 사이에 개방된 영역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함몰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 공간에 권취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에서 노출되는 차폐막; 및 상기 차폐막에 결합되고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에 대향하는 제 2 돌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함몰부에 상기 차폐부 및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차폐부 및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 각각의 양측 단부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함몰부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2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2 함몰부가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함몰부에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2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함몰부 내부에 구비된 제 2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막은, 일단이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함몰부에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2 돌출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2 돌출부의 양측 단부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제 2 함몰부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창틀에 별도의 시공 없이 설치될 수 있고, 창틀에서 분리되는 경우 부피를 감소시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창틀 탈부착 환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 장치가 창틀에 설치된 모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 장치의 환풍기 몸체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중 환풍기 몸체부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 장치의 환풍기 몸체부가 창틀에 설치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 장치의 차폐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 장치가 창틀에 설치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 장치가 창틀에 설치된 모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창틀(2000)에 설치되는 환풍 장치(1000)는 환풍기 몸체부(1200) 및 차폐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환풍 장치(10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환풍 장치(10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환풍기 몸체부(1200)는 창틀에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된 환풍기를 통해 실내 공기가 환기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환풍 장치(1000)는 환풍기 몸체부(1200) 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풍기 몸체부(1200) 한 개가 창틀(20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의 공간이 개방되는 경우, 실내 상층부의 더운 공기가 환풍기(121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고,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의 공간을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부(1300)는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에 설치된 경우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 또는 위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 또는 위의 공간이 차폐되어 외부 오염물질 등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환풍 장치(1000)는 내부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환풍 장치(1000)의 환풍기 몸체부(1200)는 창틀(20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환풍 장치(1000)의 차폐부(1300)는 환풍기 몸체부(1200)의 하단 또는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차폐부(1300)는 환풍기 몸체부(1200) 하단에 결합되어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차폐부(1300)는 환풍기 몸체부(1200) 상단에 결합되어 환풍기 몸체부(1200)의 위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차폐부(1300)가 환풍기 몸체부(1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의 공간을 차폐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환풍 장치(1000)는 복수 개의 환풍기 몸체부(12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풍기 몸체부(1200) 두 개가 각각 창틀(2000)의 상부 및 하부에 한 개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환풍기 몸체부(1200) 사이에 공간이 있는 경우 상기 공간에 차폐부(1300)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풍기 몸체부(1200)는 환풍기(1210), 제 1 함몰부(1220) 및 제 1 탄성 부재(1221, 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환풍기 몸체부(1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차폐부(1300)는 수납부(1320), 삽입부(1310), 차폐막(1330) 및 결합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차폐부(1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창틀(2000)은 예컨대 거실 등과 같은 실내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종래 알려져 있는 샤시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창틀(2000)은 창틀을 형성하기 위한 각 부재, 즉, 창문 프레임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창문 프레임을 가이드 하는 창틀 상부 돌출부, 창틀 하부 돌출부, 그리고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의 양측단에 연결되는 양측면 돌출부로 구성된다.
전술한 창틀 상하부 및 양측면 돌출부의 두께는, 창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3mm 이상 6mm 이하의 범위를 가진다. 이에,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환풍기 몸체부(1200)의 제 1 함몰부(1220) 및/또는 차폐부(1300)의 결합부(1340)의 제 2 함몰부(1341)의 함몰너비가 특정 범위의 너비로 형성되는 경우, 본 개시에 따른 환풍 장치(1000)는 창틀의 종류와 무관하게 임의의 창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환풍 장치(1000)가 창틀(2000)에 설치되는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해 후술한다.
도 2는 환풍기 몸체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중 환풍기 몸체부(1200)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기 몸체부가 창틀에 설치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환풍기 몸체부(1200)는 환풍기(1210), 환풍기 몸체부(1200)를 창틀(2000)의 제 1 돌출부(2100)와 결합할 수 있는 제 1 함몰부(1220), 및 창틀(2000)의 제 1 돌출부(2100)가 제 1 함몰부(1220)와 결합되는 경우 제 1 돌출부(2100)를 고정할 수 있는 제 1 탄성 부재(1221, 1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환풍기 몸체부(1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환풍기 몸체부(1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환풍기(1210)는 환풍기 몸체부(1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환풍기(1210)는 종래기술에 따른 환풍기와 동일한 것으로, 환풍기(1210)의 회전날개 등을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환풍기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환풍기(121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환풍기 몸체부(120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전원코드(미도시)가 외부전원과 연결됨으로써 공급될 수 있다. 또는, 환풍기 몸체부(1200) 일측에 전원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되고, 전원스위치는 전술한 외부전원과 환풍기(1210)를 연결하는 전원코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함몰부(1220)는 환풍기 몸체부(1200)에 형성되어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에 설치되는 경우에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함몰부(1220)는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 1 탄성부재(1221, 12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함몰부(1220)는 환풍기 몸체부(1200)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함몰부(1220)는 환풍기 몸체부(1200)의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제 1 함몰부(1220)는 환풍기 몸체부(1200)의 각 측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 1 함몰부(1220)는 환풍기 몸체부(1200)의 사방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함몰부(1220)는 일정한 너비와 일정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함몰부(1220)는 임의의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6mm 초과의 함몰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함몰부(1220)는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에 설치되는 경우에,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와 끼움결합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함몰부(1220)는 내부에 제 1 탄성부재(1221, 1222)를 고정하기 위한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함몰부(1220) 내부에 제 1 함몰부(1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홈에 제 1 탄성부재(1221, 122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접착제 등을 통해 제 1 탄성부재(1221, 1222)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 1 함몰부(1220)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탄성부재(1221, 1222)에 관하여 후술한다.
제 1 탄성부재(1221, 1222)는 제 1 함몰부(1220)에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돌출부(2100)의 양측 단부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돌출부(2100)는 제 1 함몰부(12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탄성부재(1221, 1222)는 제 1 함몰부(1220) 내부에 제 1 함몰부(1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탄성부재(1221, 1222)는 제 1 함몰부(1220)에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돌출부(2100)의 양측 단부를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 1 함몰부(1220)에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결합되는 경우, 한 쌍의 제 1 탄성부재(1221, 1222) 사이의 간격은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 1 탄성부재(1221, 1222)의 변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의 양측 단부가 가압될 수 있다.
한편, 제 1 탄성부재(1221, 1222)는 제 1 함몰부(1220)에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돌출부(2100)의 양측 단부에 대한 충분한 가압이 가능하도록 특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 1 탄성부재(1221, 1222)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3mm 미만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탄성부재(1221, 1222)에 의해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제 1 함몰부(1220) 내에 환풍기 몸체부(1200)와의 유격 없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풍기 몸체부(1200)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환풍기 몸체부(1200)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환풍 장치(1000)의 파손 내지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 1 탄성부재(1221, 1222)의 변형에 따른 복원력 및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와 제 1 탄성부재(1221, 1222)의 밀착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제 1 함몰부(1220)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의 하단뿐만 아니라 상단에도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환풍 장치(1000)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제 1 탄성부재(1221, 1222)는 제 1 함몰부(1220)에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돌출부(2100)의 두께에 따라 용이하게 형태가 변형되며,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 제 1 돌출부(2100)의 양측 단부에 대한 충분한 가압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NBR, 실리콘 중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탄성부재(1221, 1222)의 단면은 반원형 형상 또는 사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에 설치되는 동작에 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환풍기 몸체부(1200)의 제 1 함몰부(1220) 내부의 양측 벽면에 제 1 탄성부재(1221, 1222)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함몰부(1220)에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탄성부재(1221, 1222)가 변형되며, 제 1 탄성부재(1221, 1222)의 변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 양측 단부가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는 제 1 함몰부(122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동작에 의해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20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 장치(1000)의 차폐부(13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폐부(1300)는 수납부(1320), 삽입부(1310), 차폐막(1330) 및 결합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차폐부(1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차폐부(13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수납부(1320)의 내부에는 차폐막(1330)이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부(132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주면을 따라 차폐막(1330)을 권취할 수 있는 회전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수납부(1320)의 몸체는 원기둥, 사각기둥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수납부(1320)의 외부에는 삽입부(1310) 및 출입홈(1325)이 각각 수납부(1320)를 기준으로 하여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310)는 차폐부(1300)를 환풍기 몸체부(1200)에 결합시킬 때 환풍기 몸체부(1200)에 구비된 제 1 함몰부(122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삽입부(1310)는 환풍기 몸체부(1200)에 구비된 제 1 함몰부(1220)에 삽입되어 차폐부(1300)를 환풍기 몸체부(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부(1310)는 환풍기 몸체부(1200)의 제 1 함몰부(1210)에 결합되기 위하여 창틀의 돌출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1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3mm 이상 6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삽입부(1310)는 환풍기 몸체부(1200)에 차폐부(1300)가 결합되는 경우 환풍기 몸체부(1200)의 제 1 함몰부(1210)에 끼움결합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입홈(1325)은 차폐막(1330)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홈일 수 있다.
일례로, 차폐막(13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납부(1320) 내에 권취된 차폐막(1330)의 적어도 일부는 출입홈(132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수납부(1320) 외부로 노출된 차폐막(1330)의 적어도 일부는 출입홈(1325)을 통해 수납부(1320) 내로 인입되어 수납부(1320) 내에 권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홈(1325)은 수납부(1320)의 길이 방향(도 5의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차폐막(1330)의 너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폐막(1330)은 수납부(1320) 내부에 권취되거나 수납부(1320)로부터 임의의 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막(1330)은 환풍기 몸체부(1200)가 창틀에 설치된 경우 창문에서 개방된 영역을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막(1330)은 수납부(1320) 내에 권취될 수 있으며,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 또는 위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해 수납부(1320)로부터 임의의 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차폐막(1330)의 일단은 수납부(1320) 내에 결합되며, 타단은 출입홈(1325)을 지나 수납부(1320) 외부로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홈(1325)을 지나 노출될 수 있는 차폐막(1330)의 타단에는 결합부(13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134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한다.
한편, 차폐막(1330)은 수납부(132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혹은 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수납부 외부로 노출된 차폐막에 직접 외력을 가하는 방법, 회전부재에 연결된 구동줄에 외력을 가하되 구동줄을 잡아당기는 방향에 따라 차폐막이 감기거나 풀리게 하는 방법, 회전부재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되 구동 방향에 따라 차폐막이 감기거나 풀리게 하는 방법, 회전부재에 스프링을 내설하여 사용자가 차폐막을 직접 잡아당긴 뒤 고정시키되 고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차폐막이 감기게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차폐막(1330)은 얇고 넓은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죽, 인조 가죽, 텍스타일 섬유,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1340)는 차폐막(1330)이 출입홈(1325)을 지나 수납부(1320)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차폐막(1330)을 창틀에 결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 또는 위의 공간의 차폐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결합부(1340)는 차폐부(1300)가 환풍기 몸체부(1200) 아래 공간을 차폐하는 경우, 블라인드의 웨이트바와 같이 차폐막(1330)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340)는 제 2 함몰부(1341)가 구비된 하우징 및 제 2 함몰부(1341) 내부에 구비된 제 2 탄성 부재(1342, 13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부(1340)는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 2 함몰부(1341) 및 제 2 탄성 부재(1342, 1343)를 구비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우징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함몰부(1341)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너비와 일정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함몰부(1341)는 창틀(2000)의 제 2 돌출부(1341)가 결합될 수 있도록 6mm 초과의 함몰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함몰부(1341)는 차폐부(1300)가 창틀(2000)에 설치되는 경우,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와 끼움결합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함몰부(1341)는 내부에 제 2 탄성부재(1342, 1343)를 고정하기 위한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함몰부(1341) 내부에 제 2 함몰부(13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홈에 제 2 탄성부재(1342, 134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접착제 등을 통해 제 2 탄성부재(1342, 1343)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 2 함몰부(1341)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탄성부재(1342, 1343)에 관하여 후술한다.
제 2 탄성부재(1342, 1343)는 제 2 함몰부(1341)에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2 돌출부(2200)의 양측 단부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돌출부(2200)는 제 2 함몰부(134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탄성부재(1342, 1343)는 제 2 함몰부(1341) 내부에 제 2 함몰부(13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탄성부재(1342, 1343)는 제 2 함몰부(1341)에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2 돌출부(2200)의 양측 단부를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 2 함몰부(1341)에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가 결합되는 경우, 한 쌍의 제 2 탄성부재(1342, 1343) 사이의 간격은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 2 탄성부재(1342, 1343)의 변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의 양측 단부가 가압될 수 있다.
한편, 제 2 탄성부재(1342, 1343)는 제 2 함몰부(1341)에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2 돌출부(2200)의 양측 단부에 대한 충분한 가압이 가능하도록 특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 2 탄성부재(1342, 1343)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3mm 미만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탄성부재(1342, 1343)에 의해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가 제 2 함몰부(1341) 내에 차폐부(1300)와의 유격 없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폐부(1300)가 흔들리거나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와의 결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막(1300)에 의한 차폐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차폐부(1300)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제 2 탄성부재(1342, 1343)는 제 2 함몰부(1341)에 창틀(2000)의 제 2 돌출부(2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2 돌출부(2200)의 두께에 따라 용이하게 형태가 변형되며,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 제 2 돌출부(2200)의 양측 단부에 대한 충분한 가압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NBR, 실리콘 중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탄성부재(1342, 1343)의 단면은 반원형 형상 또는 사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1300)에 구비되는 차폐막(1330)은 수납부(1320) 내에 권취될 수 있으며, 또는 필요에 의해 수납부(1320) 외부로 임의의 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환풍 장치(1000)의 차폐부(1300)에 의해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 또는 위의 공간은 창틀(2000)의 높이 등에 관계없이 알맞게 차폐될 수 있다. 또한, 환풍 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폐막(1330)을 수납부(1320) 내에 권취함으로써 차폐부(1300)의 부피를 감소시켜 환풍 장치(1000)의 보관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판넬 등 부피가 크고 무거운 별도의 차폐 장치에 비해 부피 및 중량이 작은 차폐부를 사용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풍 장치가 창틀에 설치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차폐부(1300)가 환풍기 몸체부(1200)에 결합되는 동작 및 창틀(2000)에 설치되는 동작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차폐부(1300)가 환풍기 몸체부(1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의 공간을 차폐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창틀의 제 1 돌출부(2100)에 환풍기 몸체부(1200) 일측의 제 1 함몰부(1220)가 결합되는 경우,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 또는 위 공간을 차폐하기 위해 환풍기 몸체부(1200) 타측의 제 1 함몰부(1220)에 차폐부(1300)의 삽입부(131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 또는 위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해 수납부(1320)로부터 차폐막(133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차폐막(133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부(1340)가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340)의 제 2 함몰부(1341)에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2 탄성부재(1342, 1343)가 변형되며, 변형에 따른 복원력으로 창틀의 제 2 돌출부(2200) 양측 단부가 가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동작에 의해 수납부(1320)로부터 노출된 차폐막(1330)이 창틀에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환풍기 몸체부(1200)의 아래 또는 위 공간에 대한 차폐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에서의 환풍 장치는 창틀에 별도의 시공 없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환풍기 몸체부의 설치 위치가 창틀의 상부 또는 하부 등으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환풍 장치는 제 1 탄성부재 및 제 2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창틀과의 유격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의 환풍 장치는 환풍 장치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 발생, 파손 또는 안전 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환풍 장치는 임의의 길이로 연장되거나 수납될 수 있는 차폐막을 구비함으로써, 창틀의 크기와 무관하게 환풍기 몸체부의 아래 또는 위 공간을 알맞게 차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환풍 장치는 임의의 길이로 연장되거나 수납될 수 있는 차폐막을 구비함으로써, 판넬 등 부피가 크고 무거운 별도의 차폐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차폐 기능의 수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환풍 장치는 임의의 길이로 연장되거나 수납될 수 있는 차폐막을 구비함으로써, 환풍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환풍 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에 있어서,
    환풍기 몸체부;
    상기 환풍기 몸체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창틀에 형성된 제 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1 함몰부; 및
    상기 제 1 함몰부에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함몰부 내부에 구비된 제 1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환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장치는, 상기 창틀에 상기 환풍기 몸체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창틀과 상기 환풍기 몸체부 사이에 개방된 영역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함몰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 공간에 권취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에서 노출되는 차폐막; 및
    상기 차폐막에 결합되고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에 대향하는 제 2 돌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환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함몰부에 상기 차폐부 및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차폐부 및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1 돌출부 각각의 양측 단부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함몰부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환풍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2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2 함몰부가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함몰부에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2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함몰부 내부에 구비된 제 2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환풍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일단이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환풍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함몰부에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2 돌출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제 2 돌출부의 양측 단부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제 2 함몰부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환풍 장치.

KR1020200074780A 2020-06-19 2020-06-19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KR20210157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80A KR20210157022A (ko) 2020-06-19 2020-06-19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KR1020230093081A KR20230113248A (ko) 2020-06-19 2023-07-18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80A KR20210157022A (ko) 2020-06-19 2020-06-19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081A Division KR20230113248A (ko) 2020-06-19 2023-07-18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022A true KR20210157022A (ko) 2021-12-28

Family

ID=791782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780A KR20210157022A (ko) 2020-06-19 2020-06-19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KR1020230093081A KR20230113248A (ko) 2020-06-19 2023-07-18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081A KR20230113248A (ko) 2020-06-19 2023-07-18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5702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542B1 (ko) 2012-10-22 2014-07-10 서동찬 창틀 부착 환풍기
KR20190000821A (ko) 2017-06-23 2019-01-03 씨제이제일제당 (주) D-사이코스 붕산염 착물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d-사이코스의 생산 방법 및 d-사이코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542B1 (ko) 2012-10-22 2014-07-10 서동찬 창틀 부착 환풍기
KR20190000821A (ko) 2017-06-23 2019-01-03 씨제이제일제당 (주) D-사이코스 붕산염 착물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d-사이코스의 생산 방법 및 d-사이코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248A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205B1 (ko) 개폐 가능한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망 장치
US9235232B2 (en) All-weather enclosure for flat panel displays
US20090277594A1 (en) Acoustic window shade
US20010042348A1 (en) Improved window screen system
KR20210157022A (ko) 창틀에 탈부착 가능한 환풍 장치
WO2000030518A1 (en) Shower screens
KR101283203B1 (ko) 창호 단열장치
KR101855483B1 (ko)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US20070000679A1 (en) Thermostat and panel cover
US4196953A (en) Darkroom module
CN114846531A (zh) 一种显示装置
JP3398334B2 (ja) 断熱箱体
CA1048586A (en) Modular display case system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JP7349938B2 (ja) 防火用開閉装置
KR102308539B1 (ko) 방충망과 미세먼지차단망을 포함하는 창틀
CN209959078U (zh) 一种内藏式纱窗一体推拉窗
JP2544576B2 (ja) 床下空気導入構造
WO202412383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ver having flexible awnings
JPH0748894Y2 (ja) サンルーム
JP3089693U (ja) スクリーン装置の取付構造
KR840006691A (ko) 테러 엄폐소용 키트
KR200349223Y1 (ko)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구조
JP2002322885A (ja) ロール網戸の網体吸着構造
JPH10266548A (ja) 点検口用閉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