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965A - 스트랜드, 로프 및 보행매트 - Google Patents

스트랜드, 로프 및 보행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965A
KR20210156965A KR1020200074660A KR20200074660A KR20210156965A KR 20210156965 A KR20210156965 A KR 20210156965A KR 1020200074660 A KR1020200074660 A KR 1020200074660A KR 20200074660 A KR20200074660 A KR 20200074660A KR 20210156965 A KR20210156965 A KR 2021015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rope
twisted
wat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814B1 (ko
Inventor
최현철
Original Assignee
최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철 filed Critical 최현철
Priority to KR102020007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8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aple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vegetable stems, e.g. straw, thatch ; made of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는 물(water)과 접촉하는 경우 코어부가 용해되기 때문에 코어부를 별도로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 코어부에 의한 자연경관의 훼손, 코어부에 의한 토양 오염 유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물과의 접촉 등에 의해 코어부가 용해되어 없어져도 코어부가 차지하는 부분이 매우 작고 복수 개의 꼬임부가 상호 꼬임에 의해 이미 소정의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최초 물성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동시에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풍화되어 환경문제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는 로프 또는 보행매트뿐만 아니라 사면녹화 또는 법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코이어 네트 등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랜드, 로프 및 보행매트{STRAND, ROPE AND WALKING MA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랜드 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스트랜드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친환경적인 로프 및 보행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면 또는 비탈길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지면을 포장한 후 포장면에 복수 개의 골을 가공하여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표면 가공이 어렵거나, 가공 시 손상이 우려되는 계단 등에는 마찰력을 높여주기 위한 마찰부재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한편,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한 공원의 산책로나 산의 등산로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를 포장을 실시할 경우, 자연 환경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음에 따라, 주로 목재를 이용하여 데크를 설치한 후 미끄럼이 우려되는 부분에 별도의 마찰부재를 설치하고 있으나, 데크의 설치로 인한 자연파괴까지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연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크의 설치 대신 야자 섬유 등과 같은 식물성 친환경 재료로 구성된 매트를 설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법이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됨에 따라, 수요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3026호(2020.01.29.등록)에서는 보행매트 직조방법 및 이로 인하여 직조된 보행매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보행매트 직조용 로프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트랜드(Strand)의 야자섬유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풍화되나, 심재 기능을 하는 코어는 대부분 분해되기 어려운 나일론과 같은 합성 고분자 소재의 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풍화되지 않아 별도로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 자연경관의 훼손, 토양 오염 유발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풍화되어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진 스트랜드 및 이를 포함하는 로프 내지 보행매트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는 중심에 배치되고, 제1 길이를 가지며 제1 인장 응력을 가지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인장 응력보다 작은 제2 인장 응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꼬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수용성이고, 상기 복수 개의 꼬임부는 상기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꼬임되어 상기 코어부를 포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는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형성된 단위 로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는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가 서로 꼬임되어 형성된 매트 로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는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가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는 복수 개의 상기 매트 로프가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는 물(water)과 접촉하는 경우 코어부가 용해되기 때문에 코어부를 별도로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 코어부에 의한 자연경관의 훼손, 코어부에 의한 토양 오염 유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물과의 접촉 등에 의해 코어부가 용해되어 없어져도 코어부가 차지하는 부분이 매우 작고 복수 개의 꼬임부가 상호 꼬임에 의해 이미 소정의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최초 물성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동시에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풍화되어 환경문제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는 로프 또는 보행매트뿐만 아니라 사면녹화 또는 법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코이어 네트 등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를 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보행매트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를 형성하는 스트랜드의 개략 사시도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를 형성하는 스트랜드의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스트랜드(Strand)'는 로프(Rope)를 형성하고 있는 꼬임의 작은 가닥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는 상기 스트랜드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1 길이를 가지며 제1 인장 응력을 가지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인장 응력보다 작은 제2 인장 응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꼬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꼬임부는 상기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꼬임되어 상기 코어부를 포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부는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는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로프는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단위 로프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가 서로 꼬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는 상기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단위 로프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가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는 상기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단위 로프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가 서로 꼬임되어 매트 로프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매트 로프가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를 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보행매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를 형성하는 스트랜드의 개략 사시도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를 형성하는 스트랜드의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매트(M)를 형성하는 스트랜드(10)는 보행매트(M)를 형성하는 일 구성일 수 있다.
즉, 다수의 상기 스트랜드(10)가 꼬임되어 상기 보행매트(M)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보행매트(M)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보행매트(M)는 공원의 산책로나 산의 등산로에 설치되어 안전한 보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보행매트(M)는 복수 개의 매트 로프(10B)가 직조되어 제작될 수 있다.
한 가닥의 상기 매트 로프(10B)는 위사로, 다른 한 가닥의 상기 매트 로프(10B)는 경사로 상호 직조되어 상기 보행매트(M)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한 가닥의 상기 매트 로프(10B)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10A)가 꼬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10A)가 상호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꼬임되어 한 가닥의 상기 매트 로프(10B)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한 가닥의 상기 단위 로프(10A)는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10)가 상호 꼬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10)가 상호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꼬임되어 한 가닥의 상기 단위 로프(10A)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행매트(M)는 수 많은 상기 스트랜드(10)가 꼬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행매트(M)는 복수 개의 단위 로프(10A)가 직조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스트랜드(1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랜드(10)는 제1 길이(L1)를 가지며 제1 인장 응력을 가지는 코어부(100)와 상기 코어부(100)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은 제2 길이(L2)를 가지며 상기 제1 인장 응력보다 작은 제2 인장 응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꼬임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스트랜드(10)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꼬임부(200)는 상기 코어부(100)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어 한 가닥의 상기 스트랜드(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스트랜드(10)가 제조될 시, 복수 개의 꼬임부(200)가 상기 코어부(10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상호 꼬임될 수 있도록 코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부(100)는 복수 개의 꼬임부(200)보다 긴 상기 제1 길이(L1)를 가지며, 양 단이 회전 기계에 의해 파지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코어부(100)보다 짧은 길이인 상기 제2 길이(L2)를 가지는 복수 개의 꼬임부(200)는 회전되는 상기 코어부(100)를 둘러싸도록 압출 기계에 의해 압출되어 상기 코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부(100) 상에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꼬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스트랜드(1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꼬임부(200)는 상기 코어부(100)를 포위하여 상기 코어부(100) 상에서 상호 꼬임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스트랜드(10)는 인장력이 가해져도 복수 개의 꼬임부(200)보다 큰 인장 응력을 가지는 코어부(100)에 의해 쉽게 끊기지 않아, 꼬임 기계에 의해 복수 개가 상호 꼬임되어 단위 로프(10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복수개의 꼬임부(200)는 천연섬유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꼬임부(200)를 구성하는 천연섬유는 적정 강도 및 생분해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면화 섬유, 아마 섬유, 저마 섬유, 황마 섬유, 대마 섬유, 코코넛 섬유(또는 코이어 섬유) 등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식물계 천연섬유로 구성될 수 있고, 소정의 강도 및 생분해성을 고려할 때 코코넛 섬유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코어부(100)는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어부(100)는 공지의 다양한 수용성 실 또는 수용성 장섬유(또는 필라멘트 섬유)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를 형성하는 재료는 수용성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코어부(100)를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 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다양한 수용성 고분자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수용성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수지, 수용성 폴리비닐피롤리디논(polyvinyl pyrrolidinone ; PVP) 수지, 수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소정의 강도 등을 고려할 때 수용성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성 실, 수용성 장섬유 또는 수용성 고분자 수지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89-00132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3-001326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3275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0348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078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31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34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2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2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26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9346호 등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랜드(Strand)는 한 가닥의 수용성 실 또는 수용성 장섬유(또는 필라멘트 섬유)로 이루어진 코어부; 및 천연섬유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면서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꼬여져 형성된 복수 개의 꼬임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따른 스트랜드,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상호 꼬임되어 형성된 단위로프, 복수 개의 상기 단위로프가 상호 꼬임되어 형성된 매트로프 및 상기 단위로프 또는 매트로프의 직조에 의해 형성된 보행매트는 물과의 접촉 등에 의해 코어부가 용해되어 없어져도 스트랜드 내에서 코어부가 차지하는 부분이 매우 작고 스트랜드는 복수 개의 꼬임부가 꼬임에 의해 이미 소정의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최초 물성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코어부(100)는 현장에 설치되어 비나 눈에 의해 물에 접촉되는 경우 용해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꼬임부(200) 역시 생분해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시간이 흐르며 풍화되어 환경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보행매트(M)가 현장에 설치되어 비나 눈 등에 의해 물에 젖는 경우 용해되어 상기 보행매트(M) 상에서 없어질 수 있어 환경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M: 보행매트
10: 스트랜드
10A: 단위 로프
10B: 매트 로프

Claims (7)

  1. 중심에 배치되고, 제1 길이를 가지며 제1 인장 응력을 가지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인장 응력보다 작은 제2 인장 응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꼬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수용성이고,
    상기 복수 개의 꼬임부는 상기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꼬임되어 상기 코어부를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한 가닥의 수용성 실 또는 수용성 장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꼬임부는 천연섬유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면서 코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꼬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가닥의 수용성 실 또는 수용성 장섬유는 수용성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천연섬유는 코코넛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단위 로프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가 서로 꼬임되어 형성되는 로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단위 로프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보행매트.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서로 꼬임되어 단위 로프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로프가 서로 꼬임되어 매트 로프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매트 로프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보행매트.
KR1020200074660A 2020-06-19 2020-06-19 스트랜드, 로프 및 보행매트 KR10249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60A KR102494814B1 (ko) 2020-06-19 2020-06-19 스트랜드, 로프 및 보행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60A KR102494814B1 (ko) 2020-06-19 2020-06-19 스트랜드, 로프 및 보행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965A true KR20210156965A (ko) 2021-12-28
KR102494814B1 KR102494814B1 (ko) 2023-02-02

Family

ID=7917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660A KR102494814B1 (ko) 2020-06-19 2020-06-19 스트랜드, 로프 및 보행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8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396U (ja) * 1983-08-08 1985-03-05 株式会社クラレ 農林漁業用締め付け紐
JPH1098956A (ja) * 1996-08-06 1998-04-21 Sakanaka Ryokka Shizai:Kk 根巻き梱包用ロープ
KR101013888B1 (ko) * 2010-05-28 2011-02-10 오동옥 천연섬유를 이용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20120097194A (ko) *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오케이시오시오 자연 분해되는 와이어로프
KR101890117B1 (ko) * 2017-02-16 2018-08-21 주식회사 금별산업 천연와이어로프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와이어로프
KR102112804B1 (ko) * 2019-09-24 2020-05-19 주식회사 코코넷 천연로프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396U (ja) * 1983-08-08 1985-03-05 株式会社クラレ 農林漁業用締め付け紐
JPH1098956A (ja) * 1996-08-06 1998-04-21 Sakanaka Ryokka Shizai:Kk 根巻き梱包用ロープ
KR101013888B1 (ko) * 2010-05-28 2011-02-10 오동옥 천연섬유를 이용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20120097194A (ko) *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오케이시오시오 자연 분해되는 와이어로프
KR101890117B1 (ko) * 2017-02-16 2018-08-21 주식회사 금별산업 천연와이어로프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와이어로프
KR102112804B1 (ko) * 2019-09-24 2020-05-19 주식회사 코코넷 천연로프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814B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496144T3 (da) Florrengøringsklud
CN1627585A (zh) 一种用于光纤电缆的管道插件
CN102239104B (zh) 用于起重设备的纺织保护软管以及抬起负载的设备
AU762380B2 (en) Geotextile fabric
KR20120094940A (ko) 가로 방향으로 찢을 수 있고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패브릭 접착 테이프
KR100913423B1 (ko) 띠형 섬유보강재
KR20210156965A (ko) 스트랜드, 로프 및 보행매트
EP3259391A2 (fr) Geotextile de renfort, de lutte contre l'érosion et d'aide a la végétalisation
DE3926991A1 (de) Geotextil fuer die bewehrung von asphaltschichten
EP2304089B1 (fr) Nappe et grille de renfort avec introduction de fibres minerales pour les ouvrages de genie civil
KR101276490B1 (ko) 지반 보강용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EP2880211A1 (fr) Grille haute résistance a liaison renforcée pour réseaux ou dispositifs enterres
CN210047176U (zh) 一种保温保湿高密土工布
WO2016092167A1 (fr) Geosynthetique de renforcement de sol a comportement multi-module
KR102500998B1 (ko) 천연섬유 보행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51903B1 (ko)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JP2000080541A (ja) ループパイルを有するラッシェル編地
KR101473407B1 (ko) 노면 포장재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40118B1 (ko) 보행매트용 생분해 고정핀
JP5394856B2 (ja) 衝撃吸収ロープ及び衝撃吸収ロープの製造方法
KR20030003802A (ko)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KR101105826B1 (ko) 분자배열을 교차시켜 만든 지오그리드에 사용되는 리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67940B1 (ko) 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인조잔디 및 이의 코팅장치
JP5808002B2 (ja) 主として瓦礫を用いたふとん篭
JP3838719B2 (ja) 土構造物補強排水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