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802A -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 Google Patents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802A
KR20030003802A KR1020010039369A KR20010039369A KR20030003802A KR 20030003802 A KR20030003802 A KR 20030003802A KR 1020010039369 A KR1020010039369 A KR 1020010039369A KR 20010039369 A KR20010039369 A KR 20010039369A KR 20030003802 A KR20030003802 A KR 2003000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drain
wick
bundl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963B1 (ko
Inventor
임철웅
Original Assignee
임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웅 filed Critical 임철웅
Priority to KR10-2001-003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9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변이나 간석지(干潟地) 등이 점성토로 이루어진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제안된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벼농사후에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지푸라기(1)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해당공장이나 일상생활에서 폐자재로 버려지고 있는 환경친화성의 폐직물이나 폐종이, 폐솜, 폐헝겊 등을 보조재료로 하여 제작하는 심지드레인을 사용함으로써, 단순작업성으로 시공작업을 간편하게 하여 시공비를 절감하며, 환경친화성의 재질을 사용하여 지반의 공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DEHYDRATING DRAIN FOR STICKY AND WEAK GROUN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변이나 간석지(干潟地), 늪지대 등의 점성토로 이루어진 연약지반의 내부에 함유되어있는 수분(물)을 탈수하기 위하여 제안된 짚다발을 심재로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벼농사 후에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지푸라기와 해당공장이나 일상생활 속에서 폐자재로 버려지고 있는 환경친화성의 폐헝겊, 폐직물, 폐종이, 폐솜 등의 재질을 재료로 제작하는 심지드레인을 사용함으로서, 단순작업성으로 인한 시공작업의 간편성으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환경친화성 재질에 의해 지반의 공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제안된 것이다.
종래에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를 위하여 지반의 지중으로 시공설치하는 합성수지제의 부직포나 망포를 자루형으로 형성하여 시공시에 모래나 자연 또는 인공자갈이나 입상스치로폴 알맹이 등을 주입하는 이중작업성이므로 제작 및 시공작업이 번거로웠으며, 부직포나 망포 및 입상스치로폴알맹이가 환경친화성이 아니므로 부식되지 않아 지중공해가 되는 결점이 있으며 유공연성주름관의 경우는 재질이 합성수지로서 환경친화성이 아님은 물론이거니와 제작비가 많고 운반 및 취급이 번거러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성인 지푸라기를 주재료로 하여 새끼 꼬임기에 의하여 짚세기다발구조의 심지드레인으로서 용이하게 제작하여 적정길이로 절단하거나 두루마리로 제품화하므로서 보관이나 운반 등의 취급이 간편하며 시공시에는 단순작업성에 의하여 간편하게 시공 할 수 있도록 제안 된 것으로서 단순작업성으로 인한 시공작업의 간편성과 농사 후에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지푸라기와 환경친화성의 폐자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환경친화성의 심지드레인으로 인한 지반의 공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시공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시공과정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는 도 2 "A"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평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도 8 의 평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도 10 의 평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 은 도 12 의 평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의 제 5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5 는 도 14 의 평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푸라기 2 : 지푸라기가닥
3, 3a, 3b, 3c : 짚다발줄 4 : 지푸라기가닥줄
5 : 부직포 6, 6a, 6b, 6c, 6d, 6e : 심지드레인
7 : 수평드레인 8 : 점성토 연약지반
9 : 강관 10 : 개폐판
10a : 경첩 11 : 폐직물의 심재
11a : 폐직물 12 : 폐솜의 심재
12a : 폐솜 13 : 폐목
14 : 폐종이 15 : 폐헝겊
16 : 혼합심재 17 : 배수로
18 : 배수층 18a : 수분(물)
19 : 성토흙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시공설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시공과정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부를 발췌한 확대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단면도로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도 4 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지푸라기(1)를 모집한 수개의 지푸라기가닥(2)을 통상의 새끼줄꼬임기(도시생략)에 의하여 꼬임시켜 형성한 짚다발줄(3)의 둘레부를 상기 다수개의 지푸라기(1)를 꼬임시켜 형성한 지푸라기가닥줄(4)로서 두루말린 시킨 다음, 다소 얼멍얼멍한 상태의 환경친화성 부직포(5)로서 피복시켜, 환경친화성 부직포(5)가 피복체가 되어 결합되는 구조의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한 구조의 상기 심지드레인(6)을 시공시에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량의 수분(물)(18a)이 함유된 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선정된 점성토 연약지반(8)의 입지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을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통상의 강관(9)의 내부로 끼워 넣은 상태로 점성토 연약지반(8)의 지중의 적정깊이로 박아 설치한 다음 강관(9)만을 빼내주므로서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은 강관(9)을 박았던 깊이의 지중으로 박아 설치된 상태로 심지드레인(6)의 설치 작업이 완료되어 수직드레인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때 강관(9)의 지중으로 박아 넣고 빼내는 작동 상태는 강관(9)의 하단부에 통상의 구조인 경첩(10a)구조로 설치된 개폐판(10)에 의하여 강관(9)을 박아 넣을 때는 닫힌 상태이고, 강관(9)을 빼낼 때는 수직드레인으로 설치되는 심지드레인(6)에 걸림되어 열린 상태로서 용이하게 작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연속 반복하면서 점성토 연약지반(8)의 입지조건에 따라 임의 간격마다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을 수직드레인이 되도록 시공 설치한 다음,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의 시공설치를 완료한 점성토 연약지반(8)의 상부에는 도 16의 실시상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배수로(17)를 형성하는 배수층(18)을 형성함과 동시에 배수층(18)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수직드레인이 되는 심지드레인(6)을 수평드레인(7)이 되도록 매설하며, 상기 배수층(18)의 상부에성토흙(19)을 적층하므로서 본 발명의 시공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을 형성하는 구조에 따른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 과 도 7 은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수개의 지푸라기가닥(2)을 꼬임시켜 형성한 짚다발줄(3)의 둘레부를 다수개의 지푸라기(1)로 꼬임시켜 형성한 지푸라기가닥줄(4)로서 두루말림시켜 결합시킨 구조의 심지드레인(6a)이며, 도 8 과 도 9 는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수 개의 지푸라기가닥(2)을 꼬임시켜 형성한 짚다발줄(3)만으로 결합시킨 구조의 심지드레인(6b)이며, 도 10 과 도 11 은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의 내부에 폐직물(11a)을 심재(11)로하여 짚다발줄(3a)이 되도록 꼬임시켜 형성되는 폐직물 심재(11)와 짚다발줄(3a)을 결합시킨 구조의 심지드레인(6c)이며, 도 12 와 도 13 은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의 제 4 실시예의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수개의 지푸라기가닥(2)의 내부에 폐솜(12a)을 심재(12)로하여 짚다발줄(3b)이 되도록 꼬임시켜 폐솜심재(12)와 짚다발줄(3b)을 결합시킨 구조의 심지드레인(6d)이며, 도 14 와 도 15 는 본 발명의 심지드엔인(6)의 제 5 실시예의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수개의 지푸라기 가닥(2)의 내부에 폐목(13)과 폐종이(14) 및 폐헝겊(15)을 실(16a)로 얽어 묶음시킨 것을 혼합 심재(16)로하여 짚다발줄(3c)이 되도록 꼬임시켜 형성되는 혼합 심재(16)와 짚다발줄(3)을 결합시킨 구조의 심지드레인(6e)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심지드레인(6)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각 심지드레인 (6a)(6b)(6c)(6d)(6e)을 결합하고 있는짚다발줄(3)(3a)(3b)(3c)과 각 짚다발줄(3)(3a)(3b)(3c)로 꼬임시키는 폐직물심재(11)와 폐솜심재(12) 및 혼합심재(16)는 환경친화성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도 6 내지 도 15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각 심지드레인(6a)(6b)(6c)(6d)(6e)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의 시공과정 상태 및 도 16 의 실시 상태를 보인 단면도와 같이 시공 설치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심지드레인(6)(6a)(6b)(6c)(6d)(6e)을 점성토 연약지반(8)의 지중으로 수직상태로 수직드레인이 되도록 시공설치하며, 배수층(18)으로는 수평드레인(7)이 되도록 시공설치하여 주므로서 점성토 연약지반(8)의 지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물)(18a)은 수직드레인으로 유입되어 수평드레인(7)을 통하여 배수로(17)에 배출 되어지는 탈수작용을 진행하면서 점성토 연약지반(8)을 개량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점성토 연약지반의 지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물)을 탈수시키기 위하여 시공설치하는 수직드레인과 수평드레인은 배수성이 양호한 환경친화성의 재료로서 벼농사 후에 저렴하고 용이하게 구입 할 수 있는 지푸라기를 주재료로 하였으며, 또한 해당공장이나 일상생활속에서 폐기물로 버려지는 환경친화성의 폐직물이나 폐솜, 폐목, 폐종이 및 폐헝겊을 심재의 재료로 하였으므로 사용시에 다수의 지푸라기로 결합된 짚다발줄에 의하여 탈수 기능을 원활하게 발휘하면서 점성토 연약지반을 개량하며, 개량이 완료된 후에는 쉽게 썩어 버리게 되므로 지반이 공해될 염려가 없으며, 시공설치 작업이 단순작업 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시공설치 작업이 간편하여 공사비를 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지푸라기(1)를 모집하여 꼬임시켜 형성한 짚다발줄(3)의 둘레부에 지푸라기가닥줄(4)로 두루 말린 다음, 환경친화성 부직포(5)가 피복체가 되도록 결합시킨 구조의 짚다발을 심재로한 심지드레인(6)을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통상의 강관(9)에 의하여 점성토 연약지반(8)의 지중으로 수직드레인(6)이 되도록 박아 설치하며, 점성토 연약지반(8)의 표면부에는 상기 심지드레인(6)을 수평드레인(7)이 되도록 매설하며, 배수층(18)을 시공 설치한 후 성토흙(19)을 적층하므로서 시공을 완료함을 특징으로한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의 시공법
  2. 다수개의 지푸라기(1)를 모집한 수개의 지푸라기가닥(2)을 꼬임시켜 짚다발줄(3)을 형성하며, 짚다발줄(3)의 둘레부에는 지푸라기가닥줄(4)을 두루 말림시킨 다음, 그 둘레부를 환경친화성 부직포(5)로서 피복시켜 결합시킨 구조의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수개의 지푸라기가닥(2)을 꼬임시켜 형성한 짚다발줄(3)의 둘레부에 다수의 지푸라기(1)로 꼬임시켜 형성한 지푸라기가닥줄(4)로서 두루말림시켜 결합시킨 구조의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4. 제2항에 있어서,
    수개의 지푸라기가닥(2)의 내부에 폐직물(11a)을 심재로 하여 짚다발줄(3b)이 되도록 꼬임시켜 형성되는 폐직물심재(11)와 짚다발줄(3a)을 결합시킨 구조의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재드레인.
  5. 제2항에 있어서,
    수개의 지푸라기가닥(2)의 내부에 폐솜을 심재로 하여 짚다발줄(3b)이 되도록 꼬임시켜 형성되는 폐솜심재(12)와 짚다발줄(3b)을 결합시킨 구조의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재드레인.
  6. 제2항에 있어서,
    수개의 지푸라기가닥(2)의 내부에 폐목(13)과 폐종이(14) 및 폐헝겊(15)을 얽어 묶음시킨 것을 혼합심재(16)로 하여 짚다발줄(3c)이 되도록 꼬임시켜 형성되는 혼합심재(16)와 짚다발줄(3c)을 결합시킨 구조의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재드레인.
KR10-2001-0039369A 2001-07-03 2001-07-03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KR10042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369A KR100428963B1 (ko) 2001-07-03 2001-07-03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369A KR100428963B1 (ko) 2001-07-03 2001-07-03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957U Division KR200249411Y1 (ko) 2001-07-03 2001-07-03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802A true KR20030003802A (ko) 2003-01-14
KR100428963B1 KR100428963B1 (ko) 2004-05-04

Family

ID=2771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369A KR100428963B1 (ko) 2001-07-03 2001-07-03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49B1 (ko) * 2004-05-13 2007-02-09 정대익 친환경적인 배수재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강도를강화하기 위한 개량공법과 그 개량공법에 사용되는연직배수재/수평배수재 및 그 개량공법에 의한 개량효과를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
KR100713187B1 (ko) * 2006-08-25 2007-05-02 나승국 드레인케이싱보강부재
KR100751590B1 (ko) * 2007-01-31 2007-08-22 (주)효광건설 앵커플레이트가 필요없는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CN110685270A (zh) * 2019-10-22 2020-01-14 江苏海洋大学 一种利用秸秆桩对吹填土排水固结及土体改良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608B1 (ko) * 2015-12-10 2016-09-26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준설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처리방법
CN110656641A (zh) * 2019-10-15 2020-01-07 山东大学 一种环保型地基排水结构及方法
CN112127344A (zh) * 2020-08-28 2020-12-25 盐城工学院 一种流态泥真空预压快速均匀处理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49B1 (ko) * 2004-05-13 2007-02-09 정대익 친환경적인 배수재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강도를강화하기 위한 개량공법과 그 개량공법에 사용되는연직배수재/수평배수재 및 그 개량공법에 의한 개량효과를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
KR100713187B1 (ko) * 2006-08-25 2007-05-02 나승국 드레인케이싱보강부재
KR100751590B1 (ko) * 2007-01-31 2007-08-22 (주)효광건설 앵커플레이트가 필요없는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CN110685270A (zh) * 2019-10-22 2020-01-14 江苏海洋大学 一种利用秸秆桩对吹填土排水固结及土体改良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963B1 (ko) 2004-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9208B1 (en) Biodegradable sediment barrier
Theisen The role of geosynthetics in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An overview
US20060291963A1 (en) Mandrel-wound flocculant-containing fiber filtration tubes
JP6680461B2 (ja) 斜面保護用具及び斜面保護方法
KR100428963B1 (ko)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심지드레인의 시공법 및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Desai et al. Geotextiles made from natural fibres
US20140050527A1 (en) Erosion-and-sediment-control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569099C (en) Composite fiber environmental filtration media containing flocculant
KR200249411Y1 (ko) 짚다발을 심재로 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용 심지드레인
CN102619203A (zh) 秸秆排水体
EP3757295B1 (de) Container und verwendung desselben
US20180272254A1 (en) Secondary tubular composite filter sock seam fil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and composite filter sock assembly incorporating a seam filling device
KR100931619B1 (ko)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보강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JP4392784B2 (ja) 埋設構造体、埋設接合構造体及び土留柵工構造体
Pritchard et al. Textiles in civil engineering. Part 2–natural fibre geotextiles
KR100645332B1 (ko) 연약지반 개량용 다중 볏짚드레인
CN207652933U (zh) 抗冲生态毯以及抗冲加筋生态袋
CN208310324U (zh) 水平纤维叠层水泥植草停车场
KR100246206B1 (ko)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 촉진을 위한 심지드레인
CN207891129U (zh) 一种河道人工生态岛
KR200354574Y1 (ko) 볏짚을 심재로한 연약지반 탈수용 순수환경친화성다중볏짚심지드레인
JP3029232B2 (ja) 水際緑化用植生マット及び該マットを使用した植生工法
CN214177985U (zh) 一种可种植草籽的生态绳索
CN108425524A (zh) 水平纤维叠层水泥植草停车场及其加工方法
CN1675983A (zh) 边坡草绳帘及其在边坡绿化中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