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558A - 쇼핑몰 플랫폼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쇼핑몰 플랫폼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558A
KR20210156558A KR1020200074272A KR20200074272A KR20210156558A KR 20210156558 A KR20210156558 A KR 20210156558A KR 1020200074272 A KR1020200074272 A KR 1020200074272A KR 20200074272 A KR20200074272 A KR 20200074272A KR 20210156558 A KR20210156558 A KR 20210156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hopping mall
information
goods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일리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일리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일리쥬
Priority to KR102020007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6558A/ko
Publication of KR2021015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5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은,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 관리를 위해 조작하는 판매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소정 상품의 온라인 판매를 수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쇼핑몰 서버와;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등록되는 상품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은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해 판매용으로 등록 처리를 수행하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구매자의 상품 주문이 있는 경우 주문된 상품의 판매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 상품 주문 이벤 트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전달되는 쇼핑몰 서버 목록을 저장 관리하고, 등록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쇼핑몰 서버 목록에 포함된 쇼핑몰 서 버로 일괄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기초로 해당 상품에 대 한 기 등록된 정보 중 주문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핑몰 플랫폼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TRADING COMMODITY IN SHOPPING MA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쇼핑몰에 소정의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를 하는 판매자에게 상품의 등록 및 판매와 관련하여 판매자 중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쇼 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환경의 개선으로 인해 상품의 판매 및 구매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
즉, 종래의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상품 거래가 온라인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상거래로 많은 부분 변경되어 왔고, 인터넷을 통한 상품거래 규모가 급성장 하고 있다.
인터넷(INTERNET)은 원래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한 알파넷(ARPANET)에서 시작된 세계 최대 규모의 컴퓨터 통신망 으로서, TCP/IP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는 전자우편(e- 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 전송(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 검색(Gopher), 인 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 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WWW:World Wide Web), 온라인 게임 등 다양 한데, 요즘에 와서는 웹 사이트의 활용이 인터넷의 주 이용 분야가 되고 있다.
이 중 인터넷을 통한 상품거래는 이러한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상품이 거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웹 브라우 저를 이용하여 구매자들이 웹사이트에서 소정의 상품을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인터넷을 통해 소정의 상품을 구매하는 것은, 다양한 상품을 소정의 조건에 맞도록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는 점과 각 상품의 판매가격을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장점이 있고, 또한 최근에는 상품의 구매, 결제 및 환불 역시 인터넷을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상품 거래의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판매자들이 물건을 팔 수 있도록 하는 웹 사 이트, 즉 인터넷 쇼핑몰의 개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상품의 판매자들은 각각의 인터넷 쇼핑몰에 자신의 상품을 등록하고, 이에 구매자들은 각각의 인터넷 쇼핑 몰에서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상품을 비교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거래에 있어서는 각 인터넷 쇼핑몰 각각이 상품의 거래의 주도적인 역할 을 해왔고, 이에 따라 상품의 소규모 영세 판매업자들은 각 인터넷 쇼핑몰에서 요구하는 방식대로 상품을 해당 인터넷 쇼핑몰에 등록하여 판매해 왔다.
도 1은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 등록 및 상품 구매 과정에 대해 나타낸 간략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들(100)은 각각의 쇼핑몰(200)들에 별도로 로그인 하여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해야 하고, 구매자들(300)이 각각의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한 내용 역시 각각의 쇼핑몰(200) 에 일일이 접속하여 확인해야만 했다.
즉, 종래의 시스템은 인터넷 쇼핑몰(200)들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그들만의 편의성에 중점을 두는 방식으로 운영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판매자들(100)에게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등록, 관리를 위한 편의성 제공이 부족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터넷을 통한 상품의 거래에 있 어서의 중요한 한 축인 판매자에게 상품의 판매를 위한 유용하고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는 쇼핑몰 상품 거래 시 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은,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 관리를 위해 조작하는 판매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소정 상품의 온라인 판매를 수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쇼핑몰 서버와;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등록되는 상품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은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상 품에 대해 판매용으로 등록 처리를 수행하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구매자의 상품 주문이 있는 경우 주문된 상품 의 판매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상 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전달되는 쇼핑몰 서버 목록을 저장 관리하고, 등록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쇼핑몰 서버 목록에 포함된 쇼핑몰 서버로 일괄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기초로 해당 상품에 대한 기 등록된 정보 중 주문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은,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 관리를 위 해 조작하는 판매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소정 상품의 온라인 판매를 수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쇼핑몰 서버 와;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등록되는 상품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 되되,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은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해 당 상품에 대해 판매용으로 등록 처리를 수행하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구매자의 상품 구매 관련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요청에 대한 자체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 상품 구매 관련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전달되는 쇼핑몰 서버 목록을 저 장 관리하고, 등록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쇼핑몰 서버 목록에 포함된 쇼핑몰 서 버로 일괄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품 구매 관련 이벤트 신호를 기초로 해당 상품 에 대해 기 등록된 정보를 갱신 처리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상품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된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 관리를 위해 조작하는 판매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소정 상품의 온라인 판매를 수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쇼핑몰 서버와,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등록되는 상품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판매자 단말이 쇼핑몰 서버 목록과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가 수신된 쇼핑몰 서버 목록 및 상품 정보를 등록 저장하고, 등록된 상 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쇼핑몰 서버 목록에 포함된 쇼핑몰 서버로 일괄 전송하는 단계 와;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품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한 쇼핑몰 서버가 해당 상품에 대해 판매 용으로 등록 처리를 수행하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구매자의 상품 주문이 있는 경우 주문된 상품의 판매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기초로 해당 상품에 대한 기 등록된 정보 중 주문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자는 여러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상품의 전체적인 재고량과 판매량 등 상품의 판매 현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 접 속함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 단말(401, 402 : 이하 400),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 적어도 둘 이상의 쇼핑몰 서버(501,502,503 : 이하 500), 구매자 단말 (601,602,603 : 이하 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매자 단말(400)은 판매자가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쇼핑몰 서버(500)에 등록하고 해당 상품이 판매된 경우 판매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웹브라우징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이러한 판매자 단말(400)들은 각각의 판매자마다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매자 단말(400)은 쇼핑몰 서버(500)에 상품의 등록을 위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와 통 신하여 상품의 등록을 요청한다. 또한 판매자 단말(400)은 쇼핑몰 서버(500)로부터 상품의 판매 등과 관련한 정 보를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를 통해 수신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른 구성 요소의 설명과 함께 후술토록 한다.
쇼핑몰 서버(500)는 인터넷을 통해 소정 상품의 온라인 판매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웹 페이지 형태의 상품 목록을 구비하고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600)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 경우 해당 상품의 판매 처리를 수행한다.
즉, 쇼핑몰 서버(500) 각각은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로부터 전송된 상품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품 추 가 등록 처리를 수행하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구매자의 상품 주문이 있는 경우 주문된 상품의 판매 처리를 수 행한다.
여기서, 주문된 상품의 판매 처리라 함은,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결제화면을 제공하고 금융망과 통신하 여 구매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결제인증을 처리하며, 구매자의 구매이력 항목에 해당 상품의 구매정보를 추 가시키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쇼핑몰 서버(500) 자체에 등록된 상품의 수량을 차감하는 것도 포 함된다. 즉, 주문된 상품의 판매 처리는 종래의 쇼핑몰 서버(500)(예를 들어 제로마켓, G마켓, 옥션 등)들이 인 터넷을 통한 상품의 주문이 있는 경우 수행하는 처리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쇼핑몰 서버(500) 자체적 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쇼핑몰 서버(500)는 구매자의 상품 주문이 있는 경우 상술한 종래의 자체 처리과정의 수행과 동시에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의 전송을 상품 의 판매 처리(즉, 쇼핑몰 서버(500) 자체의 처리)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것은,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 의 전송과 상품의 판매처리가 물리적으로 정확히 일치하는 시간에 이루어진다는 의미가 아니라 상품의 자체 판 매 처리는 물론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의 전송이 모두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시간적인 선후는 바뀔 수 있다. 즉, 쇼핑몰 서버(500)는 구매자의 주문이 있는 경우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 를 먼저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전송한 후에 주문된 상품의 자체 판매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쇼핑몰 서버(500)는 시스템의 부하 등을 고려하여 주문된 상품의 판매 처리를 수행한 후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전송할 수 도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서의 소정의 상품 정보들이 갱신될 수 있는 것이므로, 판매자에게 실시간 상품 판매 정보 등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품 판매처리 후에 즉시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판매자 단말(400)과 쇼핑몰 서버(500)의 통신 경로 중간에 위치하고서 판매자 의 상품 정보(예를 들어 상품의 명칭, 재고량, 제조사, 원산지 등)들을 관리하고, 판매자의 상품들이 복수 개의 쇼핑몰 서버(500)에 일괄적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판매자 단말(400)을 통해 전송되는 상품 정보를 각 판매자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저장 관리되는 상품정보를 쇼핑몰 서버(500)로 전송하여 쇼핑몰 서버(500)에 해당 상품들이 등록되도록 요청한다.
이때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쇼핑몰 서버 목록에 포함되는 쇼핑몰 서버(500)로 상품 등록 요청 신호를 일괄 전송함으로써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품이 여러 개의 쇼핑몰 서버(500)에 한꺼번에 등록되도록 한다. 이때 상품 등록 요청 신호에는 상품의 정보, 예를 들어 상품명, 원산지, 가격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쇼핑몰 서버(500)마다 각각 요구하는 상품의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해당 쇼핑몰 서버(500)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쇼핑몰 서버(500)마다 요구하는 상품의 정보나 포맷에 대한 정보가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 0)에 기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쇼핑몰 서버(500) 각각으로부터 상기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상품에 대해 기 등록된 정보 중 주문 정보를 갱신하고, 판매자 단말(400)로부터의 주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된 주문 정보를 해당 판매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의 기능 블록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웹 서버 모듈(710), DB 연동 모듈(740), 데이터베 이스부(760), 인증 모듈(750), 제휴사 서버 모듈(730), 제어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웹 서버 모듈(710)은 상품 등록 화면, 상품 정보 확인 화면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웹 페이지 형 태로 구성하여 판매자 단말(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판매자 단말(400)의 웹 브라우저와 통신을 하 게 된다.
물론,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가 판매자 단말(400)에 반드시 웹 페이지의 형태로 소정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웹 서버 모듈(710)은 하나의 예를 든 것에 불과하다.
웹 서버 모듈(710)은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부(760)에 저장하는데, 이러한 데이 터베이스부(760)에는 판매자 DB(761), 상품 정보 DB(762), 쇼핑몰 서버 목록 DB(763), 택배사 DB(764), 제조사 DB(765) 등 상품의 입고와 판매, 배송 등 상품 판매와 관련된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판매자 DB(761)에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를 이용하고자 하는 판매자 별 개인 정보들이 저장되고, 상품 정보 DB(762)에는 각 판매자들이 쇼핑몰 서버(500)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쇼 핑몰 서버 목록 DB(763)에는 판매자가 판매를 위해 자신의 상품이 등록되기를 원하는 쇼핑몰 서버(500)들의 목 록을 지정한 경우 해당 쇼핑몰 서버(500)들의 목록이 저장된다. 또한 쇼핑몰 서버 목록 DB(763)에는 각 쇼핑몰 서버(500)들에 로그인 할 수 있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택배사 DB(764)에는 실제 상품의 배송을 위해 판매자가 정한 택배사들의 정보가 저장되고, 제조자 DB에는 판매 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실제 제조사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부(760)의 각 DB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판매자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DB(762), 쇼핑몰 서버 목록 DB(763)에는 판매자 DB(761)에 저장된 각각의 판매자 별로 대응되는 상품정보와 쇼 핑몰 서버 목록이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판매자의 키 값을 포함하는 형태로 상품 정보 DB(762) 및 쇼핑 몰 서버 목록 DB(763) 등이 저장된다.
특히 쇼핑몰 서버 목록은 판매자의 특정 상품 별로 다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는 판매자에게 각 상품별 로 판매하고자 하는 쇼핑몰 서버(500)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DB 연동 모듈(740)은 쇼핑몰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의 데이터베이 스부(760)에 저장된 소정 정보를 쇼핑몰 서버(500)로 전송하고, 쇼핑몰 서버(5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데이 터베이스부(76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와 쇼핑몰 서버(500) 간에 소정의 데이터들이 연동되는 방법으로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자체가 상호 연동되도록 구현되는 방법,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작성된 구조 적 정보의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들이 연동되도록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인증 모듈(750)은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가 판매자 단말(400) 또는 쇼핑몰 서버(500)와의 통신을 위한 인증처리를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판매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데이터베이 스부(760)의 판매자 DB(761)의 정보와 비교하여 기 등록된 판매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쇼핑몰 서버(500)와 통 신하는 경우에는 쇼핑몰 서버 목록 DB(763)에 저장된 해당 쇼핑몰 서버(50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 요청한다.
제휴사 서버 모듈(730)은 제조사 연동 모듈(731)과 택배사 연동 모듈(732)이 포함될 수 있는데, 주문된 상품에 대해 판매자가 발송 요청을 하는 경우 택배사 연동 모듈(732)을 통해 택배사 서버(미 도시함)와 통신하고, 상품 의 추가 입고를 위해 제조사에 주문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제조사 연동 모듈(731)을 통해 제조사 서버(미 도시함)와 통신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한다. 여기서, 택배사와 제조사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760)의 택 배사 DB(764)와 제조사 DB(765)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고하면 된다.
제어부(720)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의 각 구성 모듈들에 대한 제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 버(700)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판매자 역시 여러 명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판매자 한명의 상황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자신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각각의 쇼핑몰 서버(500)에 회원가입한다(단계 S1).
또한, 판매자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회원가입 을 한 후 로그인 한다(단계 S3).
이어서 판매자는 자신이 가입하여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쇼핑몰 서버(500)들에 대한 정보가 상품 정보 통합관 리 서버(700)에 등록 되도록 요청하고(단계 S5), 이에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각 판매자별로 쇼핑몰 서버(500)들의 목록을 저장 관리한다. 이때, 판매자는 각 쇼핑몰 서버(500)에 회원 가입할 때 지정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함께 전송하는데,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이러한 각 쇼핑몰 서버(500) 별 판매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쇼핑몰 서버 목록과 함께 저장한다(단계 S7).
또한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400)을 이용해 상품 정보 등록을 요청하면(단계 S9),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 0)는 요청받은 상품 정보를 등록한다(단계 S11). 등록되는 상품 정보에는 상품의 판매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 어 상품의 이름, 제조사, 가격 등은 물론이고, 판매자가 보유한 상품의 총 수량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 라 판매자가 보유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가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저장 및 관리된다.
여기서 판매자가 소정의 상품 정보 또는 쇼핑몰 서버 목록 등을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등록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서 제공하는 정보 입력 폼 등이 포함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이러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일반적이고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 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품 정보 등록이 완료된 후에 판매자는 쇼핑몰 서버(500)에 자신의 상품이 쇼핑몰 서버(500)에 등록될 수 있도 록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요청하고(단계 S13),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판매자의 요청에 따 라 해당 판매자의 쇼핑몰 서버(500)들에 로그인 한 후(단계 S17)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상품에 대한 등록을 요 청한다(단계 S19).
여기서 쇼핑몰 서버(500)들에 로그인하기 위해 판매자에 의해 기 저장된 각 쇼핑몰들의 판매자 아이디 및 패스 워드를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판매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쇼핑몰 서버(500)에 해당 상 품의 등록을 요청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지만, 판매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품 DB에 소정 상품들이 등록될 때마 다 자동으로 쇼핑몰 서버(500)에 해당 상품들이 등록되도록 하는 것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쇼핑몰 서버(500)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로부터 상품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을 등록 처리하 여 구매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9).
한편,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600)(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을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500)에 회 원가입 및 로그인을 한 후(단계 S15)(물론 쇼핑몰에 따라서 회원가입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본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쇼핑몰 서버(500)에 등록된 상품들을 검색하여 원하는 상품에 대해 주문 요청한다(단계 S23).
구매자의 상품 주문 요청에 따라 쇼핑몰 서버(500)는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5). 여기 서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 처리라 함은 쇼핑몰 서버(500)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품 판매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품의 대금 결제를 위해 금융망을 통한 결제 처리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판매 처리 과정은 종래의 쇼핑몰 서버(200)의 상품 판매 과정을 포함한다.
이어서, 쇼핑몰 서버(500)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전송하는데(단계 S27), 이를 위해 쇼핑몰 서버(500)에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어떤 판매자의 어떤 상품인지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해당 상품이 구매자로부터 주문되었음을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실시간으로 알리기 위 함이다.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쇼핑몰 서버(500)에 주문 정보를 요청하는데 (단계 S29), 이때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어떤 판매자 의 상품이 주문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판매자가 기 등록해 놓은 쇼핑몰 서버(50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500)에 로그인 한다.
쇼핑몰 서버(500)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주문 정보를 전송하고(단계 S31),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해당 상품의 주문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33). 여기서 상 품의 주문 정보라 함은 구매자의 정보는 물론 상품의 주문 수량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 주문된 수량에서 추가 로 주문된 수량을 더하여 주문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품의 총 재고량에서 주문된 수량만큼 차감한다(단계 S35).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1개의 주 문에 대한 주문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재고량 항목과 주문량 항목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와 쇼핑몰 서버(500) 간에 예를 들어 소켓 연결이 유지된다면 상술한 단계 S29와 단계 S31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쇼핑몰 서버(500)에서 전송되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에 주 문과 관련된 모든 정보(구매자 정보, 주문 수량 등)가 포함되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전송될 수 있 는 것이다.
한편, 판매자가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를 통해 각 쇼핑몰 서버(500)에 상품을 등록할 때, 보유한 상품 수량 전체를 모든 쇼핑몰 서버(500)에 등록시키는 수량과 일치시킨 경우에는 쇼핑몰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주 문 정보에 따라 재고 수량을 차감한 후에 나머지 쇼핑몰 서버(500)에 등록된 상품의 재고 수량이 갱신되도록 하 는 일종의 재고량 일치 제어신호를 각 쇼핑몰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상품을 총 100개 갖고 있는 판매자는 '갑'쇼핑몰 서버(501)에는 A 라는 상품 40개를 등록하고 '을'쇼핑몰 서버(502)에는 30개를 등록하고 '정'쇼핑몰 서버(503)에는 '30'개로 100개를 나눠서 등록할 수도 있 지만, 가령 모든 쇼핑몰 서버(501,502,503)에 100개로 등록시킨 경우 '갑'쇼핑몰 서버(501)로부터 A라는 상품 2 개가 주문되었음을 알리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는 상품 정보 DB(762)의 상품 재고량을 98로 갱신하면서 '을'쇼핑몰 서버(502)와 '정'쇼핑몰 서버(503)에 A라는 상품의 재고 량을 98로 갱신하도록 하는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400)을 통해 자신이 각 쇼핑몰 서버(500)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의 주문 내역 등을 확인하기 위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상품 정보를 요청하면(단계 S37),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 버(700)는 요청받은 상품들의 주문 내역 등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판매자 단말(400)로 전송한다(단계 S39).
이에, 판매자 단말(400)에는 주문 내역 등이 포함된 상품 정보들이 일목요연하게 즉시 표시될 수 있다(단계 S41).
도 5a 및 도 5b에는 이처럼 판매자 단말(4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들이 도시되었다.
우선, 도 5a는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 중 각 쇼핑몰에서 판매 또는 주문된 내역의 총합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화면은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의 웹 서버 모듈(710)에 의해 웹 데이터로 생성된 브라우저 화면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매자가 특정 상품(예를 들어 '프라이팬')의 주문량 항목(801)을 클릭하면 도 5b와 같이 해당 상 품이 주문된 각각의 쇼핑몰과 주문자 정보 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는 각각의 쇼핑몰 서버(500)로부터 구매 발생 시마다 전송되는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되고 있는 것이어서, 판매자가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만 접속하는 것에 의해 자 신이 각 쇼핑몰에서 팔고 있는 상품에 관한 판매 상황 등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구매자에 의해 쇼핑몰 서버(500)에서 주문이 이루어진 경우 쇼핑몰 서버(500)가 상품 주 문 이벤트 신호를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전송하는 것만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구 매자가 상품에 관한 문의 사항을 쇼핑몰 서버(500)의 게시판에 남기는 경우에도 상품 문의 이벤트 등의 신호가 쇼핑몰 서버(500)에서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로 전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취하는 일련의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이벤트 신호가 상품 정 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실시간으로 알려짐으로써, 판매자는 자신의 판매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주 문정보, 문의 정보 등)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쇼핑몰 서버(500)에 접속해야 하거나 또는 확인하고자 하는 쇼 핑몰 서버 목록을 선택할 필요 없이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는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 상품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쇼핑몰 서버(500)가 구매자의 구매 선택에 따른 소정의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것 을 일 예로 하였으나, 상품 정보 통합관리 서버(700)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쇼핑몰 서버(500)에 상품의 주문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면 이러한 이벤트 신호의 전송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특히 기 설정된 시간 간 격이 충분히 짧다면 비록 실시간은 아니더라도 실시간에 근접하게 해당 상품 정보들이 갱신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 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Claims (4)

  1.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 관리를 위해 조작하는 판매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소정 상품의 온라인 판매를 수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쇼핑몰 서버와;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등록되는 상품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은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상 품에 대해 판매용으로 등록 처리를 수행하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구매자의 상품 주문이 있는 경우 주문된 상품 의 판매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에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전달되는 쇼핑몰 서버 목록을 저장 관리하고, 등록 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쇼핑몰 서버 목록에 포함된 쇼핑몰 서버로 일괄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기초로 해당 상품에 대한 기 등록 된 정보 중 주문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된 주문 정 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를 기초로 해 당 상품의 재고량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는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해당 상품의 통합 재고량 값을 주문 된 수량만큼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상품 등록 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상품 정보에는 상품의 통합 재고량 값이 포함되고, 상기 상품 정보 통합 관리 서버는 어느 하나의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 주문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어 해당 상품의 통합 재고량 값을 차감시킬 때마다 상기 상품 등록 요청신호를 전송한 모든 쇼핑몰 서버에 재고량 일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KR1020200074272A 2020-06-18 2020-06-18 쇼핑몰 플랫폼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56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272A KR20210156558A (ko) 2020-06-18 2020-06-18 쇼핑몰 플랫폼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272A KR20210156558A (ko) 2020-06-18 2020-06-18 쇼핑몰 플랫폼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558A true KR20210156558A (ko) 2021-12-27

Family

ID=7917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272A KR20210156558A (ko) 2020-06-18 2020-06-18 쇼핑몰 플랫폼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65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578B1 (ko) * 2022-11-10 2023-04-24 (주)셀메이트 쇼핑몰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578B1 (ko) * 2022-11-10 2023-04-24 (주)셀메이트 쇼핑몰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72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automation
US87752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automation
US7366684B1 (en) Blind-supply open commerce business system
US20010037261A1 (en) Agent purchase method, agent purchase system and record medium containing transaction management program
JP2001512863A (ja) 電子商取引トランザクション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90093303A (ko)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7694A (ko) 위시 리스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JP2002269413A (ja) ネットオーダーシステム
KR101603009B1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6558A (ko) 쇼핑몰 플랫폼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4991A (ko)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64538B1 (ko) 키워드 코딩 매매시스템.
US77070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sourcing products
KR101819159B1 (ko) 모듈화된 개별 제품에 대한 콘텐츠 기반의 제품 판매 편의 제공방법
US7412408B1 (en) Method for consolidating orders
KR20010011145A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상품 판매 방법
KR101299829B1 (ko) 온라인 트레이딩 중개 방법
KR20200029273A (ko) 전자 상거래방법
KR100360589B1 (ko) 전자 상거래 에이전트 처리 방법및 장치
KR20010000954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간 전자 상거래/보상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80103120A (ko) Ucc형 쇼핑몰 플랫폼의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30063599A (ko) 구매자 중심 상품구매 시스템
KR100776715B1 (ko) Ucc형 쇼핑몰 플랫폼의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3616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JP2001319096A (ja) 商品入札情報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