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232A - Welding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Welding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232A
KR20210156232A KR1020210077618A KR20210077618A KR20210156232A KR 20210156232 A KR20210156232 A KR 20210156232A KR 1020210077618 A KR1020210077618 A KR 1020210077618A KR 20210077618 A KR20210077618 A KR 20210077618A KR 20210156232 A KR20210156232 A KR 2021015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fixing part
fixing
reinforcing bars
c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6896B1 (en
Inventor
유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앤씨
Publication of KR2021015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232A/en
Priority to KR102022010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6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ld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a weldless rebar anchoring method. The device comprises: a first fix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first reinforcing bars and fixed to first reinforcing bars; a second fix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second reinforcing bars and fixed to second reinforcing bars; and connection units which are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respectively, to couple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to each other, wherein a coupling position is adjustable in response to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A structure can be secured by anchor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structure without welding, thereby achieving easy use in a building using the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of which the strength is lowered by welding. In addition, a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due to deterioration can be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Description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WELDING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METHOD}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and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본 발명은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없이 구조물 내에 배근된 철근들을 정착 연결하여 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apparatus and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apparatus and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capable of fixing a structure by fixing a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in a structure without welding. is about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세울 때에는 기둥, 보, 슬래브 등의 구조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연결고정방법의 예로 각 구조물에 배근된 철근들을 서로 정착하고 이를 통해 각 구조물들을 연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이러한 철근을 정착 고정함으로써 각 구조물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시공현장에서는, 인접하는 철근들끼리 용접하여 철근들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In general, when erecting a building, structures such as columns, beams, and slabs must be connected and fixed with each other in various ways. It is mainly used. At this time, as a method of connecting each structure by fixing and fixing such reinforcing bars, in most construction sites, a method of welding adjacent rebars to connect and fix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is preferred.

한편, 기술이 발전하고 사회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건축물은 보다 큰 규모로 지어지는 한편 건축물의 구조 성능에 대한 규제는 보다 엄격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건축물의 높은 구조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항복강도를 크게 증가시킨 고강도철근이나 고장력철근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고강도철근 혹은 고장력철근은 국내의 경우 항복강도가 400MPa(SD400) 이상인 철근을 말하며, 항복강도가 500MPa(SD500) 이상인 철근은 초고강도철근으로 지칭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as technology develops and social standards increase, buildings are built on a larger scale, while regulations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buildings are becoming stricter. 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or high-tensile reinforcing bars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yield strength have been used in order to provide high structural performance of buildings. Here, such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or high-tensile reinforcing bars refer to reinforcing bars having a yield strength of 400 MPa (SD400) or higher in Korea, and reinforcing bars having a yield strength of 500 MPa (SD500) or higher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ultra-high-strength rebars.

그런데, 이러한 고강도철근의 경우에는 높은 열을 가하면 열화되어 인장응력에 대한 강도를 크게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강도의 저하는 고강도철근에서 일부 지점이라 할지라도 건축물 자체의 구조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비싼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의미가 무색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이렇게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은 철근들을 용접 없이 서로 정착 연결하는 정착구조가 필요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when high heat is applied, they deteriorate and the strength against tensile stress is greatly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aning of using expensive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is overshadowed. Therefore, a structure using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in this way requires a fixation structure in which rebars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등록특허공보 제10-1844757호 (2018.04.03.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44757 (2018.04.03. Announcement)

본 발명은, 용접을 하지 않으면서도 철근들끼리 서로 정착 연결하여 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and a non-welding reinforcing bar anchoring method capable of fixing a structure by fixing a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1철근들이 이격되게 배근된 제1구조물과, 복수개의 제2철근들이 이격되게 배근된 제2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제1철근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철근에 정착되는 제1고정부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제2철근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철근에 정착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가 조절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are spaced apart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ars are spaced apart. , a first fix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one or a plurality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s; a second fix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one or a plurality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s and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s;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upl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o each other, and to correspond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welding reinforcing bar anchoring device including; a position-adjustable connection part.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이격거리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 또는 상기 제1고정부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위치설정 후 상기 제2고정부 또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necting part,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or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the second fixing part or A connection member that is screwed through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is screwed to fix the second fixing part or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connection member to each other after positioning the connection member It may include a fixing means for coupling.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일측에 안착 결합되는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을 중심으로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대칭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타측에 안착 결합되는 제2클램프유닛과, 상기 제1클램프유닛 및 상기 제2클램프유닛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이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에 정착되게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clamp unit that is sea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and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as the center A second clamp unit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clamp unit and seated and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lamp The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are moved in a direction for press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so that 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The unit may include a coupling means to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은,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외측방향으로 설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are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a seating groove in whic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 is seated is formed. It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and an extension part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and formed to extend to a set length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여기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in a concave round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연장부는, 양측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may be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adjacent to each other on both sides to connect the accommodating parts to each other.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설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이 걸림접촉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med to a set length and disposed along the first or second reinforcement bars,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is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that is bent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 contact with the hooking.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설정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member has a plate shape having a set length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passes is formed, and the locking member has the other end may be formed in a concave rou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to surround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또한,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상기 걸림부재와 나사결합하는 연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art or the second fixing part includes a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means is engag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It may include a connecting nut screwed to the engag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 각각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을 서로 연결하는 템플렛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portion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bars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템플렛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이 관통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들이 형성된 템플렛부재와, 상기 제1철근과 상기 제2철근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템플렛부재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으로 제1나사산이 마련된 끼움홀이 형성된 끼움부재와, 외주면으로 상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삽입단부가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템플렛부재와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이 서로 고정 연결되게 하는 가압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emplate part includes a templa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 a plate shape, and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A fitting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and having a fitting hole provided with a first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screw thread meshing with the first screw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and screwed into the fitting hole, and the insertion end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It may include a pressure coupling member for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so that the template member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술한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제1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1철근에 제1고정부를 정착하는 단계와; 제2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2철근에 제2고정부를 정착하는 단계와; 연결부를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using the above-described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fixing a first fixing unit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reinforced in a first structure; A method comprising: fixing a second fixing unit to a second reinforcing bar in a second structure; Including th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anchoring non-welding reinforcing bars.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disclosed technology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termed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용접 없이 구조물 내에 배근된 철근들을 정착 연결하여 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는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에서의 사용이 용이하며, 열화로 인한 철근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구조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and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the structure by fixing and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structure without welding. Because it is easy to use and it can prevent the decrease in strength of rebar due to deterio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볼트와 너트 방식을 이용하여 철근들을 정착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철근정착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and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to work because the rebars can be fixed and fixed by using a bolt and nut method, and the rebar anchoring position can be set more freel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건축구조물의 철근들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정착가능하고 정착되는 철근의 개수도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여 정해진 위치에 보다 견고하게 정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and the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in various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bars of a building structure and the number of rebars to be fixed can be freely adjusted so that they are more firmly fixed in a fixed position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기존 공법에서의 용접, 해체, 재용접 등의 과정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시간손실을 막아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기존의 용접시공에 비해 보다 정밀하게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and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time loss caused by the processes of welding, dismantling, re-welding, etc. in the existing method, enabling rapid construction,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struct more precisely than construction.

도 1은 제1철근 및 제2철근에 정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의 평면상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에서 제1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에서 제1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에서 제1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에서 제1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에서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와 연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에서 제3고정부의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to a first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ar state of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FIG. 1 .
3 is a side view of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ixing unit in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FIG. 1 .
5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fixing unit in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FIG.
6 is a side view of the first fixing unit in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xing unit in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FIG. 4 .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fixing part, a second fixing part, and a connection part in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FIG. 1 .
9 is a side view showing a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the third fixing unit in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는, 복수개의 제1철근(11)들이 이격되게 배근된 제1구조물과, 복수개의 제2철근(12)들이 이격되게 배근된 제2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의 제1철근(11)들과 제2철근(12)들을 대상으로 용접 없이 무용접으로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이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용접을 통하여 철근들을 결합시키는 것과는 달리 용접으로 인한 철근 자체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철근의 변형을 방지하고 나아가 전체 구조물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11 are spaced apart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ars 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connectio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as a target. can This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reinforcing bar itself due to welding, unlike combining reinforcing bars through conventional welding,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reinforcing bars and further reducing the strength of the entire structur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와, 연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템플렛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fixing part 100 , a second fixing part 200 , and a connection part 500 . and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part 600 .

우선, 구성을 살펴봄에 앞서 상기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부재들로서, 도면에서 제1구조물은 수직부재로서 통상의 기둥 등의 구조물을 포함하며, 제2구조물은 수평부재로서 슬래브, 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befor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re members constituting the building, and in the drawings, the first structure is a vertical member and includes a structure such as a normal column, and the second structure is a horizontal member. It may include slabs, beams, and the like.

상기 제1고정부(100)는, 상기 제1구조물의 제1철근(11)에 정착되며, 제1철근(11)의 배치구조 및 정착위치에 따라 하나의 제1철근(11) 또는 복수개의 제1철근(11)들에 정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1고정부(100)는, 한 쌍의 제1철근(11)들에 정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1철근(11)에 정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f the first structure, an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fixing posi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n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11 It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In the drawings, the first fixing unit 100 shows a case where it is fixed to a pair of first reinforcing bars 11 , but this may be fixed to one or several first reinforcing bars 11 as an embodiment. of course there is

상기 제1고정부(100)는, 제1철근(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콘크리트 양생 전 제1철근(11)들에 대하여 현장에서 결합위치를 설정하여 정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100)는, 제1철근(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후술되는 클램프방식 또는 걸림접촉방식을 통하여 제1철근(11)에 정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fixing unit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so that an operator can fix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by setting a coupling position in the field before concrete curing.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ixing part 100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through a clamp method or a latching contact method described later in a configura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상기 제2고정부(200)는, 상기 제2구조물의 제2철근(12)에 정착되며, 제2철근(12)의 배치구조 및 정착위치에 따라 하나의 제2철근(12) 또는 복수개의 제2철근(12)들에 정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2고정부(200)는, 한 쌍의 제2철근(12)들에 정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of the second structure, an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fixing posi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one second reinforcing bar 12 or a plurality of It may be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In the drawings, the second fixing part 200 shows a case where it is fixed to a pair of second reinforcing bars 12 , but this may be fixed to one or several second reinforcing bars 12 in an embodiment. have.

상기 제2고정부(200)는, 제2철근(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콘크리트 양생 전 제2철근(12)들에 대하여 현장에서 결합위치를 설정하여 정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100)와 마찬가지로 클램프방식 또는 걸림접촉방식을 통하여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so that an operator can set a coupling position f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in the field before curing the concrete and fix them. Like the first fixing unit 100, it may be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hrough a clamp method or a contact contact method.

이하에서는, 상기한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의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rst fixing unit 100 and the second fix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는, 클램프방식으로 상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는,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과, 결합수단(34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n a clamping manner. 4 to 7 ,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re a first clamp unit 310 , a second clamp unit 320 , and a coupling means 340 .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쌍을 이루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양측에 정착되며, 이 중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일측에 안착 결합되고,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타측에 안착 결합된다. Here,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form a pair in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form a pair of first reinforcing bars 11 ) or fix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of which the first clamp unit 310 is sea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the second The clamp unit 320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먼저,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은, 수용부(331)와, 연장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rst, the first clamp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331 and an extension part 332 .

먼저 상기 수용부(331)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홈(33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3311)은 정착되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의 오목한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에 대하여 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홈의 깊이와 형상을 철근의 직경과 곡률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안착홈(3311)은 그 크기가 정착되는 철근에 비하여 과도하게 크면 제1고정부(100)를 철근에 고정시키기 어려워 질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곡률반경은 정착 대상 철근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계될 수도 있다. First, the receiving portion 331 may be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3311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seated. Here, the seating groove 3311 may be formed in an arc-shaped concave round shape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be fixed,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The depth and shape of the groove may be variously set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and curvature of the reinforcing bar so as to have a wider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In other words, if the size of the seating groove 3311 is excessively large compared to the reinforcing bar to be fixed, it may become difficult to fix the first fixing part 100 to the reinforcing bar. may be design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anchoring target reinforcing bar.

나아가, 상기 안착홈(3311)은 안착되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과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슬립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홈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상기 제2철근(1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들이 안착삽입되게 하여, 안착홈(3311)에 안착된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길이방향을 따라 슬립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ating groove 3311 may be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groove to prevent slipping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be seated. The slip prevention groove allow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be seated and inserted, and the fir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from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나아가,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은, 상기 안착홈(3311)의 측면에 결합되고, 안착되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패드는, 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에 대하여 슬립방지는 물론 이격 공간 없이 보다 밀착되게 하고 마찰력을 증가시켜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지의 탄성고무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안착홈(3311)의 측면에 본딩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r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3311 and are se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ch an elastic pad prevents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from slipp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s well as making them more closely contacted without a spaced apart space and increasing frictional force. The binding force may be further improved,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known elastic rubber may be applied,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seating groove 3311 through bonding or the like.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은, 각각에 형성된 안착홈(3311)의 크기가 다를 수 있으며, 나아가 안착홈(3311)이 서로 대칭되는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may have different sizes of the seating grooves 3311 formed in each, and furthermore, the first clamping grooves 3311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It may be formed in only one of the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

상기 연장부(332)는, 상기 수용부(33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측방향으로 설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00)가 결합된다.The extension portion 332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331 to extend to a set length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the connecting portion 500 is combined

한편, 상기 연장부(332)는, 연결부(500)의 결합위치와 배치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되는 제1철근(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고정부(200)의 배치방향과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portion 332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and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500, and as shown in the figur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to be fixed. It may be formed and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연장부(332)는, 상기 수용부(331)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서로 인접하는 수용부(331)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331)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332 is formed to extend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art 331, and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s 331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to connect the accommodating parts 331 to each other. .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은,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대칭되는 구조로서, 전술한 수용부(331)와, 연장부(332)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clamp unit 320 has a structure symmetrical to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includes the aforementioned receiving part 331 and the extension part 33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inc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decide to do

상기 결합수단(340)은,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 및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이 상기 제1철근(11) 또는 상기 제2철근(12)에 정착되게 한다.The coupling means 340 is coupled to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to connect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to each other,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r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340)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을 이동시켜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에 정착시킬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means 340 moves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form the first It can be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도면에서, 상기 결합수단(340)은,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의 양측에 구비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의 연장부(332)와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의 연장부(332)를 동시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볼트(341)와, 상기 체결볼트(341)의 단부에 결합하는 체결너트(342)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체결너트(342)를 조임으로써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을 정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수단(340)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체결위치와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341)와 체결너트(342)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외 잭, 지렛대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drawing, the coupling means 34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nd the extension part 332 of the first clamp unit 310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includes a fastening bolt 341 that is fastened through the extension 332 at the same time, and a fastening nut 342 tha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341. By tightening 342 ,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re fixed. However, as an embodiment, the coupling means 340 may have a different fastening position and a different configuration if the above purpose can be achieved.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means 340, as shown, can be applied to the fastening bolt 341 and the fastening nut 342, other than jacks, levers, etc. If the above purpose can be achieved,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

이하에서는, 상기한 클램프방식이 아닌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other than the clamp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는, 걸림 접촉방식으로 상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는, 지지부재(410)와, 걸림부재(420)와 연결수단(4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n a contacting manner. To this end,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410 , a locking member 420 , and a connecting means 430 .

먼저, 상기 지지부재(410)는, 설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상기 제2철근(12)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support member 410 may be formed to a set length and disposed alo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

도면에서 상기 지지부재(410)는, 설정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상기 제2철근(12)들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재(420)가 결합되고 나아가 후술되는 연결부(500)재가 결합될 수 있다. In the drawing, the support member 410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in the shape of a plate having a set length, the engaging member 420 is coupled thereto, and further described later. The connecting part 500 material to be can be combined.

상기 지지부재(410)는, 상기 걸림부재(420)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420)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고, 상기 걸림부재(420)의 위치가 결정되면 후술되는 연결수단(430)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상기 제2철근(12)들의 배열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1철근들 또는 제2철근(12)들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420)의 결합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In the support member 410,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passes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member 420 is movably inserted through,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locking member 420 is determined, it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sition can be fixed by the connecting means 430 that is.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member 41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s shown,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s or the second The length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engaging member 420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bars 12 .

상기 걸림부재(420)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걸림 접촉된다. 상기 걸림부재(420)는, 일단부가 지지부재(410)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410)를 관통한 일단부에 연결수단(430)인 연결너트(431)가 나사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42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410 and the other end is bent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member. The engaging member 420, one end may be screwed to be movable in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member 410, the connecting nut 431 as a connecting means 430 at one end penetrating the support member 410 may be screwed to fix its position.

상기 걸림부재(420)의 타단부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며 걸림 접촉되도록,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420)는, 타단부가 원호 형상을 이루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걸림 접촉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되는 부분의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so as to wrap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to be in contact with the latching contact. Thus, it can be bent into a concave round shape. Here, the engaging member 420 may have an arc shape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it, and the length of the bent portion may vary. can be set to

나아가, 상기 걸림부재(42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지지부재(410)에 관통 결합되고 절곡된 중앙부로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걸림 접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수단(430)은 걸림부재(420)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Further, the locking member 420 is formed in a 'U' shap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respectively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41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a bent central portion. ) may be in contact contact, and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ans 430 may be coupled to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420 .

상기 연결수단(430)은, 상기 지지부재(410)와 상기 걸림부재(4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상기 연결수단(430)은, 상기 걸림부재(420)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상기 걸림부재(420)와 나사 결합하는 연결너트(4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너트(431)의 조임에 따라 걸림부재(420)의 타단부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ans 430 serves to connect the support member 410 and the locking member 420 to each other.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means 430 may include a connecting nut 431 that is engaged with a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420 and is screwed to the engaging member 420, and a connecting nut ( 431),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ightening.

한편, 상기 제2고정부(2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걸림부재(420)와 연결수단(430)을 와이어와, 와이어매듭을 이용하여 무용접 방식으로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fixing unit 200 may be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n a non-welding manner using a wire and a wire knot between the engaging member 420 and the connecting means 430 . have.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를 클램프방식 또는 걸림 접촉방식의 실시예들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용은 제1구조물의 제2구조물의 구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의 배치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각각을 클램프방식과 걸림 접촉 방식으로 서로 동일한 실시예를 적용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0)는 클램프방식이 적용되고 제2고정부(200)는 걸림 접촉 방식이 적용되는 것처럼 서로 다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는, 현장에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의 구조와, 제1철근(11)들과 제2철근(12)들의 배치구조 및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embodiments of the clamping method or the engaging contact method us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nd this application is the first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tructure of the structur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In addition, the welding non-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same embodiment to each other in a clamping method and a hooking contact method for each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or as shown in the first Of course, different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the fixing part 100 as a clamp method is applied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a latching contact method applied. That is,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r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in the field. And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design.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5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nection part 500 will be described.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제1고정부(100) 및 상기 제2고정부(20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이 서로 연결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이 서로 연결되게 한다.The connection part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respectively, and coupl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to each other,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이러한 연결부(500)는,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가 조절 가능하며, 이에 따라 현장에서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의 위치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connection part 500, the coupling position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nd accordingly,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in the field.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can be easily connec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s of the and second reinforcing bars 12 .

세부적으로, 상기 연결부(500)는, 연결부재(510)와, 고정수단(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0)는, 일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100) 또는 제2고정부(20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고정부(200) 또는 제1고정부(1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의 이격거리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200) 또는 상기 제1고정부(100)에 관통되게 나사 결합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연결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nection part 500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510 and a fixing means 520 . The connecting member 510 has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or the second fixing part 200 , and the other end to the second fixing part 200 or the first fixing part 100 . are combine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500 is the second fixing part 200 or the first fixing part 100 so as to be movabl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 ) is screwed through, and as shown, a connection bolt whose separation distan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crew connection may be applied.

상기 고정수단(520)은, 상기 연결부재(51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510)의 위치설정 후 상기 제2고정부(200) 또는 제1고정부(100)와 상기 연결부재(510)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며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수단(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10)의 연결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너트(521)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xing means 520 is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510 to connect the second fixing part 200 or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or the first fixing part 100 after positioning the connection member 510 . The members 510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serv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xing means 520 may include a fixing nut 521 that is screwed with the connection bolt of the connection member 510 .

한편, 상기 고정수단(520)은, 상기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재(510)가 고정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너트(521,321a)는 제1고정부(100) 또는 제2고정부(200)의 측면을 비롯하여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520)은, 상기한 고정너트(521) 외 연결부재(510)가 관통 결합되는 제1고정부(100) 또는 제2고정부(200)의 관통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재(510)의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고정부(100) 또는 제2고정부(200)의 두께는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ans 520 may be located in various positions if the connecting member 51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 and the fixing means 520 . The nuts 521 and 321a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s well as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or the second fixing part 200 .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520 forms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or the second fixing part 200 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510 in addition to the fixing nut 521 is through-coupled. In response to this,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510 to engage the screw thread, an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or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be the fastening force.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to secure the.

이하에서는, 상기 템플렛부(6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template unit 600 will be described.

상기 템플렛부(600)는,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 각각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템플렛부(600)는, 제1구조물(수직부재,기둥)의 제1철근(11)들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제2구조물의 제2철근(12)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template part 600 i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to each other. can be configured. In the drawings, the template part 600 shows a case where it is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f the first structure (vertical member, column), but this is an embodiment of the second structure of the second structure. It may also be arranged on the reinforcing bars (12).

세부적으로, 상기 템플렛부(600)는, 템플렛부재(610)와, 끼움부재(620)와, 가압결합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template part 600 may include a template member 610 , a fitting member 620 , and a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

상기 템플렛부재(6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의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일자형 또는 'ㄱ'자형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템플렛부재(610)는, 상기 제1철근(11)이나 제2철근(12)과의 결속력을 위하여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이 관통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6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가압결합부재(630)의 가압방향과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이 끼움 결합되게 하는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template member 610 is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meter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in a plate shape, and is straight or 'L' shaped or 'ㅁ' shape as shown, etc.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template member 610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re inserted for binding force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611) may be formed. However, this achieves the above purpose, such as positioni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to be fitt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n an embodiment.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if possible.

상기 끼움부재(620)는, 상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템플렛부재(610)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으로 상기 가압결합부재(630)가 삽입되는 끼움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홀(621)은, 내주면으로 제1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가압결합부재(6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fitting member 62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emplate member 610, and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itting hole 621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fitting hole 62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crew thread 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crew-coupled to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

상기 가압결합부재(630)는, 상기 끼움홀(621)에 삽입되고 삽입단부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템플렛부재(610)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서로 결속되게 한다.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621 and the insertion end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form the template member 610 and the first The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re boun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가압결합부재(630)는, 가압볼트로 적용되어 외주면으로 상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끼움홀(621)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삽입단부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템플렛부재(610)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서로 고정 연결되게 한다.Here,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s applied as a pressure bolt so that a second screw thread meshing with the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screwed into the fitting hole 621, and the insertion end is the first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rotation. (11) or by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he template member 61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전술한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상기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fixing non-welding reinforcing bars using the above-described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will be described, and since the non-welding rebar fixing devic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its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먼저, 제1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1철근(11)에 제1고정부(100)를 정착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00)의 정착방법은, 클램프방식으로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 사이에 제1철근(11)을 위치시켜 제1철근(11)을 수용부(331)에 안착시키고, 결합수단(340)을 통해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이 제1철근(11)을 가압하여 정착하거나, 걸림 접촉 방식으로 지지부재(410)에를 제1철근(11)들의 측부에 배치시키고 걸림부재(420)를 제1철근(11)들 각각에 걸림 접촉시킨 후 연결수단(430)을 통해 지지부재(410)와 걸림부재(420)를 고정시켜 정착시킬 수 있다. First,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reinforced in the first structure. At this time, in the fixing method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is placed between the first clamping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ing unit 320 in a clamping method.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re seated in the receiving part 331, and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press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to fix it, or a support member in a jamming contact method. (410)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 holding member 4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n the supporting member 410 and the engaging member ( 420) can be fixed to fix it.

한편, 상기 제1고정부(100)를 정착하기 전후 어느 과정에 상기 템플렛부(6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템플렛부(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철근(11)들의에 템플렛부재(610)를 설치하고 가압결합부재(630)를 통해 제1철근(11)들의 위치를 고정 또는 그 위치를 잡아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late part 600 may be installed in any process before and after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 The template part 600, as shown, installs the template member 610 on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through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or determines the position thereof. can catch you

상기한 바에 따라 제1구조물 내에 제1고정부(100)를 정착하고 나면, 다음으로 제2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2철근(12)에 제2고정부(200)를 정착한다. 여기서, 제2고정부(200)의 정착방법은 전술한 클램프방식 또는 걸림 접촉 방식으로 정착될 수 있다. After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in the firs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reinforced in the second structure. Here, the fixing method of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be fixed by the above-described clamp method or the engaging contact method.

이렇게 제1철근(11)들과 제2철근(12)들 각각에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를 각각 정착한 후에는 연결부(500)를 이용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세부적으로, 이 과정에서는 상기 연결부(500)를 상기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를 조절하고, 연결부(500)를 통하여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After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to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respectively,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connecting part 500 . In detail, in this process, the coupling position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500 and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 and the first height is pass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500 . The governmen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연결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가 각각 제1철근(11)들과 제2철근(12)들에 정착된 후 서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 제1고정부(100)를 정착시킨 후 연결부(500)를 연결하고, 그런 다음 연결부(500)에 제2고정부(200)를 연결할 수 있는 등 현장여건이나. 제1철근(11) 및 제2철근(12)의 배치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정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art 500,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each other Although it has been shown to connect, in some cases, after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the connection part 500 is connected, and then the second fixing part 20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500, etc. .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t can be fixed in various ways.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철근 접합장치의 제3고정부(700)는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고정부(700)는 고정부재(800)와, 높이조절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9 and 10 , the third fixing part 700 of the non-welding rebar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 To this end, the third fixing part 700 may include a fixing member 800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900 .

상기 제3고정부(700)는 제3고정부(700)는 ㅁ자형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어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다.The third fixing part 700 is installed as the third fixing part 700 is formed of a U-shaped thin plate and is vertical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

상기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에는 제1철근(11), 고정부재(800) 및 높이조절부재(900)가 삽입되어 설치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관통홀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은 철근의 설치구조나 위치에 따라 위치 및 개수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hav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the fixing member 800, and the height adjusting member 900 are inserted and installed. is formed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through-holes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r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상기 고정부재(800)와 높이조절부재(900)는 양단부가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의 형상으로 설치된다. Both ends of the fixing member 800 and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900 are installed in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respectively, and are installed in a vertical shape.

먼저 고정부재(800)는 나사부(810)와, 고정부재(820)로 구성된다. 나사부(810)는 나사머리가 하부방향을 향한 상태로 하부 클램프유닛(720)의 관통홀에서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로 수직 삽입된다. First, the fixing member 800 includes a screw portion 810 and a fixing member 820 . The screw part 810 is vertically inserted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clamp unit 720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lamp unit 710 with the screw head facing downward.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10)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나사부(810)가 수직 삽입되면, 나사부(810)의 끝단부는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며, 돌출된 나사부(810)의 끝단부는 고정부재(820)가 체결되어,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가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When the screw portion 810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10 , the end of the screw portion 810 protrudes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lamp unit 710 by a predetermined length. A fixing member 820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protruding screw portion 810 so that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are integrally coupled.

다음으로 높이조절부재(900)는 높이조절부(910), 고정너트(920), 볼트 탈락 방지판(930) 및 높이조절용 볼트(940)로 구성된다. 높이조절부(910)는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수직 삽입된다. 이때 노이조절부(910)가 삽입되는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면에는 고정너트(920)가 용접된다. Next,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900 is composed of a height adjustment unit 910 , a fixing nut 920 , a bolt drop-off prevention plate 930 , and a height adjustment bolt 940 .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is vertically inserted in the lower direc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lamp unit 710 . At this time, the fixing nut 920 is welded to the upper surface where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lamp unit 710 into which the noise control unit 910 is inserted.

즉, 높이조절부(910)는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로 수집 삽입되되, 고정너트(920)를 통해 회전결합되며, 높이조절부(910)의 삽입된 하단부는 하부 클램프유닛(720)의 상부면에 용접되어 고정결합되고, 높이조절부(910)의 상단부에는 높이조절용 볼트(940)가 나사회전되어 결합된다.That is,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is collected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lamp unit 710 , and is rotationally coupled through a fixing nut 920 , and the inserted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is the lower clamp unit 720 . It is weld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 and the height adjustment bolt 940 is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to be coupled.

하부 클램프유닛(720)의 상부면에 용접된 높이조절부(910)의 끝단부 좌우측으로는 한쌍의 볼트 탈락 방지판(930)이 구성되어, 용접된 높이조절부(910)가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A pair of bolt drop-off prevention plates 930 are configur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lamp unit 720, and the welded height adjustment unit 910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do.

상기와 같이 용접 결합된 높이조절부(910)의 높이조절용 볼트(940)를 나사회전 시키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용 볼트(940)는 고정너트(920)와 밀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높이조절부(910)의 하단부에 결합된 하부 클램프유닛(7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간의 높이가 조절된다.When the bolt 940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welded together as described above is screwed, the height adjustment bolt 94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nut 920, thereby height adjustment unit 910 The lower clamp unit 7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between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is adjusted.

추가적으로 하부 클램프유닛(720)에는 연결수단(430)인 연결너트(431)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걸림부재(420)가 구성되어 하부 클램프유닛(7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철근(12)이 정착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clamp unit 720 is configured with a locking member 420 coupled by the screw coupling of the connecting nut 431, which is the connecting means 430, a second reinforcing bar 12 positioned under the lower clamp unit 710. ) to be settl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can do what you can do.

11 : 제1철근 12 : 제2철근
100 : 제1고정부 200 : 제2고정부
310 : 제1클램프유닛 320 : 제2클램프유닛
331 : 수용부 3311 : 안착홈
332 : 연장부 340 : 결합수단
341 : 체결볼트 342 : 체결너트
410 : 지지부재 420 : 걸림부재
430 : 연결수단 431 : 연결너트
500 : 연결부 510 : 연결부재
520 : 고정수단 521,342a : 고정너트
600 : 템플렛부 610 : 템플렛부재
611 : 삽입홀 620 : 끼움부재
621 : 끼움홀 630 : 가압결합부재
700 : 제3고정부 800 : 고정부재
900 : 높이조절부재
11: first reinforcing bar 12: second reinforcing bar
100: first fixing part 200: second fixing part
310: first clamp unit 320: second clamp unit
331: receiving part 3311: seating groove
332: extension 340: coupling means
341: fastening bolt 342: fastening nut
410: support member 420: catch member
430: connecting means 431: connecting nut
500: connection part 510: connection member
520: fixing means 521,342a: fixing nut
600: template part 610: template member
611: insertion hole 620: fitting member
621: fitting hole 630: pressure coupling member
700: third fixing part 800: fixing member
900: height adjustment member

Claims (6)

복수개의 제1철근들이 이격되게 배근된 제1구조물과, 복수개의 제2철근들이 이격되게 배근된 제2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제1철근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철근에 정착되는 제1고정부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제2철근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철근에 정착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가 조절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In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are spaced apart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ars are spaced apart, each other,
a first fix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one or a plurality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s;
a second fix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one or a plurality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s and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s;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upl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o each other, and to correspond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part adjustable in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이격거리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 또는 상기 제1고정부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위치설정 후 상기 제2고정부 또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art,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or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second fixing part or the first fixing part so as to be movabl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 connecting member that is screwed through;
Non-welding rebar fixing comprising a fixing means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fixing the second fixing part or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connection member to each other after positioning the connection member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일측에 안착 결합되는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을 중심으로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대칭되게 위치하여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타측에 안착 결합되는 제2클램프유닛과,
상기 제1클램프유닛 및 상기 제2클램프유닛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이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에 정착되게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 first clamp unit sea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a second clamp unit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clamp unit around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to be seate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lamp unit in a direction for press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coupling means for moving the second clamp unit so that 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ar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설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이 걸림접촉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 support member formed to a set length and disposed along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ck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bent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 contact contact with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설정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철근 또는 상기 제2철근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member has a plate shape having a set length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passes is formed,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is formed in a concave rou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to surround the oth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Welded rebar anchor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 각각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철근들 또는 상기 제2철근들을 서로 연결하는 템플렛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철근 정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on-welding reinforcing bar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emplate portion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to connect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KR1020210077618A 2020-06-17 2021-06-15 Welding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method KR102436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45A KR102598628B1 (en) 2020-06-17 2022-08-23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3532 2020-06-17
KR1020200073532 2020-06-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345A Division KR102598628B1 (en) 2020-06-17 2022-08-23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232A true KR20210156232A (en) 2021-12-24
KR102436896B1 KR102436896B1 (en) 2022-08-26

Family

ID=7917605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18A KR102436896B1 (en) 2020-06-17 2021-06-15 Welding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method
KR1020220105345A KR102598628B1 (en) 2020-06-17 2022-08-23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30144127A KR102652447B1 (en) 2020-06-17 2023-10-25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345A KR102598628B1 (en) 2020-06-17 2022-08-23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30144127A KR102652447B1 (en) 2020-06-17 2023-10-25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3689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434U (en) * 1991-10-29 1993-06-01 丸井産業株式会社 Unbonded PC steel wire support bracket for construction
JP2004263556A (en) * 1996-11-13 2004-09-24 Taisei Corp Shear reinforcement
KR101844757B1 (en) 2017-01-10 2018-04-03 아이에스동서(주) PHC pile connection device for non welded joint
KR20210016812A (en)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지음피씨이 Reinforcing rod fixing system for pricast concrete colum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762B1 (en) 2019-01-21 2020-08-26 삼성물산(주) Non-Welding Bonded Connection Between Steel Beam Using Steel Joint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530078B1 (en) 2021-12-06 2023-05-09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Non-welding mold using assembly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434U (en) * 1991-10-29 1993-06-01 丸井産業株式会社 Unbonded PC steel wire support bracket for construction
JP2004263556A (en) * 1996-11-13 2004-09-24 Taisei Corp Shear reinforcement
KR101844757B1 (en) 2017-01-10 2018-04-03 아이에스동서(주) PHC pile connection device for non welded joint
KR20210016812A (en)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지음피씨이 Reinforcing rod fixing system for pricast concrete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990A (en) 2023-12-15
KR102436896B1 (en) 2022-08-26
KR20220137843A (en) 2022-10-12
KR102598628B1 (en) 2023-12-12
KR102652447B1 (en)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0581B2 (en) Anchor bolt position retaining bracket and position fixing structure, and steel colum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436896B1 (en) Welding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method
KR20180009190A (en) Device for re-prestressing of anchor
KR101889923B1 (en) System for reinforcing concrete girder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057446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vertical structure from falling sideward
KR101596259B1 (en) Reinforcing System Of Reinforced Concrete Slab, Reinforced Concrete Slab Having The Same, Shear Reinforcing Unit Of Reinforced Concrete Slab, And Flat Plate Constructing Method
KR101182960B1 (en) Repairing and reinforcing apparatus for slab and repairing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KR20140048487A (en) Anchorage for post-tensioning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employing same
KR101390990B1 (en) Pretension reinforcement apparatus for masonry wall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masonry wall using that
KR102315988B1 (en) press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composite girder using thereof
KR20000014037A (en)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using truss of both directions
KR101775583B1 (en) Girder with anchorage device for tendon axis displacement control
KR101561043B1 (en) Composite pressing ahchoraging apparatus and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457650B1 (en) Bidirectional wire tension device
KR102439876B1 (en) Pipe supporter for supporting structure load
JP4382599B2 (en) Tension jack
KR20160091476A (en) Tendon fixing system of long span fire resistance deck strained at deck end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239480B1 (en) Pre-flex Girder Beam
JP4290634B2 (en)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ed concrete bar member
KR100637849B1 (en)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using beam lower steel curve placement method
KR102302882B1 (en) A clamp for construction system scaffolding
KR102074573B1 (e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JP4122409B2 (en) Anchor bolt fixing structure and anchor bolt fixing method
JPH11256842A (en) Earthquake-resisting reinforcing method of column of building, etc.
JPH01290853A (en) Composite floor board using deck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