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849B1 -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using beam lower steel curve placement method - Google Patents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using beam lower steel curve placement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7849B1 KR100637849B1 KR1020040017183A KR20040017183A KR100637849B1 KR 100637849 B1 KR100637849 B1 KR 100637849B1 KR 1020040017183 A KR1020040017183 A KR 1020040017183A KR 20040017183 A KR20040017183 A KR 20040017183A KR 100637849 B1 KR100637849 B1 KR 100637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wire
- plate
- saddle
- steel
- fixing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하부 양단에 빔하부를 감싸 설치되는 정착 브라켓을 설치하고 빔하부 중간 부분에 가변형 새들을 위치시켜 PC강선을 곡선배치 시킴으로써 정착 브라켓에 의한 빔의 2차적 균열을 방지하고 빔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저감시키는 한편 적은 인장력으로 빔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PC 강선을 포함하는 빔 보강장치에 있어서, 빔 양단에 설치되되 빔 하부를 감싸 설치되는 정착 브라켓과, 정착 브라켓 간에 긴장 설치된 PC 강선과, PC 강선을 빔 하부에 곡선배치시킴으로써 빔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저감시키는 한편 PC 강선의 긴장 정도를 미세조정하기 위하여 PC 강선과 빔 하부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빔 하부에 신장가능한 가변형 새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econdary cracking of the beam by the fixing bracket and acts on the beam end by installing a fixing bracket which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am lower part and installs a flexible saddle at the middle part of the beam lower part, thereby arranging PC steel wires. A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a reinforcement apparatus using a beam lower wire curve placement method that can reduce the negative moment to reinforce the beam with a small tensile force, the beam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PC steel wire, Fixing bracket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beam and wrapped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beam, PC steel wires tensioned between the fixing brackets, and PC wires are placed under the beam to reduce the negative moment acting on the beam end while Variable saddles extendable under the beam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C wire and the bottom of the beam to fine tune the 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가변식 새들, PC 강선, 빔, 곡선배치, 유압 잭Adjustable Saddle, PC Steel Wire, Beam, Curved, Hydraulic Jack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빔 보강공법의 일례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eam reinforcement method.
도 2는 종래 빔 보강공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beam reinforcement method.
도 3은 종래 빔 보강공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beam reinforcement metho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빔하부 강선곡선 배치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의 전체 개략도이다. Figure 4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the beam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beam lower steel curv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개시된 정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bracket disclosed in FIG. 4.
도 6은 도 5에 개시된 정착 브라켓의 타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bracket disclosed in FIG. 5.
도 7은 도 4에 개시된 가변형 새들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saddle disclosed in FIG. 4.
도 8은 도 7에 개시된 가변형 새들의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riable saddle disclosed in FIG. 7.
도 9는 도 7에 개시된 가변형 새들의 작동 상태도이다.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variable saddle disclosed in FIG.
도 10은 도 7에 개시된 가변형 새들의 타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10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able saddle disclosed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빔 10: 정착 브라켓1: beam 10: fixing bracket
11: 측판 12: 밑판11: side plate 12: base plate
13: 체결공 14: 인양공13: fastener 14: lifting hole
15: 강봉 16: 지지판재15: Steel bar 16: Support plate
17: PC 강선 관통공 20: PC 강선17: PC liner penetration hole 20: PC liner
30: 가변형 새들 31: 새들 하우징30: variable saddle 31: saddle housing
311: 측면판 312: 밑면판311: side plate 312: bottom plate
313: 슬라이드봉 32: 유동판313: slide rod 32: fluid plate
321: PC 강선 안착홈 322: 슬라이드 홀321: PC steel wire seating groove 322: Slide hole
33: 고정부재 331: 나사선33: fixing member 331: screw wire
34: 회동부재 35: 가변수단34: rotating member 35: variable means
본 발명은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빔하부 양단에 빔하부를 감싸 설치되는 정착 브라켓을 설치하고 빔하부 중간 부분에 가변형 새들을 위치시켜 PC강선을 곡선배치 시킴으로써 정착 브라켓에 의한 빔의 2차적 균열을 방지하고 빔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저감시키는 한편 적은 인장력으로 빔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a reinforcement apparatus using a beam lower steel curve arrange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fixing bracket which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beam lower portion wrapped around the beam lower portion and the variable saddle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beam The curved arrangement of PC steel wire prevents secondary cracking of the beam by the fixing bracket, reduces the negative moment acting on the beam end, and reinforces the beam with low tensile force. It relates to a beam reinforcement method used and its reinforcement device.
산업발달과 함께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교량의 통과하중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로인해 교량의 성능이 저감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As traffic increases with industrial development, the bridge's transit load also increases. As a result,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bridge performance is reduced.
이에 따라, 공공의 안전 확보 및 교량의 공용년수를 늘려 사용하고자 교량의 빔 보수·보강공법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Accordingly, a number of beam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s for bridge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secure public safety and increase the number of years of public use of bridges.
도 1은 종래 빔 보강공법의 일례로 빔 측면에 PC강선이 설치된 경우이다. 1 is a case where the PC steel wire is installed on the beam side as 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beam reinforcement method.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 강선(20)이 빔(1) 측면에 설치됨에 따라 빔(1)의 처짐현상, 즉 손실모멘트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필요이상으로 많은 인장력을 주어야 하고, 그에 따라 구조물체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hown in the figure, as the
도 2는 종래 빔 보강공법의 다른 예로 빔 하부에 PC강선이 직선으로 설치된 경우이다. 2 is a case where the PC steel wire is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under the beam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beam reinforcement method.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 강선(20)이 빔(1) 하부에 직선배치됨으로써 PC 강선(20)의 측면배치에 비하여 적은 인장력으로 손실모멘트를 복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PC 강선의 직선배치로 인하여 빔 단부의 적은 손실모멘트에도 불구하고 빔 중간부분의 많은 손실모멘트에 맞추어 PC 강선이 긴장됨으로써 빔 단부에 부(-)모멘트가 증가하여, 결국 빔 전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hown in the figure, since the
도 3은 종래 빔 보강공법의 또 다른 예로 강봉을 이용하여 정착구를 빔 단부에 결속시킨 경우이다. Figure 3 is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beam reinforcement method is a case where the anchorage is bound to the beam end by using a steel rod.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1) 단부에 관통공을 뚫고 강봉(2)을 이용하여 정착구(3)를 빔(1) 단부에 정착시키도록 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PC 강선의 인장력이 강봉에 그대로 전달되고, 강봉과 접하는 관통공의 소정부위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발생함으로써 2차적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through-hole is drilled at the end of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빔 하부 양단에 빔하부를 감싸 설치되는 정착 브라켓을 정착하고 빔 하부 중간 부분에 가변형 새들을 위치시켜 PC강선을 곡선배치 시킴으로써 정착 브라켓에 의한 빔의 2차적 균열을 방지하고 빔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저감시키는 한편 적은 인장력으로 빔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is to fix the fixing bracket which is installed to wrap the lower beam at both ends of the lower beam and the fixed bracket by arranging the variable steel saddle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eam to fix the fixing bracket The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using the beam lower steel curve arrangement method to prevent secondary cracking of the beam by the beam and to reduce the negative moment acting on the beam end and to reinforce the beam with low tensile force.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형 새들을 통해 PC 강선의 인장력(긴장 정도)을 미세조정함으로써 빔 보강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율하고, 시공 후 이완된 긴장상태를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극히 용이한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ne-tune the tension (tension) of the PC steel wire through a variable saddle to adjust the beam reinforcement to an optimal state, and to be able to readjust the relaxed tension after construction, the maintenance is extremely easy To provide a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a reinforcement device using a beam lower steel curve arrangement method.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빔 양단에 설치되되 빔 하부를 감싸 설치되는 정착 브라켓과, 정착 브라켓 간에 긴장 설치된 PC 강선과, PC 강선을 빔 하부에 곡선배치시킴으로써 빔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저감시키는 한편 PC 강선의 긴장 정도를 미세조정하기 위하여 PC 강선과 빔 하부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빔 하부에 신장가능한 가변형 새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bracket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am and wrapp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beam, and a PC steel wire tension-installed between the fixing brackets and a PC steel wire at the lower end of the beam to act on the beam end.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moment and to finely adjust the tension of the PC wi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ongated variable birds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eam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C wire and the beam bottom.
또, 정착 브라켓은 빔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한쌍의 측판과 밑판으로 구성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빔 하부에 정착되고, PC 강선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밑판 저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되 PC 강선 관통공이 복수개 천공된 지지판재 및, 지지판재의 버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지판재의 측면에 용접설치된 복수개의 플랜지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plates and the bottom plate to wrap the lower part of the beam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beam by the fastening member, and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to bind the PC steel wire, a plurality of PC steel wire through holes perfor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flanges weld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to further increase the holding force of the support plate.
또한, 정착 브라켓은 PC 강선에 의해 전해지는 인장력을 빔측으로 보다 더 분산시키는 한편 측판 및 밑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정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빔 끝단을 감싼 채 그 측판에 이음 설치된 보강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jointed to the side plate with the beam end wrapped so as to further distribute the tensile force transmitted by the PC steel wire to the beam side while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side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further improving the fixing force. It is characterized by.
또, 측판은 빔 하부에 통상적으로 천공된 인양홀과 대응하여 천공된 인양공과, 인양공과 인양홀 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PC 강선에 의해 전해지는 인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하는 한편 빔과 정착 브라켓 간의 정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강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ide plate more effectively disperses the tensile force transmitted by the PC steel wire by fitting between the lifting hole dri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ifting hole that is normally dri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beam and the lifting hole and the lifting hole, while maintain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beam and the fixing brack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bar is further provided so as to increase more.
또한, 가변형 새들은 빔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한쌍의 측면판과 밑면판으로 구성되어 그 밑면판 저면 네 귀퉁이 부분에 슬라이드봉이 구비된 채 빔 하부 중간부분에 설치된 새들 하우징과; 새들 하우징 하부에 위치되며 PC 강선의 곡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PC 강선과의 접합면상에 복수개의 PC 강선 안착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그 네 귀퉁이 부분에 슬라이드 홀이 천공된 유동판과; 유동판과 새들 하우징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함으로써 PC 강선의 긴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슬라이드봉이 위치되고 그 외주면상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유동판 상면에 일측단이 고정장착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진퇴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진 가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ariable saddle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plates and the bottom plate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beam saddle housing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slide rod in the four corners; Flow plate with slide holes perforat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saddle housing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PC steel wire seating groove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with the PC steel wire to maintain the curved state of the PC steel wire, and to slide along the slide rod. and; A fixed member having a slide bar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thereof, a threaded lin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one end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late to adjust the degree of tension of the PC steel wire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low plate and the saddl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 variable means consisting of a rotating member to be advan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otating along the thread of the member.
또, 슬라이드봉은 그 외주면상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유동판이 슬라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새들 하우징 상에 조립된 상태에서 유동판과 새들 하우징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봉 상에 너트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lide rod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nut member on the slide rod further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low plate and the saddle housing while the flow plate is assembled on the saddle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slide ro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또한, 유동판은 PC 강선 안착홈 상에 안착된 PC 강선의 곡선 각을 부드럽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low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urved surface convex downward to keep the curve angle of the PC steel wire seated on the PC steel wire seating groove smoothly.
그리고 PC 강선을 포함하는 빔 보강공법에 있어서, 빔 양단에 빔 하부를 감싸도록 정착 브라켓을 각 설치하고, 빔 하부 중간부분에 새들 하우징과 유동판 및 가변수단으로 이루어진 가변형 새들을 설치하는 공정과, 빔 하부 양단에 각 설치된 정착 브라켓 간에 PC 강선을 거치시키는 한편 PC 강선을 가변형 새들의 유동판 상에 안착시킨 채 일측단에서 PC 강선을 일부분 긴장시키는 공정과, 새들 하우징과 유동판 사이에 유압 잭을 위치시킨 후 신장시켜 PC 강선을 재차 긴장시키는 공정과, PC 강선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가변수단에 의해 새들 하우징과 유동판 사이의 이격거리를 고정시킨 후 유압 잭을 제거하여 PC 강선의 긴장을 완료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in the beam reinforcement method including a PC steel wire, each of the fixing bracket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beam so as to surround the beam, the step of installing a variable saddle consisting of a saddle housing, a flow plate and the variable means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eam, The PC steel wire is mounted between the fixing bracket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eam lower part, while the PC steel wire is placed on the flow plate of the variable saddle, and the PC wire is partially tensioned at one end, and the hydraulic jack is connected between the saddle housing and the fluid plate. Positioning and stretching to retension the PC steel wire, and fix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addle housing and the fluid plate by the variable means so as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PC steel wire, and then remove the hydraulic jack to tension the PC steel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consisting of completin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ement using the beam lower line curv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장치의 전체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개시된 정착 브라켓의 상세도이며, 도 6은 도 5에 개시된 정착 브라켓의 타실시예이고, 도 7은 도 4에 개시된 가변형 새들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개시된 가변형 새들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개시된 가변형 새들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7에 개시된 가변형 새들의 타실시예이다. 4 is an overall schematic view of a beam reinforcement apparatus using a beam lower steel curv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fixing bracket disclosed in FIG. 4,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birds disclosed in FIG. 4,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riable birds disclosed in FIG. 7, FIG.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variable birds disclosed in FIG. 7, and FIG. 10 is in FIG. 7.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variable saddle is.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빔(1) 하부 양단에 빔(1) 하부를 감싸 설치되는 정착 브라켓(10)과; 정착 브라켓(10) 간에 긴장 설치되는 PC 강선(20)과; PC 강선(20)을 곡선배치시키는 한편 긴장재인 PC 강선(20)의 긴장 정도를 미세조정함으로써 빔(1)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저감시키기 위한 가변형 새들(30)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전술한 기술적 구성에서 정착 브라켓(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1) 하부의 양측면 및 저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한쌍의 측판(11)과 밑판(12)으로 구성된, 즉 상방과 전·후방이 개방된 'U'형 철판구조물로 체결부재(미도시;일례로 앵카볼트)에 의해 빔(1) 하부에 정착된다. 미설명부호 13은 체결부재 체결공임.In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the
또, 정착 브라켓(10)은 빔(1) 하부에 천공된 인양홀(미도시)과 대응하는 인양공(14)이 그 측판(11)에 천공되고, 이 인양공(14)과 인양홀 간에 끼움 결합된 강봉(15)에 의해 빔(1) 하부에 더욱 견고히 정착된다. In addition, in the
또한, 정착 브라켓(10)은 빔(1) 하부에 PC 강선(20)을 복수개 배치시킬 수 있도록 그 밑판(12) 저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되 PC 강선 관통공(17)이 복수개 천공된 지지판재(16)와; 지지판재(16)의 버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지판재(16)의 양 측면과 그 사이에 용접 설치된 플랜지(18)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정착 브라켓(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1) 끝단을 감싸 정착 브라켓(1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빔(1)측으로 보다 더 분산시키는 한편 측판(11) 및 밑판(12)의 변형을 방지하고 정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강판(19)이 더 구비된다. 이 보강판(19)은 현장에서 용접 등에 의해 정착 브라켓(10)의 측판(11)에 이음 설치된다. And the
가변형 새들(30)은 빔(1) 하부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정착 브라켓(10) 간에 긴장 설치된 PC 강선(20)을 곡선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7 및 도 8은 가변형 새들의 사시도, 단면도이다. The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형 새들은(30)은 빔(1)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한쌍의 측면판(311)과 밑면판(312)으로 구성된, 즉 상방과 전·후방이 개방된 'U'형 철판구조물로써 체결부재(미도시;일례로 앵카볼트)에 의해 빔(1) 하부에 고정 장착되고, 그 저면 네 귀퉁이에 슬라이드봉(313)이 용접 설치된 새들 하우징(31)과; 새들 하우징(31) 하부에 위치되며 PC 강선(20)의 곡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PC 강선(20)의 접합면상에 복수개의 PC 강선 안착홈(321)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봉(313)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네 귀퉁이부에 슬라이드 홀(322)이 천공된 유동판(32)과; 유동판(32)과 새들 하우징(31)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함으로써 PC 강선(20)의 긴장 정도(외형적으로는 PC 강선의 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슬라이드봉(313)이 위치되고 그 외주면상에 나사선(331)이 형성되며 유동판(32) 상면에 일측단이 고정장착된 고정부재(33)와 고정부재(33)의 나사선(331)을 따라 상하로 진퇴되는 회동부재(34)로 이루어진 가변수단(35)이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여기서 유동판(32)은 PC 강선 안착홈(321) 상에 안착된 PC 강선(20)의 곡선 각을 부드럽게 유지시켜 인장력이 빔(1) 측으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형태를 갖는다. Here, the
도 10은 전술한 가변형 새들의 타실시예로 나사식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0 shows the threaded typ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variable saddle.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이 구비되고, 유동판(32)은 새들 하우징(31)의 슬라이드봉(313)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봉(313)의 외주면상에 나사선(314)이 형성되고,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사이의 슬라이드봉(313) 상에 너트부재(36)가 결속된다. At this time, a
따라서, 너트부재(36)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이동변위에 따라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정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315는 보조너트로 유동판(32)이 새들 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nut member 36 moves upward or downward as the nut member 36 rotates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다음, 전술한 기술적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착 브라켓(10)은 빔(1)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고, 체결부재(일례로 앵카볼트)에 의해 빔(1) 하부 양단에 각 설치된다.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정착 브라켓(10)에 의해 빔(1) 하부의 양측면과 저면이 구속됨으로써 정착 브라켓(10) 상에 작용하는 PC 강선(20)의 긴장력이 빔(1) 하부에 고르게 분산되고, 빔(1) 하부의 내측 응력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ensioning force of the
또한, 정착 브라켓(10)의 측판(11)에 빔(1) 하부에 천공된 인양홀과 대응하는 인양공(14)이 형성되고, 이 인양공(14)과 인양홀 사이에 강봉(15)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PC 강선(20)에 의해 전달된 인장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빔(1) 하부에 더욱 견고히 정착되게 된다. In addition, a lifting
그리고 빔(1) 끝단을 감싸 설치되는 'ㄷ'형 보강판(19)이 정착 브라켓 측판(11)에 더 부착됨으로써 PC 강선(20)에 의해 전달된 인장력이 빔(1) 하부에 더욱 고르게 분산되고, 그에 따라 측판(11) 및 밑판(12)의 변형을 방지하고 정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In addition, the 'c' shaped
즉, PC 강선(10)에 의해 전달된 인장력을 빔(1)측으로 고루 분산시킴으로써 정착 브라켓(10) 설치에 따른 빔(1) 하부의 2차적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That is, by distributing the tensile force transmitted by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PC 강선(20)은 가변형 새들(30)에 의해 빔(1) 하부 상에 곡선 형태로 설치된다. Meanwhile, the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빔(1) 하부 양단에 긴장된 PC 강선(20)의 인장력은 가변형 새들(30)에 의해 상방향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가변형 새들(30)이 설치된 빔(1) 하부 중심부분에 집중적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빔(1) 단부의 적은 인장력으로도 빔(1) 하부 중심부분의 손실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는 PC 강선(20)을 빔(1) 하부 상에 곡선 배치함으로써 복원모멘트가 손실모멘트와 일치된 형태로 작용하도록 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ensile force of the
다음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새들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sad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 9의 (가)는 PC 강선(20)이 가설되기전 상태이고, (나)는 PC 강선(20)을 긴장하기 위한 상태이며, (다)는 PC 강선(20)의 긴장이 완료된 상태이다. 9A is a state before the
먼저, 동도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들 하우징(31)은 빔(1) 하부에 장착되고, 유동판(32)은 슬라이드봉(313)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새들 하우징(31)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새들 하우징(31)으로부터 유동판(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봉(313)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나사선(314) 상에 보조너트(315)를 결속시킨다.First, as shown in (a) of the figure, the
상기의 구성은 PC 강선(20)이 가설되기 전이므로 유동판(32)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 유동판(32)은 처짐상태를 유지한다. Since the above configuration is before the
다음, 동도의 (나)는 PC 강선(20)을 가설한 후 긴장하기 위한 것으로, 가설된 PC 강선(20)이 PC 강선 안착홈(321)에 안착됨으로써 유동판(32)은 슬라이드봉(313)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 고정부재(33)의 상단이 새들 하우징(31) 저면에 밀착된다. Next, (b) of the same diagram is intended to relax after installing the
이 상태에서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사이에 유압 잭(50)을 위치시킨 후 신장시키면 슬라이드봉(313)을 따라 유동판(32)은 하향 이동되고, PC 강선(20)은 긴장되게 된다(외형적으로는 PC 강선의 휨각이 커짐).In this state, if the
그리고 동도의 (다)는 PC 강선(20)의 긴장이 완료된 상태로, 유압 잭(50)에 의해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이 이격되면 고정부재(33)에 나사결합된 회동부재(3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상면이 새들 하우징(31) 저면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한다.And (C) of the same degree in the state that the tension of the
이에 따라, 유압 잭(50)을 제거하더라도 고정부재(33)와 회동부재(34)가 버팀재의 역할을 함으로써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할 수 있게된다. Accordingly, even if the
그리고 PC 강선(20)의 긴장 정도를 미세조정하거나 시공 후 이완된 긴장을 재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회동부재(34)를 회전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게된다. And if you want to fine-tune the tension of the
한편, 가변형 새들(30)의 타실시예인 나사식도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사이의 슬라이드봉(313)에 위치된 너트부재(36)를 일방형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PC 강선(20)의 긴장 정도(외형적으로는 PC 강선의 휨 정도)를 미세조정할 수 있게된다.On the other hand, the saddle housing by rotating the nut member 36 located in the
결국, 가변형 새들(30)의 신장 정도를 조절으로써 PC 강선(20)의 긴장 정도를 미세조정하고, 그에 따라 빔(1) 하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율할 수 있고, 시공 후 이완된 긴장을 재 조종함으로써 빔(1) 보강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s a result, the tension of the
이하에는 전술한 기술적 구성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빔 하부 강선곡선 배치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eam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beam lower steel curv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치핑작업1. Chipping work
정착 브라켓(10) 및 가변형 새들(30)을 용이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정착 브라켓(10) 및 가변형 새들(30)이 설치될 빔(1) 하부 콘크리트 면을 치핑한다. In order to easily attach and install the fixing
2. 정착 브라켓 및 가변형 새들 설치2. Settling Bracket and Adjustable Saddle
치핑된 빔(1) 하부 면상에 전술한 정착 브라켓(10) 및 가변형 새들(30)을 위치시킨다. The fixing
3. 앵카설치3. Anchor Installation
치핑된 빔(1) 하부 면상에 위치된 정착 브라켓(10) 및 가변형 새들(30)을 체결부재인 앵카를 이용하여 빔(1) 하부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The fixing
4. 정착 브라켓 및 가변형 새들 실링4. Fusing bracket and variable saddle sealing
빔(1) 하부에 고정 설치된 정착 브라켓(10)과 가변형 새들(30)의 강판 주위를 따라 실링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면과의 틈을 실링처리한다. The gap between the concrete surface is sealed by using a sealing material around the steel plate of the fixing
5. 에폭시 주입5. Epoxy Injection
실링처리된 정착 브라켓(10)과 가변형 새들(30)의 내측 공간부에 적정한 물성의 에폭시 수지를 주입한다. 이때, 에폭시의 주입을 원활히 하고 주입종료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정착 브라켓(10) 및 가변형 새들(30)의 강판 주위에 배기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다. Epoxy resin of appropriate physical properties is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aled
6. 강선거치6. Steel Wire
복수개의 PC 강선(20)을 각 정착 브라켓(10) 상의 지지판재(16)에 천공된 PC 강선 관통공(17)에 끼움 결합한 다음 PC 강선(20)의 양단에 결속부재를 체결하여 PC 강선 관통공(17)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고, 유동판(32)의 PC 강선 안착홈(321) 상에 PC 강선(20)을 안착시킨 채 일측단에서 PC 강선(20)을 일부분 긴장시킨다.A plurality of
7. 새들 편심조절7. Saddle eccentric control
PC 강선(20)의 긴장으로 편심된 가변형 새들(30)을 정위치 시켜 PC 강선(20)의 재 긴장 시 빔(1) 하부에 인장력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Positioning the variable saddle (30) eccentric by the tension of the
8. 인장8. Signet
가변형 새들(30)의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사이에 유압 잭(50)을 위치시킨 다음 신장시켜 PC 강선(20)을 재차 긴장시킨다. The
이때, 회동부재(34)를 회전시켜 그 상단을 새들 하우징(31) 저면에 견고히 밀착시킴으로써 새들 하우징(31)과 유동판(32) 사이의 이격거리를 고정시킨다. At this time, by rotating the rotating
이후, 유압 잭(50)을 제거한 다음 회동부재(34)를 이용하여 빔(1) 하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율함으로써 보강공법을 완료한다. Thereafter,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빔(1) 하부에 PC 강선(20)을 곡선배치함으로써 직선배치 형태보다 좀 더 효과적인 저항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긴장재인 PC 강선(20)의 곡선배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직력에 의해 상판의 전단능력이 증가되기 때문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또한, 직선배치의 경우 주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의 이동은 자유롭기 때문에 하중이 증가할수록 주형의 중립축에 대한 긴장재의 변위는 점차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편심위치의 변화는 부재의 응답과 프리스트레싱된 긴장재의 응력 변화에 결과적으로 영향을 주는 2차적인 영향을 유발하게되며 이로인해 내하력이 낮아지게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빔(1) 중간 하부에 가변형 새들(30)을 설치함으로써 2차적영향을 효과적으로 최소화 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traight arrangement, since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is free, as the load increases, the displacement of the tension member with respect to the neutral axis of the mold gradually decreases. This change in the eccentric position causes a secondary effect that ultimately affects the response of the member and the stress change of the prestressed tension member, resulting in a lower load capacit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빔하부 양단에 빔하부를 감싸 설치되는 정착 브라켓과 빔하부 중간 부분에 설치된 유압식 새들에 의해 PC강선을 빔하부에 곡선배치 시킴으로써 정착 브라켓에 의한 빔의 2차적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빔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저감시키는 한편 적은 인장력으로 빔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PC steel wire under the beam by the fixing bracket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lower beam and the hydraulic saddle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beam beam to prevent secondary cracking of the beam by the fixing bracke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reduce the negative moment acting on the beam end while effectively reinforcing the beam with low tensile force.
또, 시공 후 유압식 새들 상의 유압잭을 이용하여 PC 강선의 긴장력을 재 조종함으로써 빔 보강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 보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PC steel wire using the hydraulic jack on the hydraulic saddle after constru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intain and repair the beam reinforcement in the optimal state.
또한, 빔 하부에 PC 강선을 곡선배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상판을 프리스트레싱하여 직접적인 압축을 가함으로써 기존에 존재하는 균열의 폭을 감소시키며, 일부 균열은 봉해지게 된다.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PC steel wire under the beam, prestressing the concrete deck and applying direct compression reduces the width of existing cracks, and some cracks are sealed.
그리고 콘크리트의 휨 균열이 감소하도록 상판의 휨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활하중에 이한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간의존변형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top plate to reduce the flexural cracking of the concre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lection caused by the live load and to reduce the increase in time-dependent strai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7183A KR100637849B1 (en) | 2004-03-13 | 2004-03-13 |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using beam lower steel curve placement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7183A KR100637849B1 (en) | 2004-03-13 | 2004-03-13 |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using beam lower steel curve placement method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6918U Division KR200352048Y1 (en) | 2004-03-13 | 2004-03-13 | 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2061A KR20050092061A (en) | 2005-09-16 |
KR100637849B1 true KR100637849B1 (en) | 2006-10-25 |
Family
ID=3727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7183A KR100637849B1 (en) | 2004-03-13 | 2004-03-13 |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using beam lower steel curve placement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78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8247B1 (en) | 2018-10-17 | 2019-07-10 | 김성 |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a beam and apparatus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4948B1 (en) * | 2007-12-21 | 2010-06-2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Bridge structure with enhanced capacity by pre-lifting |
CN105735155B (en) * | 2016-04-29 | 2017-04-12 | 曹莎莎 | Bridge mid-span droop reinforc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7020942B (en) * | 2023-09-22 | 2024-02-02 | 无锡市明鑫机床有限公司 | Vertical numerically controlled grinder fixed beam sagging-preventing auxiliary compensation device and process |
-
2004
- 2004-03-13 KR KR1020040017183A patent/KR100637849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8247B1 (en) | 2018-10-17 | 2019-07-10 | 김성 |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a beam and apparatus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2061A (en) | 2005-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1640B1 (en) | Fixing girder apparatus able to apply to any type of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rahmen bridge using this apparatus | |
KR100989947B1 (en) | Apparatus for reinforcing beam structure using re-tentioning device | |
KR101139357B1 (en) | Reinforcement apparatus for reinforcing load carrying capacity of beam in a bridge | |
US8323550B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decking panel | |
KR20070014315A (en) | Prefabricated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352048Y1 (en) | A | |
KR20130026311A (en) | Precast bridge post | |
KR100637849B1 (en) | Beam reinforcement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using beam lower steel curve placement method | |
KR100456471B1 (en) | 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and Metod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bridge using of prestressed concret beam having it | |
JP2019510904A (en) | Transition structure for bridging to a seam of a building | |
KR100840190B1 (en) | I-beam segment connection method equipped with prestress steel synthetic concrete upper flange for continuous bridge | |
KR200268159Y1 (en) | Device for anchoring outer steel wire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 |
JPH09235705A (en) | Reinforcing structure of gerber bridge hinge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 |
JP2528435B2 (en) | Prestressing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tructures with girders installed in parallel | |
KR20040041313A (en) | Reinforcing appratus installed in inside extended region of prestressed concrete box of prestressed concrete box bridge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 |
KR102169114B1 (en) | Method to construct expansion joint | |
KR100569226B1 (en) | Bottom plate reinforcement method of continuous bridge by inclined tension material | |
KR100564093B1 (en) | A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of a bridge using expandable rubber | |
KR100549986B1 (en) | Fabricated repairing and reinforc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bearing force of beam in a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 |
KR102355734B1 (en) | External Tensioning System of Bridge Structures | |
JP3799350B2 (en) | Mechanism for preventing falling concrete in concrete bridges | |
CN114753644B (en) | Tensioning device for tensioning construction of large-span prestressed beam after bond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615248B1 (en) | Steel box girder assembly having means to pull prestressed wires | |
KR102679158B1 (en) | Improved slope bridge structure | |
KR100542616B1 (en) | Temporary tension bracket for truss gir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