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447B1 -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447B1
KR102652447B1 KR1020230144127A KR20230144127A KR102652447B1 KR 102652447 B1 KR102652447 B1 KR 102652447B1 KR 1020230144127 A KR1020230144127 A KR 1020230144127A KR 20230144127 A KR20230144127 A KR 20230144127A KR 102652447 B1 KR102652447 B1 KR 10265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bar
fixing part
fixing
c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4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68990A (en
Inventor
유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앤씨
Publication of KR2023016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9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44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 형성 시 철근들을 용접 없이 서로 정착 연결하는 것이 가능히여 구조물의 내부에 배근되는 복수개의 철근들을 일체로 결합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용접작업을 진행하지 않고도 일체로 결합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고정부재에 의해 상부 클램프유닛과 하부 클램프유닛이 일체로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높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상부 클램프 유닛과 하부 클램프 유닛 간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복수개의 철근에 대한 배근구조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 공법에서 개량되어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ing device to make it possible to anchor and connect rebars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when forming a building using high-strength rebars, requiring separate welding work to unite and fix a plurality of rebars placed inside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mbine and fix the unit as one piece without proceeding, and the upper clamp unit and the lower clamp unit are integrated together by the fixing member, and at the same time, the height between the upper clamp unit and the lower clamp unit is adjusted using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ultiple reinforcing bars, improving the existing method to enable rapid construction, and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to increase fixation force. The purpose is to provide.

Description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fix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을 건설 시 철근들을 용접 없이 서로 정착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elding rebar anchorage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ag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More specifically,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high-strength rebar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age device, rebars are not welded. This relates to a non-welded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smart anchor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and allows adjustment of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by allowing them to be anchor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형성할 시 슬래브 보 등의 수평구조체와 기둥 등의 수직구조체의 각각의 결합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체를 보강하기 위한 장치들이 철근콘크리트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가 많으며, 기술이 발전하고 사회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건축물은 보다 큰 규모로 지어지는 한편 건축물의 구조 성능에 대한 규제는 보다 엄격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건축물의 높은 구조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항복강도를 크게 증가시킨 고강도철근이나 고장력철근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이러한 고강도철근 혹은 고장력철근은 국내의 경우 항복강도가 400MPa(SD400) 이상인 철근을 말하며, 항복강도가 500MPa(SD500) 이상인 철근은 초고강도철근으로 지칭하기도 한다.In general, when forming a building, various problems often arise due to the combination of horizontal structures such as slab beams and vertical structures such as columns. To solve these problems, devices to reinforce the structure are installed inside the reinforced concrete. In many cases, as technology develops and social standards rise, buildings are being built on a larger scale, while regulations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buildings are becoming more stringent. For this reason, recently, high-strength rebar or high-strength rebar with greatly increased yield strength has been used to provide high structural performance of buildings. At this time, in Korea, these high-strength rebars or high-strength rebars refer to rebars with a yield strength of 400 MPa (SD400) or more, and rebars with a yield strength of 500 MPa (SD500) or more are also referred to as ultra-high-strength rebars.

그런데, 이러한 고강도철근의 경우에는 높은 열을 가하면 열화되어 인장응력에 대한 강도를 크게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강도의 저하는 고강도철근에서 일부 지점이라 할지라도 건축물 자체의 구조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비싼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의미가 무색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렇게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은 철근들을 용접 없이 서로 정착 연결하는 정착구조가 필요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se high-strength rebars, when high heat is applied, they deteriorate and greatly reduce the strength against tensile stress. This decrease in strength is a factor that greatly reduce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itself, even at some points in the high-strength rebars. There is a problem that renders the meaning of using expensive high-strength rebar meaningless. Therefore, buildings using high-strength rebar need an anchorage structure that anchors and connects the rebar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이에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을 건설 시 철근들을 용접 없이 서로 정착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Accordingly,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high-strength rebar using a rebar-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there is a need for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connect the rebars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exis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47762호 (2020.08.19. 등록)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47762 (registered on August 19, 202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530078호 (2023.05.02. 등록)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530078 (registered on May 2, 2023)

본 발명은,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 형성 시 철근들을 용접 없이 서로 정착 연결하는 것이 가능히여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that allows the reinforcing bars to be anchor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when forming a building using high-strength reinforcing bars using a rebar-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allowing the reinforcing bar arrangement structure to be adjus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기존 공법에서 개량되어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from the existing method to enable rapid construction, and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can be adjusted to increase fixing for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on-welded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1철근들이 이격되게 배근되는 제1구조물과, 복수개의 제2철근들이 이격되게 배근되는 제2구조물을 서로 연결하는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철근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철근에 정착되는 제1고정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철근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철근에 정착되는 제2고정부,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각각 연결되어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서로 결합시키되,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가 고정가능한 연결부, 및 제1철근 또는 제2철근 각각의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템플렛부를 포함하며, 상기 템플렛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의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이 관통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구성되는 템플렛부재와, 제1철근과 제2철근의 일측에 위치하고 템플렛부재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으로 제1나사산이 마련된 끼움홀이 구성되는 끼움부재와, 외주면으로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끼움홀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삽입단부가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템플렛부재와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이 서로 고정 연결되는 가압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설정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일반부는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절곡되어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이 걸림접촉되는 걸림부재와, 지지부재와 걸림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의 일측에 위치하고 걸림부재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타단부가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제1철근 또는 제2철근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걸림부재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걸림부재와 나사결합하는 연결너트를 포함하는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제1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1철근에 제1고정부를 정착하는 단계와 제2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2철근에 제2고정부를 정착하는 단계와 연결부를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ing device that connects a firs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rebars are spaced apart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rebars are spaced apart. , a first fixing part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are detachably coupled and anchor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a second fixing part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ars are detachably coupled and anchor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A connection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respectively, to coupl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o each other, and whose coupling position can be fixed in respons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nd It includes a template portion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and connecting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and the template portion is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 in a plate shape. However, a template me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and fixed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template member, has a first screw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fitting member consisting of a provided fitting hole, and a second screw thread meshing with the first screw threa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re formed and screwed into the fitting hole, and as the rotation occurs, the insertion end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 It includes a pressure coupling member in which a template member and a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et length, and the first A support member arranged along the reinforcing bar or second reinforcing bar, a locking member in which the general part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is bent and contacted with the first or second rebar, and a connection that connects the support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to each other. It includes means,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 and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passes, and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is in the shap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 It is formed in a correspondingly concave round shape to surround the oth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bar, and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connecting nut that engages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and is screwed to the engaging member.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smart anchor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s that can adjust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includes the steps of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to the first rebar placed in the first structure and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to the second rebar placed in the second structure. 2. The step of fixing the fixing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r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steps of connecting to each other.

상기 제1고정부의 정착단계는 클램프 방식 또는 걸림 접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step of the first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either a clamp method or a locking contact method.

상기 제1고정부의 정착단계는 제1클램프유닛과 제2클램프유닛 사이에 제1철근을 위치시켜 제1철근을 수용부에 안착시키고, 결합수단을 통해 제1클램프유닛과 제2클램프유닛이 제1철근을 가압하여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ixing step of the first fixing part,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placed between 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se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the first clamp unit and the second clamp unit are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pressurizing and settl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상기 제1고정부의 정착단계는 지지부재를 제1철근들의 측부에 배치시키고 걸림부재를 제1철근들 각각에 걸림접촉시킨 후 연결수단을 통해 지지부재와 걸림부재를 고정시켜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step of the first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the locking member is contacted with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are fixed and anchored through a connecting means. do.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Meanwhile,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tak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disclosed technology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named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을 건설 시 철근들을 용접 없이 서로 정착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접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는 고강도철근을 사용하는 건축물에서의 사용이 용이하며, 열화로 인한 철근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구조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nchor and connect rebars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high-strength rebar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ing device. Therefore, it is easy to use in buildings using high-strength rebar, whose strength is reduced by welding,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buildings because it can prevent the strength of the rebar from deteriorating due to deterio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고정부의 정착단계에서 클램프 방식 또는 걸림 접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정착되도록 하여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ed smart fix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to be fixed by either the clamp method or the hanging contact method in the fixing step of the fixing part. Adjustmen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기존 공법에서 개량되어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non-welded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ver the existing method, enabling rapid construction and increasing fixing force.

도 1은 제1철근 및 제2철근에 정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의 평면상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에서 제1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에서 제1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에서 제1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에서 제1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에서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와 연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에서 제3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11b는 도 9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의 평면상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A-A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chored to the first rebar and the second rebar.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view of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age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age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ixing part in the rebar integrated smart fix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fixing part in the rebar integrated smart fixing device of Figure 4.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first fixing part in the rebar integrated smart fixing device of Figure 4.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xing part in the rebar integrated smart fixing device of Figure 4.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rst fixing part,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n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ront view of the third fixing part in the rebar integrated smart fixing device of Figure 9.
Figures 11a and 11b are plan views showing the top view of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age device of Figure 9.
FIGS. 12A and 12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1.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o which it belo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는, 복수개의 제1철근(11)들이 이격되게 배근된 제1구조물과, 복수개의 제2철근(12)들이 이격되게 배근된 제2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의 제1철근(11)들과 제2철근(12)들을 대상으로 용접 없이 무용접으로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이 서로 연결시킬 수 있어, 이는 기존의 용접을 통하여 철근들을 결합시키는 것과는 달리 용접으로 인한 철근 자체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철근의 변형을 방지하고 전체 구조물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firs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rebars 11 are spaced apart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rebars 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second reinforcing bars 12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to each other without welding,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Unlike combining reinforcing bars through existing welding, this prevents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reinforcing bars themselves due to welding,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and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entire structur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와, 연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템플렛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fixing part 100, a second fixing part 200, and a connecting part 500. and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portion 600.

먼저, 구성을 살펴봄에 앞서 상기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부재들로써, 도면에서 제1구조물은 수직부재로서 통상의 기둥 등의 구조물을 포함하며, 제2구조물은 수평부재로서 보, 슬래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befor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re members that make up a building. In the drawing, the first structure is a vertical member and includes structures such as ordinary pillars, and the second structure is a horizontal member and is , slabs, etc.

상기 제1고정부(100)는 상기 제1구조물의 제1철근(11)에 정착되며, 제1철근(11)의 배치구조 및 정착위치에 따라 하나의 제1철근(11) 또는 복수개의 제1철근(11)들에 정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1고정부(100)는 한 쌍의 제1철근(11)들에 정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1철근(11)에 정착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100 is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f the first structure, and is on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11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anchoring posi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It can be anchored on 1 rebar (11). In the draw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shown as being fixed to a pair of first reinforcing bars 11, but in one embodiment, it may be fixed to one or several first reinforcing bars 11.

상기 제1고정부(100)는 제1철근(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콘크리트 양생 전 제1철근(11)들에 대하여 현장에서 결합위치를 설정하여 정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100)는, 제1철근(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후술되는 클램프방식 또는 걸림접촉방식을 통하여 제1철근(11)에 정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so that the operator can set and fix the coupling position for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in the field before curing the concrete. Meanwhile,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can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through a clamp method or a locking contact method described la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상기 제2고정부(200)는, 상기 제2구조물의 제2철근(12)에 정착되며, 제2철근(12)의 배치구조 및 정착위치에 따라 하나의 제2철근(12) 또는 복수개의 제2철근(12)들에 정착될 수 있고,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200)는, 한 쌍의 제2철근(12)들에 정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of the second structure, and is one second reinforcing bar 12 or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ars 12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anchoring posi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t can be anchor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fixing part 200 shows a case where it is anchored to a pair of second reinforcing bars 12, but this is one embodiment. It may be anchored to one or several second reinforcing bars (12).

상기 제2고정부(200)는 제2철근(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콘크리트 양생 전 제2철근(12)들에 대하여 현장에서 결합위치를 설정하여 정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100)와 마찬가지로 클램프방식 또는 걸림접촉방식을 통하여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so that the worker can set and fix the coupling position on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n the field before curing the concrete. Like the first fixing part 100, it can be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hrough a clamp method or a locking contact method.

이하에서는, 상기한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의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는, 클램프방식으로 상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는,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과, 결합수단(340)을 포함할 수 있다.Below, we will look 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First,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first rebar 11 and the second rebar 12 using a clamp metho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s 4 to 7,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include a first clamp unit 310, a second clamp unit 320, and a coupling means ( 340)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쌍을 이루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양측에 정착되며, 이 중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일측에 안착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타측에 안착 결합된다. Here,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re paired in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clamp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 or is fix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of which the first clamp unit 310 is sea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he second clamp unit 320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먼저,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은, 수용부(331)와, 연장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31)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홈(33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3311)은 정착되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의 오목한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에 대하여 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홈의 깊이와 형상을 철근의 직경과 곡률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홈(3311)은 그 크기가 정착되는 철근에 비하여 과도하게 크면 제1고정부(100)를 철근에 고정시키기 어려워 질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곡률반경은 정착 대상 철근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계될 수도 있다. First, the first clamp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portion 331 and an extension portion 332. The receiving portion 331 may be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3311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seated. Here, the seating groove 3311 may be formed in an arc-shaped concave round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be anchored,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may be formed in a concave round shape. 2 The depth and shape of the groove can be set in various ways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and curvature of the reinforcing bar so that it can have a wider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bar 12, and the seating groove 3311 is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bar to which it is anchored. If it is excessively large, it may become difficult to fix the first fixing part 100 to the reinforcing bar, so it may be configured in an arc shape as shown, and the radius of curvature may be design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o be fixed.

나아가, 상기 안착홈(3311)은 안착되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과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슬립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립방지홈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상기 제2철근(1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들이 안착삽입되게 하여, 안착홈(3311)에 안착된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길이방향을 따라 슬립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seating groove 3311 may be formed with an anti-slip groove to prevent slip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the anti-slip groove is formed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eated and inse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3311. This is to prevent slip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나아가,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은 상기 안착홈(3311)의 측면에 결합되고, 안착되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탄성패드는, 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에 대하여 슬립방지는 물론 이격 공간 없이 보다 밀착되게 하고 마찰력을 증가시켜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공지의 탄성고무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안착홈(3311)의 측면에 본딩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re coupled to the side of the seating groove 3311 and ar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be seated.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d in close contact, and this elastic pad prevents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from slipping agains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t allows for closer contact without a space and increases friction to improve bonding strength. Various materials such as known elastic rubber can be applied, and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seating groove 3311 through bonding, etc.

한편, 미도시된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은, 각각에 형성된 안착홈(3311)의 크기가 다를 수 있으며, 나아가 안착홈(3311)이 서로 대칭되는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not shown, may have different sizes of the seating grooves 3311 formed therein, and furthermore,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the seating grooves 3311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one of the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상기 연장부(332)는 상기 수용부(33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측방향으로 설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00)가 결합된다.The extension portion 332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331 and extends to a set length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the connecting portion 500 are combined.

한편, 상기 연장부(332)는, 연결부(500)의 결합위치와 배치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되는 제1철근(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고정부(200)의 배치방향과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Meanwhile, the extension portion 332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and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500,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to be anchored as shown. It may be formed and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연장부(332)는 상기 수용부(331)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서로 인접하는 수용부(331)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331)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은,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대칭되는 구조로서, 전술한 수용부(331)와, 연장부(332)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extension portion 332 extends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331, and as shown, both sides can be coupled to adjacent receiving portions 331 to connect the receiving portions 331 to each other. The second clamp unit 320 has a structure symmetrical to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includes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portion 331 and the extension portion 33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omitted as it has been described above. I decided to do it.

상기 결합수단(340)은,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 및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이 상기 제1철근(11) 또는 상기 제2철근(12)에 정착되게 하며,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340)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과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을 이동시켜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에 정착시킬 수 있다. The coupling means 340 is coupled to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respectively, and connects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to each other,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r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where the coupling means 34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2. (11) or move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fix them on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You can do it.

도면에서, 상기 결합수단(340)은,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의 양측에 구비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클램프유닛(310)의 연장부(332)와 상기 제2클램프유닛(320)의 연장부(332)를 동시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볼트(341)와, 상기 체결볼트(341)의 단부에 결합하는 체결너트(342)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체결너트(342)를 조임으로써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을 정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수단(340)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체결위치와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341)와 체결너트(342)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외 잭, 지렛대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든 가능하다. In the drawing, the coupling means 34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nd includes the extension portion 332 of the first clamp unit 310 facing each other. A fastening bolt 341 that penetrates the extension portion 332 of the second clamp unit 320 at the same time and a fastening nut 342 coupled to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341 are installed so that the worker can use the fastening nut (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re fixed by tightening 342). However, this is an embodiment, and the coupling means 340 may have different fastening positions and configurations if the above-mentioned purpose can be achieved. Meanwhile, the coupling means 340 may use a fastening bolt 341 and a fastening nut 342 as shown, but any configuration such as a jack or a lever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이하에서는, 상기한 클램프방식이 아닌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Below, we will look at other embodiments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other than the clamp method described abov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는, 걸림 접촉방식으로 상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는 지지부재(410)와 걸림부재(420)와 연결수단(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10)는 설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상기 제2철근(12)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n a engaging contact manner. To this end,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410, a locking member 420, and a connecting means 430.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410 may be formed to a set length and disposed alo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도면에서 상기 지지부재(410)는 설정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상기 제2철근(12)들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재(420)가 결합되고 나아가 후술되는 연결부(500)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drawing, the support member 410 has a plate shape with a set length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so that the locking member 420 is coupled and further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nection part 500 materials can be combined.

상기 지지부재(410)는 상기 걸림부재(420)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420)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고, 상기 걸림부재(420)의 위치가 결정되면 후술되는 연결수단(430)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상기 제2철근(12)들의 배열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1철근들 또는 제2철근(12)들에 대한 상기 걸림부재(420)의 결합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41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penetrates, so that the locking member 420 is movably inserted through,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420 is determined, it is described later. The position can be fixed by the connecting means 430. Meanwhile, the support member 410 may be arranged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s shown,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The length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420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bars 12.

상기 걸림부재(420)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걸림 접촉되며, 상기 걸림부재(420)는, 일단부가 지지부재(410)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410)를 관통한 일단부에 연결수단(430)인 연결너트(431)가 나사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420 has one end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410 and the other end bent to engage and contac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the locking member 420 , one end can be screwed to be movable in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member 410, and the connection nut 431, which is the connection means 430, is screwed to the one end that penetrates the support member 410 so that its position is It can be fixed.

상기 걸림부재(420)의 타단부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며 걸림 접촉되도록,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420)는, 타단부가 원호 형상을 이루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걸림 접촉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되는 부분의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42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so as to surround and engage with the oth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hus, it can be bent and formed into a concave round shape. Here,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does not come off after being caught and contacted, and the length of the bent portion vari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able.

나아가, 상기 걸림부재(42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지지부재(410)에 관통 결합되고 절곡된 중앙부로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걸림 접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수단(430)은 걸림부재(420)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locking member 420 is formed in a 'U' shape, with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410 and a bent central portion contain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 may be in engaging contact, and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ans 430 may be coupled to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420.

상기 연결수단(430)은 상기 지지부재(410)와 상기 걸림부재(4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도면에서 상기 연결수단(430)은, 상기 걸림부재(420)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상기 걸림부재(420)와 나사 결합하는 연결너트(4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너트(431)의 조임에 따라 걸림부재(420)의 타단부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ans 430 serves to connect the support member 410 and the locking member 420, and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means 43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It may include a connection nut 431 that engages with a screw thread and is screwed to the locking member 420,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can be adjusted by tightening the connecting nut 431.

한편, 상기 제2고정부(200)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걸림부재(420)와 연결수단(430)을 와이어와, 와이어매듭을 이용하여 무용접 방식으로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econd fixing part 200, although not shown, may be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n a non-welding manner using a wire and a wire knot to connect the locking member 420 and the connecting means 430. there is.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를 클램프방식 또는 걸림 접촉방식의 실시예들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용은 제1구조물의 제2구조물의 구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의 배치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각각을 클램프방식과 걸림 접촉 방식으로 서로 동일한 실시예를 적용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0)는 클램프방식이 적용되고 제2고정부(200)는 걸림 접촉 방식이 적용되는 것처럼 서로 다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는, 현장에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의 구조와, 제1철근(11)들과 제2철근(12)들의 배치구조 및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in the clamp method or the engaging contact method, and this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tructure of the structur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etc. In addition,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same embodiment to each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in a clamp method and a locking contact method, or uses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s shown. Different embodiments can be applied, such as the clamp method being applied to the fixing part 100 and the locking contact method being appli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00. That is,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r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t the site.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design and design.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5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제1고정부(100) 및 상기 제2고정부(20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이 서로 연결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이 서로 연결되게 한다.Below, we will look at the connection part 500. The connection part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respectively, and couples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to each other,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이러한 연결부(500)는,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가 조절 가능하며, 이에 따라 현장에서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의 위치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is connection part 500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nd accordingly,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is installed in the field.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can be easily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세부적으로, 상기 연결부(500)는, 연결부재(510)와, 고정수단(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10)는, 일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100) 또는 제2고정부(20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고정부(200) 또는 제1고정부(1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의 이격거리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200) 또는 상기 제1고정부(100)에 관통되게 나사 결합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연결볼트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detail, the connection part 500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510 and a fixing means 520. The connecting member 510 has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or the second fixing part 2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00 or the first fixing part 100. are combine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500 is movabl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 and as shown, it is possible to apply a connection bolt whose separation distan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crew connection.

상기 고정수단(520)은, 상기 연결부재(51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510)의 위치설정 후 상기 제2고정부(200) 또는 제1고정부(100)와 상기 연결부재(510)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며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수단(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10)의 연결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너트(521)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xing means 520 is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1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00 or the first fixing part 100 afte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10. It serves to fixedly couple the members 510 to each other. As shown, the fixing means 520 may be composed of a fixing nut 521 that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bolt of the connecting member 510.

한편, 상기 고정수단(520)은, 상기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재(510)가 고정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너트(521,321a)는 제1고정부(100) 또는 제2고정부(200)의 측면을 비롯하여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520)은, 상기한 고정너트(521) 외 연결부재(510)가 관통 결합되는 제1고정부(100) 또는 제2고정부(200)의 관통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재(510)의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고정부(100) 또는 제2고정부(200)의 두께는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fixing means 520 can be located at various positions as long as the connecting member 51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The nuts 521 and 321a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as well as on the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or the second fixing part 200. At this time, the fixing means 520 forms a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or the second fixing part 200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10 other than the fixing nut 521 is penetrated. And, in response to this, screw threads that mesh with the screw threads can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510 to perform screw coupling.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or 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determined by the fastening force.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to have sufficient thickness to ensure.

이하에서는, 상기 템플렛부(6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템플렛부(600)는,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 각각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템플렛부(600)는, 제1구조물(수직부재,기둥)의 제1철근(11)들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제2구조물의 제2철근(12)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템플렛부(600)는, 템플렛부재(610)와, 끼움부재(620)와, 가압결합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Below, we will look at the template unit 600. The template portion 600 i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to each other. It can be configured. In the drawing, the template part 600 shows a case where it is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f the first structure (vertical member, column), but in one embodiment, this is the second structure of the second structure. It may also be placed on the reinforcing bars (12). More specifically, the template portion 600 may include a template member 610, a fitting member 620, and a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상기 템플렛부재(6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의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일자형 또는 'ㄱ'자형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템플렛부재(610)는, 상기 제1철근(11)이나 제2철근(12)과의 결속력을 위하여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이 관통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6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가압결합부재(630)의 가압방향과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이 끼움 결합되게 하는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다양한 구성이든 적용될 수 있다. The template member 610 is arrang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nd has a straight or 'ㄱ' shape or a 'ㅁ' shape as shown. It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The template member 610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re inserted for bonding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611) can be formed. However, in one embodiment, this is loca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re fitted and coupled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y variety of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if possible.

상기 끼움부재(620)는, 상기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템플렛부재(610)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으로는 상기 가압결합부재(630)가 삽입되는 끼움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홀(621)은, 내주면으로 제1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가압결합부재(6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fitting member 62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template member 610, and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s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fitting hole 621 to be inserted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fitting hole 621 is provided with a first screw thread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can be screwed to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상기 가압결합부재(630)는, 상기 끼움홀(621)에 삽입되고 삽입단부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템플렛부재(610)와 상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서로 결속되도록 한다.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621, and the insertion end presses th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to form the template member 61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610. Ensure that the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boun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가압결합부재(630)는, 가압볼트로 적용되어 외주면으로 상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끼움홀(621)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삽입단부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템플렛부재(610)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서로 고정 연결되게 한다.Here, the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s applied as a pressure bolt to form a second screw thread meshing with the first screw threa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s screwed to the insertion hole 621, and as it rotates, the insertion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ebar. (11) o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pressed so that the template member 61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전술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상기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we will look at the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the aforementioned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Since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its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먼저, 제1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1철근(11)에 제1고정부(100)를 정착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00)의 정착방법은, 클램프방식으로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 사이에 제1철근(11)을 위치시켜 제1철근(11)을 수용부(331)에 안착시키고, 결합수단(340)을 통해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이 제1철근(11)을 가압하여 정착하거나, 걸림 접촉 방식으로 지지부재(410)를 제1철근(11)들의 측부에 배치시키고 걸림부재(420)를 제1철근(11)들 각각에 걸림 접촉시킨 후 연결수단(430)을 통해 지지부재(410)와 걸림부재(420)를 고정시켜 정착시킬 수 있다. First,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placed in the first structure. At this time, the fixing method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to place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between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in a clamp method. It is seated in the receiving part 331, and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press and anchor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through the coupling means 340, or the support member is held in a locking contact manner. (410)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 engaging member 4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n the supporting member 410 and the engaging member (41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430. 420) can be fixed.

한편, 상기 제1고정부(100)를 정착하기 전후 어느 과정에 상기 템플렛부(6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템플렛부(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철근(11)들의에 템플렛부재(610)를 설치하고 가압결합부재(630)를 통해 제1철근(11)들의 위치를 고정 또는 그 위치를 잡아줄 수 있다.Meanwhile, the template part 600 can be installed in any process before or after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The template part 600, as shown, installs a template member 610 on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fixes or repositions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through a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 can hold you.

상기한 바에 따라 제1구조물 내에 제1고정부(100)를 정착하고 나면, 다음으로 제2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2철근(12)에 제2고정부(200)를 정착한다. 여기서, 제2고정부(200)의 정착방법은 전술한 클램프방식 또는 걸림 접촉 방식으로 정착될 수 있다. After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fixed in the firs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placed in the second structure. Here, the second fixing part 200 may be fixed using the clamp method or the locking contact method described above.

이렇게 제1철근(11)들과 제2철근(12)들 각각에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를 각각 정착한 후에는 연결부(500)를 이용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세부적으로, 이러한 과정에서는 상기 연결부(500)를 상기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를 조절하고, 연결부(500)를 통하여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re respectively fixed to each of the first rebar 11 and the second rebar 12,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connecting part 500. . In detail, in this proces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nnecting part 500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nd the first fixing part 50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art 500. The main unit 100 and the second fixing unit 2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연결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가 각각 제1철근(11)들과 제2철근(12)들에 정착된 후 서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 제1고정부(100)를 정착시킨 후 연결부(500)를 연결하고, 그런 다음 연결부(500)에 제2고정부(200)를 연결할 수 있는 등 현장여건이나. 제1철근(11) 및 제2철근(12)의 배치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정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nection part 5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r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Connection is shown, but in some cases, the connection part 500 can be connected after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n the second fixing part 20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500, depending on field conditions or . It can be ancho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도 9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의 제3고정부(700)는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에 정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고정부(700)는 고정부재(800)와, 높이조절 고정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고정부(700)는 제3고정부(700)는 ㅁ자형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어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9 to 12B, the third fixing part 700 of the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nchored to the first rebar 11 and the second rebar 12. . To this end, the third fixing part 700 may include a fixing member 800 and a height-adjusting fixing member 900. The third fixing part 700 is formed as a ㅁ-shaped thin plate and is installed with an upper clamp unit 710 and a lower clamp unit 720 spaced apart vertical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에는 제1철근(11), 고정부재(800) 및 높이조절 고정부재(900)가 삽입되어 설치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관통홀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은 철근의 설치구조나 위치에 따라 위치 및 개수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템플렛부(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철근(11)들에 템플렛부재를 설치하고 U자 고정부재를 통해 제1철근(11)들의 위치를 고정 또는 그 위치를 잡아줄 수 있고, 상기 템플렛부(600)에 위치하는 U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1철근(11)들을 고정시키도록 하며, 이때 볼트용 클램프 부재를 더 포함하여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템플렛부(60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U자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order to insert and install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the fixing member 800, and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mber 900.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positions and number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r loc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template part 600 is formed by installing a template member on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forming a U-shaped shape as shown. The posi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can be fixed or maintained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re fixed using the U-shaped fixing member located in the template portion 600. , 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lamp member for the bolt and is fixed by a combination of a bolt and a nut. In addition, the template portion 600 may be formed in plural pieces and includ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U-shaped fixing members.

상기 높이조절 고정부재(900)는 양단부가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의 형상으로 설치되고, 또한, 하부 클램프유닛(720)에는 볼트 탈락 방지판 대용 너트를 더 포함하여 볼트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템플렛부(600)와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사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 조리개부재를 더 포함하여 제1철근(11)들 또는 제2철근(12)들을 고정함에 있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eight-adjustable fixing member 900 has both ends installed in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respectively, and is installed in a vertical shape. Additionally, the lower clamp unit 720 is equipped with a nut as a substitute for a bolt prevention plat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mbined with a bolt, and further includes a fixed aperture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template portion 600 and the upper clamp unit 710 to secure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 12)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when fixing them.

먼저 높이조절 고정부재(900)는 높이조절부(910), 고정너트(920), 볼트 탈락 방지판(930), 높이조절용 볼트(940) 및 클램프유닛 고정너트(950)로 구성된다. 높이조절부(910)는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수직 삽입된다. 이때 높이조절부(910)가 삽입되는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면에는 고정너트(920)가 용접된다. First,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mber 900 is composed of a height adjustment part 910, a fixing nut 920, a bolt prevention plate 930, a height adjustment bolt 940, and a clamp unit fixing nut 950.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is vertically insert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lamp unit 710. At this time, a fixing nut 920 is welded to the upper surface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of the upper clamp unit 710 where the height adjustment part 910 is inserted.

즉, 높이조절부(910)는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로 수집 삽입되되, 고정너트(920)를 통해 회전결합되며, 높이조절부(910)의 삽입된 하단부는 하부 클램프유닛(720)의 상부면에 용접되어 고정결합된다.That is,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is collected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fixing nut 920, and the inserted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is connected to the lower clamp unit 720. It is weld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상부 클램프유닛(710)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면에는 높이조절용 너트(940)가 구성되어, 높이조절용 너트(940)의 회전에 따라 높이조절부(91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하부 클램프유닛(720)의 높이가 조절된다. 하부 클램프유닛(720)의 상부면에 용접된 높이조절부(910)의 끝단부 좌우측으로는 한쌍의 볼트 탈락 방지판(930)이 구성되어, 용접된 높이조절부(910)가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a height adjustment nut 94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where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lamp unit 710 is formed, and as the height adjustment nut 940 rotates,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moves up and down, and the lower clamp unit ( 720) height is adjusted. A pair of bolt removal prevention plates 930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910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lamp unit 720 to prevent the welded height adjustment part 910 from falling off. do.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용 너트(930)를 나사회전 시키게 되면 높이조절부(910)의 하단부에 결합된 하부 클램프유닛(7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간의 높이가 조절되고, 추가적인 실시예로 높이조절부(910)의 하단부와 접합되는 하부 클램프유닛(720)의 상부면에는 클램프유닛 고정너트(950)가 용접된다. 이때, 높이조절부(910)의 하단부는 자유단부로 구성되며 하부 클램프유닛(720)의 상부면에 용접되어 고정된 클램프유닛 고정너트(950)와 나사회전되어 결합되어 높이조절부(910)를 회전에 의해 하부 클램프유닛(7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 클램프유닛(710)과 하부 클램프유닛(720)간의 높이가 조절된다.When the height adjustment nut 930 is screwed and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clamp unit 72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moves upward, causing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 is adjusted, and in an additional embodiment, a clamp unit fixing nut 950 is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lamp unit 720, which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consists of a free end and is screwed and coupled to the clamp unit fixing nut 950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lamp unit 720 to form the height adjustment unit 910. As the lower clamp unit 720 moves upward by rotation, the height between the upper clamp unit 710 and the lower clamp unit 720 is adjusted.

한편, 하부 클램프유닛(720)에는 연결수단(430)인 연결너트(431)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걸림부재(420)가 구성되어 하부 클램프유닛(7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철근(12)이 정착되도록 하고, 이때 걸림부재(420)는 도 9와 같이 측면의 형상이 J자 형상과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각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clamp unit 720 is composed of a locking member 420 that is coupled by screwing the connecting nut 431, which is the connecting means 430,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lamp unit 710 ( 12) is fixed, and at this time, the locking member 420 may have a curved side shape such as a J shape as shown in FIG. 9 or may be formed in an angular shape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be able to do what you say you can do.

11 : 제1철근 12 : 제2철근
100 : 제1고정부 200 : 제2고정부
310 : 제1클램프유닛 320 : 제2클램프유닛
331 : 수용부 3311 : 안착홈
332 : 연장부 340 : 결합수단
341 : 체결볼트 342 : 체결너트
410 : 지지부재 420 : 걸림부재
430 : 연결수단 431 : 연결너트
500 : 연결부 510 : 연결부재
520 : 고정수단 521,342a : 고정너트
600 : 템플렛부 610 : 템플렛부재
611 : 삽입홀 620 : 끼움부재
621 : 끼움홀 630 : 가압결합부재
700 : 제3고정부 800 : 고정부재
900 : 높이조절 고정부재
11: 1st rebar 12: 2nd rebar
100: first fixing unit 200: second fixing unit
310: first clamp unit 320: second clamp unit
331: receiving portion 3311: seating groove
332: extension 340: coupling means
341: fastening bolt 342: fastening nut
410: support member 420: catching member
430: Connection means 431: Connection nut
500: connection part 510: connection member
520: Fixing means 521,342a: Fixing nut
600: Template part 610: Template member
611: Insertion hole 620: Fitting member
621: Fitting hole 630: Pressure coupling member
700: Third fixing part 800: Fixing member
900: Height adjustment fixing member

Claims (4)

복수개의 제1철근(11)들이 이격되게 배근되는 제1구조물과, 복수개의 제2철근(12)들이 이격되게 배근되는 제2구조물을 서로 연결하는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철근(1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철근(11)에 정착되는 제1고정부(100);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철근(1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철근(12)에 정착되는 제2고정부(200);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에 각각 연결되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를 서로 결합시키되,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가 고정가능한 연결부(500); 및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 각각의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을 서로 연결하는 템플렛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템플렛부(6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이 관통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611)이 구성되는 템플렛부재(610)와, 제1철근(11)과 제2철근(12)의 일측에 위치하고 템플렛부재(610)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으로 제1나사산이 마련된 끼움홀(621)이 구성되는 끼움부재(620)와, 외주면으로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끼움홀(621)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삽입단부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템플렛부재(610)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서로 고정 연결되는 가압결합부재(6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설정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부재(410)와, 일반부는 지지부재(4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절곡되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이 걸림접촉되는 걸림부재(420)와, 지지부재(410)와 걸림부재(4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4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410)는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일측에 위치하고 걸림부재(420)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420)는 타단부가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제1철근(11) 또는 제2철근(12)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430)은 걸림부재(420)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걸림부재(420)와 나사결합하는 연결너트(431)를 포함하는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은
제1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1철근(11)에 제1고정부(100)를 정착하는 단계와;
제2구조물 내에 배근된 제2철근(12)에 제2고정부(200)를 정착하는 단계와;
연결부(500)를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결합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연결부(500)를 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100)와 상기 제2고정부(200)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
In the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age device that connects a firs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rebars 11 are spaced apart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rebars 12 are spaced apart, one or a plurality of rebar integration devices are provided. A first fixing part (100) to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is detachably coupled and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 second fixing part 200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ars 12 are detachably coupled and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respectively, to couple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to each other, and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nnection portion 500 whose coupling position can be fixed in respons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200; And a template portion 600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and connecti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2 to each other,
The template portion 600 is arrang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 template member 610 consisting of (611), a fitting hol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fixed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template member 610, and having a first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fitting member 620, which is composed of (621), and a second screw thread engaging with the first screw threa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re formed and screwed into the fitting hole 621, and the insertion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It includes a pressure coupling member 630 in which the template member 61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set length, and is a support disposed along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 member 410, a holding member 420 in which the general part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410 and the other end is bent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is in engaging contact, and the supporting member 410 It includes a connecting means 430 that connects the and the locking member 420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member 41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has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A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is formed in a concave rou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or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and the connecting means 430 is engaged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420 and is screwed to the engaging member 420. ) The non-welded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including ), is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100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placed in the first structure;
fixing the second fixing part (200)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12) placed in the second structur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nnecting part 500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0, and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art 500.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ed smart ancho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part 200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00)의 정착단계는
클램프 방식 또는 걸림 접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step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chored by either a clamp method or a hanging contact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00)의 정착단계는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 사이에 제1철근(11)을 위치시켜 제1철근(11)을 수용부(331)에 안착시키고, 결합수단(340)을 통해 제1클램프유닛(310)과 제2클램프유닛(320)이 제1철근(11)을 가압하여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fixing step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to seat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in the receiving portion 331,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1 is secured through the coupling means 340.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lamp unit 310 and the second clamp unit 320 pressurize and anchor the first rebar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00)의 정착단계는
지지부재(410)를 제1철근(11)들의 측부에 배치시키고 걸림부재(420)를 제1철근(11)들 각각에 걸림접촉시킨 후 연결수단(30)을 통해 지지부재(410)와 걸림부재(420)를 고정시켜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치구조 조정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스마트 정착장치를 이용한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fixing step of the first fixing part 100 is
The support member 410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the engaging member 420 is brought into engaging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1, and then is engaged with the supporting member 410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30.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method using a rebar integration smart ancho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er 420 is fixed and anchored.
KR1020230144127A 2020-06-17 2023-10-25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KR1026524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32 2020-06-17
KR20200073532 2020-06-17
KR1020220105345A KR102598628B1 (en) 2020-06-17 2022-08-23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345A Division KR102598628B1 (en) 2020-06-17 2022-08-23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990A KR20230168990A (en) 2023-12-15
KR102652447B1 true KR102652447B1 (en) 2024-04-05

Family

ID=7917605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18A KR102436896B1 (en) 2020-06-17 2021-06-15 Welding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method
KR1020220105345A KR102598628B1 (en) 2020-06-17 2022-08-23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30144127A KR102652447B1 (en) 2020-06-17 2023-10-25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18A KR102436896B1 (en) 2020-06-17 2021-06-15 Weldingless rebar anchoring device and method
KR1020220105345A KR102598628B1 (en) 2020-06-17 2022-08-23 A non-welding rebar anchor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368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556A (en) * 1996-11-13 2004-09-24 Taisei Corp Shear reinforc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141Y2 (en) * 1991-10-29 1997-03-26 丸井産業株式会社 Support for unbonded PC steel wire for construction
KR101844757B1 (en) 2017-01-10 2018-04-03 아이에스동서(주) PHC pile connection device for non welded joint
KR102147762B1 (en) 2019-01-21 2020-08-26 삼성물산(주) Non-Welding Bonded Connection Between Steel Beam Using Steel Joint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20545B1 (en) * 2019-08-05 2021-11-03 주식회사 지음피씨이 Reinforcing rod fixing system for pricast concrete column
KR102530078B1 (en) 2021-12-06 2023-05-09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Non-welding mold using assembly me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556A (en) * 1996-11-13 2004-09-24 Taisei Corp Shear reinfor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843A (en) 2022-10-12
KR102436896B1 (en) 2022-08-26
KR20230168990A (en) 2023-12-15
KR20210156232A (en) 2021-12-24
KR102598628B1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884B1 (en) Device for reinforcing the bridge pier
KR101817962B1 (en) Safety support device module
KR20190008053A (en)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using form-pa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652447B1 (en) Non-welding rebar fixing method using a smart fixing device that integrates rebar with adjustable rebar arrangement structure
KR20180009190A (en) Device for re-prestressing of anchor
KR20200068205A (en) Seismic retrofit using strand and length adjustable truss
CN107859247A (en) A kind of functional steel tendon protective layer control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498343B1 (en) Ground anchor head fixing syatem
KR101390990B1 (en) Pretension reinforcement apparatus for masonry wall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masonry wall using that
JP2007120108A (en) Lifting and falling prevention device and earthquake resisting reinforcement existing pole making use thereof
KR101400449B1 (en) Reinforcing device of beam member
KR101217790B1 (en) Steel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with tendon using normal partial force
KR20120008667A (en)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deckplate end-reinforcing member
KR100516769B1 (en) A reinforcement method by anchoring & tensioning steel strand.
JP5464689B2 (en) Column base structure
KR101951404B1 (en) Seismic retrofitting structure by enlarged cross section
JP4865104B2 (en) Design method for composite structural beams
KR102439876B1 (en) Pipe supporter for supporting structure load
JP4358453B2 (en) Anchoring method of column main reinforcement i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KR101237645B1 (en) Earth anchor bracket for angle regulating
JPH10131397A (en) Anchor structure of shear reinforcing bar and anchor plate used for the same structure
JP6474575B2 (en) Brac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KR102546964B1 (en) Bridge cantilever construction method
CN210529934U (en) I-steel fixed knot that encorbelments constructs and braced system
KR102074573B1 (e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