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093A -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093A
KR20210156093A KR1020200073803A KR20200073803A KR20210156093A KR 20210156093 A KR20210156093 A KR 20210156093A KR 1020200073803 A KR1020200073803 A KR 1020200073803A KR 20200073803 A KR20200073803 A KR 20200073803A KR 20210156093 A KR20210156093 A KR 20210156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coholic liver
present
alcoholic
liver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752B1 (ko
Inventor
이대영
윤다혜
이영섭
최두진
한경숙
김동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07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7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오가피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오가피 열매 추출물은 에탄올 손상에 의한 간세포 독성으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하고, 에탄올 투여에 의해 간 손상을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의 혈중 농도를 저하시키고, 에탄올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중 LDH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알코올성 간 손상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Frui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extract including alcoholic liver injury prevention functional ingredi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간의 주요 기능은 체외에서 유입되거나 체내에서 생성된 각종 물질들을 가공처리하고 중요한 물질들을 합성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혈액에는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단백질들이 있는데 이중 약 90%는 간에서 만들어진다. 이 밖에도 간은 해독작용 그리고 면역 기관의 역할 등을 하는데, 우리 몸에 들어온 각종 약물과 해로운 물질은 간에서 해가 적은 물질로 바꾸어 소변 또는 쓸개즙을 통해 배설된다. 특히, 간에는 쿠퍼세포라는 면역세포가 있어서 몸 밖에서 들어오는 세균과 독소 또는 이물질을 잡아먹은 뒤 분해시켜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렇듯 간은 다양하고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때문에 간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간은 왕성한 재생력을 갖고 있어 75%를 절제해도 4 내지 6개월 후에는 크기와 기능이 회복된다.
간질환은 병이 생기는 근본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로 인한 간질환,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 약물로 인한 독성 간질환,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지방간, 인체 면역계통의 이상으로 인한 자가 면역성 간질환, 독성 물질이 과다하게 쌓여서 생기는 대사성 간질환 등으로 구분된다. 국내에서 만성 간질환의 주원인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이고 C형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성 간질환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근래 알코올 소비량 증가와 함께 습관성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이 상당히 늘고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임상증상에 따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대개 하루 60-80g의 알코올을 10년 정도 마실 때 발생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 안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금주만 하게 되면 곧 회복할 수 있으나, 계속 음주하게 되면 간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염은 간세포의 괴사와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황달, 발열, 우상복부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이를 앓는 환자 중 약 40%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정상 간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신 피로감, 식욕감퇴, 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혼수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보다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은 주로 소화 장기에서 흡수되는데, 체내로 흡수된 알코올은 폐, 소변, 땀으로 10% 정도 배설되며 90%는 간에서 대사된다. 혈액을 통해 간으로 이동한 알코올은 간에서 생성되는 여러 효소(Alcohol Dehydrogenase,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Catalase 등)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며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다시 효소에 의해 신체에 무해한 초산으로 산화된다. 알코올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반응성이 강한 독성물질로 단백질과 결합하여 효소 활성 저해, 지질과 산화의 증가로 미토콘드리아에 손상, 글루타티온 결핍 초래 및 피리독신, 비타민 A, 아연 및 셀레늄 등의 결핍을 초래, 튜블린(tubline) 중합 저해에 의한 단백질 분비 및 이동 저해 등 간 손상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자유기(free radical) 생성은 간의 콜라겐(collagen) 합성을 촉진시키므로, 이는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자에 있어 간 섬유화(간경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알코올 대사 억제제, 알코올 대사 촉진제, 알코올 분해효소 등과 같은 많은 제품들이 개발 또는 그 조성물들이 활용되어 왔으나 상기 제품들은 대다수가 예방적 차원의 간기능 보호 및 개선보다는 주로 과다 알코올 섭취 시에 발생하는 숙취해소에 주목적을 두고 있다.
한편, 오갈피나무는 키 작은 낙엽활엽수로서 높이 3~4m에 이르며 지표 가까이에서 줄기가 갈라져 넓게 퍼져 자라고, 잔가지는 잿빛을 띤 갈색으로 가시는 거의 없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3~5장의 잎 조각에 의해 손바닥 모양을 이루고, 잎 조각은 계란 꼴 또는 계란 꼴에 가까운 타원 꼴로 길이는 6~15cm이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의 잎맥 위에만 잔털이 있다. 가장자리에는 큰 톱니와 작은 톱니가 서로 겹치면서 배열된다. 꽃은 새로 자라난 가지 끝에 우산 꼴로 뭉쳐 핀다. 꽃은 연한 보랏빛이고 5장의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지름은 3mm 안팎이다. 꽃이 지고 난 뒤 길쭉한 타원 꼴의 물기 많은 열매가 뭉쳐 달리며 가을에 검게 물든다. 주로 뿌리 또는 나무껍질을 약재로 사용하며, 강장, 진통, 거풍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은 풍과 습기로 인한 마비통증, 류머티스, 요통, 음위, 각기 등이나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알코올성 간 손상의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의 오가피 열매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오가피 열매 추출물이 에탄올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를 보호하며 알코올 급여에 의해 간 손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의 혈중 농도를 저하시키고, 에탄올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중 LDH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간 손상 억제 효과가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성 간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알코올성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간암(HepG2) 세포에서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세포 손상 보호효과를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GOT/AST의 혈중 농도 변화를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는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GPT/ALT의 혈중 농도 변화를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4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혈중 LDH 농도 변화를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오가피 열매 추출물 투여에 의한 장기 중량 감소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liver)의 중량을 계측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는 오가피 열매 추출물 투여에 의한 장기 중량 감소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장(spleen)의 중량을 계측하여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오가피의 줄기, 열매 또는 뿌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나, 상술한 부위들 중에서도 오가피의 열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 간세포 보호 효과, GOT/AST 및 GPT/ALT 수치 감소, LDH 농도 감소 효과 효과가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오가피를 적절한 추출용매로 추출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오가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오가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조성물(composition)”은 본 발명의 오가피 추출물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나, 간 손상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제형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알코올성 간 손상 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또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인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오가피 열매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제조
열풍 건조된 오가피 열매 1kg을 분말화하고, 50% 발효주정 3L와 혼합하여 24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 하였다. 상기 공정을 50% 발효주정 3L로 2회 반복하였다. 여과지에 여과하고 진공 조건에서 농축한 후, 오가피 열매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간암세포 독성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간암(HepG2) 세포에 50㎍/ml, 100㎍/ml, 200㎍/ml, 300㎍/ml의 농도로 투여하고, 48시간 배양 후, MTT assay를 통해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오가피 추출물은 200㎍/ml의 농도까지는 유의적인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 활성 확인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에탄올 투여 3일 전부터 1mg/mouse 및 3mg/mouse의 양으로 1일 1회 총 10회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혈청 에서 GOT/AST 및 GPT/ALT를 정량하여 시료의 간질환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 때, 에탄올 투여를 종료한 후 1일째의 혈청 시료를 이용하여 혈중 GPT/ALT, GOT/AST 및 LDH를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투여에 의해 상승한 혈중 GOT/AST 및 GPT/ALT의 수치가 오가피 열매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1 mg/mouse 및 3 mg/mouse 투여량 군)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세포가 손상되면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LDH (Lactate dehydrogenase) 효소가 혈중으로 방출되어 그 농도가 증가하는데,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혈중 LDH 농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가피 열매 추출물 투여군은 에탄올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중 LDH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간 손상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장기에 대한 독성 발현 수준 측정
오가피 열매 추출물의 장기에 대한 독성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정상군(Normal), 에탄올(ethanol: EtOH) 처리군, 에탄올 처리군에 오가피열매 추출물 투여한 실험군을 분류하였다. 오가피열매 추출물 농도에 따른 간 손상 예방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에탄올 처리군에 오가피열매 추출물을 각각 1 mg/mouse 및 3 mg/mouse의 농도로 1일 1회 총 10회 경구 투여하였다. 마우스의 최초 체중을 기준으로 에탄올 투여 10일 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체중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 및 비장의 중량은 오가피 열매 추출물 투여 전 후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여, 오가피 열매 추출물 투여에 의한 장기의 중량 감소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개량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개량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열매 부위를 추출한 것인,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부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된 것인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에탄올 투여에 의해 상승한 혈중 GOT/AST, 혈중 GPT/ALT, 혈중 LDH 농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 손상 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00073803A 2020-06-17 2020-06-17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6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03A KR102496752B1 (ko) 2020-06-17 2020-06-17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03A KR102496752B1 (ko) 2020-06-17 2020-06-17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093A true KR20210156093A (ko) 2021-12-24
KR102496752B1 KR102496752B1 (ko) 2023-02-07

Family

ID=7917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803A KR102496752B1 (ko) 2020-06-17 2020-06-17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7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327A (ko) * 2002-01-25 2003-07-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섬오갈피추출물
KR20120122264A (ko) * 2011-04-28 2012-11-07 (주)휴럼 간 기능 개선용 오가피 발효물과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제제
KR20150034383A (ko) * 2013-09-26 2015-04-03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알코올성 간기능 장애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327A (ko) * 2002-01-25 2003-07-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섬오갈피추출물
KR20120122264A (ko) * 2011-04-28 2012-11-07 (주)휴럼 간 기능 개선용 오가피 발효물과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제제
KR20150034383A (ko) * 2013-09-26 2015-04-03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알코올성 간기능 장애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et al.,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Arch Pharm Res. 2002, Vol 25, No 3, pp. 280-284 *
계경바이오텍, 오가피 수출상품화 성공. 매일경제. [online], 2001.03.05., [2022.12.27. 검색], 인터넷: <URL: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0096996?sid=101> *
최재명. 국내산 오가피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752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20511156A (ja) 白扁豆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二日酔いの解消及びアルコール性胃腸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KR20200002260A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7173A (ko) 발효 우엉 추출물 또는 우엉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7573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516958B2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1557934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436692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2652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51011B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496752B1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2045B1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6764B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064908B2 (en)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451161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건강 개선 및 보호용 조성물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0222B1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