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537A -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537A
KR20210155537A KR1020200072867A KR20200072867A KR20210155537A KR 20210155537 A KR20210155537 A KR 20210155537A KR 1020200072867 A KR1020200072867 A KR 1020200072867A KR 20200072867 A KR20200072867 A KR 20200072867A KR 20210155537 A KR20210155537 A KR 2021015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pack
fishing
water
powd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혁
Original Assignee
정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혁 filed Critical 정진혁
Priority to KR102020007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537A/ko
Publication of KR2021015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떡밥용 포장팩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물이 투과되면서 미끼용 분말의 투과가 방지되는 한 장의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테두리가 밀봉되어 내부에 미끼용 분말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된 포장팩 본체와, 상기 포장팩 본체의 테두리 일측면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팩 본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서 성형된 떡밥 형태의 반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회전 결합되어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회전형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낚시 떡밥은 상기 회전형 뚜껑부를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를 오픈시킨 후 상기 포장팩 본체를 가압하여 일회 사용분의 반죽을 배출시켜 떡밥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PACKAGE PACK FOR FISHING PASTE BA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SHING PASTE BA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 사용하는 미끼의 종류에는 물고기가 먹을 수 있는 미끼와 먹이의 형태를 취하지만 먹을 수 없는 가짜미끼(루어)가 있고, 먹을 수 있는 미끼로 갯지렁이, 지렁이, 새우, 구더기 등의 생미끼와 빵가루, 밀가루, 깻묵가루, 어분 등 곡물이나 다른 먹이 가루를 물에 개어 사용하는 떡밥형 미끼가 있다.
물고기는 먹이를 먹을 때 시각, 후각, 청각 등 감각을 모두 사용하지만 그 중에서도 후각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렁이 등의 생물 먹이보다는 떡밥 등 반죽형 미끼가 밤이나 낮에 관계없이 민물 및 바다 낚시의 대표적인 미끼로 사용된다. 야간에는 고소한 냄새로 물고기를 유인하는 효과가 크고, 입질이 없을 때는 물고기를 불러 모으는 밑밥 역할도 한다.
이러한 떡밥으로 낚시를 할 경우에는 낚시바늘에 그냥 꿰어 사용하는 지렁이와는 달리 비닐봉지에 포장된 분말 상태의 미끼용 분말을 물에 개어 반죽한 후 적당한 크기로 떼어 낚시바늘에 달아 사용한다.
떡밥을 분말로 만든 이유는 일단 미끼를 건조하여 수분을 줄임으로써 오래 보관하여도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한 것이고, 또한, 건조한 미끼를 분말형태로 그냥 사용하기는 매우 불편하므로 언제라도 물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기에 편한 상태로 분말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미끼용 분말은 생물 미끼에 비해 매우 편리한 미끼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 미끼용 분말은 가루 상태이므로 즉시 사용할 수는 없고 용기에 넣고 물에 일일이 개어서 반죽을 하여야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미끼용 분말은 떡밥을 형성하기 위해 분말을 갤 때 혼합되는 물의 양에 따라 반죽의 점성이나 달라져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특히 물을 너무 많이 투입한 경우에는 여분의 물을 쉽게 제거할 수 없어 불필요하게 분말을 더 첨가하여 다시 개어서 사용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미끼용 분말은 비닐 용기에 포장되는데, 수십회분을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포장되어 사용 후 남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남은 미끼용 분말을 밀봉 상태로 보관하거나 취급 및 관리하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4-0007093호 "낚시용 떡밥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2004.04.03)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분리 포장할 수 있어 분말의 낭비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여분의 물을 손쉽게 제거하거나 물을 더 추가할 수 있어 반죽의 점성의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양을 짜서 사용할 수 있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씨 떡밥용 포장팩은 물이 투과되면서 미끼용 분말의 투과가 방지되는 한 장의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테두리가 밀봉되어 내부에 미끼용 분말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된 포장팩 본체와, 상기 포장팩 본체의 테두리 일측면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팩 본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서 성형된 떡밥 형태의 반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회전 결합되어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회전형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낚시 떡밥은 상기 회전형 뚜껑부를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를 오픈시킨 후 상기 포장팩 본체를 가압하여 일회 사용분의 반죽을 배출시켜 떡밥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의 양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포장팩 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포장팩 본체의 가압 시 상기 배출구쪽으로 반죽이 배출되도록 밀폐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낚시 떡밥용 포장팩은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타단이 상기 회전형 뚜껑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씨 떡밥용 포장팩을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은 상기 회전형 뚜껑부를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미끼용 분말이 밀봉되게 포장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팩이 물에 잠기도록 하는 포장팩 함침 단계(S10)와; 물속에 담긴 상기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주물러서 상기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내부로 물이 스며들면서 상기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미끼용 분말에 물이 스며들어 엉키면서 분말이 물과 혼합되어 슬러리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슬러리 형성 단계(S20)와; 상기 분말에 물이 혼합된 슬러리 상태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물이 담긴 용기에서 꺼내고, 포장팩을 가압하여 포장팩에 있는 물을 짜내서 제거하면서 슬러리 형태의 분말을 반죽 형태로 뭉쳐지게 하는 반죽 형성 단계(S30)와; 상기 회전형 뚜껑부를 제 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를 오픈시킨 후 상기 포장팩 본체를 가압하여 일회 사용분의 반죽을 배출시켜 떡밥 형태로 성형는 떡밥 성형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낚시 떡밥을 제조할 수 있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과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분리 포장할 수 있어 분말의 낭비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여분의 물을 손쉽게 제거하거나 물을 더 추가할 수 있어 반죽의 점성의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양을 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떡밥용 포장팩은 포장팩 본체(100), 배출구(110) 및 회전형 뚜껑부(1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장팩 본체(100)는 물이 투과되면서 미끼용 분말(1)의 투과가 방지되는 하나의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각 테두리가 밀봉되어 내부에 미끼용 분말(1)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포장팩 본체(100)는 사각 테두리가 밀봉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수용 공간에 미끼용 분말(1)이 수용되며 물이 투과되면서 미끼용 분말(1)의 투과가 방지되도록 부직포 재질의 포장지로 구성될 수 있다.
포장팩 본체(100)의 재질인 부직포는 미세한 섬유사나 펄프 등을 서로 엉키게 만들어서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물은 투과되지만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미끼용 분말(1)은 걸리어 통과되지 않게 제작된 것이다
배출구(110)는 포장팩 본체(100)의 사각 테두리 일측면 중심 부분에 형성되어 포장팩 본체(100)의 가압에 따라 미끼용 분말(1)과 물이 혼합되어 성형된 낚시 떡밥 형태의 반죽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회전형 뚜껑부(120)는 배출구(110)와 회전을 통해 결합되거나 풀려 배출구(1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형 뚜껑부(120)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배출구(110)의 표면에 수나사 형성됨으로써, 회전형 뚜껑부(120)의 회전 조작을 통해 배출구(110)에 결합되거나 풀려 배출구(110)가 개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조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반죽의 일부를 배출하여 낚시 떡밥을 제조하기 위해 회전형 뚜껑부(120)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 배출구(110)를 오픈시킨 후 포장팩 본체(100)를 가압시켜 배출구(110)를 통해 반죽의 일부를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구(110)를 닫기 위해서, 회전형 뚜껑부(120)를 제 2 방향(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출구(110)를 닫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회전형 뚜껑부(120)는 회전형 두껑부(1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재(130)를 통해 배출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30)는 일단이 배출구(110)에 삽입되어 배출구(110)의 측면 끝부분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타단이 회전형 뚜껑부(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구(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은 포장팩 본체(100)의 가압 시 배출구(110)쪽으로 낚시 떡밥용 반죽이 배출되도록 밀폐부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밀폐부재(140)는 배출구(110)의 양측의 포장팩 본체(10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포장팩 본체(100)의 가압 시 낚시 떡밥용 반죽이 배출구(110) 쪽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밀폐부재(140)는 배출구(110)의 양측 끝단을 기준으로 포장팩 본체(100) 방향으로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재(140)는 배출구(110) 양측 끝단을 기준으로 A 방향으로 30∼50도 정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40)는 포장팩 본체(100)의 배출구(110) 양측 테두리면 가공 시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재(140)는 포장팩 본체(100)의 사각테두리를 밀봉시켜 제작할 때 배출구(110) 양측 테두리면을 밀봉되는 부분을 다른 테두리에 비해 두껍게 제작함으로써, 밀폐부재(1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떡밥의 제조 방법은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물에 함침시키는 포장팩 함침 단계(S10)와,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슬러리 형성 단계(S20)와, 슬러리를 짜서 물을 제거하고 반죽을 형성하는 반죽 형성 단계(S30)와, 반죽을 일회분으로 분리하고 떡밥을 성형하는 떡밥 성형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떡밥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포장팩 본체(100)는 물이 투과되면서 미끼용 분말의 투과가 방지되도록 한 장의 부직포 재질의 포장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직포는 미세한 섬유사나 펄프를 서로 엉키게 만들어서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물은 투과되지만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미끼용 분말은 걸리어 통과되지 않게 제작된 것이다.
포장팩 함침 단계(S10)는 회전형 뚜껑부(120)를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출구(110)가 닫힌 상태에서 미끼용 분말이 밀봉되게 포장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여 낚시 떡밥용 포장팩이 물에 잠기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물에 넣어 낚시 떡밥용 포장팩으로 물이 스며들도록 하여 물이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잘 투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슬러리 형성 단계(S20)는 물속에 담긴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주물러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내부로 물이 스며들면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내부에 수용된 미끼용 분말에 물이 스며들어 엉키면서 분말이 물과 혼합되어 슬러리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물과 분말이 충분히 혼합되어 점성이 높은 슬러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반죽 형성 단계(S30)는 분말에 물이 혼합된 슬러리 상태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물이 담긴 용기에서 꺼내고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가압하여 낚시 떡밥용 포장팩에 있는 물을 짜내서 제거하면서 슬러리 형태의 분말을 반죽 형태로 뭉쳐지게 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슬러리 상태의 물과 분말의 혼합물을 짜내어 여분의 물을 제거함으로써, 최종 반죽 형태로 뭉쳐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자는 여분을 물을 제거하는 양을 조절하여 반죽의 점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물을 너무 많이 제거했을 경우에는 다시 물에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함침시켜 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떡밥 성형 단계(S40)는 회전형 뚜껑부(120)를 제 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출구(110)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떡밥용 포장팩의 포장팩 본체(100)를 가압하여 배출구(110)를 통해 소정량의 낚시 떡밥용 반죽(예컨대 일회 사용분의 낚시 떡밥용 반죽)을 배출시켜 떡밥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덩어리진 반죽에서 일회분을 배출시켜 성형함으로써,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떡밥으로 완성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포장팩 본체
110 : 배출구
120 : 회전형 뚜껑부
130 : 연결부재
140 : 밀폐부재

Claims (4)

  1. 낚시 떡밥용 포장팩에 있어서,
    물이 투과되면서 미끼용 분말의 투과가 방지되는 한 장의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테두리가 밀봉되어 내부에 미끼용 분말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된 포장팩 본체와,
    상기 포장팩 본체의 테두리 일측면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팩 본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서 성형된 떡밥 형태의 반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회전 결합되어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회전형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낚시 떡밥은 상기 회전형 뚜껑부를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를 오픈시킨 후 상기 포장팩 본체를 가압하여 일회 사용분의 반죽을 배출시켜 떡밥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양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포장팩 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포장팩 본체의 가압 시 상기 배출구쪽으로 반죽이 배출되도록 밀폐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떡밥용 포장팩은,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타단이 상기 회전형 뚜껑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낚시 떡밥용 포장팩.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뚜껑부를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미끼용 분말이 밀봉되게 포장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팩이 물에 잠기도록 하는 포장팩 함침 단계(S10)와;
    물속에 담긴 상기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주물러서 상기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내부로 물이 스며들면서 상기 낚시 떡밥용 포장팩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미끼용 분말에 물이 스며들어 엉키면서 분말이 물과 혼합되어 슬러리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슬러리 형성 단계(S20)와;
    상기 분말에 물이 혼합된 슬러리 상태로 낚시 떡밥용 포장팩을 물이 담긴 용기에서 꺼내고, 포장팩을 가압하여 포장팩에 있는 물을 짜내서 제거하면서 슬러리 형태의 분말을 반죽 형태로 뭉쳐지게 하는 반죽 형성 단계(S30)와;
    상기 회전형 뚜껑부를 제 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를 오픈시킨 후 상기 포장팩 본체를 가압하여 일회 사용분의 반죽을 배출시켜 떡밥 형태로 성형하는 떡밥 성형 단계(S40)를 포함하는 낚시 떡밥 제조 방법.
KR1020200072867A 2020-06-16 2020-06-16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 KR20210155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867A KR20210155537A (ko) 2020-06-16 2020-06-16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867A KR20210155537A (ko) 2020-06-16 2020-06-16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537A true KR20210155537A (ko) 2021-12-23

Family

ID=7917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867A KR20210155537A (ko) 2020-06-16 2020-06-16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30A1 (ko)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의 저항을 추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배터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93A (ko) 2002-07-16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문인식 관리기능을 이용하는 공용 전화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93A (ko) 2002-07-16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문인식 관리기능을 이용하는 공용 전화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30A1 (ko)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의 저항을 추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배터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8547B1 (en) Oral snuff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A2769050C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with cork-type top sealing member
KR20210155537A (ko) 낚시 떡밥용 포장팩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떡밥 제조 방법
KR101672675B1 (ko) 화장품 용기
US3032915A (en) Toxic bait
CN108323651B (zh) 一种具有控释和产气效果的鱼饵
US20070235457A1 (en) Food container
US3322544A (en) Method of preparing fish bait
KR100240814B1 (ko)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CZ20001863A3 (cs) Obal
DE202004020887U1 (de) Vorgefüllte Verpackung als Backform und Rezept für Zutaten, die in die Verpackung voreingefüllt sind
KR101580434B1 (ko) 낚시용 떡밥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포장팩
KR101151905B1 (ko) 젤 형태의 인공미끼를 갖는 낚시용 미끼채비
KR20020028130A (ko) 튜브형 낚시떡밥 및 그 제조방법.
CN218527955U (zh) 预制菜用分格式餐盒
CN218113712U (zh) 一种冰淇淋包装盒
KR20210044008A (ko) 수용공간부가 구비되는 음료용기
US1641317A (en) Container
JP6655385B2 (ja) パウダー容器
JPH02104237A (ja) 釣り餌及びその製造方法
CN213490622U (zh) 一种精神病人用快速喂药器
CN210008862U (zh) 可榨汁出品杯装置
JPH11341940A (ja) 釣用餌の収容用材、収容容器、収容体および保護部材、ならびに、釣用の集魚装置
EP3269662A1 (en) A food container
CN110745370B (zh) 一种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