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306A -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 처리 - Google Patents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306A
KR20210154306A KR1020200071022A KR20200071022A KR20210154306A KR 20210154306 A KR20210154306 A KR 20210154306A KR 1020200071022 A KR1020200071022 A KR 1020200071022A KR 20200071022 A KR20200071022 A KR 20200071022A KR 20210154306 A KR20210154306 A KR 2021015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option
user interface
setting
option function
inte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정현인
김아리
최미경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7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306A/ko
Priority to EP20939633.2A priority patent/EP4165494A1/en
Priority to PCT/US2020/060367 priority patent/WO2021252009A1/en
Priority to US17/912,959 priority patent/US11829666B2/en
Publication of KR2021015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5Settings incompatibility, e.g. constraints, user requirements vs. device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4Automatic configuration, e.g. by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호스트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 처리{PROCESSING CONSTRAINED PRINT OPTION FUNCTION}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다양한 인쇄 옵션 기능들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형태의 인쇄물이 출력되도록,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옵션 기능은 인쇄 매체의 사이즈, 인쇄 범위, 인쇄 매수, 인쇄 방향, 페이지 레이아웃, 인쇄 스타일, 급지 트레이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호스트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에서,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포함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에서,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링크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버튼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에서, 제1 인쇄 옵션 기능이 '컬러 모드'이고, 제2 인쇄 옵션 기능이 '뉴트럴 그레이'인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설정할 수 있는 인쇄 옵션 기능들 중 어느 인쇄 옵션 기능은 다른 인쇄 옵션 기능과 제약(constraints)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즉, 각 인쇄 옵션 기능의 동작 특성 상 다른 인쇄 옵션 기능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호환 (compatible) 되지 않거나 상호 운용 가능 (interoperable) 하지 않아서 어느 인쇄 옵션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다른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이 제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제1 인쇄 옵션 기능이 소정의 설정 값으로 설정되면, 제2 인쇄 옵션 기능이 사용 제한되거나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선택 가능한 설정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이 사용 제한되거나, 제2 인쇄 옵션 기능이 특정 설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쇄 옵션 기능은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이고, 제1 인쇄 옵션 기능은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인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다. 본 개시에서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은 어느 인쇄 옵션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사용 제한되거나 설정 값들 중 일부가 사용 제한되거나 특정 설정 값으로 설정되는 인쇄 옵션 기능을 말하며, 위의 예에서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이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이다.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가 설정하려는 인쇄 옵션 기능이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인 경우, 사용자는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을 찾아 설정 값을 바꾸거나 미리 지정된 값으로 바꿈으로서,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한 후 원하는 설정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인쇄 옵션 기능들 간의 제약 관계와 인쇄 옵션 기능들 각각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 상에서의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하므로,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려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하,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사용자가 편리하고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프린터 드라이버가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들은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호스트 장치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호스트 장치를 기준으로 본 개시의 예들을 설명하나, 후술하듯이, 화상 형성 장치도 본 개시의 예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도 1은 호스트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용어가 순서를 나타낸다는 설명이 없는 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는 유저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이나 인쇄 옵션 설정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조합이거나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장치(100)가 수행하는 동작이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및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호스트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이나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의 일 예에 해당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명령어들이나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UI(User Interface) 모듈과 설정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UI 모듈과 설정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다른 프로그램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UI 모듈은 UI 입출력 모듈 및 UI 구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UI 입출력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에 표시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확인하고, UI 구성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변경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출력을 확인할 수 있다. UI 구성 모듈은 설정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에 표시될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설정 모듈은 인쇄 옵션 설정 확인 모듈 및 제약 확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옵션 설정 확인 모듈은 UI 입출력 모듈로부터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받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출력 정보를 UI 구성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인쇄 옵션 설정 확인 모듈은 임의의 인쇄 옵션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설정에 의해 제약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제약 확인 모듈에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제약 확인 모듈은 제약 관계에 있는 인쇄 옵션 기능들의 리스트에 기초하여, 임의의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를 인쇄 옵션 설정 확인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인쇄 옵션 설정 확인 모듈은 제약 확인 모듈로부터 확인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제약 관계에 있는 인쇄 옵션 기능들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인쇄 옵션 설정 확인 모듈은 제약 관계에 있는 인쇄 옵션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UI 구성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UI 구성 모듈은 제약 관계에 있는 인쇄 옵션 기능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에 표시될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UI 모듈과 인쇄 옵션 모듈을 메모리(130)로부터 불러와 해당 명령어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호스트 장치(100)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사용자가 편리하고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인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링크를 걸어둔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화면의 어느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연결을 제공하는 하이퍼링크와 같은 링크가 걸린 링크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소정의 동작이 실행되게 하는 가상 버튼과 같은 버튼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링크 이미지이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버튼 이미지인 경우로 설명한다.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예를 들어, 소정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링크 이미지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인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명칭이 나타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복수 개인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복수 개의 인쇄 옵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를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3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이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제약하는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3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제3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들을 포함하는 스크롤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스크롤 바의 임의의 인디케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임의의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링크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변경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여,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여,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고, 편리하고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에서,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포함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2 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S210)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1 인쇄 옵션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선택 가능한 설정 값들 중 어느 하나의 설정 값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쇄 옵션 기능과 제약 관계에 있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은 인쇄 옵션 기능 자체가 사용 제한되거나 설정 값들 중 일부가 사용 제한되거나 특정 설정 값으로 설정되는 방식으로 제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인쇄 옵션 기능과 제약 관계에 있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은 복수 개일 수도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인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링크 이미지 및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S220)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예를 들어, 소정의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링크 이미지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인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명칭이 나타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복수 개인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복수 개의 인쇄 옵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는 제3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이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제약하는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3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제3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인쇄 옵션 기능이 '소책자 인쇄(Booklet Printing)'인 경우를 예로 들어,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설정 메뉴에서 특정 설정 값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소책자 인쇄'에 대하여 선택 가능한 설정 값들에는 미리 지정된 값인 'Off'와 'Left binding', 및 'Right binding'이 있을 수 있고, 도 3에서는 이들 중에 'Left binding'을 설정 값으로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제1 인쇄 옵션 기능은 '소책자 인쇄'라는 인쇄 옵션 기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한 설정 값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은 'Left binding'을 설정 값으로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약될 수 있는 제2 인쇄 옵션 기능들을 알려주는 디스크립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립션에는 인쇄 옵션 기능 자체가 사용 제한되거나 설정 값들 중 일부가 사용 제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명칭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디스크립션을 보면, '소책자 인쇄'에 대한 설정 값으로 'Left binding'을 설정함에 따라, '양면 인쇄(Two-sided Printing)', '미디어 타입(Media type)', '특수 페이지(Special Pages)', '이미지 시프트(Image Shift)'의 인쇄 옵션 기능들이 자동으로 제약됨을 나타낸다. 디스크립션을 확인한 사용자는 디스트립션 영역 우측 상단의 닫힘 버튼을 눌러, 디스크립션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은 '소책자 인쇄'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들인 '양면 인쇄', '미디어 타입', '특수 페이지', '이미지 시프트'를 설정하는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아이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이콘 이미지는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과 관련하여 제공할 정보가 있음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과 현재 인쇄 옵션 옵션 설정 화면에서 보여지는 '미디어 타입', '특수 페이지', '이미지 시프트'를 설정하는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아이콘 이미지가 제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들을 포함하는 스크롤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디케이터들은 그 모양이나 컬러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할 수도 있다.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소정의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 내의 해당 인쇄 옵션 기능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스크롤 바의 인디케이터들을 이용하여, 해당 인쇄 옵션 기능의 대략적인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스크롤 바의 임의의 인디케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임의의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제공된 스크롤 바에 5개의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5개의 인디케이터들 각각은 제1 인쇄 옵션 기능인 '소책자 인쇄'와 제2 인쇄 옵션 기능들인 '양면 인쇄', '미디어 타입', '특수 페이지', '이미지 시프트'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제공된 인쇄 옵션 기능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위치와 스크롤 바에 표시된 인디케이터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현재 표시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제1 인쇄 옵션 기능인 '소책자 인쇄'를 비롯하여, 이로부터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인 '미디어 타입', '특수 페이지', '이미지 시프트'까지 총 4개의 제약 관계에 있는 인쇄 옵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제공되고 있다.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전체 영역 중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영역은 스크롤 바의 전체 영역 중 현재 스크롤 박스의 영역에 대응되며, 현재 스크롤 박스의 영역에 4개의 인디케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롤 바의 제일 상위에 표시된 첫 번째 인디케이터는 '양면 인쇄'에 대응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 바의 제일 상위에 표시된 첫 번째 인디케이터를 선택하거나 스크롤 박스를 스크롤 바 상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3에서, 제1 인쇄 옵션 기능인 '소책자 인쇄'와 제약 관계에 있는 제2 인쇄 옵션 기능들로 '양면 인쇄', '미디어 타입', '특수 페이지', '이미지 시프트'가 있음을 설명하였다. 설명의 편의상,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2 인쇄 옵션 기능들 중 '양면 인쇄' 또는 '미디어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인쇄 옵션 기능이 '양면 인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아이콘 이미지를 선택하기 전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고, 도 5는 해당 아이콘 이미지를 선택한 후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를 보면, 도 3에서 '소책자 인쇄'에 대한 설정 값으로 'Left binding'을 설정한 결과로,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설정 메뉴가 아무런 값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처리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소책자 인쇄'의 설정에 따라, '양면 인쇄'의 설정이 제약된 것이다.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아이콘 이미지가 제공되며,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확장되어, 도 5에 도시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아이콘 이미지의 제공은 시스템 설정 메뉴에서 해당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아이콘 이미지의 제공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면, 도 5에 도시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바로 나타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링크 이미지 및 '소책자 인쇄'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를 표시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는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되었던 아이콘 이미지는 사라지고,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확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양면 인쇄'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소책자 인쇄'이므로, '소책자 인쇄'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가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만약 '양면 인쇄'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인쇄 옵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가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제2 인쇄 옵션 기능인 '미디어 타입'인 경우를 예로 들어, '미디어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은 '미디어 타입'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기 전과 후의 '미디어 타입'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보면, 도 3에서 '소책자 인쇄'에 대한 설정 값으로 'Left binding'을 설정한 결과로, '미디어 타입'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설정 메뉴의 일부 값들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처리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소책자 인쇄'의 설정에 따라, '미디어 타입'의 설정 값들 중 'Envelope'과 'Heavy Envelope'이 설정되지 않도록 제약된 것이다. '미디어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아이콘 이미지가 제공되며,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미디어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확장된 '미디어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는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전환시키는 링크 이미지 및 '소책자 인쇄'를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시키는 버튼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는 '미디어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의 '미디어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미디어 타입'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소책자 인쇄'이므로, '소책자 인쇄'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가 '미디어 타입'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만약 '미디어 타입'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인쇄 옵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가 '미디어 타입'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에서,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표시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710)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링크 이미지 및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링크 이미지에 대한 것인지 아니면 버튼 이미지에 대한 것인지에 따라,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이 다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이 링크 이미지에 대한 입력인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링크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S720)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 상에서의 위치를 알지 못하더라도, 링크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기존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하거나, 팝업 창 형태의 새로운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기존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 중첩 또는 병렬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변경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S730)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제약시킨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대한 값을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이 링크 이미지에 대한 입력인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버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S740)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수동 입력 없이, 버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제약시킨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의 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거나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함으로써,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할 수 있다.(S750)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이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하나인 경우,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은 바로 해제될 수 있다.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이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인쇄 옵션 기능들 모두의 설정의 값이 다른 값으로 변경되거나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되면,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이 해제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링크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인쇄 옵션 기능이 '양면 인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된,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전환시키는 링크 이미지를 이용하여, '양면 인쇄'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a는 앞서 설명한 도 5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과 동일하다. 사용자는 '양면 인쇄'의 제약을 해제하기 위하여, '양면 인쇄'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소책자 인쇄'의 설정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링크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표시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링크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링크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b는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양면 인쇄'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소책자 인쇄'의 설정에 대한 값인 'Left binding'을 제약을 발생시키지 않는 다른 값 'Off'로 설정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변경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에 설정된 값인 'Left binding'을 다른 값인 'Off'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설정 메뉴의 값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처리된 설정 메뉴에 대한 제약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양면 인쇄'의 설정에 대한 값을 설정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되었던 '소책자 인쇄'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는 사라진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버튼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2 인쇄 옵션 기능이 '양면 인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소책자 인쇄'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시키는 버튼 이미지를 이용하여, '양면 인쇄'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9a는 앞서 설명한 도 5의 인쇄 옵션 설정 화면과 동일하다. 사용자는 '양면 인쇄'의 제약을 해제하기 위하여, '양면 인쇄'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소책자 인쇄'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접근하는 대신,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버튼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표시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버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버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소책자 인쇄'에 대한 설정 값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도 9b는 '소책자 인쇄'에 대한 설정 값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자동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호스트 장치(100)는 '소책자 인쇄'에 대한 설정 값인 'Left binding'을 미리 지정된 값인 'Off'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도 9b는 설명의 편의상 이해를 돕기 위해, '소책자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소책자 인쇄'의 설정 메뉴의 값이 미리 지정된 값인 'Off'로 자동 변경되는 것을 도시하였을 뿐, 이와 같은 작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표시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설정 메뉴의 값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처리된 설정 메뉴에 대한 제약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양면 인쇄'의 설정에 대한 값을 설정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되었던 '소책자 인쇄'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는 사라진다.
도 10은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에서, 제1 인쇄 옵션 기능이 '컬러 모드(Color Mode)'이고, 제2 인쇄 옵션 기능이 '뉴트럴 그레이(Neutral Grays)'인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에서 설명한 '소책자 인쇄'와 '소책자 인쇄'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들인 '양면 인쇄', '미디어 타입', '특수 페이지', '이미지 시프트'는 1:다(多)의 제약 관계에 있는 예에 해당한다. 반면, 도 10에 도시된 '컬러 모드'와 '뉴트럴 그레이'는 1:1의 제약 관계에 있는 다른 예에 해당한다. 도 10에서는 '컬러 모드'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고,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된 '컬러 모드'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또는 버튼 이미지를 이용하여, '뉴트럴 그레이'의 제약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컬러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설정 메뉴에서 값을 'grayscale'로 설정하면,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설정 메뉴는 'Auto'라는 특정 값으로 설정되고, 다른 값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 처리되어, 제약될 수 있다.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호스트 장치(100)는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컬러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전환시키는 링크 이미지 및 '컬러 모드'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시키는 버튼 이미지를 표시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뉴트럴 그레이'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인쇄 옵션 기능이 '컬러 모드'이므로, '컬러 모드'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가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표시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컬러 모드'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컬러 모드'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컬러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컬러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뉴트럴 그레이'의 제약의 원인이 되는 '컬러 모드'의 설정의 값인 'grayscale'을 제약을 발생시키지 않는 다른 값 'color'로 설정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변경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컬러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에 설정된 값인 'grayscale'을 다른 값인 'color'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설정 메뉴의 값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처리된 설정 메뉴에 대한 제약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뉴트럴 그레이'의 설정에 대한 값을 설정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호스트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표시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컬러 모드'에 대응되는 버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컬러 모드'에 대응되는 버튼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컬러 모드'에 대한 설정 값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0)는 '컬러 모드'에 대한 설정 값인 'grayscale'을 미리 지정된 값인 'color'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설정 메뉴의 값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처리된 설정 메뉴에 대한 제약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뉴트럴 그레이'의 설정에 대한 값을 설정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컬러 모드'에 대한 설정 값을 '뉴트럴 그레이'에 제약을 발생시킨 설정 값과 다른 설정 값으로 변경하거나 미리 지정된 값으로 자동 변경함으로써, '뉴트럴 그레이'의 제약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뉴트럴 그레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되었던 '컬러 모드'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는 사라질 수 있다.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30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스기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한다.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 예를 들어, 인쇄, 카피, 스캔, 팩스 또는 이와 연계된 기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310),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40), 및 프린트 엔진(3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310)에 표시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호스트 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화상 형성 장치(300)에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310), 프로세서(320), 및 메모리(33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호스트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의 설명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적절히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그 외에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40), 프린트 엔진(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3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4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40)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40)를 통해 외부 서버나 사용자 단말(200), 또는 주변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34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프로그램을 화상 형성 장치(300)에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300)나 다른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린트 엔진(350)은 인쇄, 스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모두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인쇄부, 스캔부, 팩스부와 같은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부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캔부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팩스부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예들에 따른 호스트 장치(100) 또는 화상 형성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화상 형성 장치(300)의 제조사나 서드 파티(third party)의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와 같은 온라인 상의 콘텐츠 장터 등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버의 저장 매체 또는 호스트 장치(100)나 화상 형성 장치(300)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서버 또는 호스트 장치(100)나 화상 형성 장치(300)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개시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5)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3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이 상기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제약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상기 제3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제3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하는, 호스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호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상기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호스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된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되는, 호스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명칭이 나타나도록 표시되는, 호스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상기 인쇄 옵션 설정 화면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들을 포함하는 스크롤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크롤 바의 임의의 인디케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임의의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하는, 호스트 장치.
  9.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제3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이 상기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제약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상기 제3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제3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추가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상기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2 인쇄 옵션 기능의 제약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상기 인쇄 옵션 설정 화면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들을 포함하는 스크롤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바의 임의의 인디케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임의의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인쇄 옵션 설정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인쇄 옵션 설정 화면에서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에 따라 제약된 제2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상기 제1 인쇄 옵션 기능의 설정을 미리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표시하는 명령어들;
    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로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1020200071022A 2020-06-11 2020-06-11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 처리 KR20210154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022A KR20210154306A (ko) 2020-06-11 2020-06-11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 처리
EP20939633.2A EP4165494A1 (en) 2020-06-11 2020-11-13 Processing constrained print option function
PCT/US2020/060367 WO2021252009A1 (en) 2020-06-11 2020-11-13 Processing constrained print option function
US17/912,959 US11829666B2 (en) 2020-06-11 2020-11-13 Processing constrained print op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022A KR20210154306A (ko) 2020-06-11 2020-06-11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 처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06A true KR20210154306A (ko) 2021-12-21

Family

ID=7884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022A KR20210154306A (ko) 2020-06-11 2020-06-11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 처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29666B2 (ko)
EP (1) EP4165494A1 (ko)
KR (1) KR20210154306A (ko)
WO (1) WO2021252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01771A (ja) * 2022-06-22 2024-0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7051B1 (en) * 1995-12-22 2001-12-04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7283257B2 (en) * 2002-09-25 2007-10-16 Xerox Corporation Print job GUI
JP4250569B2 (ja) * 2004-06-25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KR100813962B1 (ko) * 2005-09-16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뷰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쇄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장치 및 방법
JP4251198B2 (ja) 2006-06-30 2009-04-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印刷制御方法および印刷制御装置
JP2008152668A (ja) 2006-12-19 2008-07-0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プリンタドライバ、印刷機能設定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175554A (ja) 2008-01-25 2009-08-06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9176086A (ja) 2008-01-25 2009-08-06 Kyocera Mita Corp プリンタドライバ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JP4513038B2 (ja) * 2008-04-28 2010-07-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制限変更プログラム
US9329744B2 (en) * 2008-05-12 2016-05-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Segmented scroll bar
JP2010244317A (ja) 2009-04-07 2010-10-28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ードライバー
JP2011022679A (ja) 2009-07-14 2011-02-03 Ricoh Co Ltd プリンタドライバと情報処理装置と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65494A1 (en) 2023-04-19
US11829666B2 (en) 2023-11-28
WO2021252009A1 (en) 2021-12-16
US20230161528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194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rranging status display to include status icon and status description
JP5448765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8910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to present a setting content
US10587766B2 (en) Electronic device, screen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hanging a display appearance of a screen based on a parameter received from an application
US20230153098A1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80006225A (ko) 모바일 기기에서의 인쇄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100103456A1 (en) Apparatus and system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control program
JP2012014319A (ja) 表示装置
KR20210154306A (ko) 제약된 인쇄 옵션 기능 처리
JP2005269640A (ja) 可変値機能の設定方法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2013032924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US101541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50256686A1 (en) Method of managing a facsimile transmission
US20190286316A1 (en) Oper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screen
JP4577176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5636829B2 (ja) カスタマイズ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カスタマイズプログラム
JP2012059106A (ja) カスタマイズ装置、印刷システム、カスタマイズ方法およびカスタマイズプログラム
JP575201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10377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703716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update method and operation update program
JP202015582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41336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出力制御プログラム、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202301410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JP2015011647A (ja) 操作装置およびその操作装置を含む画像形成装置、操作装置の制御方法
JP2013215000A (ja) 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