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580A -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580A
KR20210153580A KR1020210175158A KR20210175158A KR20210153580A KR 20210153580 A KR20210153580 A KR 20210153580A KR 1020210175158 A KR1020210175158 A KR 1020210175158A KR 20210175158 A KR20210175158 A KR 20210175158A KR 20210153580 A KR20210153580 A KR 2021015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ductor
unit
millimeters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수
이유형
전영호
육태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799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23524A/ko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5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Landscapes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며, 직경이 최소화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HYBRID MULTIMEDIA CABL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며, 직경이 최소화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통합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규격의 장비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으며, PC와 디스플레이의 비디오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인 DVI를 AV 가전용으로 오디오 신호를 함께 통합한 것으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압축하지 않고 신호 제공 기기에서 TV와 같은 영상기기 측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디코더칩 또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기존의 아날로그 단자를 대체하는 규격이며 PC, DVD 플레이어 또는 HDTV 등에도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비디오 및 오디오 통합신호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해당 통합신호를 제공받아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는 HDMI 규격 전용 케이블 및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DMI 규격 전용 케이블은 구리 등의 도체가 사용되었으나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신호 손실이 커져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에 의한 고화질 및 고음질 구현이 불가능하였다.
최근에는 가정용 이외에도 대형 경기장, 강의실 및 강당 등의 장소 등과 같이 비디오 및 오디오 통합신호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신호기기에서 해당 통합신호를 제공받아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출력기기(프로젝터, 대형 스크린 또는 스피커) 까지의 거리가 수십미터 또는 백미터 이상인 경우 이와 같은 문제는 더욱 크다.
따라서, 최근에 소개되는 HDMI 규격 전용 케이블로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형태가 소개되고 있다.
즉, 광전복합 케이블은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유닛과 도체를 포함하는 도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전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섬유를 통해서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가 전송되고, 도체를 통해서는 전력 또는 제어신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미 소개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중 광섬유의 종류에 따라 POF(Plastic Optical Fiber) 방식의 케이블과 GOF(Glass Optical Fiber) 방식의 케이블이 소개되었다.
POF 방식의 케이블의 경우 광섬유 자체의 직경으로 인해 케이블이 커지고, GOF 방식의 케이블의 경우 부러지기 쉬운 GOF 광섬유를 보호하는 유닛의 직경으로 인해, 케이블의 직경이 커지고, 케이블의 단면 형상이 비대칭 또는 납작한 형태의 제품이 많았다.
도 5는 종래 소개된 POF 방식의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의 하나의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POF 형태의 광케이블의 광섬유는 신호손실이 높아 신호 손실 측정 최대 거리 자체가 250m로 제한되어 양방향 측정을 기준으로 최대 500m 단위로 생산해야 광섬유 불량 검출이 가능하며 케이블 설치 작업시 낭비되는 케이블 양이 크고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납작한 형태의 광전복합 케이블에 포함된 POF 형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유닛(1)은 고온 열화나 저온 결빙에 따른 장기적 특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외 등의 환경에서의 설치가 제한되며, POF 형태의 광섬유 유닛의 각각의 직경이 300um 이상으로 크므로, 전체 케이블(10)의 직경의 최소화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종래 소개된 납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은 POF를 사용하여 단말과 커넥팅이 간단하나 납작한 형태로 인하여 밴딩시 방향성의 제한을 받고, 관로 포설시 작업성이 떨어 질 수 있다.
또한, 납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폭 중 단폭(w)은 작으나 장폭(W)이 증대되므로 케이블 권선시에도 케이블이 꼬이지 않게 주의해야 하며, 완제품의 부피도 증대되게 된다. 실측 치수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의 단폭(w)은 2.8 밀리미터(mm)지만, 장폭(W)은 5.0 밀리미터(mm)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장조장 설치를 위한 포장된 단위 제품의 부피를 크게 증대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장거리 연결을 위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은 GOF 방식의 광섬유를 적용하여 케이블 설치시 낭비되는 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광섬유를 충분히 보호하며 케이블 전체 직경이 최소화되고, 설치 과정에서 케이블의 설치방향의 제약이 없는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18839호의 참고도면을 도시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심선(12) 둘레에 전선(15)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케이블의 소형화를 시도한 예가 존재하지만, 광전기 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섬유 심선(12a, 12b)는 그 자체가 피복된 상태이며, 광섬유 심선(12a, 12b)이 다시 보호튜브(13)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호튜브(13) 내에 빈공간이 상당 부분 존재하고, 상기 보호튜브(13) 외측에 배치된 전선(15)들 역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전선(15) 사이에 상당한 빈공간이 존재하여 전체 케이블의 직경을 줄이기 쉽지 않다.
도 7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53121호는의 참고도면을 도시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심선(1) 주위에 복수개의 전선(15)이 위치하며 광섬유 심선(1) 및 복수개의 전선(15)을 외피(20)가 감싸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복수 개의 개별 광섬유 심선(1)을 별도로 유닛화하지 않고 케이블 중심에 배치한 상태에서 그 둘레에 전선(15)을 배치하여 외피(20)로 피복하는 경우, 우선 광섬유 심선을 충분히 보호하기 어렵고, 광섬유 심선(15) 둘레에 전선(15)의 배치를 위한 고른 장착면이 제공될 수 없으므로, 전체 케이블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구성하기 쉽지 않고, 케이블 제조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으며, 광섬유 심선(1)이 사이에 빈공간이 많이 발생하여 케이블 직경을 줄이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며, 직경이 최소화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섬유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경화성 수지로 감싸도록 경화시켜 형성한 광섬유 보호층을 포함하는 광유닛,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유닛 및, 상기 광유닛 및 상기 도체유닛 둘레에 구비되는 외부자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 사이에 상기 경화성 수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성 수지는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이며, UV 조사에 의해 경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의 직경은 0.5 밀리미터(mm) 내지 2.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자켓의 두께는 0.3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섬유와 광유닛 외주면 까지의 거리는 0.03 밀리미터(mm) 내지 0.2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유닛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의 총면적의 비는 30% 내지 8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는 코어, 클래딩,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GOF(Glass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은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상기 광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도체유닛은 2개의 인접한 도체유닛 및 상기 광유닛과 외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유닛을 구성하는 도체의 직경은 36 AWG 내지 24 AWG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도체유닛은 도체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의 직경은 0.5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여기서,
이 경우, 상기 외부자켓 내측에 상기 광유닛 및 상기 도체유닛을 감싸는 인장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2개 내지 12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이 2개 또는 3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광유닛과 상기 도체유닛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이 4개 내지 1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광유닛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상기 광유닛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자켓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인장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6개가 상기 광유닛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전체 직경은 2.1 밀리미터(mm) 내지 6.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자켓은 폴리염화비닐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GOF(Glass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감싸도록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을 경화시켜 형성된 광섬유 보호층을 포함하며, 0.5 밀리미터(mm) 내지 2.0 밀리미터(mm) 직경을 갖는 하나의 광유닛, 하나의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 0.5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광유닛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도체유닛, 상기 도체유닛 둘레를 감싸는 인장재 및, 상기 인장재 외부를 감싸며 0.3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의 두께를 갖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유닛 직경에 대한 광유닛의 직경의 비는 0.7 에서 2.9이며, 전체 직경은 2.1 밀리미터(mm) 내지 6.0 밀리미터(mm)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유닛은 6개가 중심부에 배치된 광유닛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도체유닛은 2개의 인접한 도체유닛 및 상기 광유닛과 외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는 코어, 클래딩,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와 광유닛 외주면 까지의 거리는 0.03 밀리미터(mm) 내지 0.20(mm) 밀리미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의 총면적의 비는 30% 내지 8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의하면,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 내부의 빈공간, 광유닛과 도체 유닛 사이의 빈공간 및 도체 유닛 사이의 빈공간을 최소화하여 케이블 전체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의하면, 케이블의 단면 형상을 원형이 되도록 하여 케이블 내부의 빈공간을 최소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의하면, 케이블이 원형 형태로 구성되므로, 케이블 설치시의 방향성 제한을 제거하였으며, 장거리 설치시에 발생되는 밴딩 또는 마찰에 따른 케이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의하면, 플라스틱 재질의 광섬유 대신 유리 재질의 광섬유를 적용하여 케이블 길이에 따른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위 제품의 케이블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케이블 생산시 낭비되는 케이블의 양을 최소화하며, 유리 광섬유 특성에 따른 케이블 설치환경에 따른 온도 등의 환경적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의하면, 광유닛을 구성하는 광섬유를 경화성 수지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 한 후 케이블의 구성요소로 사용하므로 광섬유 별로 추가 버퍼화하는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광유닛 및 도체 유닛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광유닛 또는 도체 유닛 자리에 인장선 또는 개재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다른 실시 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다른 실시 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다른 실시 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종래 소개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중 하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18839호의 참고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53121호는의 참고도면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111) 사이에 상기 경화성 수지가 형성된다. 상기 광섬유(111) 사이에 경화성 수지는 보호층(113)을 형성한다.
상기 경화성 수지는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이며, UV 조사에 의해 경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호 복수 개의 광섬유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111)를 빈 공간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광섬유 보호층을 포함하는 광유닛(110), 도체(131) 및 상기 도체(131)를 감싸는 절연체(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유닛(130) 및, 상기 광유닛(110) 및 상기 도체유닛(130) 둘레에 구비되는 외부자켓(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내부의 광섬유를 충분히 보호함과 동시에 직경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광유닛(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111)가 경화성 수지로 구성된 광섬유 보호층(113)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섬유(111)는 장거리 손실 감소 및 직경 최소화를 위하여 GOF(Glass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111)를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은 광섬유 내에서 빛의 전파 원리는 굴절률이 높은 물질에서 낮은 물질로 빛이 진행될 때, 그 경계면에서 일정한 각도 내의 빛이 모두 전반사되는 원리를 사용한다.
POF(Plastic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111)는 GOF(Glass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111)에 비하여 광섬유(111) 자체의 직경이 크고, 길이에 따른 손실율이 높아서 장거리 기기 연결에 제약이 있다.
기본적으로 POF(Plastic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는 그 직경이 300um 이상이므로, 광섬유 식별 및 보호를 위한 버퍼 등의 직경을 고려하는 경우 광유닛의 직경은 훨씬 커지게 된다.
그리고, 단일 광섬유는 코어(Core), 클래딩(Cladding),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정보를 포함한 광신호는 굴절률이 높은 코어층과 굴절률이 낮은 클래딩(Cladding)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광섬유 코어를 따라 전파되게 된다.
상기 코어(Core)는 굴절률이 약간 높아지도록 게르마늄(Ge)을 첨가한 실리카 재질로 구성되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은 주로 UV 경화성 수지 등으로 코팅 후 경화시켜 제조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GOF 방식의 광섬유의 직경은 200um이하이므로, POF 광섬유에 비해 전체 케이블의 직경 최소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이 POF 재질의 광섬유 대신 GOF 재질의 광섬유를 적용하여, 광유닛의 직경 최소화의 효과 이외에 케이블 길이에 따른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위 제품의 케이블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케이블 생산 시 낭비되는 케이블의 양을 최소화하며, 유리 광섬유 특성에 따른 케이블 설치환경에 따른 온도 등의 환경적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광섬유(111)를 수용하여 상기 광섬유 보호층(113)을 구성하는 상기 경화성 수지는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일 수 있으며, 상기 광유닛 내부에는 빈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보호층(113)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빈공간 만큼 광유닛(110)의 직경이 증가되므로 광유닛의 직경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보호층(113) 내부 공간에 빈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화해야 한다.
그리고, 내부에 빈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더라도 상기 광섬유 보호층(113)이 복수 개의 광섬유(111)를 충분히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광섬유와 광유닛 외주면 까지의 거리(X)는 0.03 밀리미터(mm) 내지 0.20 밀리미터(mm)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섬유와 광유닛 외주면 까지의 거리(X)는 0.03 밀리미터(mm) 밀리미터 내지 0.20 밀리미터(mm)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복수 개의 광섬유(111)가 구비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섬유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그 내부에는 빈공간이 최소화되도록 경화성 수지에 의하여 충진되어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경우, 복수 개의 광섬유가 조밀하게 배치되어 단일 광유닛으로 형성되므로 광유닛(110)의 직경이 훨씬 작아질 수 있다.
광섬유 자체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 재질로 1차 코팅 및 2차 코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유닛은 각각의 광섬유 관점에서 UV 경화성 수지로 3층 이상 코팅 또는 피복 성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경화성 수지로 구성된 광섬유 보호층(113) 내부에 수용되는 광섬유(111)는 빈틈이 제거되거나 최소화되므로 광유닛(110) 전체 직경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광유닛(110)을 구성하는 광섬유(111)는 4개가 구비되고, 4심 광섬유(111)를 나란히 배치하여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UV curable acrylate resin)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경화시킨 경우, 상기 광유닛(110)의 직경(do)은 0.5 밀리미터(mm) 내지 2.0 밀리미터(mm)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광유닛(110)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의 총면적의 비는 30% 내지 8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광섬유(111)를 보호하기 위한 광섬유 보호층(113)을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 재질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성형한 결과, 일반 PVC 코팅된 제품에 비해 강도 / 경도 / 탄성이 높아 케이블 중심이나 절연도체와 나란히 연합되는 구조로 벤딩이나 수축에 따른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광섬유를 경화성 수지로 성형 후 바로 케이블의 구성요소로 사용하므로 종래 소개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등과 달리 리본화 또는 섬유별 버퍼화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광유닛(110) 둘레에는 복수 개의 도체유닛(1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광유닛(110) 둘레에 6개의 도체유닛(130)이 구비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도체유닛(130)은 직경 최소화를 위하여 각각 1개의 도체(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도체(131)의 직경은 36 AWG 내지 24 AWG일 수 있다.
상기 도체(131)는 구리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133)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3)의 재질로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크기를 갖는 도체(131)는 각각 절연체(133)로 피복된 상태일 수 있으며, 하나의 도체(131)가 절연체(133)로 피복된 각각의 도체유닛(130)의 직경(dc)은 0.5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유닛(110)이 중심에 배치되고 6개의 도체유닛(130)을 광유닛(110) 둘레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광유닛(110) 및 상기 도체유닛(130)의 직경 조건을 전술한 바와 같이 조합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도체유닛(130)은 2개의 인접한 도체유닛 및 중심부에 배치된 광유닛(110)과 외접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광유닛(110) 둘레에 배치되는 도체유닛(130)이 광유닛과 인접한 2개의 광유닛(110)과 모두 접촉되도록 하여 도체유닛(110) 사이의 빈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국 케이블의 직경 최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하나의 도체유닛이 인접한 도체유닛들과 중심부에 배치되는 광유닛과 접촉되도록 도체유닛 및 광유닛의 직경을 조절하는 경우, 도체유닛의 개수는 더 늘어날 수 있으며, 상기 도체유닛은 약 2개 내지 12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유닛(110)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된 상기 도체유닛(130) 외측에는 외부자켓(1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자켓(170) 내측에 상기 광유닛(110) 및 상기 도체유닛(130)을 감싸는 인장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설치환경에 따라 설치 길이가 100m 이상인 경우도 있으며, 장조장 케이블은 포설 환경에서 벤딩이나 마찰에 따른 장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자켓(170) 내부에 상기 광유닛(110) 및 상기 도체유닛(130)을 감싸는 인장재(150)를 구비하여 케이블의 기계적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인장재(150)로서 아라미드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장재(150)로서의 아라미드얀은 상기 광유닛(110) 및 상기 도체유닛(130) 외부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양을 적용하여, 내부 구성품인 상기 광유닛(110) 및 상기 도체유닛(130)인 내부 구성품과외부자켓(170)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성 간의 눌러 붙음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자켓(170)의 두께는 0.3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인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등의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들로 구성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경우, 상기 광유닛(110)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130)은 6개가 상기 광유닛(1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전체 직경(D)은 3.2 밀리미터(mm) 내지 3.6 밀리미터(mm)로 측정된다. 따라서 종래 소개된 납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장폭인 약 5 밀리미터(mm) 이상의 크기보다 케이블의 직경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광유닛(110)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130)은 6개가 상기 광유닛(1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광유닛(110)의 직경 및 도체유닛(130)의 직경을 각각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케이블 전체의 직경을 2.1 밀리미터(mm) 내지 6.0 밀리미터(mm)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품의 용도 등을 고려하여 광유닛 및 도체유닛의 개수가 특정된 경우에도 직경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중심부에 하나의 광유닛(110)이 구비되고, 상기 광유닛(110) 둘레에 6개의 도체유닛(130)이 구비되어 외부자켓(170)에 의하여 피복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단면 형상이 원형에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이 원형 형태로 구성되므로, 장거리 설치 시에 케이블 설치 방향에 제약이 없고, 설치 과정에서 발생되는 벤딩 또는 마찰에 따른 케이블 손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다른 실시 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광유닛(110) 1개와 도체유닛(130) 2개를 삼각형 구도로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광유닛(110) 1개와 도체유닛(130) 3개를 사각형 구도로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2(a)에 도시된 실시 예는 하나의 광유닛(110)과 2개의 도체유닛(130)으로 구성되고, 도 2(b)에 도시된 실시 예는 하나의 광유닛(110)과 3개의 도체유닛(130)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하나의 광유닛(110)과 하나의 광유닛(110)의 둘레를 감싸기 위하여 충분한 개수의 도체유닛(130)이 구비되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도체유닛(130)의 개수는 광유닛(110)을 둘러싸기 부족한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광유닛(110)을 케이블의 중심부에 배치할 수 없으며, 상기 광유닛(110)과 상기 도체유닛(130)을 구별없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을 구성하는 유닛의 수가 3개 및 4개로 구성되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광유닛(110)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130)이 2개 또는 3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광유닛(110)을 중심부에 배치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고 케이블 내부에 불필요한 공간을 많이 발생시키므로 각각 삼각형 형태 및 사각형 형태로 배치하여 낭비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 예는 각각의 유닛을 삼각형 및 사각형으로 배치하여 낭비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각각 외부자켓(170)을 피복한 상태에서 케이블 전체 단면 형태가 원형에 가깝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절연도체는 그 수에 따라 광유닛(110)을 중간에 위치하거나 나란히 배치가 가능하며, 절연도체를 꼬아서(집합 또는 연합) 벤딩에 대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였다.
원형의 광유닛(110)과 절연도체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낭비되는 공간을 제거하여 케이블을 원형으로 만들면서 직경을 최적화 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 광유닛(110)이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130)이 2개 또는 3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광유닛(110)과 상기 도체유닛(130)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다른 실시 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광유닛(110)1개를 중심으로 도체유닛(130) 5개를 주위에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광유닛(110) 1개를 중심으로 도체유닛(130) 7개를 주위에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c)는 광유닛(110) 1개를 중심으로 도체유닛(130) 8개를 주위에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d)는 광유닛(110) 1개를 중심으로 도체유닛(130) 9개를 주위에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e)는 광유닛(110) 1개를 중심으로 도체유닛(130) 10개를 주위에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f)는 광유닛(110) 1개를 중심으로 도체유닛(130) 11개를 주위에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g)는 광유닛(110) 1개를 중심으로 도체유닛(130) 12개를 주위에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광유닛(110)이 중심부에 1개 구비되고, 도체유닛(130)은 상기 광유닛(110) 둘레에 2개 내지 12개가 구비되는 기본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광유닛(110)을 구성하는 광섬유(11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광유닛(110)은 광섬유(111)가 4심인 4심 광유닛(110)을 도시하지만, 상기 광유닛(110)을 구성하는 광섬유(111)는 1개 내지 1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심수가 증가됨에 따라 광유닛(110)의 전체 직경은 1~4심 광유닛(110)의 경우 0.50 ~ 1.35 밀리미터(mm), 5~6심 광유닛(110)의 경우, 0.75 ~ 1.50 밀리미터(mm), 7 ~ 8심 광유닛(110)의 경우 0.95~1.70 밀리미터(mm) 및 9 ~ 12심 광유닛(110)의 경우 1.00 ~ 2.00 밀리미터(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직경은 동일 심수의 POF(Plastic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111)를 적용한 경우보다 광유닛(110)의 직경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의 광섬유의 개수는 12개 이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유닛의 외측 직경은 0.5 밀리미터(mm) 내지 2.0 밀리미터(mm) 정도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도체를 구비하는 도체유닛(130)의 직경(dc')은 0.5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광섬유(111)를 나란히 배열한 뒤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내부에 빈틈을 제거하거나 빈틈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직경 증대원인인 빈공간을 최소화한 성형이 가능하므로 결국 광유닛(110)의 직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이러한 광유닛(110) 둘레에 전술한 도체유닛을 나란히 빈틈을 최소화하면 배치하는 방법에 의하여 광케이블 전체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유닛(110)이 케이블 중심부에 하나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체유닛(130) 직경(dc')에 대한 광유닛(110)의 직경(do')의 비(광유닛 직경(do') / 도체유닛 직경(dc'))는 케이블의 단면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도체유닛(130)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커질 수 있다.
즉, 상기 도 3(a)에는 큰 차이가 있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광유닛(110)의 개수가 5개인 경우에는 광유닛(110)이 중심부에 하나 구비되는 경우, 도체유닛(130)에 대한 광유닛(110)의 직경의 비는 1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도체유닛(130) 사이의 빈공간은광유닛(110)의 직경에 따라 증가될 수 있으므로 광유닛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전체 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유닛(110)의 직경이 도체유닛(13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반면, 도 3(b) 내지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유닛(130)에 대한 광유닛(110)의 직경의 비(광유닛 직경(do') / 도체유닛 직경(dc'))는 상기 도체유닛(130)의 개수 증가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중심부에 광유닛(110)이 하나 배치되고, 복수 개의 도체유닛(130)이 광유닛(110)의 둘레에 배치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도체유닛(130) 직경에 대한 광유닛(110)의 직경의 비(광유닛 직경(do') / 도체유닛 직경(dc'))는 약 0.7 에서 2.9 정도까지 다양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하나의 광유닛(110)을 구비하고 그 둘레에 복수 도체 유닛(130)을 배치하여 케이블 내부에 빈틈을 최소화하여 원형으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제작하는 경우, 케이블 전체 직경(D')이 12심 광섬유를 포함하는 하나의 광유닛(110)과 12심 도체유닛(130)을 구비하는 하나의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직경이 4.8 밀리미터(mm)를 넘지 않았고, 도체 수와 광섬유 수가 2배 이상 증가 하였지만 종래 소개된 광섬유 4심이 구비된 광유닛과 6개의 도체 유닛이 구비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폭 중 광폭인 5.0 밀리미터(mm)보다 작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이 4개 이상 1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광유닛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상기 광유닛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체유닛이 4개인 경우는 미도시 되었으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경우, 광유닛을 중심부에 배치한 후 도체유닛을 그 둘레에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광유닛 및 도체유닛의 직경을 적절히 조절하는 경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도체유닛(130)이 중심부에 위치한 광유닛(110)과 인접한 2개의 도체유닛(130)과 외접하도록 하여 케이블 내부의 빈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다른 실시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그 중심부에 인장선(180)이 배치되고 상기 인장선(180) 주위에 4개의 도체유닛(130)과 1개의 광유닛(110)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b)는 1개의 광유닛(110) 중심으로 5개의 도체유닛(130)과 1개 이상의 광유닛(110)을 배치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케이블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하기 위해 케이블의 중심부에 광유닛(110)이 배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케이블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가 광유닛(110)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즉, 케이블의 중심부에 광유닛(110)이 아니라 인장선(180)이 구비될 수도 있고, 광유닛(110)과 도체유닛(130)을 인장선(180) 둘레에 배치하여 케이블 단면 형상을 전체적으로 원형에 가깝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인장선(180)은 케이블의 기계적 강성 보강을 위해서도 추가될 수도 있고, 단순 원형 형상 유지를 위한 개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a)에 도시된 실시 예는 광유닛(110)이 1개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광유닛(110) 역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요구 또는 새로운 규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광유닛(110)의 개수와 각각의 광유닛(110)에 구비되는 광섬유(111)의 개수도 가변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광유닛(110a)이 케이블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제2 광유닛(110b)이 5개의 도체유닛(130)들과 함께 제1 광유닛(110a) 둘레에 배치되어 케이블의 단면 형태를 원형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상기 광유닛(110)이 2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중심부에는 상기 광유닛(110) 중 하나의 광유닛(110)이 구비되고, 나머지 광유닛(110) 및 복수 개의 도체유닛(130)이 중심부에 구비된 광유닛(110)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광유닛 및 도체 유닛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광유닛 또는 도체 유닛 자리에 인장선 또는 개재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를 변경하고 제품을 다양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10 :광유닛 111 : 광섬유
113 :경화성 수지 130 : 도체유닛
131 : 도체 133 : 절연체
150 :인장재 170 : 외부자켓
180 : 인장선

Claims (26)

  1. 복수 개의 광섬유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경화성 수지로 감싸도록 경화시켜 형성한 광섬유 보호층을 포함하는 광유닛;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유닛; 및,
    상기 광유닛 및 상기 도체유닛 둘레에 구비되는 외부자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 사이에 상기 경화성 수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는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이며, UV 조사에 의해 경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의 직경은 0.5 밀리미터(mm) 내지 2.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켓의 두께는 0.3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와 광유닛 외주면 까지의 거리는 0.03 밀리미터(mm) 내지 0.2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의 총면적의 비는 30% 내지 8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코어, 클래딩,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GOF(Glass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상기 광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체유닛은 2개의 인접한 도체유닛 및 상기 광유닛과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유닛을 구성하는 도체의 직경은 36 AWG 내지 24 AW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체유닛은 도체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의 직경은 0.5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켓 내측에 상기 광유닛 및 상기 도체유닛을 감싸는 인장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2개 내지 1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이 2개 또는 3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광유닛과 상기 도체유닛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이 4개 내지 1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광유닛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상기 광유닛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켓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인장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1개 구비되고, 상기 도체유닛은 6개가 상기 광유닛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전체 직경은 2.1 밀리미터(mm) 내지 6.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켓은 폴리염화비닐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21. 복수 개의 GOF(Glass Optical Fiber) 방식의 광섬유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감싸도록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을 경화시켜 형성된 광섬유 보호층을 포함하며, 0.5 밀리미터(mm) 내지 2.0 밀리미터(mm) 직경을 갖는 하나의 광유닛;
    하나의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 0.5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광유닛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도체유닛;
    상기 도체유닛 둘레를 감싸는 인장재; 및,
    상기 인장재 외부를 감싸며 0.3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의 두께를 갖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유닛 직경에 대한 광유닛의 직경의 비는 0.7 에서 2.9이며, 전체 직경은 2.1 밀리미터(mm) 내지 6.0 밀리미터(mm)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유닛은 6개가 중심부에 배치된 광유닛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도체유닛은 2개의 인접한 도체유닛 및 상기 광유닛과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코어, 클래딩,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와 광유닛 외주면 까지의 거리는 0.03 밀리미터(mm) 내지 0.2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의 총면적의 비는 30% 내지 8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KR1020210175158A 2014-08-21 2021-12-08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KR20210153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790 2014-08-21
KR20140108790 2014-08-21
KR1020140179986A KR20160023524A (ko) 2014-08-21 2014-12-15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986A Division KR20160023524A (ko) 2014-08-21 2014-12-15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580A true KR20210153580A (ko) 2021-12-17

Family

ID=5535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158A KR20210153580A (ko) 2014-08-21 2021-12-08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53580A (ko)
WO (1) WO2016027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030A (zh) * 2017-02-24 2017-06-20 深圳市奔达康电缆股份有限公司 光纤复合低压电力电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0033B2 (ja) * 2000-04-28 2010-05-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低圧電力線−光ユニット複合ケーブル
JP2001318286A (ja) * 2000-05-12 2001-11-16 Yazaki Corp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電力・光複合線
JP4190975B2 (ja) * 2003-08-07 2008-12-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素線、この光ファイバ素線を用いた光ファイバリボン及びこれら光ファイバ素線又は光ファイバリボンを用い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0956479B1 (ko) * 2008-03-06 2010-05-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전원선 복합 케이블
JP2012248343A (ja) * 2011-05-26 2012-12-13 Fujikura Ltd 複合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7971A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4375B2 (en) Optical and electrical composite multimedia cable
WO2015026067A1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KR100956479B1 (ko) 광섬유 전원선 복합 케이블
US10345544B1 (en) Composite optoelectronic HDMI cable
KR102181050B1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US11175471B2 (en) Predefined cylindrical enclosure for optical waveguide cable
US20190113703A1 (en) Fiber Optic Drop Cable
JP2012083418A (ja) 光ファイバコード
KR20210153580A (ko)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JP2012248343A (ja) 複合ケーブル
WO2021212856A1 (zh) 一种吊挂式电缆及光缆
Tsukamoto et al. Ultra-high density optical fiber cable with rollable multicore fiber ribbon
KR20160039885A (ko) 리본 튜브형 광케이블
JPH01251005A (ja) 分割型光ファイバテープ
KR100451255B1 (ko)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CN206833990U (zh) 扁平数字光电引入线
KR20110012705A (ko) 센터럴 루즈튜브 이중피복 광섬유 케이블
KR20180087647A (ko) 멀티미디어 케이블
KR100559646B1 (ko) 다심 소형의 인입용 광케이블
KR20140118653A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CN109541765B (zh) 一种光纤及使用该光纤的光缆
JP4134758B2 (ja) メタル光複合ケーブル
KR102534067B1 (ko) 플랫 광전복합 케이블
WO2018196886A1 (zh) 光缆及光纤系统
KR20140051538A (ko) 타이트버퍼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분배용/분기용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