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255B1 -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255B1
KR100451255B1 KR10-2002-0014590A KR20020014590A KR100451255B1 KR 100451255 B1 KR100451255 B1 KR 100451255B1 KR 20020014590 A KR20020014590 A KR 20020014590A KR 100451255 B1 KR100451255 B1 KR 10045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means
layer
optical transmission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398A (ko
Inventor
박의돈
이병곤
손민
박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2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quartz; glass; glass wool; slag wool; vitreous enam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7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fibre-reinforced plastics, e.g. glass-reinforced pla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중심에 형성하는 중심인장선과, 도체선과 이를 감싸는 피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전원공급수단이 상기 중심인장선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꼬임을 갖고 연선되는 전원공급수단층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에 포함되어 전원공급수단들과 함께 꼬임을 갖고 연선되도록 형성하는 광전송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방수부재층과, 상기 방수부재층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최외측에 형성하는 외피부재층으로 이루어져서, 광섬유를 다심화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광섬유의 분기성을 향상시켜서 시공 및 보수작업의 용이성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도 강화되어 작은 외경으로 제작가능한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FTTC composite cable for data transmission and power source supply}
본 발명은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파이버 투 더 커브(fiber-to-the curb, FTTC)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중심에는 중심인장선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전원공급수단이 상기 중심인장선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꼬임을 갖고 연선되는 전원공급수단층에 상기 전원공급수단들과 함께 꼬임을 갖고 연선되도록 광전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의 외측면을 감싸는 방수부재층과 상기 방수부재층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최외측에 형성되는 외피부재층을 형성하여, 광섬유를 다심화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광섬유의 분기성을 향상시켜서 시공 및 보수작업의 용이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컴퓨터 등을 포함한 데이터처리장치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가정과 회사 등에서 의사전달과 자료전송을 위한 통신시스템과 통신방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을 가정까지 보급하기 위하여 2심 연동선(twisted pair copper wire)으로 되어 있는 현재의 전화 가입자선 대신에 각 가정에 개별적으로 광섬유를 부설하면 전화, 팩스, 데이터, TV 영상까지 한 줄의광섬유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가입자망인 파이버 투 더 홈(fiber-to-the home, FTTH)이 개발되어 실험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FTTH는 각 가정에까지 개별적으로 광섬유를 연결하므로, 광 망 종단 장치인 광통신망 유니트(ONU)도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등 경제성에 문제가 있으며, 파이버 투 더 오피스(FTTO) 및 파이버 투 더 커브(FTTC) 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파이버 투 더 홈(FTTH)로 전개되고 있다.
여기에서 파이버 투 더 커브(FTTC)의 'Curb’는 도로의 연석(緣石)이라는 의미인데, 주택 앞 도로의 연석과 같이 작은 박스를 설치하고 거기서부터 예를 들어 4채의 주택까지 동선을 부설하여 광섬유를 4개 가정에서 공용하면 FTTH보다 경제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동선 거리가 짧으면 광대역 신호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1 은 FTTC 광케이블 네트워크(network)의 개략도로서 FTTC 접속점(1)과 광통신망유니트(optical network unit; ONU)(3)는 복합 케이블(2)을 통해 연결되며, 이 광통신망유니트(3)는 망종단장치(網終端, network termination, NT)(5)에 종단케이블(4)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종단케이블(4)은 동축케이블 또는 일반적인 전화가입자선인 2심 연동선(twisted pair copper wire)이다. 따라서, 각 가정(6)에 설치되는 망종단장치(5)에서 개인용 컴퓨터(7)나 텔레비전(8) 등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FTTC는 평범한 전화 서비스를 대체하기 위하여 광케이블을 집이나 회사 근처의 도로까지 설치하고 이를 공용하여 경제적으로 종래의 전화선 동축 케이블에 비해 방대한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인터넷 사용이대중화됨에 따라 그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서 점점 더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FTTC 광케이블 네트워크(network)에서 광섬유는 주거 밀집 지역에 위치한 광통신망 유니트(optical network unit; ONU)(3)에 접속되는데, 이 광통신망유니트(ONU)(3)는 최종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광통신망의 종단 장치로써, FTTC (fiber to the curb), FTTB(fiber to the building), FTTF(fiber to the floor) 및 FTTO(fiber to the office) 등에서 광신호와 전기신호를 서로 전환시켜 최종사용자인 고객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 광시설들을 연결시켜주는 장치이다.
그런데, 이 광통신망유니트(ONU)(3)의 제어와 가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광신호 전송수단인 광섬유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인 구리선이 일체인 케이블로 구성된 복합케이블을 사용한다면, 광통신망유니트(ONU)(3)의 전원공급을 위해 별도의 전원공급선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에 있어서도 편리하게 된다.
즉, 도 2는 종래의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이 복합케이블(10)은 광섬유(11a)와 충진제(11b)를 포함하고 그 외측을 감싸는 외피인 튜브체(11c)로 이루어져서 케이블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광전송수단(11)과, 구리선인 도체선과 이를 감싸는 피복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전송수단(11)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꼬임을 갖도록 연선되는 다수의 전원공급수단(12)들과, 상기 전원공급수단(12)들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방수부재(部材)(13)와, 상기 방수수단(13)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인장선부재(14)와, 상기 인장선부재(14)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최외측에 형성하는 외피부재(15)들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도 2의 종래 복합케이블의 예는 상기 전원공급수단(12)과 방수부재(13)를 다층으로 형성하되 이를 2층으로 형성한 것이다. 즉, 중심 코어에 위치하는 상기 광전송수단(1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1층전원공급수단 (12a)들과, 이 1층전원공급수단(12a)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1층방수수단 (13a)의 외측으로, 다시 상기 1층방수수단(13a)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2층전원공급수단(12b)들과, 이 2층전원공급수단(12b)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2층방수수단(13b)을 더 포함하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케이블은 중심에 한 개의 광전송수단 만이 형성되어 있어서 최대로 실장할 수 있는 광섬유의 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이 광섬유의 분기 작업을 위해서는 광전송수단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공급수단들을 풀어 헤쳐야 광섬유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의 수가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날로 증가하는 전송량의 증가를 다 감당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광섬유의 증설을 위해서 기존의 복합케이블을 제거하고 새로운 복합케이블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즉, 광섬유의 개수를 충분하게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간분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수단인 구리선을 해체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광섬유의 연입율이 0이므로 중간 분기작업시에 필요한 광섬유 여장이 확보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전송수단을 복합케이블의 중심에 위치시키지 않고 외곽측에 위치시키면서, 다수로 포함시킴으로써, 데이터 전송용량을 증대시켜 증가하는 데이터 전송용량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분기작업을 편리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도 강화시켜 케이블의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FTTC 광케이블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B,C : 광섬유케이블 20 : 광섬유 심선
22 : 내부방수물질 24 : 광섬유번들튜브
28 : 방수테이프 30 : 알루미늄금속체
32 : 외피층 34 : 외부인장선
36 : 스틸테이프 38 : 이중외피층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중심에 형성하는 중심인장선과, 구리선인 도체선과 이를 감싸는 피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전원공급수단이 상기 중심인장선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꼬임을 갖고 연선되는 전원공급수단층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에 포함되어 전원공급수단들과 함께 꼬임을 갖고 연선되도록 형성하는 광전송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방수부재층(部材層)과, 상기 방수부재층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최외측에 형성하는 외피부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수단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을 제공한다.
이때, 광전송수단은 광섬유와 충진제를 포함하고 그 외측을 감싸는 외피인 튜브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을 다층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전원공급수단층 사이에 방수부재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으로 형성되는 전원공급수단층 중에서 최외측 전원공급수단층에만 광전송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원공급수단층에 포함되는 전원공급수단과 광전송수단은 SZ꼬임으로 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인장선은 강선 또는 아연도금강선인 금속선재(金屬線材) 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원공급수단은 외경이 0.3mm 이상 2.0mm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복은 Polyethylene, Polypropylene 및 PVC을 포함하는 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전송수단에 포함되는 충진제는 젤리 컴파운드 또는 방수 충진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20)은 중심에 형성하는 중심인장선(21)과, 구리선인 도체선(23a)과 이를 감싸는 피복(23b)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전원공급수단(23)이 상기 중심인장선(21)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꼬임을 갖고 연선되는 전원공급수단층(22)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22)에 포함되어 전원공급수단 (23)들과 함께 꼬임을 갖고 연선되도록 형성하는 광전송수단(24)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2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방수부재층(25)과, 상기 방수부재층 (25)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최외측에 형성하는 외피부재층(26)으로 구성한다.
즉, 종래에는 광전송수단이 중심에 위치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광전송수단 (26)이 전원공급수단층(22)에서 전원공급수단(23)들과 함께 꼬임을 갖고 연선되어 중심인장선(21)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광전송수단(24)을 복합케이블의 중심에 위치시키지 않고 전원공급수단(23)들과 함께 중심인장선(21)을 감싸도록 위치시킴으로서, 광전송수단(24)을 다수로 포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외피부재층(26)과 방수부재층(25)을 벗겨내면 바로 광전송수단(24)에 도달할 수 있어서 분기 작업시 작업이 용이해지고, 시간이 단축된다. 특히, 광전송수단(24)이 일정한 꼬임을 갖고 연선되어 있으므로 분기 작업시 여장된 광전송수단(24)을 적절히 인출하여 활용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다.
이때 중심인장선(21)의 외면에는 코팅층(21a)을 형성하여 전원공급수단(23) 및 광전송수단(24)을 중심인장선(21)과의 물리적인 마찰 등으로 인한 영향으로부터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광전송수단(24)은 광섬유(24a)와 충진제(24b)를 포함하고 그 외측을 감싸는 외피인 튜브체(24c)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광섬유(24a)는 1심 이상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즉, 필요에 따라 심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광전송수단(24)에 포함되는 충진제(24b)는 모두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젤리 컴파운드 또는 방수 충진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튜브체(24c)는 PBT(Polybytylene Terephtala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등의 혼합물을 압출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심인장선(21)은 강선 또는 아연도금강선인 금속선재(金屬線材) 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에서 선택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설명하는 전원공급수단(23)과 광전송수단(24)의 꼬임은 SZ꼬임으로 이루어 진 것이다.
그리고, 전원공급수단(23)은 외경이 0.3mm 이상 2.0mm 이하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공급수단(23)의 피복(23b)은 Polyethylene, Polypropylene 또는 PVC을 포함하는 수지재에서 선택하여 형성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을 다층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전원공급수단층 사이에 방수부재층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20)은 중심에 형성하는 중심인장선(21)과, 구리선인 도체선(23a)과 이를 감싸는 피복(23b)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전원공급수단(23)이 상기 중심인장선(21)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꼬임을 갖고 연선되는 전원공급수단층(22)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22)에 포함되어 전원공급수단(23)들과 함께 꼬임을 갖고 연선되도록 형성하는 광전송수단(24)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2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방수부재층(25)과, 상기 방수부재층(25)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최외측에 형성하는 외피부재층(26)으로 구성하되, 전원공급수단층(22)을 다층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전원공급수단층(22) 사이에 방수부재층(25)을 형성한 것이다.
도 4 에서는 전원공급수단층(22)을 2층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3층 이상의 다수층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1과 동일한 부호와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다층으로 형성되는 전원공급수단층(22) 중에서 최외측 전원공급수단층 (22a)에만 광전송수단(24)이 포함되도록 한다.
즉, 각각의 전원공급수단층(22)에 광전송수단(24)이 포함될 필요는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각 전원공급수단층(22)에 광전송수단(24)이 포함되어 있다면, 분기 작업시 내측의 광전송수단(24)에 도달하려면 외측 전원공급수단층(22)을 모두 헤체해야 하므로 불편이 따른다. 그리고, 최외측 전원공급수단층(22)에만 광전송수단(24)을 포함시켜도 상기 광전송수단(24)을 다수로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전송용량이 부족하게 되지 않는다. 즉, 많은 전송량이 필요한 곳에는 다수의 광전송수단 (24)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복합케이블(20)을 설치하면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광전송수단(24)이 다수로 포함되는데, 이 광전송수단(24)이 나란히 배열되어 연선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광전송수단(24)들 양측으로 전원공급수단(23)이 배열되도록 연선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20)은 중심에 형성하는 중심인장선(21)과, 구리선인 도체선(23a)과 이를 감싸는 피복(23b)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전원공급수단(23)이 상기 중심인장선(21)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꼬임을 갖고 연선되는 전원공급수단층(22)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22)에 포함되어 전원공급수단(23)들과 함께 꼬임을 갖고 연선되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광전송수단(24)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2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방수부재층(25)과, 상기 방수부재층(25)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최외측에 형성하는 외피부재층(26)으로 구성하되, 전원공급수단층(22)에 포함되는 다수의 광전송수단(24)이 서로 떨어져서 배열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1과 동일한 부호와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광전송수단(24)들이 모여서 배열되면 외부의 충격이 이 광전송수단(24)이 모여있는 복합케이블(20)의 외피 쪽으로 가해질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전원공급수단(23)에 비해 다소 약하기 때문에 이 광전송수단(24)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겠으나, 광전송수단(24)들 양측으로 전원공급수단(23)이 배열되면, 이 광전송수단(24)에 미치는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계적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작은 외경의 튜브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복합케이블의 외경도 따라서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섬유를 다심화 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하나의 광전송수단 만을 포함하였기 때문에 최대로 실장할 수 있는 광섬유 수가 제한되어 있어서 데이터 전송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광전송수단을 다수로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이 광전송수단에 내설되는 광섬유도 종래의 복합케이블 보다 훨씬 많이 포함시키게 되므로 광신호를 대량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 전송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데이터 전송량 증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 분기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종래의 복합 케이블에서 중간 분기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중심에 위치하는 광전송수단에 접근하기 위해 방수부재층과 외피부재층을 해체하고 외층에 연선되어 있는 모든 전원공급수단들을 풀어 헤쳐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광전송수단이 복합케이블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외곽에 위치하게 되므로 방수부재층 및 외피부재층만 해체하면 바로 광전송수단에 접근할 수 있어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광전송수단이 SZ형태의 꼬임으로 연선되어 있어서 분기작업시의 필요한
여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합케이블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중심에 광전송수단을 두고 주위로 전원공급수단인 구리선이 연선되거나 광전송수단 위로 구리선이 연선되는 경우 광전송수단이 구리선에 의해 기계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광전송수단은 SZ꼬임으로 연선되면서 구리선과 동일 층에서 구리선 사이에 나란히 위치하게 되므로 기계적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광전송수단의 외경을 축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복합케이블의 외경도 축소시킬 수있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데이터 전송과 전원공급을 위한 복합 케이블로서, 상기 케이블의 중심에 형성하는 중심인장선과, 구리선인 도체선과 이를 감싸는 피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전원공급수단이 상기 중심인장선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꼬임을 갖고 연선되는 전원공급수단층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에 포함되어 전원공급수단들과 함께 꼬임을 갖고 연선되도록 형성하는 광전송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방수부재층과, 상기 방수부재층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최외측에 형성하는 외피부재층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수단을 위한 복합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을 다층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전원공급수단층 사이에 방수부재층을 형성하며, 다층으로 형성되는 전원공급수단층 중에서 최외측 전원공급수단층에만 광전송수단을 포함시키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층에 포함되는 전원공급수단과 광전송수단은 SZ꼬임으로 연선되며,
    상기 중심인장선은 강선 또는 아연도금강선인 금속선재(金屬線材) 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이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외경이 0.3mm 이상 2.0mm 이하 이고, 피복은 Polyethylene, Polypropylene 및 PVC을 포함하는 수지재이며,
    상기 광전송수단에 포함되는 충진제는 젤리 컴파운드 또는 방수 충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과 전원공급수단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2-0014590A 2002-03-18 2002-03-18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KR100451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590A KR100451255B1 (ko) 2002-03-18 2002-03-18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590A KR100451255B1 (ko) 2002-03-18 2002-03-18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398A KR20030075398A (ko) 2003-09-26
KR100451255B1 true KR100451255B1 (ko) 2004-10-06

Family

ID=3222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590A KR100451255B1 (ko) 2002-03-18 2002-03-18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2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61B1 (ko) 2008-11-24 2011-03-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틀림 내구성이 우수한 풍력 발전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WO2011142642A2 (en) * 2010-05-14 2011-11-17 Ls Cable Ltd. Optical and power composite cable
KR20140004914A (ko) * 2012-07-03 2014-0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포터블 로봇용 복합케이블 구조
KR101438275B1 (ko) * 2012-09-20 2014-09-04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 및 plc 복합조가선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KR101479555B1 (ko) * 2012-09-20 2015-01-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 및 plc 복합조가선
KR101479556B1 (ko) * 2012-10-05 2015-01-07 대한전선 주식회사 통신복합조가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66B1 (ko) * 2010-07-13 2012-05-25 대한전선 주식회사 이동이 용이한 광전 복합케이블
KR101523770B1 (ko) * 2015-04-16 2015-05-27 (주)네트 통합모듈 배선함, 멀티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용 cctv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435A (ko) * 1993-02-26 1994-09-16 윌리 반데벨데 통신용 케이블에 사용하는 인장부재(tensile member) 및 그 제조방법
JPH08195131A (ja) * 1995-01-13 1996-07-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外圧検知可能な光複合海底布設長尺体
KR19980033381U (ko) * 1996-12-07 1998-09-05 이세원 에어호스가 내장된 동축케이블
JPH11213779A (ja) * 1998-01-27 1999-08-06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移動体に連結される光複合電力ケーブルとその使用方 法
KR20010102896A (ko) * 2001-10-22 2001-11-17 송재선 슬롯코아를 이용한 복합 케이블
KR200273482Y1 (ko) * 2002-01-15 2002-04-26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전력 복합 케이블
US6472614B1 (en) * 2000-01-07 2002-10-29 Coflexip Dynamic umbilicals with internal steel rod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435A (ko) * 1993-02-26 1994-09-16 윌리 반데벨데 통신용 케이블에 사용하는 인장부재(tensile member) 및 그 제조방법
JPH08195131A (ja) * 1995-01-13 1996-07-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外圧検知可能な光複合海底布設長尺体
KR19980033381U (ko) * 1996-12-07 1998-09-05 이세원 에어호스가 내장된 동축케이블
JPH11213779A (ja) * 1998-01-27 1999-08-06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移動体に連結される光複合電力ケーブルとその使用方 法
US6472614B1 (en) * 2000-01-07 2002-10-29 Coflexip Dynamic umbilicals with internal steel rods
KR20010102896A (ko) * 2001-10-22 2001-11-17 송재선 슬롯코아를 이용한 복합 케이블
KR200273482Y1 (ko) * 2002-01-15 2002-04-26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전력 복합 케이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61B1 (ko) 2008-11-24 2011-03-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틀림 내구성이 우수한 풍력 발전기용 전력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WO2011142642A2 (en) * 2010-05-14 2011-11-17 Ls Cable Ltd. Optical and power composite cable
WO2011142642A3 (en) * 2010-05-14 2012-03-01 Ls Cable Ltd. Optical and power composite cable
KR20140004914A (ko) * 2012-07-03 2014-0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포터블 로봇용 복합케이블 구조
KR101438275B1 (ko) * 2012-09-20 2014-09-04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 및 plc 복합조가선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KR101479555B1 (ko) * 2012-09-20 2015-01-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 및 plc 복합조가선
KR101479556B1 (ko) * 2012-10-05 2015-01-07 대한전선 주식회사 통신복합조가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398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8474B2 (en) Composite cable for access networks
US6236789B1 (en) Composite cable for access networks
KR100956479B1 (ko) 광섬유 전원선 복합 케이블
US7218821B2 (en) Optical fiber cables
US7590321B2 (en) Mid-span breakout with helical fiber routing
US8917964B2 (en) Composite communications cables having a fiber optic component located adjacent an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conductor of a coaxial cable component and related methods
US6343172B1 (en) Composite fiber optic/coaxial electrical cables
US6463198B1 (en) Micro composite fiber optic/electrical cables
KR20070026219A (ko) 복합 케이블
KR100451255B1 (ko)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fttc용 복합케이블
CN108847305A (zh) 一种高速视频传输用超柔智控光电混合缆
US20120189256A1 (en) Fiber Optic Cable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20090087152A1 (en) Optical Cable,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Multiplicity of Optical Waveguid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able
KR101650612B1 (ko) 광케이블
KR100507620B1 (ko) 광신호 전송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
KR100559646B1 (ko) 다심 소형의 인입용 광케이블
JP2008129170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これを使用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システム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敷設方法
KR100345377B1 (ko) 광섬유 및 구리선 쌍의 복합 케이블
CN210349425U (zh) 耐用型光电复合缆
CN103325485A (zh) 一种光电复合缆
CN203260402U (zh) 一种铜导线直放型防鼠光电混合缆
KR20200010885A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점퍼 코드
KR100391091B1 (ko) 광 다심 점퍼 코드 케이블
JP200300499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における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
JP200024988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