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078A - 다중-주방 환경에서 주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주방 환경에서 주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078A
KR20210153078A KR1020217036359A KR20217036359A KR20210153078A KR 20210153078 A KR20210153078 A KR 20210153078A KR 1020217036359 A KR1020217036359 A KR 1020217036359A KR 20217036359 A KR20217036359 A KR 20217036359A KR 20210153078 A KR20210153078 A KR 20210153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food item
food
electronic dev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빅터-벤자민 브로카
나디르 하이더
디에고 브레드아킨
존 가
Original Assignee
시티 스토리지 시스템즈
빅터-벤자민 브로카
나디르 하이더
디에고 브레드아킨
존 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 스토리지 시스템즈, 빅터-벤자민 브로카, 나디르 하이더, 디에고 브레드아킨, 존 가 filed Critical 시티 스토리지 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2021015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중-주방 환경에서 고객 음식 주문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 1 음식 항목 및 제 2 음식 항목을 갖는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1 주방과 연관된 제 1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1 대응 식별자를 제 1 주방으로 라우팅하는 단계, 제 2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2 주방과 연관된 제 2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2 대응 식별자를 제 2 주방으로 라우팅하는 단계, 복수의 배송 저장 장소들 중 하나에 제 1 음식 항목이 위치한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음식 항목이 저장을 위해 준비되었다라는 통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이에 응답하여 제 1 음식 항목의 배송 저장 장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주방 환경에서 주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4월 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출원번호 62/830,980)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미국 가특허출원의 개시 내용은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현재, 온라인 음식(이하, "음식" 또는 "푸드"라 함) 주문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가 레스토랑 및 관련 상업용 주방에 발주한 음식 주문들을 프로세싱할 필요가 있다. 푸드 시설(food facility)은 각각 하나 이상의 레스토랑과 관련된 여러 개의 상업용 주방을 수용할 수 있다. 각 주방은 하나 이상의 온라인 주문 음식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로부터 음식 주문을 받을 수 있다. 푸드 시설은 주방으로 접수되는 음식 주문을 관리하고, 준비된 음식의 배송을 위해 관리해야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시스템 및 방법은 이러한 기능 등을 수행한다.
다중-주방 환경에서 고객 음식 주문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 1 음식 항목 및 제 2 음식 항목을 갖는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1 주방과 연관된 제 1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1 대응 식별자를 제 1 주방으로 라우팅하는 단계, 제 2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2 주방과 연관된 제 2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2 대응 식별자를 제 2 주방으로 라우팅하는 단계, 복수의 배송 저장 장소들 중 하나에 제 1 음식 항목이 위치한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음식 항목이 저장을 위해 준비되었다라는 통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이에 응답하여 제 1 음식 항목의 배송 저장 장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은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지지 않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다른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의 사용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항목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서버로의 시스템 및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서버에서 주방으로의 시스템 및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룩업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시스템 및 주문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완전히 이해되고 용이하게 실제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이제 첨부된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만을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설명할 것이다.
다중 주방 시설은 2 이상의 상업용 주방들이 있는 건물일 수 있으며, 주방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레스토랑에서 운영하거나 그와 연관되어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의 양상은 단일 레스토랑 내의 단일 주방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주방이 있는 다중 주방 시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단계 S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요리들 중의 여러 항목들을 나열하는 음식 메뉴가, 음식을 주문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음식 메뉴는 본 개시의 시스템을 통해, 하나 이상의 레스토랑을 통해, 또는 제3자 온라인 음식 배달 제공자를 통해 전자적으로 통신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레스토랑은 "가상 푸드 코트"라고 지칭될 수 있고, 음식 메뉴는 스시, 버거, 피자 및 케밥 등과 같은 유사하거나 다른 선택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는 통신 네트워크(6)에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4)를 이용하여 음식 메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4)는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의 단계 S102에 도시되고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는 제공된 음식 메뉴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메뉴 항목(10)을 포함할 수 있는 음식 주문(8)을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4)를 사용할 수 있다. 주문(8)은 배송 및 청구 정보와 같은 추가적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양상에서 서버(12)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양상에서, 주문(8)은 네트워크(6)를 통해 사용자(2)로부터 서버(12)로 전송된 이후, 음식 준비를 위해 주방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주문(8)은 사용자 2로부터 제3자 온라인 배송 제공자(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3자 온라인 배송 제공자는 네트워크(6)를 통해 서버(12) 및/또는 주방으로 주문(8)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서버(12)는 제3자 온라인 배송 제공자를 위해 주방의 로그인/비밀번호에 액세스가 허여될 수 있고(직접 또는 API를 통해) 및/또는 액세스된 주방과 연관된 전자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제3자 온라인 배송 제공자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단계 S104에서,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 항목의 이름과 주방에서(주문을 수신한) 사용하는 메뉴 항목의 이름이 서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은 주문(8)로부터 하나 이상의 메뉴 항목(10)을 통역(translate)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2)는 라우터(14)를 포함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라우터(14)는 룩업 테이블(28)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28)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메뉴 항목(예를 들어, "가상 푸드 코트" 메뉴 항목)과 주문을 받는 주방의 메뉴 항목을 연관(link)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주문을 받는 주방의 음식 준비자는 어떤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데이터 구조가 룩업 테이블(28) 대신에 사용되거나 또는 이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단계 S104에서, 라우터(14)는 주문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16, 18, 20)로 라우팅할 수 있으며, 이들 전자 디바이스들은 주문을 받는 주방에 상주하고/있거나 주문을 받는 주방과 관련된다. 메뉴 항목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단계 S106에서 배송을 위해 준비된다.
도 4는 진행중인 일례에 따른 룩업 테이블(28)의 동작을 도시한다. 본 일례에서, 가상 푸드 코트 메뉴(30)는 사용자(2)에게 제공되는 메뉴이다. 주문(8)은 다음의 5가지 항목들(10)을 포함한다: "푸드 코트 스시 세트", "푸드 코트 18인치 피자", "푸드 코트 마늘 노트(garlic knot)", "치즈 마늘 노트", 및 "오렌지 치킨 브리또"를 포함한다. 주문된 항목들(10)은 다중 주방 시설에 위치할 수 있는 여러 주방들의 메뉴 제공들에 대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28)은 "푸드 코트 스시 세트(Food Court Sushi Set)"가 "로스앤젤레스 스시(Los Angeles Sushi)"의 메뉴에 있는 "모듬회 한 접시(Mixed Sushi Platter)" 항목에 대응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주문된 항목에 응답하여, 룩업 테이블(28) 및 라우터(14)는 "모듬회 한 접시"에 대한 주문을 "로스앤젤레스 스시"(32)의 주방으로 발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유사하게, 라우터(14) 및 룩업 테이블(28)은 "푸드 코트 18인치 피자" 및 "푸드 코트 마늘 노트"을 통역할 수 있으며, 그리고 "18인치 치즈 피자" 및 "치즈 마늘 노트"에 대한 주문을 "잭의 피자집(Jack's Pizza)"(34)의 주방으로 발송할 수 있다. 라우터(14) 및 룩업 테이블(28)은 "캐러멜 선디(caramel subdae)"를 통역하고 그리고 "할머니의 선디(Grandma's sundae)"라는 주문을 "할머니의 아이스크림 가게"(36)의 주방으로 발송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렌지 치킨 브리또"는 다중 주방 시설 내의 별도의 주방에서 각각 제조되는 2가지 메뉴 항목의 적어도 일부를 조합한 다중-주방 항목이다. 본 일례에서, "오렌지 치킨 & 볶음밥 콤보"는 "베니스 해변 중식당"(38)의 주방에서 제조되며, "커스텀 브리또/오렌지 치킨"은 "브리또 가게"(40)의 주방에서 제조된다. 사용자(2)가 "오렌지 치킨 브리또"를 주문하면, 서버(12)는 항목을 통역하고 그리고 항목을 양쪽 주방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베니스 해변 중식당"(38)은 "오렌지 치킨 & 볶음밥 콤보" 주문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주방에서 조합되어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메뉴 항목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라는 특별 지시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브리또 가게"(40)는 특별 지시와 함께 "커스텀 브리또/오렌지 치킨" 주문을 수신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다른 주방으로부터의 항목이나 하나 이상의 재료를 받을 때까지 음식 준비를 연기하라는 특별 지시를 수신할 있으며, 이 경우는 "베니스 해변 중식당"(38)으로부터의 "오렌지 치킨 & 볶음밥 콤보"가 그것이다.
"오렌지 치킨 & 볶음밥 콤보"가 전부 준비되거나 또는 관련 부분이 준비되면, "베니스 해변 중식당"(38)은 이를 시스템에 알릴 수 있다(아래에 자세히 설명됨). 이러한 음식 항목은 "다중-주방 항목"으로 태그가 지정될 수 있고, "브리또 가게"(40)로 운송될 수 있으며, "브리또 가게"(40)에서 "커스템 브리또/오렌지 치킨"이 완성될 것이다.
일반적인 음식 항목들과 다중-주방 항목들은 종종 상이한 완료 시간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18인치 치즈 피자"는 준비하는데 평균 20분이 소요될 수 있지만, "할머니 선디"는 준비하는데 3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준비 시간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외부 배송을 위한 시간과 동일한 시간 또는 근접한 시간에서 항목들이 완성될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문들이 주방들로 전송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저장될 수도 있고 전송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타 요소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주방에 있는 직원의 신원, 요청된 항목들 또는 일반적으로 항목들을 완료하는 주방 직원의 평균 속도, 주방 당 항목들의 대기열의 길이, 배송 기사의 예상 도착 시간 및 기타 등등.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은 태블릿(16)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인쇄된 티켓(42)을 생성하는 프린터(미도시)를 통해 음식 항목을 준비하라는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지는 주문 번호, 주문이 발원된 "가상 푸드 코트(Virtual Food Court)"의 메뉴 이름, 주문을 수신한 주방의 이름 "로스앤젤레스 스시", 예를 들어, "모듬회 한 접시"와 같이 음식 항목의 이름 또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음식 항목 디테일들, QR 코드와 같은 추적 목적을 위한 코드, 및 이것이 다중-파트 주문의 일부라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로스앤젤레스 스시"의 직원은 이러한 주문이 "가상 푸트 코드"에 대한 것임을 이해할 것이므로, 이러한 항목에 대해 표준 백색 비-브랜드 포장을 사용하거나 또는 "가상 푸트 코드"라는 브랜드 포장을 사용할 수 있다. 포장이 되면, 추적 목적을 위해 음식에 티켓(42)이 부착될 수 있다.
도 6의 단계 S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이 음식을 준비하면, 주방은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의 주문 관리 시스템의 디지털 버튼을 통해 음식이 준비되었음을 시스템에 알릴 수 있다(단계 S112). 그 다음,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인간 또는 자동 배송을 통해 어셈블리 영역으로 음식이 운송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단계 S114). 주방 직원은 바람직하게는 티켓(42)을 첨부할 수 있으며, 티켓(42)은 추적 및 포장 목적으로 주문 정보 뿐만 아니라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이 어셈블리 영역에 도착하면 물리적 티켓 상의 QR 코드는 전자 스캐닝 디바이스에 의해 스캐닝될 수 있다(단계 S116). 음식은 선반이나 저장용 통과 같은 저장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저장 공간에 대한 QR 코드를 스캔하여 음식과 시스템의 저장 공간을 서로 링크시킬 수 있다(단계 S118). 다른 양상에서, 시스템은 주문의 특성, 음식 유형, 물리적 크기, 파트들(parts)의 개수, 음식 및/또는 주변의 온도, 배송 시간에 기초하여 음식을 배치할 저장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멀티-파트(multi-part) 주문의 경우, 음식 주문의 제 2 파트가 도착하면, 음식 주문의 제 2 파트에 대한 QR 코드의 스캔은, 상기 주문의 제 1 파트가 차지하는 저장 공간이나 그 근처에 상기 주문의 제 2 파트를 배치하도록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7의 단계 S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의 최종 파트가 어셈블리 영역에 도착하면, 시스템은 작업자(인간 또는 기계)가 해당 주문에 대한 모든 음식 항목들을 외부 가방(outer bag)에 넣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가방은 "가상 푸드 코트"와 같은 브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단계 S122).
배송 기사가 도착하면(단계 S124), 배송 기사는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체크인할 것이다. 배송 기사는 주문이 준비되었음을 통지받을 수 있다(단계 S126). 배송 기사는 주문을 물리적으로 소유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시스템에 통지될 수 있다(단계 S128).
본 개시의 온라인 음식 배송 플랫폼 또는 시스템은 음식 주문에 대한 지불금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주방(들), 배송 플랫폼, 배송 기사 및 브랜드 마케터(예: 가상 푸드 코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참가자들에 대한 지불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본 실시예의 피처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및/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처들은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정보 매체에 유형적으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구현되거나 및/또는 전파된 신호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방법 단계의 실시예는 입력 데이터에 대해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구현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본 실시예의 피처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전송하고, 이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가능한 시스템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활동을 수행하거나 특정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 컴퓨터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언어 또는 해석된 언어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 또는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에 적합한 기타 단위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로 배포될 수 있다.
명령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목적 프로세서, 및/또는 단독 프로세서 또는 임의 종류의 컴퓨터의 다중 프로세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통신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내부 하드 디스크 및/또는 이동식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및/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유형적으로 구현하기에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내부 하드 디스크 및 이동식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및 DVD-ROM 디스크를 비롯한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보완되거나 이에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특징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갖는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트랙볼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인터넷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및/또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런트 엔드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는 예를 들어 LAN(로컬 영역 네트워크), WAN(광역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을 형성하는 컴퓨터 및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것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는 각각의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덕분에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의 특정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결합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예로서만 제공된다.
앞선 설명은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최상의 모드, 그리고 그것들을 실시하는 방식 및 과정을 그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이러한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해 가능하도록 완전하고, 명확하고, 간결하고, 정확한 용어로 제시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완전히 등가인 위에서 논의된 것들로부터 수정 및 대안적인 구성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및 대안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프로세스의 단계는 제시된 것과 동일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순서(들)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수행되는 것으로 제시된 단계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제시된 단계들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도면에 설명되고 도시된 동작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원하는 대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고, 프로세스는 임의의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특정 실시예에서,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4)

  1. 다중-주방 환경에서 고객 음식 주문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a. 고객과 관련된 주문을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은 적어도 제 1 음식 항목 및 제 2 음식 항목을 포함하며;
    b. 제 1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1 주방과 연관된 제 1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1 대응 식별자를 제 1 주방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라우팅하는 단계;
    c. 제 2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2 주방과 연관된 제 2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2 대응 식별자를 제 2 주방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라우팅하는 단계;
    d. 복수의 배송 저장 장소들 중 하나에 제 1 음식 항목이 위치한다는 통지를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e. 제 2 음식 항목이 저장을 위해 준비되었다라는 통지를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이에 응답하여 제 1 음식 항목의 배송 저장 장소를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f. 적절한 배송 기사가 존재한다는 경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제 1 및 제 2 음식 항목들과 적절한 배송 기사와의 페어링을 돕기 위해 제 1 및 제 2 음식 항목의 배송 저장 장소를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e 이후에:
    제 1 음식 항목의 배송 저장 장소에 제 2 음식 항목이 위치한다는 알림을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e 이후에:
    제 1 및 제 2 음식 항목들이 고객에게 배송하기 위해 아웃바운드된다는 통지를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방 및 제 2 주방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프린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제 1 및 제 2 음식 항목들 중 하나의 준비를 완료하는 시간, 제 1 및 제 2 주방 중 하나에 있는 직원의 신원, 제 1 및 제 2 주방 중 하나에서 준비되는 음식 항목들의 대기열 길이, 및 배송 기사의 예상 도착 시간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다중-주방 환경에서 고객 음식 주문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a. 고객과 관련된 주문을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은 적어도 제 1 음식 항목 및 제 2 음식 항목을 포함하며;
    b. 제 1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1 주방과 연관된 제 1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1 대응 식별자를 제 1 주방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라우팅하는 단계;
    c. 제 2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2 주방과 연관된 제 2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2 대응 식별자를 제 2 주방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라우팅하는 단계;
    d. 제 1 음식 항목이 저장을 위해 준비되었다라는 통지를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e. 제 1 음식 항목에 대한 저장 장소를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제 2 음식 항목이 저장을 위해 준비되었다라는 통지를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이에 응답하여 제 1 음식 항목의 배송 저장 장소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저장 장소는, 제 1 및 제 2 음식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하루 중 시간, 온도, 픽업 시간 및 배송 시간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방 및 제 2 주방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프린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다중-주방 환경에서 고객 음식 주문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a. 고객과 관련된 주문을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은 음식 항목을 포함하며;
    b.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1 주방과 연관된 제 1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1 대응 음식 항목의 적어도 일부를 준비하라는 명령과 함께 상기 제 1 대응 식별자를 제 1 주방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라우팅하는 단계;
    c. 음식 항목의 식별자를 제 2 주방과 연관된 제 2 대응 식별자로 통역하고, 제 2 대응 음식 항목의 적어도 일부를 준비하라는 명령과 함께 상기 제 2 대응 식별자를 제 2 주방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라우팅하는 단계;
    d. 제 2 대응 음식 항목과의 통합(incorporation)을 위해 제 2 주방이 제 1 대응 음식 항목을 다른 주방으로부터 수신할 것임을, 제 2 주방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단계;
    e. 제 1 대응 음식 항목이 준비되었다라는 통지를 제 1 주방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f. 제 1 대응 음식 항목이 제 2 주방에 도착했음을 제 2 주방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c 및 단계 d 중 하나 이상은, 제 1 대응 음식 항목 및 제 2 대응 음식 항목 중 하나의 준비를 완료하기 위한 추정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c 및 단계 d 중 하나 이상은 단계 e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제 1 주방 및 제 2 주방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g. 복수의 배송 저장 장소들 중 하나에 음식 항목이 위치한다는 통지를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36359A 2019-04-08 2020-04-08 다중-주방 환경에서 주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30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30980P 2019-04-08 2019-04-08
US62/830,980 2019-04-08
US16/396,175 US20200320613A1 (en) 2019-04-08 2019-04-26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rders in a Multi-Kitchen Environment
US16/396,175 2019-04-26
PCT/US2020/027144 WO2020210279A1 (en) 2019-04-08 2020-04-08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rders in a multi-kitchen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078A true KR20210153078A (ko) 2021-12-16

Family

ID=7266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359A KR20210153078A (ko) 2019-04-08 2020-04-08 다중-주방 환경에서 주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20613A1 (ko)
EP (1) EP3953880A4 (ko)
JP (1) JP2022527131A (ko)
KR (1) KR20210153078A (ko)
BR (1) BR112021020205A2 (ko)
MX (1) MX2021012429A (ko)
WO (1) WO2020210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48695A1 (en) * 2020-02-11 2021-08-12 Martin Garcia-Brosa Coordinated delivery of dining experiences
CN112686600A (zh) * 2020-12-28 2021-04-20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厨房单打印终端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
WO2022192705A2 (en) * 2021-03-12 2022-09-15 Pavilion Capital, Llc System, method, process, and mechanism for facilitating order placement, consolidation, and fulfillment of multi-vendor orders via a drive-through complex
CN113299020B (zh) * 2021-07-22 2021-09-24 富泰锦(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拓展的取餐系统
US11386391B1 (en) * 2022-02-14 2022-07-12 Kimergy Llc Autonomous point-of-sale triggered logistics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2667B1 (en) * 2004-10-28 2013-05-28 Netwaiter, LLC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management of restaurant orders
US9805401B2 (en) 2008-03-04 2017-10-31 Tillster, Inc. Sku translation between point of sale systems in kiosk-based quick service restaurant environments
US10614509B2 (en) * 2016-09-12 2020-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laborative and cognitive multi-outlet food order placement and recommendation
US10846337B2 (en) * 2017-02-05 2020-11-24 PizzaLoc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ordering via a hybrid database implementation for quick data retrieval
US20190035037A1 (en) 2017-07-25 2019-01-31 Arnold Chase Virtual restaura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20205A2 (pt) 2022-01-25
EP3953880A1 (en) 2022-02-16
WO2020210279A1 (en) 2020-10-15
JP2022527131A (ja) 2022-05-30
US20200320613A1 (en) 2020-10-08
EP3953880A4 (en) 2022-12-21
MX2021012429A (es)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3078A (ko) 다중-주방 환경에서 주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08966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on of orders of food items
US20160071050A1 (en) Delivery Channel Management
US9342216B2 (en) Dynamic interactive menu board
US20140257877A1 (en) Location sensitive processing of restaurant orders
US20150149307A1 (en) Location-based ordering
US201402790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display of information relating to food orders
US10282774B2 (en) Approach for order resolution
US11170408B2 (en) Geofenced selection with targeted interaction
KR20130123285A (ko) 식자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93139B1 (ko) 전자테이블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30837A (ja) 座席予約装置、座席予約方法、および座席予約プログラム
KR20140118655A (ko) 전자 메뉴판을 이용한 전자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69573A1 (en) Automated product recommendation
JP7228831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0010478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dering food for delivery
JP2020144538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402790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food orders
KR101436448B1 (ko) 모바일 주문 방법
KR20210000192A (ko) 반찬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29334A (ja) 飲食物提供システム及び注文情報管理サーバ
JP7495768B1 (ja) 飲食店システム、飲食物提供方法及び飲食店用プログラム
US11887181B2 (en) In-store mirror cart in an in-store environment
US202300515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4027908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