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742A -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742A
KR20210152742A KR1020200069612A KR20200069612A KR20210152742A KR 20210152742 A KR20210152742 A KR 20210152742A KR 1020200069612 A KR1020200069612 A KR 1020200069612A KR 20200069612 A KR20200069612 A KR 20200069612A KR 20210152742 A KR20210152742 A KR 2021015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control unit
lamp module
vehicle
moving co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신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20006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742A/ko
Publication of KR2021015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무빙콘솔에 살균램프모듈이 설치되어 자외선을 살균 대상 표면에 집중 조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실내 살균을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INDOOR STERILIZATION APPARATUS FOR CAR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을 소독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의 살균 효과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에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개인 위생 용품, 주방기구 및 식기, 미용기구, 의료기구 등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는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실내 역시 스티어링휠, 센터페시아, 시트 등 탑승자의 손이 접촉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도어트림, 루프 등 실내 전체에 유해균이 번식하기 때문에 살균이 필요하며,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에 의해 자동차 실내 공간의 살균에 대한 관심이 대폭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자동차의 살균 장치는 스티어링휠, 공조 덕트, 스마트폰 거치대 등 세균 번식이 활발한 각각의 장치에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실내 공간 전체에 대한 살균 장치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다.
살균 램프가 설치된 경우에도 루프 중앙의 룸램프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 전체를 살균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7397호(2019.06.03.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실내 공간을 매우 쉽고 빠르게 살균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을 매개로 플로어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무빙콘솔과; 상기 무빙콘솔에 설치된 살균램프모듈과; 상기 무빙콘솔과 살균램프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콘솔은 무빙콘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고, 상기 살균램프모듈은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며, 상기 살균램프모듈은 UV LED를 구비하여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무빙콘솔 구동모터와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 및 UV LED는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무빙콘솔과 살균램프모듈 및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작동은 사용자가 매뉴얼스위치와 모바일 기기를 조작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탑승자 유무를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와, 도어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변속단 위치를 감지하는 인히비터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승객감지센서, 도어센서, 인히비터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차량 실내에 승객이 있거나, 도어가 개방되었거나, 변속단이 파킹레인지 이외의 레인지에 있으면 살균 작동을 개시하지 않고 또한 살균 작동 중이었다면 살균 작동을 중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소리나 영상을 발생 및 표시할 수 있는 외부 출력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살균 작동의 개시와 종료 및 살균 작동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외부 출력 기기를 통해 차량 외부에 알려준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무빙콘솔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먼저 전방 살균을 실시하고, 전방 살균이 종료되면 상기 무빙콘솔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후방 살균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무빙콘솔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살균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살균 장치 작동이 지시되면 상기 제어유니트는 먼저 엔진을 시동하고, 이후 일련의 살균 작동을 제어하며, 살균이 종료되면 엔진을 시동off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빙콘솔의 전면과 후면에 살균램프모듈이 설치됨으로써 살균램프모듈의 이동이 가능하여 차량의 실내 공간을 보다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램프모듈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루프, 센터페시아, 플로어(카페트) 등을 선택적으로 집중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있는 경우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인체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실내 살균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자동차의 실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 살균장치의 일 구성인 무빙콘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살균램프모듈의 구성도.
도 4의 (a) 내지 (c)는 상기 살균램프모듈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 살균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 살균장치의 작동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의 실내 사시도이다. 자율 주행이 가능한 미래형 자동차의 실내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전방 시트(10)와 후방 시트(11)가 모두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유로이 위치 및 방향 설정이 가능하다.
그에 부합하여 센터콘솔 역시 시트와 마찬가지로 레일을 매개로 플로어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 위치 이동이 자유로우며, 이를 '무빙콘솔(20)'이라 부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콘솔(20)은 롱레일(40)을 매개로 플로어에 장착된다.
상기 롱레일(40)은 플로어에 고정되는 하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레일을 포함하며, 상부레일에 상기 무빙콘솔(20)이 장착된다. 롱레일(40)은 기존의 시트레일과 기본 구성은 동일하나 그 길이를 대폭 증가시켜 전후 이동 거리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특별히 '롱레일'이라 지칭하고 있다.
상기 롱레일(40)은 상부레일이 플로어 표면과 대체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플로어의 내부에 매립 설치된다.
상기 무빙콘솔(20)은 내부에 물품 보관을 위한 스토리지박스가 형성되고, 상면은 스토리지박스의 커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커버는 암레스트나 간이테이블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무빙콘솔의 상면 일측부에는 무빙콘솔의 전후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매뉴얼스위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무빙콘솔의 이동을 위해 무빙콘솔이 설치된 상부레일에는 콘솔구동모터(21)(도 5 참조)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콘솔(20)의 전면과 후면 일측 부위에는 살균램프모듈(5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살균램프모듈(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51)에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UV LED(5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UV LED(52)로는 대면적 장거리 살균에 적합하도록 고출력(High power) UV LED를 사용한다.
또한 UV LED(52)의 주위에는 자외선을 보다 강하게 전방으로 조사해 줄 수 있도록 반사경(53)이 설치된다. 반사경(53)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반사경(53)은 내주면이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회로기판(51)에 장착되며, 그 표면 형상에 따라 자외선의 조사 방향 및 범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51)의 전방에는 자외선을 통과시키는 렌즈(54)가 설치될 수 있다. 렌즈(54)는 그 형상에 따라 자외선 조사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UV LED(52)와 반사경(53)을 외부와 차단하여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로기판(51)의 배면에는 UV LED(52)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UV LED(52)와 접속된 방열판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램프모듈(50)은 무빙콘솔(20)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되, 도 4와 같이 자외선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어떤 부품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설치 구조는 용이하고 매우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동 구조가 본 발명의 요지도 아니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살균램프모듈(50)은 상기와 같은 회동 작동을 위해 구동모터(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55)를 구비함은 당연하다(도 5 참조). 그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55)는 무빙콘솔(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살균램프모듈(50)은 그 회동 각도에 따라 도 4의 (a)와 같이 정면을 향하거나, (b)와 같이 상방을 향하거나, (c)와 같이 하방을 향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UV LED(52)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a)의 경우 전방의 센터페시아와 후방의 대응 부분, (b)의 경우 루프, (c)의 경우 플로어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루프에 자외선이 보다 확실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살균램프모듈(50)이 무빙콘솔(2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이동 기구의 구성도 당업자에게 용이한 정도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 살균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V LED(52)의 on/off, UV LED(52)를 포함하는 살균램프모듈(50)의 회동 작동 제어, 무빙콘솔(20)의 전후 이동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매뉴얼스위치(56), 모바일 기기(60), 승객감지센서(70), 도어센서(80), 인히비터스위치(90) 및 이들로부터 제어신호 또는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입력되어 있는 제어로직에 따라 제어 대상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니트(100)는 무빙콘솔(20)의 내부 또는 차량 플로어의 하부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나 센서류 부품들 및 제어 대상부들과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조작신호와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 대상부로서는 상기 UV LED(52),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55), 무빙콘솔 구동모터(21) 및 외부 출력 기기(11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매뉴얼스위치(56)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휠이나 센터페시아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탑승자 누구나 조작할 수 있도록 무빙콘솔(20)의 상면, 전면, 후면 중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매뉴얼스위치(56) 조작을 통해 실내 살균장치 작동과 관련된 모든 제어 동작 즉, UV LED(52) on/off, 살균램프모듈(50) 회동 제어, 무빙콘솔(20) 전후 이동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60)는 스마트폰과 같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매뉴얼스위치(56)와 마찬가지로 실내 살균장치 작동 관련한 모든 제어 명령을 제어유니트(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에는 무선통신장비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니트(100)에는 상기 무선통신장비와 제어유니트(100)를 연관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객감지센서(70)는 차량 실내에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시트(10)와 후방시트(20) 모두에 설치된다. 승객감지센서(70)로는 하중 감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유니트(100)는 차량 실내의 탑승자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어센서(80)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각 도어 또는 도어가 닫히는 차체 부분에 설치된다. 도어센서(80)를 통해 제어유니트(100)는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지 또는 열린 상태에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인히비터스위치(90)는 현재 변속단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이에 의해 제어유니트(100)는 현재 차량이 파킹 상태에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니트(100)는 UV LED(52)를 on/off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55)의 작동을 제어하여 자외선 조사 방향을 상, 중, 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무빙콘솔 구동모터(21)의 작동을 제어하여 무빙콘솔(2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즉, 살균램프모듈(50)이 차량 실내 공간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외부 출력 기기(110)는 소리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기(스피커, 디스플레이화면, 표시등 등)로서 제어유니트(100)에 의해 작동 제어되며, 살균장치의 작동 시작과 종료 및 작동 중임을 소리나 영상으로 표시 및 경고해주어, 외부에서 차량을 보았을 때 살균장치의 작동 여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실내 살균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 살균장치는 기본적으로 엔진이 시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이다.
주/정차 중 운전자(탑승자)가 차량을 잠시 떠나면서 실내 살균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탑승자가 매뉴얼스위치(56)를 조작하여 실내 살균장치를 on시키면 제어유니트(100)는 무빙콘솔(20)의 현재 위치를 기억한다. 무빙콘솔(20)의 위치는 롱레일(40)에 위치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감지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55)의 작동량(회전수 또는 작동시간)에 따른 무빙콘솔의 이동량 데이터를 미리 매핑(mapping)하여 구동모터(55)의 작동량에 따라 무빙콘솔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무빙콘솔(20)의 현재 위치를 먼저 기억하는 것은 살균 종료 후에 탑승자들이 세팅해 놓은 원래의 사용 위치로 무빙콘솔(20)을 복귀시키기 위함이다.
시스템 on후, 탑승자는 살균 모드를 선택한다. 이 살균 모드 선택에 의해 제어유니트(100)는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55)를 작동시켜 자외선 조사 방향을 정면, 상방, 하방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정면일 경우 센터페시아와 그와 마주보는 차량 실내의 후방 부분(리어패키지트레이 등)을 조사할 수 있고, 상방일 경우 전,후 윈드쉴드글래스나 루프를 조사할 수 있으며, 하방일 경우 플로어의 카페트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살균램프모듈(50)의 회동 제어(조사 방향 제어)가 종료되면 제어유니트(100)는 차량 실내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승객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가 실시간으로 전달되므로 제어유니트(100)는 항상 승객의 존재 여부를 인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어센서(80)를 통해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인히비터스위치(90)를 통해 차량이 주차 상태(P레인지)에 있음을 확인하다.
상기 모든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유니트(100)는 무빙콘솔(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UV LED(52)를 on 시킴으로써 실내의 전방부를 살균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무빙콘솔(20) 이동을 통해 살균램프모듈(50)과 살균 대상 표면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조사 대상 표면의 살균은 통상 2~4분 정도의 빠른 시간내에 종료될 수 있다. 제어유니트(100)내의 타이머(101)를 이용하여 살균 지속 시간을 적절히 설정하고 운용할 수 있다.
한편, 살균 작동 중에는 지속적으로 페일세이프(fail safe) 기능이 수행되는데, 이는 살균 실시 조건에 어긋나는 상황이 발생하면 UV LED(52)를 off시켜 살균장치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승객감지센서(70)로부터 승객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거나, 상기 도어센서(80)로부터 도어 개방이 감지되거나, 상기 인히비터스위치(90)로부터 변속단 위치가 파킹에서 다른 레인지로 변경되는 등의 신호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러한 신호들이 전달되었을 때 제어유니트(100)는 차량에 사람이 탑승하여 운행이 개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살균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로써 자외선에 의한 인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살균 개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제어유니트(100)는 무빙콘솔(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후방 살균을 시작한다. 이 역시 설정 시간동안 진행되며,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와 같이 작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즉시 살균장치의 작동을 중지하는 페일세이프 기능이 수행된다.
실내의 전방과 후방 살균이 모두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제어유니트(100)는 UV LED(52)를 off하고 살균램프모듈(50)을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로 복귀시킨 뒤 무빙콘솔(20)을 살균 시작 전에 기억했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무빙콘솔(20)이 원위치로 복귀된 후 살균장치의 작동은 종료된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무빙콘솔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살균을 먼저 실시하고 전방 살균이 종료되면 무빙콘솔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 살균을 실시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전방과 후방 모두의 UV LED(52)가 동시에 on되고 설정된 시간동안 무빙콘솔(20)이 전후 이동을 왕복하는 방식으로 살균 작업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살균 방식에 의하면 루프나 플로어 살균을 실시할 때 루프나 플로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중간 부분도 보다 확실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살균 방식의 선택은 모두 상기 매뉴얼스위치(56)의 조작을 통해 선택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실내 살균장치는 원거리에서 모바일 기기(60)를 이용해서도 작동 가능하다. 매뉴얼스위치(56)를 조작하여 실시 가능한 모든 기능을 모바일 기기(60)를 통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모바일 기기(60)에서 실내 살균장치 작동을 위한 전용 앱을 실행한 뒤, 자신의 차량임을 확인하는 인증 과정을 거치면 살균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화면이 표시되고, 이를 통해 운전자는 살균장치를 원하는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살균장치의 작동은 차량이 시동상태임을 전제로 하므로 운전자가 모바일 기기(60)를 통해 살균장치 작동 명령을 보내면 상기 제어유니트(100)는 먼저 엔진제어유니트를 통해 엔진을 시동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의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다만 살균장치의 모든 작동이 종료된 후에는 엔진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즉,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원거리에 있고, 단시간내에 차량으로 복귀할 계획이 없는 경우에도 차량 실내의 살균을 실시하고 살균장치의 작동을 안전하게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빙 센터콘솔의 전면과 후면에 살균램프모듈이 설치되어 살균램프모듈의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을 보다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램프모듈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루프와 센터페시아 및 플로어(카페트) 등을 선택적으로 집중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있는 경우 작동 중지됨으로써 승객이 자외선에 의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되어 있어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실내 살균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전방시트 11 : 후방시트
20 : 무빙콘솔 21 : 무빙콘솔 구동모터
30 : 센터페시아 40 : 롱레일
50 : 살균램프모듈 51 : 회로기판
52 : UV LED 53 : 반사경
54 : 렌즈 55 :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
56 : 매뉴얼스위치 60 : 모바일 기기
70 : 승객감지센서 80 : 도어센서
90 : 인히비터스위치 100 : 제어유니트
110 : 외부 출력 기기

Claims (8)

  1. 레일을 매개로 플로어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무빙콘솔과;
    상기 무빙콘솔에 설치된 살균램프모듈과;
    상기 무빙콘솔과 살균램프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콘솔은 무빙콘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고, 상기 살균램프모듈은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며, 상기 살균램프모듈은 UV LED를 구비하여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무빙콘솔 구동모터와 살균램프모듈 구동모터 및 UV LED는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빙콘솔과 살균램프모듈 및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작동은 사용자가 매뉴얼스위치와 모바일 기기를 조작하여 지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량 실내의 탑승자 유무를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와, 도어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변속단 위치를 감지하는 인히비터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승객감지센서, 도어센서, 인히비터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차량 실내에 승객이 있거나, 도어가 개방되었거나, 변속단이 파킹레인지 이외의 레인지에 있으면 살균 작동을 개시하지 않고 또한 살균 작동 중이었다면 살균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소리나 영상을 발생 및 표시할 수 있는 외부 출력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살균 작동의 개시와 종료 및 살균 작동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외부 출력 기기를 통해 차량 외부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무빙콘솔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먼저 전방 살균을 실시하고, 전방 살균이 종료되면 상기 무빙콘솔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후방 살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무빙콘솔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살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살균 장치 작동이 지시되면 상기 제어유니트는 먼저 엔진을 시동하고, 이후 일련의 살균 작동을 제어하며, 살균이 종료되면 엔진을 시동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KR1020200069612A 2020-06-09 2020-06-09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KR20210152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12A KR20210152742A (ko) 2020-06-09 2020-06-09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12A KR20210152742A (ko) 2020-06-09 2020-06-09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742A true KR20210152742A (ko) 2021-12-16

Family

ID=7903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612A KR20210152742A (ko) 2020-06-09 2020-06-09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27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397B1 (ko) 2017-04-20 2019-09-30 에이치디에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바이오 살균 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397B1 (ko) 2017-04-20 2019-09-30 에이치디에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바이오 살균 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4132A1 (en) Sterilizable lamp assembly of vehicle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382050B2 (ja) 車両用開閉体作動装置
US7978056B2 (en) System for customizing lighting and sound effects in a vehicle
KR20150137293A (ko) 차량 내부 스마트 살균램프 시스템
CN111674237A (zh) 车辆紫外线消毒系统和消毒方法
US20220193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erilizing vehicle
CN113752792A (zh) 车辆消毒系统
US202200234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infection of a vehicle interior
KR20210152742A (ko) 자동차의 실내 살균 장치
JP2009084788A (ja) 開閉体の閉作動警告表示装置
US20020140576A1 (en) Laser parking alignment system
CN214232141U (zh) 紫外线臭氧杀菌系统及车辆
ES2525594T3 (es) Procedimiento de cierre automático de un batiente de vehículo automóvil y dispositivo asociado
CN113428075A (zh) 座舱紫外灯杀菌系统、座舱紫外灯杀菌方法和车辆
CN114746305B (zh) 交通工具系统
CN113002276A (zh) 用于车辆前排的脚部空间的车载紫外线杀菌系统和方法
CN112061033A (zh) 一种车用杀菌储物机构
US11771783B2 (en) Sterilizer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13262B1 (ko) 자동차용 탈착형 휴대살균기
KR20110081578A (ko) 콘솔 일체형 전동식 모니터 장치
US20220226521A1 (en) Vehicle Surfaces Sterilization Equipment
WO2023284661A1 (en) On-board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for trunk, and corresponding vehicle and program product
JP2019093948A (ja) 照明装置
US20230311716A1 (en) Innenraumverstellsystem für ein fahrzeug
KR20230134668A (ko) 차량용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