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705A -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705A
KR20210152705A KR1020200069518A KR20200069518A KR20210152705A KR 20210152705 A KR20210152705 A KR 20210152705A KR 1020200069518 A KR1020200069518 A KR 1020200069518A KR 20200069518 A KR20200069518 A KR 20200069518A KR 20210152705 A KR20210152705 A KR 20210152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cut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456B1 (ko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102020006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4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하기 위하여 굴착용 비트로 굴착 천공된 천공홀에 삽입 설치하여 와이어와 같은 강연선이나 네일체 일측단을 앙카에 연결하고 타측단은 사면 표면에 구비된 지압판에 고정 결합하여 인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지압판이 사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결합토록 앙카의 외주부에 인입출 가능한 회전고정부재를 복수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천공홀의 바닥면으로 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확공된 부위에 상기 회전고정부재가 고정 체결토록 함으로서 와이어와 같은 강연선이나 네일체 인장력에도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면이나 법면 등 다양한 지면에 고정앙카를 결합하여 연약지반이나 사면 붕괴 예방과 더불어 지면에 식생이나 배수의 용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환경과 미관 기타 친환경적인 측면도 감안한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볼트 형식으로 하단 내주면 일정길이에는 나사부(100)가 구비된 회전축봉(10)과, 상기 회전축봉(10)과 지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지압판(S)과, 상기 지압판(S) 외주부에 상기 회전축봉(10)에 의해 결합되는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80)과, 상기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결합가능하되 천공홀(H)의 내주면에 밀착토록 하여 상기 회전축봉(10)의 중심을 유지하도록 복수개 결합되는 센터유지부재(20)와, 상기 나사부(100)에 결합 체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볼트(3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양측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된 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10)의 내주면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의 삽입체결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와이어(40)가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체결관통공(320)이 천공된 앙카본체(30)와, 상기 절개부(310)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상기 삽입체결홈(311)에 삽입 가능한 회전돌부(500)가 구비된 회전고정부재(50)와,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부재(60)가 상기 볼트(300)에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하기 위하여 굴착용 비트로 천공홀(H)을 굴착시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확개 천공부를 형성 천공하는 천공홀 굴착단계(10)와,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의 센터유지부재(20)를 일정간격으로 결합 하고, 앙카본체(30)의 삽입체결홈(311)에 회전고정부재(50)의 회전돌부(500)를 결합한 후 상기 회전축봉(10)의 하단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100)와 앙카본체(30)에 일체로 구비된 볼트(300)를 체결 고정한 다음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와이어(40)을 관통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40)의 끝단 가까이에 와이어 고정부재(70)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봉(10)을 천공홀(H)에 삽입하는 삽입단계(S20)와, 상기 회전축봉(10)가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 확개 천공부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중력에 의해 상기 확개 천공부에서 확개 회전하여 상기 앙카본체(30)가 천공홀(H)의 바닥면에 고정하도록 하는 앙카고정단계(S30)와, 상기 와이어(40)를 지면에서 당겨 인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압판(S)에 고정 결합하는 와이어 인장단계(S40)와, 상기 지압판(S) 중앙에 상기 회전축봉(10)을 고정 결합하되 상기 지압판(S)의 외주부에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80,90)을 고정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블럭판 고정단계(S50)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과 더불어 이와 같은 효과를 더욱 공고히 함과 동시에 지표면에 식생 또는 배수를 용이성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블럭판을 다양하게 형성 결합함으로서 친환경적이면서도 사면이나 연약지반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확공이 가능한 굴착용 비트를 이용하여 천공하되 천공홀의 바닥면을 상대적으로 확공한 후 회전축봉과 결합된 앙카를 천공홀에 삽입 설치하여 와이어 또는 네일체 일측단을 앙카에 연결하고 타측단은 사면 표면에 구비된 지압판에 고정 결합하여 인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지압판이 사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앙카에 인입출 가능한 회전고정부재를 복수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천공홀의 바닥면 확공부위에 체결토록 함으로서 와이어 인장력에도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사면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키고 공사 후 많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강력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작업이 간단 용이하여 앙카 시공 시간을 단축시켜 공기와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Multipurpose permanent anchor}
본 발명은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하기 위하여 굴착용 비트로 굴착 천공된 천공홀에 삽입 설치하여 와이어와 같은 강연선이나 네일체 일측단을 앙카에 연결하고 타측단은 사면 표면에 구비된 지압판에 고정 결합하여 인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지압판이 사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결합토록 앙카의 외주부에 인입출 가능한 회전고정부재를 복수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천공홀의 바닥면으로 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확공된 부위에 상기 회전고정부재가 고정 체결토록 함으로서 와이어와 같은 강연선이나 네일체 인장력에도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면이나 법면 등 다양한 지면에 고정앙카를 결합하여 연약지반이나 사면 붕괴 예방과 더불어 지면에 식생이나 배수의 용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환경과 미관 기타 친환경적인 측면도 감안한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사면보강을 위해 다양한 사면보강용 앙카가 개발되어 제공되었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기반도로나 단지조성 등 산지와 같은 사면을 개발하는 것은 불가피한 실정으로, 현재 사면의 슬라이딩 현실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주변요소로서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사면의 붕괴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한 안정공법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 와이어와 같은 강연선을 이용한 앙카 공법이다.
여기서, 앙카라 함은 원지반에 지압판 또는 지지판을 설치하여 원지반 강도를 최대한 이용하면서 복합보강지반을 형성함으로써, 지반의 전단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변위를 억제시키고 지반의 이완을 방지시키는 공법이다.
즉, 앙카 공법의 기본 설계개념은 지압판에 의해 보강된 영역의 토괴가 마치 일체화된 옹벽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 것에 의해 보강토 벽체가 가정할 수 있는 어떠한 경사면에 대해서도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앙카는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기초 터파기 등에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 들어 도로의 사면보강, 철도,댐, 터널 갱구부 등의 암반보강 등 그 적용대상이 한층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앙카는 토반에 유용하게 고안된 앙카를 암반에 접목시킨 것인데, 각종 사면의 암반구조는 토반과 달라 절리가 많은 암반, 공동층이 많은 암반, 단층의 영향을 받아 열변질화 되어 취약한 암반, 발파의 영향으로 불연속면이 발달되어 모암과 분리된 암반등 많은 사면 구조가 불안정하여 기존의 와이어를 이용한 앙카 만으로 암반사면을 보강시키는 것은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경우는 천공 홀에 와이어가 연결된 앙카를 삽입한 후 당겨 앙카가 지반 또는 암반에 걸리도록 한 후 와이어를 지압판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사면보강 구조체를 설치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천공홀에 고정된 앙카가 지반에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와이어의 인장력이 소멸되어 지반의 사면에 슬라이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분야의 선등록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0598024호의 쐐기식 앵커는 앵커공 안쪽에 삽입되는 정착 헤드와; 상기 정착 헤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중공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며 선단부가 상기 정착 헤드에 고정되며 후단부가 상기 앵커 외부의 지압수단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인장재와;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후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둘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날개 지지링과; 일단이 상기 케이싱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며 상기 날개 지지링에 의해 자유단부가 펼쳐져 상기 앵커공 주변의 지중에 쐐기식으로 박히는 하나 이상의 앵커날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특허 제0598024호는 천공홀에 앵커를 삽입한 후 인장재을 당기면 정착헤드가 당겨지면서 날개연결부가 홀 입구 측으로 이동되고 날개 지지링은 이동되지 않으므로 날개연결부를 따라 이동하던 앵커날개가 날개지지링에 의해 펼쳐지도록 하여 앵커날개가 천공 홀 내벽을 지지토록 한 구성이나, 이는 인장재를 당기는 과정에서 정착헤드가 인장재측으로 이동되려는 이동력이 생기고 후면에 설치된 패커가 날개 지지링의 이동을 저지하여 이동되는 앵커날개가 벌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인장재의 당김에 의해 패커가 함께 당겨지므로 앵커가 펼쳐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와이어 형태의 인장재를 갖는 앵커는 그라우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천공홀 내측에서 앵커날개가 펼쳐져 천공홀 내벽에 걸려지도록 하고, 정착헤드에 연결된 인장재는 당겨져 천공홀 입구에 설치된 지압판에 의해 고정되어 인장재인 와이어가 계속 당겨져 지반을 결속하도록 된 구성으로, 특허 제0598024호는 지반이 슬라이딩하기 시작하면 인장재의 인장력이 제로로 떨어져 수직하중이나 사면 하중에 대한 저지능력이 전혀 소용이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0598024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018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확공이 가능한 굴착용 비트를 이용하여 천공하되 천공홀의 바닥면을 상대적으로 확공한 후 회전축봉과 결합된 앙카를 천공홀에 삽입 설치하여 와이어 또는 네일체 일측단을 앙카에 연결하고 타측단은 사면 표면에 구비된 지압판에 고정 결합하여 인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지압판이 사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결합토록 상기 앙카에 인입출 가능한 회전고정부재를 복수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천공홀의 바닥면 확공부위에 체결토록 함으로서 와이어 인장력에도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사면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과 더불어 이와 같은 효과를 더욱 공고히 함과 동시에 지표면에 식생 또는 배수를 용이성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블럭판을 다양하게 형성 결합함으로서 친환경적이면서도 사면이나 연약지반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볼트 형식으로 하단 내주면 일정길이에는 나사부(100)가 구비된 회전축봉(10)과, 상기 회전축봉(10)과 지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지압판(S)과, 상기 지압판(S) 외주부에 상기 회전축봉(10)에 의해 결합되는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80)과, 상기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결합가능하되 천공홀(H)의 내주면에 밀착토록 하여 상기 회전축봉(10)의 중심을 유지하도록 복수개 결합되는 센터유지부재(20)와, 상기 나사부(100)에 결합 체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볼트(3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양측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된 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10)의 내주면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의 삽입체결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와이어(40)가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체결관통공(320)이 천공된 앙카본체(30)와, 상기 절개부(310)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상기 삽입체결홈(311)에 삽입 가능한 회전돌부(500)가 구비된 회전고정부재(50)와,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부재(60)가 상기 볼트(300)에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블럭판(80)은,
사방 외주면에는 판 형상으로 일측면 즉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이상의 끼움홈(801)이 중앙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가이드부(802)가 구비된 프레임판재(80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1 절개부(81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가로구획판재(81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또 다른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하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2 절개부(82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로구획판재(82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는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로구획판재(810)와 세로구획판재(820)를 상기 프레임판재(8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판재(800)와 고정 결합하는 철망(830)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볼트 형식으로 하단 내주면 일정길이에는 나사부(100)가 구비된 회전축봉(10)과, 상기 회전축봉(10)과 지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하는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80)과, 상기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결합가능하되 천공홀(H)의 내주면에 밀착토록 하여 상기 회전축봉(10)의 중심을 유지하도록 복수개 결합되는 센터유지부재(20)와, 상기 나사부(100)에 결합 체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볼트(3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양측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된 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10)의 내주면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의 삽입체결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와이어(40)가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체결관통공(320)이 천공된 앙카본체(30)와, 상기 절개부(310)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상기 삽입체결홈(311)에 삽입 가능한 회전돌부(500)가 구비된 회전고정부재(50)와,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부재(60)가 상기 볼트(300)에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블럭판(90)은 모서리블럭(900)과 측면블럭(910)과 연결블럭(920)이 각각 연결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모서리블럭(900)은,
일측 중앙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 양측에 제1 와이어관통공(9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이어관통공(901) 사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1 절개홈(9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절개홈(902)의 양측으로 각각 제1 결합홈(903)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홈(903)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2 절개홈(9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개홈(904)의 외측 하단 가까이면에는 제1 홈(905)이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홈(904)의 돌출된 상면 일측에는 제2 와이어관통공(906)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모서리 형상으로 중앙에는 제1 관통공(907)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공(907)의 상면 세방향에는 각각 제3 와이어관통공(908)이 천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측면블럭(910)은,
일측에는 모서리 형태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에는 제4 와이어관통공(9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4 와이어관통공(911)의 일측면은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3 절개홈(9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홈(912)의 사선방향 외주면 일측에는 제2 결합홈(913)이 타측에는 제1 결합돌기(9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홈(913)와 상기 제1 결합돌기(914)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반원형상의 제4 절개홈(9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상면에는 제5 와이어관통공(916)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외주면 하단 가까이에는 길게 제2 홈(9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연결블럭(920)은,
사각 형상으로 4모서리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5 절개홈(9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저면 중앙에는 저면에서 상면까지 관통되는 제6 와이어관통공(9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절개홈(921)중 대향되는 어느 한쌍의 제5 절개홈(921) 양측면에는 각각 제2 결합돌기(923)와 제3 결합홈(9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센터유지부재(20)는,
상하 양단에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200)와, 양끝단은 상기 체결부(200)에 각각 고정 결합된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210)가 복수개 이상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볼록한 항아리 형상을 이루어 중앙부가 상기 천공홀(H)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력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고정부재(60)는,
원판 형상으로서 중앙에는 상기 볼트(300)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체결공(6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6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절개부(310)와 같은 크기의 제1 절개부(6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개부(6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관통공(620)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체결관통공(320)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체결관통공(320)에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상기 와이어(4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40)를 상측으로 당길때 상기 와이어(40)와 함께 상기 체결관통공(32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서 반원형상으로 2등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는 것으로 결합된 상태인 원통형일때 상협하광의 형상을 이루는 와이어 고정부재(70)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와이어(40)는 강연선 또는 네일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와이어(40)는 상기 체결관통공(320)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 후 또 다른 하나의 체결관통공(320)을 관통 체결되어 지면으로 인출되어 인장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상기 회전고정부재(50)는 상기 절개부(310)내에서 회전하는 일측면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와,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하기 위하여 굴착용 비트로 천공홀(H)을 굴착시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확개 천공부를 형성 천공하는 천공홀 굴착단계(10)와,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의 센터유지부재(20)를 일정간격으로 결합 하고, 앙카본체(30)의 삽입체결홈(311)에 회전고정부재(50)의 회전돌부(500)를 결합한 후 상기 회전축봉(10)의 하단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100)와 앙카본체(30)에 일체로 구비된 볼트(300)를 체결 고정한 다음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와이어(40)을 관통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40)의 끝단 가까이에 와이어 고정부재(70)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봉(10)을 천공홀(H)에 삽입하는 삽입단계(S20)와, 상기 회전축봉(10)가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 확개 천공부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중력에 의해 상기 확개 천공부에서 확개 회전하여 상기 앙카본체(30)가 천공홀(H)의 바닥면에 고정하도록 하는 앙카고정단계(S30)와, 상기 와이어(40)를 지면에서 당겨 인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압판(S)에 고정 결합하는 와이어 인장단계(S40)와, 상기 지압판(S) 중앙에 상기 회전축봉(10)을 고정 결합하되 상기 지압판(S)의 외주부에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80,90)을 고정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블럭판 고정단계(S50)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상기 와이어 인장단계(S40)에서 상기 와이어(40)를 네일체로 대체 구비하여 그라우팅방식으로 하여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상기 와이어 인장단계(S40)에서 상기 와이어(40)를 하나의 체결관통공(320)에 관통후 또 다른 인접된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관통 결합하여 지면으로 인출하여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상기 앙카본체(30)의 이탈을 방지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천공홀(H)에 시멘트 등을 타설하여 고정 결합하는 시멘트타설단계(S60)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상기 블럭판(80)은,
사방 외주면에는 판 형상으로 일측면 즉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이상의 끼움홈(801)이 중앙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가이드부(802)가 구비된 프레임판재(80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1 절개부(8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가로구획판재(81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또 다른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하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2 절개부(82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로구획판재(82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는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로구획판재(810)와 세로구획판재(820)를 상기 프레임판재(8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판재(800)와 고정 결합하는 철망(830)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상기 블럭판(90)은,
일측 중앙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 양측에 제1 와이어관통공(9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이어관통공(901) 사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1 절개홈(9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절개홈(902)의 양측으로 각각 제1 결합홈(903)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홈(903)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2 절개홈(9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개홈(904)의 외측 하단 가까이면에는 제1 홈(905)이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홈(904)의 돌출된 상면 일측에는 제2 와이어관통공(906)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모서리 형상으로 중앙에는 제1 관통공(907)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공(907)의 상면 세방향에는 각각 제3 와이어관통공(908)이 천공된 모서리블럭(900)과, 일측에는 모서리 형태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에는 제4 와이어관통공(9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4 와이어관통공(911)의 일측면은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3 절개홈(9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홈(912)의 사선방향 외주면 일측에는 제2 결합홈(913)이 타측에는 제1 결합돌기(9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홈(913)와 상기 제1 결합돌기(914)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반원형상의 제4 절개홈(9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상면에는 제5 와이어관통공(916)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외주면 하단 가까이에는 길게 제2 홈(917)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블럭(910)과, 사각 형상으로 4모서리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5 절개홈(9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저면 중앙에는 저면에서 상면까지 관통되는 제6 와이어관통공(9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절개홈(921)중 대향되는 어느 한쌍의 제5 절개홈(921) 양측면에는 각각 제2 결합돌기(923)와 제3 결합홈(824)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블럭(9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과 더불어 이와 같은 효과를 더욱 공고히 함과 동시에 지표면에 식생 또는 배수를 용이성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블럭판을 다양하게 형성 결합함으로서 친환경적이면서도 사면이나 연약지반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확공이 가능한 굴착용 비트를 이용하여 천공하되 천공홀의 바닥면을 상대적으로 확공한 후 회전축봉과 결합된 앙카를 천공홀에 삽입 설치하여 와이어 또는 네일체 일측단을 앙카에 연결하고 타측단은 사면 표면에 구비된 지압판에 고정 결합하여 인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지압판이 사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앙카에 인입출 가능한 회전고정부재를 복수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천공홀의 바닥면 확공부위에 체결토록 함으로서 와이어 인장력에도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사면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키고 공사 후 많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강력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작업이 간단 용이하여 앙카 시공 시간을 단축시켜 공기와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가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가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고정부재가 천공홀 바닥면에 고정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블럭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6의 블럭판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블럭판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블럭판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9의 일부 분리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9에서 모서리블럭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9에서 측면블럭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9에서 연결블럭의 사시도,
도 14는 본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흐름도,
도 15는 본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
도 16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블럭판이 결합 설치가 완성된 단면도,
도 17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또 다른 블럭판이 결합 설치가 완성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가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가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고정부재가 천공홀 바닥면에 고정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블럭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6의 블럭판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블럭판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블럭판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9의 일부 분리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9에서 모서리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9에서 측면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에 있어서 도 9에서 연결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도 16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블럭판이 결합 설치가 완성된 단면도이고, 도 17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또 다른 블럭판이 결합 설치가 완성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봉(10)은 지면 즉 사면(E) 외부에서 회전시 체결 가능하도록 볼트 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하단 내주면 일정길이에는 나사부(1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봉(10)과 지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지압판(S)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압판(S)의 외주부에 상기 회전축봉(10)에 의해 결합되는 배수 및 식생이 용아한 블럭판(8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럭판(8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 외주면에는 판 형상으로 일측면 즉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이상의 끼움홈(801)이 중앙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가이드부(802)가 구비된 프레임판재(80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1 절개부(81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가로구획판재(81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또 다른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하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2 절개부(82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로구획판재(82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는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로구획판재(810)와 세로구획판재(820)를 상기 프레임판재(8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판재(800)와 고정 결합하는 철망(830)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기 회전축봉(10)이 상기 지압판(S)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 결합시 상기 지압판(S) 하단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830)을 관통하여 결합하되 상기 철망(830)의 상면 외주면과 상기 가로구획판재(810)가 고정 결합됨으로서 결국 상기 블럭판(80)은 상기 회전축봉(10)이 지압판(S) 및 철망(830)을 관통 결합후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됨으로서 결국 상기 블럭판(80)은 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며, 도 6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판(80)은 보강하고자 하는 사면 및 법면 전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로구획판재(810)과 세로구획판재(8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즉, 통공(840)을 통해 상기 회전축봉(10)이 돌출되어 지압판(S)이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되므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화전축봉(10)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회전축봉(10)이 구비되지 아니한 부분은 그대로 통공(840)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와 같은 통공(840)이 식생이나 배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럭판(90)의 구조를 차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블럭판(90)은,
모서리블럭(900)과 측면블럭(910)과 연결블럭(920)이 각각 연결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모서리블럭(900)은,
일측 중앙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 양측에 제1 와이어관통공(9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이어관통공(901) 사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1 절개홈(9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절개홈(902)의 양측으로 각각 제1 결합홈(903)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홈(903)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2 절개홈(9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개홈(904)의 외측 하단 가까이면에는 제1 홈(905)이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홈(904)의 돌출된 상면 일측에는 제2 와이어관통공(906)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모서리 형상으로 중앙에는 제1 관통공(907)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공(907)의 상면 세방향에는 각각 제3 와이어관통공(908)이 천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블럭(910)은,
일측에는 모서리 형태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에는 제4 와이어관통공(9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4 와이어관통공(911)의 일측면은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3 절개홈(9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홈(912)의 사선방향 외주면 일측에는 제2 결합홈(913)이 타측에는 제1 결합돌기(9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홈(913)와 상기 제1 결합돌기(914)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반원형상의 제4 절개홈(9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상면에는 제5 와이어관통공(916)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외주면 하단 가까이에는 길게 제2 홈(917)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연결블럭(920)은,
사각 형상으로 4모서리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5 절개홈(9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저면 중앙에는 저면에서 상면까지 관통되는 제6 와이어관통공(9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절개홈(921)중 대향되는 어느 한쌍의 제5 절개홈(921) 양측면에는 각각 제2 결합돌기(923)와 제3 결합홈(924)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블럭판(90)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블럭(900), 측면블럭(910), 연결블럭(920)이 조립되어 하나의 판상을 이루되 간략하게 설명하면,
인접된 상기 제1 절개홈 내지 제5 절개홈(902, 904, 912, 915, 921)간에 결합되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93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930)중 작업자가 원하거나 또는 적정한 위치에 회전축봉(10)을 결합하고 지압판(S)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기타 나머지 관통공(930)은 그대로 식생 및 배수 역할을 하도록 공간부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럭판(90)의 설치를 미리 계획 및 염두에 두고 전체 사면 또는 법면에 천공홀(H)을 천공한후 상기 블럭판(90)을 설치하여 법면 또는 사면, 기타 연약지반 전체를 친환경적이면서 붕괴를 예방하고 더 나아가서 배수 및 식생을 위한 공간부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유지부재(20)은 상기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결합가능하되 천공홀(H)의 내주면에 밀착토록 하여 상기 회전축봉(10)의 중심을 유지하도록 복수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유지부재(20)는 상하 양단에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200)와 양끝단은 상기 체결부(200)에 각각 고정 결합된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210)가 복수개 이상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볼록한 항아리 형상을 이루어 중앙부가 상기 천공홀(H)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력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상기 회전축봉(10)이 천공홀(H)내에 삽입시 상기 센터유지부재(20)가 천공홀(H) 중심축에서 기울어지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부(200)가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탄성력을 갖는 상기 밀착부(210)가 천공홀(H)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체결부(200)가 회전축봉(10)으로 부터 이탈되거나 위치 변경될 염려가 없고 상기 밀착부(210)는 천공홀(H)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서 결국 회전축봉(10)은 천공홀(H)의 중심부에서 이탈되거나 기울어질 염려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본체(30)은 상기 나사부(100)에 결합 체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볼트(3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양측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된 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10)의 내주면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의 삽입체결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와이어(40)가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체결관통공(320)이 천공된 구조이며,
상기 체결관통공(320)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체결관통공(320)의 상기 구조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40)는 강연선 또는 네일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40)은 상기 체결관통(320)에 관통 결합되어 고정토록 하거나 즉, 네일체로 사용시에는 그대로 관통 결합하여 그라우팅방식으로 고정 체결토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40)는 상기 체결관통공(320)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 후 또 다른 하나의 체결관통공(320)을 관통 체결되어 지면으로 인출되어 인장력을 발휘하도록 한 것으로서, 즉, 일단에 구비된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와이어(40)을 관통 결합한 후 또 다른 체결관통공(320)을 앙카본체(30)의 저면으로 부터 와이어(40)를 상방향으로 관통 결합하여 지면으로 인출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와이어(40)와 앙카본체(30)가 일체로 유동토록 하되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회전고정부재(50)가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와이어(40)의 인장력을 유지하면서 앙카본체(3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고정부재(50)은 상기 절개부(310)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상기 삽입체결홈(311)에 삽입 가능한 회전돌부(500)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회전고정부재(50)는 상기 절개부(310)내에서 회전하는 일측면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앙카본체(30)이 천공홀(H)의 바닥면에 안착시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천공홀(H)의 바닥면 확공부위 공간부로 하중에 의해 회전 확개되어 안착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앙카본체(30)이 천공홀(H)로 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60)은 상기 앙카본체(30)에 일체로 구비된 볼트(300)에 체결 결합되어 있어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고정부재(60)의 구체적인 구성은 원판 형상으로서 중앙에는 상기 볼트(300)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체결공(6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6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절개부(310)와 같은 크기의 제1 절개부(6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개부(6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관통공(620)이 천공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부재(70)은 상기 체결관통공(320)에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상기 와이어(4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40)를 상측으로 당길때 상기 와이어(40)와 함께 상기 체결관통공(32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서 반원형상으로 2등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는 것으로 결합된 상태인 원통형일때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70)의 역할은,
우선 상기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관통 결합된 와이어 또는 네일체 이하 와이어(40)로 통칭하며 상기 와이어(40)가 지면에서 당겨 인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와이어 끝단 가까이에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70)를 결합한 후 와이어(40)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70)가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체결관통공(320) 내에 삽입되면서 동시에 와이어(40)를 가압하여 상기 체결관통공(320)으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E는 사면 또는 지하면을 지시하는 것이며, 미설명 부호 h는 지압판(S)에 구비된 와어어 관통홀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하기 위하여 굴착용 비트로 천공홀(H)을 굴착함에 있어 상기 블럭판(80, 90)의 설치를 미리 계획하고 천공홀(H)을 일정간격 또는 소정의 위치 또는 규칙적이지만 간헐적으로 천공하되, 상기 블럭판(80, 90)은 시공하고자 하는 전체 사면이나 법면에 결합하는 것임을 염두에 두고 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즉, 상기 회전고정부재(50)이 중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확개가능하도록 확개 천공한 다음,
상기 천공홀(H)에 상기 회전축봉(10)을 삽입하되 삽입전에 상기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의 센터유지부재(20)를 일정간격으로 결합 하고, 상기 앙카본체(30)의 삽입체결홈(311)에 회전고정부재(50)의 회전돌부(500)를 결합한 후 상기 회전축봉(10)의 하단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100)와 앙카본체(30)에 일체로 구비된 볼트(300)를 체결 고정한 다음 상기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와이어(40)을 관통 결합하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와이어(40)의 끝단 가까이에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70)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H)에 삽입하며 이와 같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유지부재(20)의 밀착부(210)가 천공홀(H)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서 회전축봉(10)이 천공홀(H)의 중심부에서 이탈되거나 기울어지는 염려는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봉(10)과 그 이하 구성요소가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 확공부위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중력에 의해 확공된 공간부위로 확개 회전하면서 상기 앙카본체(30)은 천공홀(H)의 바닥면에 고정 이탈되지 아니한 상태가 되며 이를 나타낸 도면이 도 5인 것이다.
즉, 상기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와이어(40)를 지면으로 부터 당겨 인장력을 발휘하더라도 상기 앙카본체(30)가 천공홀(H)의 바닥면으로 부터 이탈되어 와이어(40)의 인장력을 훼손치 아니하며 장기간 사면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키고 공사 후 많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강력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작업이 간단 용이하여 앙카 시공 시간을 단축시켜 공기와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40)를 네일체로 대체 구비하여 그라우팅방식으로 하여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와이어(40)를 하나의 체결관통공(320)에 관통후 또 다른 인접된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관통 결합하여 지면으로 인출하여 인장력을 발휘토록 하더라도 상기 앙카본체(30)가 천공홀(H)로 부터 이탈될 염려는 전혀 없는 것이며 이와 같은 앙카본체(30)의 이탈을 방지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서 천공홀(H)에 시멘트 등을 타설하여 고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함에 있어 상기 블럭판(80, 90)은 간헐적 또는 일정간격 또는 소정의 위치마다 상기 회전축봉(10)을 결합하되 상기 블럭판(80)의 경우는 가로구획판재(810)와 세로구획판재(820)가 격자로 연결된 사각형상의 공간부 즉, 통공(840)에 지압판(S)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봉(10)을 고정하지만 모든 통공(840)에 회전축봉(10)이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간격으로 빈 공간을 형성하여 식생이나 배수를 위한 공간으로 남겨두어 친환경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블럭판(8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판재(800)을 사각 형상으로 결합 고정한 후 결합된 사각 프레임판재(800)의 하단에 철망(830)을 고정 결합한 후 결합된 상기 사각 프레임판재(800) 사이에 가로구획판재(810)을 상기 프레임판재(800)의 끼움홈(801)에 끼워 결합 고정한 후 상기 가로구획판재(810)에 구비된 제1 절개부(811)에 일치되도록 세로구획판재(820)의 제2 절개부(821)을 끼우고 끝단은 또 다른 상기 프레임판재(800)의 끼움홈(801)에 끼워 블럭판(800)을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블럭판(8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가로구획판재(810)과 세로구획판재(820) 사이 공간부 즉, 통공(840)에 상기 회전축봉(10)이 상기 철망(830)을 관통후 그 상단에 지압판(S)을 관통하고 고정너트(N)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하되 상기 통공(840)마다 회전축봉(10)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으로 구성함으로서 회전축봉(10)이 구성되지 아니한 통공(840)은 식생이나 배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블럭판(90)의 조립과정을 도 9 내지 도 13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럭판(90) 또한 상기 블럭판(80)과 같이 사면 및 법면 전체를 커버 즉, 덮는 세트화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모서리블럭(900)을 4모서리에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결합홈(903)과 연결블럭(920)의 제2 결합돌기(923)을 체결하면 상기 모서리블럭(900)의 제1 절개홈(902)와 복수개 연결블럭(920)의 상기 제5 절개홈(921)중 어느 하나와 각각 결합되어 관통공(930)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2 절개홈(904)은 측면블럭(910)의 제4 절개홈(915)과 연결블럭(920)의 또 다른 제5 절개홈(921)과 결합되어 관통공(930)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블럭(910)의 제3 절개홈(912)는 또 다른 상기 연결블럭(920)이 제5 절개홈(921)과 결합되어 또 다른 관통공(93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모서리블럭(900)과 측면블럭(910) 및 연결블럭(920)이 연결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완성된 블럭판(9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관통공(930)에 상기 회전축봉(10)이 그 상단에 지압판(S)을 관통하고 고정너트(N)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하되 상기 관통공(930)마다 회전축봉(10)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으로 구성함으로서 회전축봉(10)이 구성되지 아니한 관통공(930)은 식생이나 배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럭판(90)은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이나 법면 전체를 커버 즉, 덮어서 세트로 이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블럭판(90) 또한 상기 제1 절개홈 내지 제5 절개홈(902, 904, 912, 915, 921)간에 결합되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93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중 작업자가 원하거나 또는 적정한 위치에 회전축봉(10)을 결합하고 지압판(S)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기타 나머지 관통공은 그대로 식생 및 배수 역할을 하도록 공간부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럭판(90)의 설치를 미리 계획 및 염두에 두고 전체 사면 또는 법면에 천공홀(H)을 천공한후 상기 블럭판(90)을 설치하여 법면 또는 사면, 기타 연약지반 전체를 친환경적이면서 붕괴를 예방하고 더 나아가서 배수 및 식생을 위한 친환경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인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천공홀 굴착단계]-----S10
본 단계는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하기 위하여 굴착용 비트로 천공홀(H)을 굴착함에 있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블럭판(80, 90)의 설치를 미리 계획하고 천공홀(H)을 일정간격 또는 소정의 위치 또는 규칙적이지만 간헐적으로 천공하되, 상기 블럭판(80, 90)은 시공하고자 하는 전체 사면이나 법면에 결합하는 것임을 염두에 두고 천공하는 것이며 반면에,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즉, 회전고정부재(50)이 중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확개가능하도록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확개 천공부를 형성 천공하는 단계이다.
[삽입단계]-----S20
본 단게는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의 센터유지부재(20)를 일정간격으로 결합 하고, 앙카본체(30)의 삽입체결홈(311)에 회전고정부재(50)의 회전돌부(500)를 결합한 후 상기 회전축봉(10)의 하단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100)와 앙카본체(30)에 일체로 구비된 볼트(300)를 체결 고정한 다음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와이어(40)을 관통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40)의 끝단 가까이에 와이어 고정부재(70)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봉(10)을 천공홀(H)에 삽입하는 단게이다.
[앙카고정단계]-----S30
본 단계는 상기 회전축봉(10)가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 확개 천공부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중력에 의해 상기 확개 천공부에서 확개 회전하여 상기 앙카본체(30)가 천공홀(H)의 바닥면에 고정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와어어(40)를 인장시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상기 확개 천공부에 걸려서 이로 인해 앙카가 이탈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와이어 인장단계]-----S40
본 단계는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40)를 지면에서 당겨 인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압판(S)에 고정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와이어 인장단계(S40)에서 상기 와이어(40)를 네일체로 대체 구비하여 그라우팅방식으로 하여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와이어 인장단계(S40)에서 상기 와이어(40)를 하나의 체결관통공(320)에 관통후 또 다른 인접된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관통 결합하여 지면으로 인출하여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블럭판 고정단계]-----S50
본 단계는 상기 지압판(S) 중앙에 상기 회전축봉(10)을 고정 결합하되 상기 지압판(S)의 외주부에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80,90)을 고정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블럭판(80, 90)을 설치하는 이유는 사면 또는 법면 기타 연약지반이나 시공하고자 하는 지면을 단순히 붕괴 예방만을 목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외관적으로도 미려하고 환경적으로도 유익하며 특히, 배수의 원활성이나 삭생의 재배로 인한 토양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정앙카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 전체를 덮어 세팅화 가능한 블럭판(80, 90)을 구비하여 사이 블럭판(80, 90)에 간헐적 또는 규칙적, 일정간격으로, 소정의 위치에 상기 화전축봉(10)을 결합 고정하여 와이어(40)로 인장력을 유지하고 나머지 공간은 식생이나 배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법면이나 사면의 견고성 및 내구성과 더불어 친환경적이며 외관의 미려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블럭판(80)은 구체적인 구성은,
사방 외주면에는 판 형상으로 일측면 즉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이상의 끼움홈(801)이 중앙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가이드부(802)가 구비된 프레임판재(80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1 절개부(8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가로구획판재(81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또 다른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하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2 절개부(82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로구획판재(82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는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로구획판재(810)와 세로구획판재(820)를 상기 프레임판재(8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판재(800)와 고정 결합하는 철망(8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럭판(8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판재(800)을 사각 형상으로 결합 고정한 후 결합된 사각 프레임판재(800)의 하단에 철망(830)을 고정 결합한 후 결합된 상기 사각 프레임판재(800) 사이에 가로구획판재(810)을 상기 프레임판재(800)의 끼움홈(801)에 끼워 결합 고정한 후 상기 가로구획판재(810)에 구비된 제1 절개부(811)에 일치되도록 세로구획판재(820)의 제2 절개부(821)을 끼우고 끝단은 또 다른 상기 프레임판재(800)의 끼움홈(801)에 끼워 블럭판(800)을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블럭판(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가로구획판재(810)과 세로구획판재(820) 사이 공간부 즉, 통공(840)에 상기 회전축봉(10)이 상기 철망(830)을 관통후 그 상단에 지압판(S)을 관통하고 고정너트(N)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하되 상기 통공(840)마다 회전축봉(10)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으로 구성함으로서 회전축봉(10)이 구성되지 아니한 통공(840)은 식생이나 배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럭판(80)은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이나 법면 전체를 커버 즉, 덮어서 세트로 이용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블럭판(90)의 구성은,
일측 중앙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 양측에 제1 와이어관통공(9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이어관통공(901) 사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1 절개홈(9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절개홈(902)의 양측으로 각각 제1 결합홈(903)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홈(903)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2 절개홈(9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개홈(904)의 외측 하단 가까이면에는 제1 홈(905)이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홈(904)의 돌출된 상면 일측에는 제2 와이어관통공(906)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모서리 형상으로 중앙에는 제1 관통공(907)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공(907)의 상면 세방향에는 각각 제3 와이어관통공(908)이 천공된 모서리블럭(900)과,
일측에는 모서리 형태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에는 제4 와이어관통공(9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4 와이어관통공(911)의 일측면은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3 절개홈(9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홈(912)의 사선방향 외주면 일측에는 제2 결합홈(913)이 타측에는 제1 결합돌기(9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홈(913)와 상기 제1 결합돌기(914)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반원형상의 제4 절개홈(9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상면에는 제5 와이어관통공(916)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외주면 하단 가까이에는 길게 제2 홈(917)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블럭(910)과,
사각 형상으로 4모서리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5 절개홈(9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저면 중앙에는 저면에서 상면까지 관통되는 제6 와이어관통공(9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절개홈(921)중 대향되는 어느 한쌍의 제5 절개홈(921) 양측면에는 각각 제2 결합돌기(923)와 제3 결합홈(924)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블럭(92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블럭판(9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럭판(90) 또한 상기 블럭판(80)과 같이 사면 및 법면 전체를 커버 즉, 덮는 세트화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모서리블럭(900)을 4모서리에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결합홈(903)과 연결블럭(920)의 제2 결합돌기(923)을 체결하면 상기 모서리블럭(900)의 제1 절개홈(902)와 복수개 연결블럭(920)의 상기 제5 절개홈(921)중 어느 하나와 각각 결합되어 관통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2 절개홈(904)은 측면블럭(910)의 제4 절개홈(915)과 연결블럭(920)의 또 다른 제5 절개홈(921)과 결합되어 관통공(930)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블럭(910)의 제3 절개홈(912)는 또 다른 상기 연결블럭(920)이 제5 절개홈(921)과 결합되어 또 다른 관통공(93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모서리블럭(900)과 측면블럭(910) 및 연결블럭(920)이 연결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완성된 블럭판(90)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관통공(930)에 상기 회전축봉(10)이 그 상단에 지압판(S)을 관통하고 고정너트(N)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하되 상기 관통공(930)마다 회전축봉(10)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으로 구성함으로서 회전축봉(10)이 구성되지 아니한 관통공(930)은 식생이나 배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럭판(90)은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이나 법면 전체를 커버 즉, 덮어서 세트로 이용되는 것이다.
[시멘트타설단계]-----S60
본 단계는 추가 선택적인 단계로서,
상기 앙카본체(30)의 이탈을 방지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천공홀(H)에 시멘트 등을 타설하여 고정 결합하는 함으로서 더욱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확공이 가능한 굴착용 비트를 이용하여 천공하되 천공홀의 바닥면을 상대적으로 확공한 후 회전축봉과 결합된 앙카를 천공홀에 삽입 설치하여 와이어 또는 네일체 일측단을 앙카에 연결하고 타측단은 사면 표면에 구비된 지압판에 고정 결합하여 인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지압판이 사면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앙카에 인입출 가능한 회전고정부재를 복수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천공홀의 바닥면 확공부위에 체결토록 함으로서 와이어 인장력에도 앙카가 천공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사면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키고 공사 후 많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강력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작업이 간단 용이하여 앙카 시공 시간을 단축시켜 공기와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회전축봉 20 : 센터유지부재
30 : 앙카본체 40 : 와이어
50 : 회전고정부재 60 : 고정부재
70 : 와이어 고정부재 80 : 블럭판
90 : 블럭판 100 : 나사부
200 : 체결부 210 : 말착부
300 : 볼트 310 : 절개부
311 : 삽입체결홈 320 : 체결관통공
500 : 회전돌부 600 : 체결공
610 : 제1 절개부 620 : 관통공
800 : 프레임판재 801 : 끼움홈
802 : 끼움가이드부 810 : 가로구획판재
811 : 제1 절개부 820 : 세로구획판재
821 : 제2 절개부 830 : 철망
900 : 모서리블럭 901 : 제1 와이어관통공
902 : 제1 절개홈 903 : 제1 결합홈
904 : 제2 절개홈 905 : 제1 홈
906 : 제2 와이어관통공 907 : 제1 관통공
908 : 제3 와이어관통공 910 : 측면블럭
911 : 제4 와이어관통공 912 : 제3 절개홈
913 : 제2 결합홈 914 : 제1 결합돌기
915 : 제4 절개홈 916 : 제5 와이어관통공
917 : 제2 홈 920 : 연결블럭
921 : 제5 절개홈 922 : 제6 와이어관통공
923 : 제2 결합돌기 924 : 제3 결합홈
S10 : 천공홀 굴착단계 S20 : 삽입단계
S30 : 앙카고정단계 S40 : 인장단계
S50 : 블럭판 고정단계 S60 : 시멘트타설단계
E : 사면 또는 지하면 S : 지압판
N : 고정너트

Claims (20)

  1. 볼트 형식으로 하단 내주면 일정길이에는 나사부(100)가 구비된 회전축봉(10)과,
    상기 회전축봉(10)과 지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지압판(S)과,
    상기 지압판(S) 외주부에 상기 회전축봉(10)에 의해 결합되는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80)과,
    상기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결합가능하되 천공홀(H)의 내주면에 밀착토록 하여 상기 회전축봉(10)의 중심을 유지하도록 복수개 결합되는 센터유지부재(20)와,
    상기 나사부(100)에 결합 체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볼트(3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양측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된 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10)의 내주면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의 삽입체결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와이어(40)가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체결관통공(320)이 천공된 앙카본체(30)와,
    상기 절개부(310)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상기 삽입체결홈(311)에 삽입 가능한 회전돌부(500)가 구비된 회전고정부재(50)와,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부재(60)가 상기 볼트(300)에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판(80)은,
    사방 외주면에는 판 형상으로 일측면 즉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이상의 끼움홈(801)이 중앙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가이드부(802)가 구비된 프레임판재(80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1 절개부(81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가로구획판재(81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또 다른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하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2 절개부(82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로구획판재(82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는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로구획판재(810)와 세로구획판재(820)를 상기 프레임판재(8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판재(800)와 고정 결합하는 철망(830)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3. 볼트 형식으로 하단 내주면 일정길이에는 나사부(100)가 구비된 회전축봉(10)과,
    상기 회전축봉(10)과 지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너트(N)에 의해 고정하는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90)과,
    상기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결합가능하되 천공홀(H)의 내주면에 밀착토록 하여 상기 회전축봉(10)의 중심을 유지하도록 복수개 결합되는 센터유지부재(20)와,
    상기 나사부(100)에 결합 체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볼트(3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양측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된 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10)의 내주면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의 삽입체결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와이어(40)가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체결관통공(320)이 천공된 앙카본체(30)와,
    상기 절개부(310)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상기 삽입체결홈(311)에 삽입 가능한 회전돌부(500)가 구비된 회전고정부재(50)와,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부재(60)가 상기 볼트(300)에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판(90)은 모서리블럭(900)과 측면블럭(910)과 연결블럭(920)이 각각 연결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블럭(900)은,
    일측 중앙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 양측에 제1 와이어관통공(9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이어관통공(901) 사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1 절개홈(9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절개홈(902)의 양측으로 각각 제1 결합홈(903)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홈(903)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2 절개홈(9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개홈(904)의 외측 하단 가까이면에는 제1 홈(905)이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홈(904)의 돌출된 상면 일측에는 제2 와이어관통공(906)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모서리 형상으로 중앙에는 제1 관통공(907)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공(907)의 상면 세방향에는 각각 제3 와이어관통공(908)이 천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블럭(910)은,
    일측에는 모서리 형태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에는 제4 와이어관통공(9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4 와이어관통공(911)의 일측면은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3 절개홈(9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홈(912)의 사선방향 외주면 일측에는 제2 결합홈(913)이 타측에는 제1 결합돌기(9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홈(913)와 상기 제1 결합돌기(914)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반원형상의 제4 절개홈(9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상면에는 제5 와이어관통공(916)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외주면 하단 가까이에는 길게 제2 홈(9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920)은,
    사각 형상으로 4모서리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5 절개홈(9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저면 중앙에는 저면에서 상면까지 관통되는 제6 와이어관통공(9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절개홈(921)중 대향되는 어느 한쌍의 제5 절개홈(921) 양측면에는 각각 제2 결합돌기(923)와 제3 결합홈(9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유지부재(20)는,
    상하 양단에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200)와,
    양끝단은 상기 체결부(200)에 각각 고정 결합된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210)가 복수개 이상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볼록한 항아리 형상을 이루어 중앙부가 상기 천공홀(H)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력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60)는,
    원판 형상으로서 중앙에는 상기 볼트(300)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체결공(6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6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절개부(310)와 같은 크기의 제1 절개부(6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개부(610)를 제외한 상면 양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복수개의 관통공(620)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통공(320)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통공(320)에 관통 및 관통 체결되는 상기 와이어(4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40)를 상측으로 당길때 상기 와이어(40)와 함께 상기 체결관통공(32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서 반원형상으로 2등분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는 것으로 결합된 상태인 원통형일때 상협하광의 형상을 이루는 와이어 고정부재(70)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0)는 강연선 또는 네일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0)는 상기 체결관통공(320)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 후 또 다른 하나의 체결관통공(320)을 관통 체결되어 지면으로 인출되어 인장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부재(50)는 상기 절개부(310)내에서 회전하는 일측면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15.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토사지반의 절취, 암반사면의 절취, 자연사면 산사태발생방지로 인한 각각의 사면(법면)에 대해 사면붕괴를 보완 및 예방하기 위하여 굴착용 비트로 천공홀(H)을 굴착시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확개 천공부를 형성 천공하는 천공홀 굴착단계(S10)와,
    회전축봉(10)의 외주면에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의 센터유지부재(20)를 일정간격으로 결합 하고, 앙카본체(30)의 삽입체결홈(311)에 회전고정부재(50)의 회전돌부(500)를 결합한 후 상기 회전축봉(10)의 하단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부(100)와 앙카본체(30)에 일체로 구비된 볼트(300)를 체결 고정한 다음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와이어(40)을 관통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40)의 끝단 가까이에 와이어 고정부재(70)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봉(10)을 천공홀(H)에 삽입하는 삽입단계(S20)와,
    상기 회전축봉(10)가 상기 천공홀(H)의 바닥면 확개 천공부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고정부재(50)가 중력에 의해 상기 확개 천공부에서 확개 회전하여 상기 앙카본체(30)가 천공홀(H)의 바닥면에 고정하도록 하는 앙카고정단계(S30)와,
    상기 와이어(40)를 지면에서 당겨 인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압판(S)에 고정 결합하는 와이어 인장단계(S40)와,
    상기 지압판(S) 중앙에 상기 회전축봉(10)을 고정 결합하되 상기 지압판(S)의 외주부에 배수 및 식생이 용이한 블럭판(80,90)을 고정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블럭판 고정단계(S50)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인장단계(S40)에서 상기 와이어(40)를 네일체로 대체 구비하여 그라우팅방식으로 하여 지반의 사면하중 저항력과 결속 인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인장단계(S40)에서 상기 와이어(40)를 하나의 체결관통공(320)에 관통후 또 다른 인접된 체결관통공(320)을 통해 관통 결합하여 지면으로 인출하여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앙카본체(30)의 이탈을 방지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천공홀(H)에 시멘트 등을 타설하여 고정 결합하는 시멘트타설단계(S60)를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판(80)은,
    사방 외주면에는 판 형상으로 일측면 즉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이상의 끼움홈(801)이 중앙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가이드부(802)가 구비된 프레임판재(80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1 절개부(8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가로구획판재(81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중 또 다른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판재(800) 내측으로는 상기 끼움가이드부(802)의 끼움홈(801)에 끼워져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하측에서 중앙까지 일정길이만큼 제2 절개부(82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로구획판재(820)와,
    상기 프레임판재(800)는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가로구획판재(810)와 세로구획판재(820)를 상기 프레임판재(8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판재(800)와 고정 결합하는 철망(830)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판(90)은,
    일측 중앙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 양측에 제1 와이어관통공(9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이어관통공(901) 사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1 절개홈(9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절개홈(902)의 양측으로 각각 제1 결합홈(903)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홈(903)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2 절개홈(9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개홈(904)의 외측 하단 가까이면에는 제1 홈(905)이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홈(904)의 돌출된 상면 일측에는 제2 와이어관통공(906)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모서리 형상으로 중앙에는 제1 관통공(907)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공(907)의 상면 세방향에는 각각 제3 와이어관통공(908)이 천공된 모서리블럭(900)과,
    일측에는 모서리 형태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에는 제4 와이어관통공(9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4 와이어관통공(911)의 일측면은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3 절개홈(9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홈(912)의 사선방향 외주면 일측에는 제2 결합홈(913)이 타측에는 제1 결합돌기(9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홈(913)와 상기 제1 결합돌기(914) 끝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반원형상의 제4 절개홈(9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상면에는 제5 와이어관통공(916)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4 절개홈(915)의 외주면 하단 가까이에는 길게 제2 홈(917)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블럭(910)과,
    사각 형상으로 4모서리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반원형상의 제5 절개홈(9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저면 중앙에는 저면에서 상면까지 관통되는 제6 와이어관통공(9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절개홈(921)중 대향되는 어느 한쌍의 제5 절개홈(921) 양측면에는 각각 제2 결합돌기(923)와 제3 결합홈(924)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블럭(9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00069518A 2020-06-09 2020-06-09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3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18A KR102434456B1 (ko) 2020-06-09 2020-06-09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18A KR102434456B1 (ko) 2020-06-09 2020-06-09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705A true KR20210152705A (ko) 2021-12-16
KR102434456B1 KR102434456B1 (ko) 2022-08-19

Family

ID=7903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518A KR102434456B1 (ko) 2020-06-09 2020-06-09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89965A (zh) * 2023-03-23 2023-06-23 兰州有色冶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边坡支护开挖施工方法
KR102577895B1 (ko) * 2022-08-16 2023-09-13 주식회사 제이제이건설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06A (ko) 2003-06-26 2005-01-07 김수근 영구앙카
KR100598024B1 (ko) 2005-07-08 2006-07-07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쐐기식 앵커
KR100880162B1 (ko) * 2007-03-23 2009-02-02 주식회사 오륙개발 사면 녹화공법
KR20100067384A (ko) * 2008-12-11 2010-06-21 임영순 기능성 앵커
KR101422094B1 (ko) * 2013-03-18 2014-07-23 (유)초당지질 무수축 2단 패커를 이용한 가압식 쏘일 네일링 장치 및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06A (ko) 2003-06-26 2005-01-07 김수근 영구앙카
KR100598024B1 (ko) 2005-07-08 2006-07-07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쐐기식 앵커
KR100880162B1 (ko) * 2007-03-23 2009-02-02 주식회사 오륙개발 사면 녹화공법
KR20100067384A (ko) * 2008-12-11 2010-06-21 임영순 기능성 앵커
KR101422094B1 (ko) * 2013-03-18 2014-07-23 (유)초당지질 무수축 2단 패커를 이용한 가압식 쏘일 네일링 장치 및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895B1 (ko) * 2022-08-16 2023-09-13 주식회사 제이제이건설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CN116289965A (zh) * 2023-03-23 2023-06-23 兰州有色冶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边坡支护开挖施工方法
CN116289965B (zh) * 2023-03-23 2023-08-18 兰州有色冶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边坡支护开挖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456B1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642B1 (ko) 사면보강공사용 앵커네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1691139B1 (ko) 현장타설 말뚝과 콘크리트 기성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KR102434456B1 (ko)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66148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JP2016216975A (ja) アースアンカーの打設方法
CN108026709A (zh) 利用扩挖搅拌装置的锚固区扩大改良型地锚施工方法
KR200450097Y1 (ko) 비배수 비배토 어스앵커 천공드릴
KR102280605B1 (ko) 다확공 비트를 이용한 다목적 법면보호용 고정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28649B1 (ko)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KR200449724Y1 (ko) 확경형 락볼트
KR100575107B1 (ko) 옹벽지지를 위한 소일-네일링의 체결구조
KR102292664B1 (ko) 정착날개의 선택적 확장방향이 가능한 지압식 소일 네일
KR100984040B1 (ko) 이중 보강 공법을 통한 절토용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20160109032A (ko) 어스 앵커
KR102426620B1 (ko) 토사 및 암반 겸용 앵커
KR100674634B1 (ko) 사면보강용 앵커
KR101546723B1 (ko) 경사면 안정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안정화 시공 공법
KR20090013554A (ko) 역타형 수직 절취 사면 보강 옹벽의 시공방법
KR101300071B1 (ko) 비탈면 안정화용 콘크리트 보강블록
KR102610495B1 (ko) 절토부 자립식 옹벽시공 방법
KR100556668B1 (ko) 친환경적인 사면보강구조
JP2008101445A (ja) 組立基礎とアースアンカー
KR102272014B1 (ko)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KR200356898Y1 (ko) 소일 네일용 커플링
JPH1193166A (ja) 簡易開脚アンカー及び拡底コンクリートアンカー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