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158A -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 Google Patents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158A
KR20210152158A KR1020200068884A KR20200068884A KR20210152158A KR 20210152158 A KR20210152158 A KR 20210152158A KR 1020200068884 A KR1020200068884 A KR 1020200068884A KR 20200068884 A KR20200068884 A KR 20200068884A KR 20210152158 A KR20210152158 A KR 2021015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ear
screw thread
horizontal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001B1 (ko
Inventor
박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피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피네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피네르
Priority to KR102020006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0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과 디퓨저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부; 진동부; 진동형 케이스부;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을 통한 발광 요청 입력에 따라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이 발광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향기 발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VIBRATION TYPE DIFFUSER WITH LIGHTING}
본 발명은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과 디퓨저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퓨저는 체취를 향기롭게 하귀 위해 쓰이던 향수에서 발전했다. 중세시대 유럽에서 디퓨저가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귀족계층은 허브나 꽃에서 추판출한 아로마오일을 나무스틱으로 만든 리드를 이용해 실내에 은은하게 발향시켰다. 현대에 오면서 실내 인테리어와 쾌적한 환경조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퓨저의 대중적인 사용이 시작되었다.
디퓨저는 사무실, 집 등 자신의 생활공간을 은은한 향으로 채워줌으로써 만족감을 느끼게 해준다. 오랫동안 향이 유지되고 다양한 스틱 모양을 사용해 인테리어 효과도 줄 수 있다.
또한 천연재료와 아로마오일을 이용한 디퓨저의 경우 향기와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재료에 따라 목과 코를 시원하게 뚫어주어 편안한 호흡을 유도해 호흡기 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디퓨저도 있고, 불면증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향을 사용해 숙면 효과를 높이는 디퓨저도 있다.
인테리어로 조명과 디퓨저를 하나로 합친 상품들이 여럿 있는데 열과 냉각을 이용하여 디퓨저의 향을 발향시키며 조명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기존의 조명 겸용 디퓨저의 경우에는 LED 등의 광원이 수용되는 케이스와 해당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디퓨저를 통한 기능을 수행하였는 바, 단순히 조명의 발광 세기 또는 색깔의 조절만이 가능한 단조로운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향기의 발산도 한정되어 점진적으로 향기의 발산 능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1776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543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발광부와 향기 발산부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진동형 케이스부가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만으로도 진동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조명과 디퓨저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반구 형태의 회동 공간에 안착되는 반구 형태의 회동추, 상기 회동추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동추가 상기 회동 공간에서 회동함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지지 기둥, 및 상기 회동 공간의 천장면과 상기 회동추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둥이 직립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추의 상측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진동부;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색 또는 반투명색의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가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 기둥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둥이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진동형 케이스부;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을 통한 발광 요청 입력에 따라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이 발광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향을 발산하기 위한 에센셜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용기, 하부가 상기 수용 용기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에센셜 오일을 흡수하여 상기 수용 용기의 상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디퓨저 심지,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디퓨저 심지로부터 전달되는 에센셜 오일을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상측으로 발산시켜 주는 발산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향기 발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회동 공간의 천장면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회동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나사산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제동부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렉 기어; 및 상기 수평 렉 기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제동부는, 상기 지지 바디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는 수직 바아; 상기 수직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 및 상기 지지 원판과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원판을 지지하는 원판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판 지지부는, 상기 지지 원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발광부와 향기 발산부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진동형 케이스부가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만으로도 진동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발광부의 움직임을 구현하여 고정식의 기존 발광부의 단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향기 발산부에 진동을 가하여 향기의 발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진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진동부의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회동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10의 원판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은 도 12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1)는, 받침부(10), 진동부(20), 진동형 케이스부(30), 발광부(40) 및 향기 발산부(50)를 포함한다.
받침부(10)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회동추(200)가 안착되기 위한 회동 공간(100)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진동부(20)는, 받침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반구 형태의 회동 공간(100)에 안착되는 반구 형태의 회동추(200), 회동추(200)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추(200)가 회동 공간(100)에서 회동함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지지 기둥(300), 및 회동 공간(100)의 천장면과 회동추(200)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 기둥(300)이 직립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동추(200)의 상측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400)로 이루어진다.
즉, 진동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추(200)의 하측면이 회동 공간(100)의 하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함에 따라 회동추(2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 기둥(300)이 함께 움직임으로써, 회동추(200)에 설치되는 진동형 케이스부(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시켜 줄 수 있다.
진동형 케이스부(30)는, 내부 공간에서 발광부(40)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색 또는 반투명색의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31)가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부(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지지 기둥(300)에 설치되어 지지 기둥(300)이 움직임에 따라 함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며, 내부 공간에 수용 용기(51)가 안착되기 위한 체결부(33)가 내부 공간에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진동형 케이스부(30)에 외력을 가함에 따라 지지 기둥(300)이 회동되어 회동 공간(100)에 안착된 회동추(200)가 회동하게 되고, 회동추(200)를 지지하고 있는 회동 지지부(400)에 의해 회동추(200)가 회동 공간(100)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발광부(40)는, 진동형 케이스부(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받침부(10)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B)을 통한 발광 요청 입력에 따라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41)이 발광하여 빛을 발생시킨다.
향기 발산부(50)는, 진동형 케이스부(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향을 발산하기 위한 에센셜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용기(51), 하부가 수용 용기(51)에 안착되어 수용 용기(51)에 수용되어 있는 에센셜 오일을 흡수하여 수용 용기(51)의 상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디퓨저 심지(52),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진동형 케이스부(30)의 상측에 안착되며 디퓨저 심지(52)로부터 전달되는 에센셜 오일을 진동형 케이스부(30)의 상측으로 발산시켜 주는 발산 원판(53)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1)는, 발광부(40)와 향기 발산부(50)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진동형 케이스부(30)가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만으로도 진동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발광부(40)의 움직임을 구현하여 고정식의 기존 발광부의 단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향기 발산부(50)에 진동을 가하여 향기의 발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회동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다른 회동 지지부(400)는, 받침대(410), 승하강 슬라이더(420), 지지 바디(430), 지지 기어(440), 기어 지지 스프링(450), 수평 제동부(460) 및 수직 제동부(470)를 포함한다.
받침대(410)는, 회동 공간(100)의 천장면을 지지하며, 하측에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410)는, 원판 또는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11), 지지 플레이트(41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412) 및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홈(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 바아(412)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바아(413)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슬라이더(4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대(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S1)을 형성하여 지지 바디(430)의 안착홈(431)에 안착되며, 받침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안착홈(431)에서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사산(S1)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R)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바디(430)는, 회동추(2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431)이 상부에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S2)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 기어(440)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홈(431)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즉,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하기까지의 깊이에 대응하는 거리) 하강할 경우 승하강 슬라이더(420)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된다.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안착홈(431)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기어(44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회전 안착대(452) 및 회전 안착대(452)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안착대(452)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제동부(460)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 기어(440)의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지지 기어(440)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제동부(460)는, 수평 렉 기어(461) 및 수평 스프링(46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렉 기어(461)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평 스프링(462)은, 수평 렉 기어(4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수직 제동부(470)는, 지지 바디(430)에 설치되며, 제2 나사산(S2)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제1 나사산(S1)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제2 나사산(S2)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제동부(470)는, 수직 바아(471), 유체 탱크(472) 및 공급 라인(473)을 포함한다.
수직 바아(471)는, 지지 바디(430)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여 유체 탱크(472)를 압축시켜 준다.
유체 탱크(472)는, 수직 바아(471)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직 바아(471)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 라인(473)를 통해 제2 나사산(S2)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공급 라인(473)은, 유체 탱크(472)로부터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개별적인 공급 파이프들로 이루어지며, 유체 탱크(472)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동 지지부(400)는, 단순한 구조의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경우보다 회동 공간(100)의 천장면과 회동추(200)의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함으로써, 회동 공간(100)의 천장면과 회동추(200) 사이를 지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으로 인해 진동형 케이스부(30)가 과도하게 회동하여 지지 기둥(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 기어(440)는, 플런저(441), 하부 나사산(442) 및 기어 본체(443)를 포함한다.
플런저(44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홈(4431)에사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 나사산(442)은,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44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 나사산(443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기어 본체(443)는, 수평 제동부(46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되며, 플런저(441)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플런저(441)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4431)이 형성되며, 하부 나사산(442)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4432)이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본체(443)는,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즉, 플런저(441)는 처음 안착시에는 회전홈(4431)의 상측에 일부만이 삽입되어 안착되어 플런저(441)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기어 본체(443)는 회전하지 못하며, 플런저(441)이 회전하면서 회전홈(4431)의 바닥면에 안착되어서야 회전력에 의해 기어 본체(443)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480a, 480b)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된다.
도 8의 경우에는 두 개의 기어 블록(480a, 480b)만을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됨에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어 블록(480)은, 나사산 하부(481), 나사산 상부(482), 팽창 파우치(483) 및 후단 지지대(484)를 포함한다.
나사산 하부(481)는,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한다.
나사산 상부(482)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팽창 파우치(483)가 팽창함에 따라 승강되어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팽창 파우치(483)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4811)에 안착되며, 수직 제동부(47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나사산 상부(482)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후단 지지대(484)는, 안착홈(43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나사산 상부(482)의 후단을 지지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2)는, 받침부(10), 진동부(20), 진동형 케이스부(30), 발광부(40), 향기 발산부(50), 원판 지지부(500) 및 지지 원판(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부(10), 진동부(20), 진동형 케이스부(30), 발광부(40) 및 향기 발산부(5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원판(60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부(10)의 상부면과 평행하도록 진동형 케이스부(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판 지지부(5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원판 지지부(500)는, 지지 원판(600)과 받침부(10)의 상부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원판(60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2)는, 회동 지지부(400)에 의한 1차 지지에 더하여 지지 원판(600)의 2차 지지를 통해 진동형 케이스부(30)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본 발명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원판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판 지지부(500)는, 상부 지지대(510), 하부 지지대(520), 제1 중간 지지대(530), 제2 중간 지지대(540), "V" 형 지지대(550), 제1 수평 지지대(560), 제2 수평 지지대(570) 및 간격 지지 탄성체(58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510)는, 지지 원판(60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 원판(6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로 전달한다.
하부 지지대(520)는, 받침부(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중간 지지대(53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532)으로 이루어진다.
제2 중간 지지대(54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상부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542)으로 이루어진다.
"V" 형 지지대(550)는,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부 지지대(510)가 하강하여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상부 지지대(510)가 지지 원판(6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해당 간격을 지지하고 있는 "V" 형 지지대(550)가 지지 원판(6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1 수평 지지대(560)는,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부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대(570)는, 제1 직립 프레임(532)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 지지 탄성체(580)는, 제1 수평 지지대(56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일측 사이, 및 제1 수평 지지대(560)의 다른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560)와 제2 수평 지지대(57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준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제1 지지바아(551), 제2 지지바아(552), 하부 연결 기어(553) 및 중간 탄성체(55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바아(551)는,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제1 직립 프레임(53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V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2 지지바아(552)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바아(552)는, 하부가 제1 지지바아(551)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 또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연결 기어(553)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52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하부 렉기어(521)를 따라 이동한다.
중간 탄성체(554)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상부 연결 기어(555) 및 추가 중간 탄성체(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 기어(555)는, 제2 지지바아(552)의 상부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수평 지지대(560)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56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부 렉기어를(561) 따라 이동한다.
추가 중간 탄성체(556)는,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10: 받침부
20: 진동부
30: 진동형 케이스부
40: 발광부
50: 향기 발산부

Claims (4)

  1.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반구 형태의 회동 공간에 안착되는 반구 형태의 회동추, 상기 회동추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동추가 상기 회동 공간에서 회동함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지지 기둥, 및 상기 회동 공간의 천장면과 상기 회동추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둥이 직립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추의 상측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진동부;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색 또는 반투명색의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가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 기둥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둥이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진동형 케이스부;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을 통한 발광 요청 입력에 따라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이 발광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향을 발산하기 위한 에센셜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용기, 하부가 상기 수용 용기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에센셜 오일을 흡수하여 상기 수용 용기의 상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디퓨저 심지,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디퓨저 심지로부터 전달되는 에센셜 오일을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상측으로 발산시켜 주는 발산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향기 발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회동 공간의 천장면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회동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을 포함하는,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하는,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3. 제1항에 있어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진동형 케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 및
    상기 지지 원판과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원판을 지지하는 원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판 지지부는,
    상기 지지 원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KR1020200068884A 2020-06-08 2020-06-08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KR10234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884A KR102344001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884A KR102344001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58A true KR20210152158A (ko) 2021-12-15
KR102344001B1 KR102344001B1 (ko) 2021-12-28

Family

ID=7886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884A KR102344001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239B1 (ko) * 2023-04-20 2023-10-16 장정은 랙 보호를 위한 탄성 볼라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42Y1 (ko) * 2005-01-05 2005-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제 휘산기
US20110051983A1 (en) * 2009-09-02 2011-03-03 Joergensen Carsten Detachable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KR20120005436U (ko) 2011-01-19 2012-07-27 김송이 엘이디조명등부 브이에이브이 전동디퓨저
KR101171776B1 (ko) 2010-12-22 2012-08-06 한국광기술원 Led 조명 디퓨저를 이용한 공조 장치와 방법
WO2012173872A2 (en) * 2011-06-15 2012-12-20 Scentsy, Inc. Electrical lighting and heating modules, assemblies and scent warmers comprising such modules, and related methods
KR20140004200U (ko) * 2012-12-26 2014-07-09 김동규 아로마 테라피 디퓨져
KR20160059523A (ko) * 2014-11-18 2016-05-27 주식회사 헬스맥스 향기 분사 장치
KR101691786B1 (ko) * 2016-07-05 2017-01-02 주식회사 림피드스카이 방향제 분산 장치
KR20190021656A (ko) * 2017-08-23 2019-03-06 문학선 발향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2011504B1 (ko) * 2019-06-18 2019-08-16 에이로마 주식회사 종이 심지를 이용한 디퓨저
KR102159612B1 (ko) * 2020-08-19 2020-09-28 에이로마 주식회사 조명 겸용 방향 장치
KR102183000B1 (ko) * 2020-06-05 2020-11-25 박진선 회전식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42Y1 (ko) * 2005-01-05 2005-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제 휘산기
US20110051983A1 (en) * 2009-09-02 2011-03-03 Joergensen Carsten Detachable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KR101171776B1 (ko) 2010-12-22 2012-08-06 한국광기술원 Led 조명 디퓨저를 이용한 공조 장치와 방법
KR20120005436U (ko) 2011-01-19 2012-07-27 김송이 엘이디조명등부 브이에이브이 전동디퓨저
WO2012173872A2 (en) * 2011-06-15 2012-12-20 Scentsy, Inc. Electrical lighting and heating modules, assemblies and scent warmers comprising such modules, and related methods
KR20140004200U (ko) * 2012-12-26 2014-07-09 김동규 아로마 테라피 디퓨져
KR20160059523A (ko) * 2014-11-18 2016-05-27 주식회사 헬스맥스 향기 분사 장치
KR101691786B1 (ko) * 2016-07-05 2017-01-02 주식회사 림피드스카이 방향제 분산 장치
KR20190021656A (ko) * 2017-08-23 2019-03-06 문학선 발향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2011504B1 (ko) * 2019-06-18 2019-08-16 에이로마 주식회사 종이 심지를 이용한 디퓨저
KR102183000B1 (ko) * 2020-06-05 2020-11-25 박진선 회전식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KR102159612B1 (ko) * 2020-08-19 2020-09-28 에이로마 주식회사 조명 겸용 방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239B1 (ko) * 2023-04-20 2023-10-16 장정은 랙 보호를 위한 탄성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001B1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7295B2 (ja) フレーバーを放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16537B1 (ko)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102159612B1 (ko) 조명 겸용 방향 장치
KR102344001B1 (ko) 조명을 구비한 진동형 디퓨저
US20110134628A1 (en) Continuous Fragrance and Illumination Device with Replaceable Fragrance Refills
US8235308B2 (en) Fragrance dispensing assembly with buoyant reeds
KR102183000B1 (ko) 회전식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US7713488B2 (en) Prescented and custom scented light fixture attachment
KR102068264B1 (ko) 방향제 자동 분사 케이스
WO2021186208A1 (en) Gaming chairs with enhanced visibility lighting
US3091106A (en) Candelabra
JP2005296540A (ja) 空気砲式微粒子放出装置
JP2008272273A (ja) ヒーリング器具と照明器具とヒーリング装置
JP7378016B2 (ja) 送風装置
KR200419523Y1 (ko) 원적외선 방출유도 및 발향 유도용 실내 장식용기
WO2015190516A1 (ja) 線香煙沈留仏具、線香、香炉および装飾具
CN209610461U (zh) 一种休闲椅
GB2450963A (en) Plant and water feature
JP3153365U (ja) 香料噴霧装置
CN219398343U (zh) 融蜡装置
KR100561012B1 (ko)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101992737B1 (ko) 플로팅 led캔들
CN218269500U (zh) 一种引力扩香器
KR102177937B1 (ko) 방향제 용기
CN216319076U (zh) 一种香薰封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