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588A -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 Google Patents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588A
KR20210151588A KR1020200068619A KR20200068619A KR20210151588A KR 20210151588 A KR20210151588 A KR 20210151588A KR 1020200068619 A KR1020200068619 A KR 1020200068619A KR 20200068619 A KR20200068619 A KR 20200068619A KR 20210151588 A KR20210151588 A KR 20210151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ing
around
button switch
composite switching
aroun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권주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1588A/ko
Publication of KR2021015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발명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과,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상대 가동하여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과,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링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평면 상에 투영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의 내부에 포획 배치되는 롤링 스위치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롤링 스위치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는 서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COMPOSITE SWITCHING UNIT AND VEHICULAR STEERING WHEEL SWITCHING MODUL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멀티 복합 유니트로서, 차량의 변속 레인지의 선택 및 확인과 더불어 시각적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적 구조의 차량 변속 레인지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차량에 배치되는데, 차량의 실내 조명 내지 전조등의 조명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스위치도 배치된다.
또한,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강화시키고 운전 조작감을 증진시키도록 패들 쉬프트 레버 스위치가 차량 스티어링 휠의 측부에 부착되어 조작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하였다.
또한, 근래 차량의 자율 주행 및 차량의 전장화에 따라 물리적 조작의 최소화 및 간편한 조작성을 강화하는 방식의 변속 장치들이 개발 및 생산되고 있다. 일예로 차량의 동작 구현을 위한 다양한 구조의 장치들이 개발 및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차량용 조작 스위치의 경우에도 종래의 위치적 제약성을 갖는 배치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차량의 센터페시아 등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기도 하여 운전자의 조작성이 오히려 제한되거나 종전의 스위치와 달리 작은 버튼 형태의 구조를 취하여 조작을 위하여 직접 눈으로 확인해야 하는 과정이 요구되어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집약되는 구조의 복합적 기능의 스위치 장치들이 제조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스티어링 휠의 특성 상 배치 면적의 제약이 수반되어 다중 기능의 스위칭 장치의 배치 설계 및 제조에 상당한 문제점이 수반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조립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작동성을 강화시키며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을 약화시키지 않고 신속하게 동작 가능한 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되, 스위칭 동작시 물리적 변형으로 인한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작동감을 향상시키는 안정적인 작동성을 이루도록 하는 푸시 동작 구현을 수반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과,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과,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링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평면 상에 투영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의 내부에 포획 배치되는 롤링 스위치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롤링 스위치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는 서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과,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2310)를 구비하고,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2310)를 가동시킬 수 있는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과,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를 구비하고, 평면 상에 투영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2310)의 내부에 포획 배치되는 롤링 스위치 모듈(100)을 구비하고, 상기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와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2310)는 서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와,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가동에 의하여 작동 가능한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유니트(230)와, 일부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작동을 안내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에 푸시 동작으로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상대 가동 가능한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와,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가동에 의하여 작동 가능한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유니트(230)와, 일부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작동을 안내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 측에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와,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가 가동하는 경우,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와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연결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와 직접 접촉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 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입라이징 바아(24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탄성부(2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는: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베이스(2421)와, 일단은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베이스(24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24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2423)는: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투영시 길이를 갖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후크(24231)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후크(24231)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와 접촉 가능한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접촉부(2423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의 회동축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반경 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 사이에 배치되어 'ㄷ'자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에 회동 방향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테빌라이징 탄성부(2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접촉되고 가압력을 전달받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와,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와 체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저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의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와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에는, 서로 맞물리어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와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상대 가동을 안내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 가이드(313)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외주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링 스위치 모듈(100)은 사전 설정된 축방향 회동 동작을 감지하는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는 회동 동작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압을 감지하는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링 스위치 모듈(100)은 사전 설정된 축방향 제한된 텀블링 회동 동작을 감지하는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는 회동 동작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압을 감지하는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 감지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는 비접촉 센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은 제한된 공간에서 컴팩트한 장착성 확보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은, 복수 개의 스위칭 유니트에 대한 푸시 동작 구조의 층을 달리하는 스위칭 소자 배치 구조를 통하여 제한된 설계 면적에 대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은, 어라운드 버튼 스테빌라이징부의 가이드 구조를 통하여 노브의 뒤틀림 없이 안정적인 푸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은, 신속하고 정확한 동작 구현을 이루되 컴팩트하고 간단한 조립형 모듈 구조를 통하여 저비용 고효율 고신뢰성을 확보하고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다른 유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와 어라운드 버튼 스테빌라이징부(240)의 부분 결합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와 어라운드 버튼 스테빌라이징부(240)의 다른 부분 결합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일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어라운드 버튼 스테빌라이징부의 다른 일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1)은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10)를 포함하고, 이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1)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1)은 좌우 대칭 배치를 취할 수도 있고,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의 컴포지트 스위치 장치(10)가 양측 배치될 수도 있고, 단수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좌우 유사 구조의 컴포지트 스위치 장치(10)가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스위치 장치(10)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과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과, 롤링 스위치 모듈(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과,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상대 가동하여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과,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링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평면 상에 투영시 적어도 일부가 어라운드 스위치의 내부에 포획 배치되는 롤링 스위치 모듈을 구비하고, 롤링 스위치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는 서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310)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베이스(320)를 포함하고,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310)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베이스(32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이 안착되어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310)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베이스(32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베이스 기판(400)이 배치된다.
베이스 기판(400)에는 각종 전기 구성요소가 배치되고, 베이스 기판(400)에는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관통구 내지 측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400)의 내측에는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2320)의 관통을 허용하는 베이스 기판 푸셔 관통구(401)가 형성되고, 베이스 기판(400)의 외주에는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테빌라이징부(240)의 스테벨리아징 바아(240)의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베이스 기판(400)과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베이스(320)와의 사이 공간에 스테빌라이징 홀더(260)가 배치되고 소정의 사전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400)의 측부 하단에는 베이스 기판 커넥터(410)가 배치되고, 이를 통하여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1) 내지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베이스 기판(400)에는 각종 전기적 소자가 배치될 수도 있고,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가 비접촉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정전용량 스위치 타입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400)에는 어라운드 스위치 광원부(250)이 배치되고, 어라운드 스위치 광원부(250)에서 출력되는 빛은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광가이드(2224)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광출력구(2222)를 통하여 노출되고, 이는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의 일면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고,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의 일면에는 소정의 표면 처리, 예를 들어 레이저 에칭 등을 통하여 각종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400)의 각종 스위칭 소자들이 배치되는데, 하기되는 롤링 스위치 모듈(100)의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의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 및/또는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의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는 평면 상에 투영시 적어도 일부가 어라운드 스위치의 내부에 포획 배치되는 롤링 스위치 모듈을 구비하고, 롤링 스위치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는 서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됨으로써, 제한된 설계 영역에 대한 컴팩트한 구성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 기판(400)은 별도의 서브 기판(420)을 더 구비하는데, 서브 기판(420)은 베이스 기판(400)과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되 서브 기판(420)은 기판 커넥터를 통하여 베이스 기판(4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고, 서브 기판(420)에는 하기되는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의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유니트(230)의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231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앞서 기술한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 및/또는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의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와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구성을 통해 평면 투영시 중첩되는 배치 구성을 취하여 협소한 배치 면적 설계 제약을 해소하여 보다 컴팩트한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400)은 본 실시예에서 기판 러버 패드부(500)로 덮여지는 구성을 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에 의한 전기 구성요소의 쇼트 내지 이물로 인한 오염 등에 의하여 발생 가능한 작동 불량 등의 문제점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기판 러버 패드부(500)에도 베이스 기판(400)과 마찬가지로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내측에 관통구 및 외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기판 러버 패드부(500)의 내측에도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2320)의 관통을 허용하는 기판 러버 패드 푸셔 관통구(501)가 형성되고, 기판 러버 패드부(500)의 외주에는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테빌라이징부(240)의 스테벨리아징 바아(240)의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기판 러버 패드부(500)가 덮여지는 베이스 기판(400)과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베이스(320)와의 사이 공간에 스테빌라이징 홀더(260)가 배치되고 소정의 사전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10)는 롤링 스위치 모듈(100)를 포함하는데, 롤링 스위치 모듈(100)은 소정의 스크롤 내지 텀블링 동작을 통하여 가동 가능한 스위치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롤링 스위치 모듈(100)은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와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를 포함한다.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1110)와 스크롤 스위치 센서(1120)를 포함하고, 특히 푸시 동작에 의하여 실행되는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를 포함하도록 분류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 및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푸시 동작을 실행하는 스위치는 하기되는 바와 같이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으로 정리 기술한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110)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컴포지트 스위치 하우징 바디(310)에 안정적으로 가동되도록 배치되는데, 외주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주는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관통구(2211) 및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관통구(2221)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외부 노출을 통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110)의 외주에는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어, 스크롤 동작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110)의 일측에는 스크롤 스위치 센서(1120)가 연결되고, 스크롤 스위치 센서(1120)는 베이스 기판(4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센서(1120)는 포텐셔미터 등의 회전량 감지 구조를 취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스크롤 스위치 센서(112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스크롤 스위치 노브(110)의 회동을 감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는 텀블러 스위치 노브(1210)와 텀블러 스위치 센서(1220)를 포함한다. 텀블러 스위치 노브(120)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컴포지트 스위치 하우징 바디(310)에 안정적으로 가동되도록 배치되는데, 외주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주는 하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관통구(2211) 및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관통구(2221)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외부 노출을 통한 사용자의 텀블러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텀블러 스위치 노브(120)의 양측에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텀블러 스위치 센서(1220)를 가동시킨다. 텀블러 스위치 센서(1220)는 베이스 기판(4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텀블러 스위치 센서(1220)는 러버 패드 스위치 타입으로 구현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텀블러 스위치 센서(1220)는 앞서 기술한 기판 러버 패드부(5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취한다. 텀블러 스위치 센서(1220)는 텀블러 스위치 가동 탄성부(1221)와 텀블러 스위치 가동 접점(1223)과 텀블러 스위치 고정 접점(1225)을 포함한다. 텀블러 스위치 가동 탄성부(1221)는 기판 러버 패드부(500)에 형성되고, 텀블러 스위치 가동 접점(1223)는 텀블러 스위치 가동 탄성부(1221)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고, 텀블러 스위치 고정 접점(1225)는 베이스 기판(400)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텀블러 스위치 가동 접점(1223)와의 접속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이때, 텀블러 스위치 노브(120)의 양측에 연장된 가동부는 텀블러 스위치 가동 탄성부(1221)의 상면을 가압하여 소정의 물리적 변동에 의한 신호 출력 변화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 및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의 스크롤 내지 텀블링 동작 이외에 각각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1110)와 텀블러 스위치 노브(1210)의 푸시 동작을 통하여 소정의 스위칭 기능을 실행하는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가 더 구비된다.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는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와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를 포함하는데, 롤링 스위치 모듈(100)은 사전 설정된 축방향 회동 동작을 감지하는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를 포함하고,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는 회동 동작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압을 감지하는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롤링 스위치 모듈(100)은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를 포함하는데,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는 사전 설정된 축방향 제한된 텀블링 회동 동작을 감지하고,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에는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가 더 구비되는데,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는 회동 동작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압을 감지한다.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와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는 본 실시예에서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어 베이스 기판(4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푸시 동작을 스위칭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기술되지는 않지만, 스크롤 스위치 노브(1110)와 텀블러 스위치 노브(1210)가 사용자에 의하여 수직 가압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유격 동작을 실행하고, 스크롤 스위치 노브(1110)와 텀블러 스위치 노브(1210) 하단은 베이스 기판(400)에 배치되는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가 포함하는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와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를 각각 가동시켜 소정의 푸시 스위칭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1110)와 텀블러 스위치 노브(1210) 하단이 직접 베이스 기판(400)에 배치되는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가 포함하는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와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를 가압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별도의 플런저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접 접촉 가압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구성요소의 조립성 향상 내지 오작동 발생 가능성 저감 등에 유리한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배치 구조 상 베이스 기판(4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와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와, 스크롤 스위치 노브(1110)와 텀블러 스위치 노브(1210) 하단 사이에는 기판 러버 패드부(500)가 배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기판 러버 패드부(500)의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와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가 배치되는 대응 위치에 두께가 더 얇은 패드 형성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 러버 패드부(500)에 러버 패드 롤링 푸시 스위치 관통구가 형성되어 베이스 기판(400)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공간 제약을 완화하는 구조를 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컴포지트 스위치 장치(10)는 롤링 스위치 모듈(100)과 더불어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을 포함하는데, 폴링 스위치 모듈(100)은 스크롤 내지 텀블링 등의 회전 관련 롤링 동작으로 스위칭되는 반면, 본 발명의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롤링 스위치 모듈(100)의 외주에 배치되어 롤링 스위치 모듈(100)에서의 위치 변경을 수반하는 회전 동작 이외의 소정의 스위칭 동작 구현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비접촉식 방식, 즉 센서 내지 스위칭 소자 자체를 접촉하지 않더라도 스위칭이 가능한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를 더 포함하는데,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300)은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 감지되고,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는 비접촉 센서(정전용량 터치)일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는 정전용량스위치로 구현된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는 베이스 기판(40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이격 거리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 상의 별도의 시트 구성을 취하여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정전용량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는 각각의 스위칭 기능마다 개별 정전용량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시트형태로 일체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와,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유니트(230)를 포함하는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에 푸시 동작으로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상대 가동 가능하고,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유니트(23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가동에 의하여 작동 가능하고,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일부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일부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어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작동을 안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30)를 포함하는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에 대하여 수직 가동되는 푸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는 외주면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터치 내지 가압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에는 복수 개의 작동 스위칭 위치가 형성될 수 있는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의 외면에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돌기(2213)가 형성되어 작동 위치에 대한 촉각적 인지를 보다 강화할 수도 있다.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의 외주에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체결부(2215)가 형성되고,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체결부(2225)가 형성되어 안정적인 수직 가동 구조를 형성하면서 외형적 안정적인 배치 구조를 형성한다.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와 체결되어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외부 커버 기능을 구현한다. 이때,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중앙에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관통구(2221)가 형성되는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관통구(22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의 중앙에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관통구(2211)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관통구(2221)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 관통구(2211)를 관통하여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1110)와 텀블러 스위치 노브(1210)가 이를 통한 외부 노출을 이루어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 및 텀블러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관통구(2221)의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광출력구(2222)와 연결되고,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광출력구(2222)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광가이드(2224)에 의하여 구획되는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광가이드(2224)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저면 측에는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 광출력구(2222)는 베이스 기판(400)의 일면에 배치되는 어라운드 스위치 광원부(2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의 저면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10)의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일부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일부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어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작동을 안내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대각선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어라우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강성을 보강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강성을 강화하고 푸시 동작 구현시 틸팅 방지를 통한 안정적인 수직 가동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와,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와,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를 포함하는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 측에 배치되고,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는 양단이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어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가 가동하는 경우,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가동을 안내한다. 즉, 스테이빌라이징 홀더(26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저면 측에 연장 형성되거나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징 홀더(260)는 일체 구조를 형성하고,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의 단부에는 그립퍼 구조를 형성하여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의 상대 회동 가능한 끼움 구조를 이루나, 이는 일예로서, 상대 회동 가능한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와,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는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와 연결되고,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연결되고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와 직접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는 금속 로드 타입으로 구현되되,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는 절곡 구조를 통하여 소정의 강성을 확보하되 자중 부담을 제거하여 보다 용이하고 수월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탄성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빌라이징 바아 탄성부(270)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 측에 배치되어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복원력을 통한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원위치 복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징 바아 탄성부(270)는 토션 스프링 구조를 취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베이스(2421)와,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2423)를 포함하는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베이스(2421)는 일단이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고,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2423)는 일단이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베이스(24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베이스(320)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별도로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2423)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후크(24231)와,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접촉부(242313)를 포함한다.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후크(24231)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투영시 길이를 갖고,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접촉부(242313)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후크(24231)의 저면에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와 접촉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는 후크 구조를 형성하고, 서로 이격된 복수 배치 구조를 통하여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의 안정적인 상호 연동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의 회동축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반경 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가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 사이에 배치되어 'ㄷ'자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직선 부위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를 갖는 절곡 구조를 통하여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와 접촉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가 회동 중심으로부터 이격 거리를 갖되 복수 개의 이격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와의 안정적인 접촉 가동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스테빌라이징 탄성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스테빌라이징 탄성부(270)는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와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에 회동 방향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 스위치 노브(111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인 복귀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를 포함하는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접촉되고 가압력을 전달받고,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와 맞물리어 함께 가동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고, 스테빌라이징 홀더(260)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저면 측에 배치되어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의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와 연결되는데,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어라운드 스위치 노브부(220)의 수직 가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에는 각각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 가이드(313)가 형성되는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 가이드(313)는 서로 맞물리어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상대 가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 및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와 맞물림되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 가이드(313)의 배치 위치는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즉,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는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 가이드(313)의 상대 가동 가능한 맞물림 가동 단면 구조의 너비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 가이드(313)의 배치는 외주 배치 구조 이외에도,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 경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3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돌기 내지 로드 구조를 형성하고,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 가이드(313)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310)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유니트(230)는,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2310)를 가동시키는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2320)를 구비하고,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2320)의 적어도 일부가 컴포지트 스위치 하우징(3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2320)는 푸셔 베이스(2321)와 푸셔 샤프트(2323)을 포함하고, 푸셔 베이스(2321)는 소정의 너비를 갖는 편 형상의 블록 구조를 취하고, 푸셔 샤프트(2323)는 푸셔 베이스(2321)와 푸셔 샤프트(2323)의 단부로부터 연장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되, 푸셔 샤프트(2323)는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310)에 형성되는 컴포지트 스위치 하우징 바디 푸셔 샤프트 관통구(315)를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저면에는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 가동부(2229)가 배치되는데,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 가동부(2229)는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2320)에 가압력을 전달한다.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 가동부(2229)는 본 실시예에서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저면에 연장 형성되는 일체 구조를 취하는 경우로 구성되나,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푸셔 가동부(2229)가 로드 타입으로 형성되어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저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는 차량에 사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분야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10...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00...롤링 스위치 모듈 200...어라운드 스위치 모듈
300...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Claims (17)

  1.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과,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2310)를 구비하고,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2310)를 가동시킬 수 있는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과,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를 구비하고, 평면 상에 투영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2310)의 내부에 포획 배치되는 롤링 스위치 모듈(100)을 구비하고,
    상기 롤링 푸시 스위치(1130,1230)와 상기 어라운드 푸시 스위치(2310)는 서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와,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가동에 의하여 작동 가능한 어라운드 버튼 푸시 스위치 유니트(230)와,
    일부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작동을 안내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 측에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와,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가 가동하는 경우,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와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연결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와 직접 접촉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 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입라이징 바아(24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테빌라이징 바아 탄성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2420)는: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베이스(2421)와,
    일단은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베이스(24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2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2423)는: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에 투영시 길이를 갖는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후크(24231)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후크(24231)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와 접촉 가능한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바디 접촉부(242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홀더(2411)의 회동축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반경 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가이드(2415)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 연결부(2413) 사이에 배치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는:
    상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와 상기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에 회동 방향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테빌라이징 탄성부(2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접촉되고 가압력을 전달받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와,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커버(2210)와 체결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빌라이징 홀더(260)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저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스테빌라이징부(240)의 스테빌라이징 바아(24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와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에는, 서로 맞물리어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부(220)와 상기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300)의 상대 가동을 안내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와 컴포지트 스위칭 하우징 바디 가이드(3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가이드(2226)는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노브 바디(222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스위치 모듈(100)은
    사전 설정된 축방향 회동 동작을 감지하는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스위치 유니트(110)는 회동 동작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압을 감지하는 스크롤 푸시 스위치(1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스위치 모듈(100)은
    사전 설정된 축방향 제한된 텀블링 회동 동작을 감지하는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20)는 회동 동작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압을 감지하는 텀블러 푸시 스위치(1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스위치 모듈(200)은: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 감지되는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라운드 버튼 스위치 유니트(210)는 비접촉 센서(정전용량 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KR1020200068619A 2020-06-05 2020-06-05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KR20210151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19A KR20210151588A (ko) 2020-06-05 2020-06-05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19A KR20210151588A (ko) 2020-06-05 2020-06-05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588A true KR20210151588A (ko) 2021-12-14

Family

ID=7893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619A KR20210151588A (ko) 2020-06-05 2020-06-05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15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6689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EP0901059B1 (en) Multiple-operation joystick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7781686B2 (en) Operating element with a central pushbutton
US11339872B2 (en) Lever type vehicular remote shift switching device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US11170955B2 (en) Input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devices
EP1477999B1 (en) Switching device including stopper surface-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JP200622486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210156820A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KR20210151588A (ko) 컴포지트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칭 모듈
KR100835142B1 (ko)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US20230005678A1 (en) Switch Assembly
KR10256583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JP200622862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101514154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6934625B2 (ja) 複合操作入力装置
JP2011028637A (ja) 力覚付与型入力装置
US11915893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device
KR20180046125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230073408A (ko) 스티어링 휠 레버 스위치
KR1014812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4713425B2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101555378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JPH07261897A (ja) 自照式キースイッ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