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283A -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283A
KR20210151283A KR1020200067687A KR20200067687A KR20210151283A KR 20210151283 A KR20210151283 A KR 20210151283A KR 1020200067687 A KR1020200067687 A KR 1020200067687A KR 20200067687 A KR20200067687 A KR 20200067687A KR 20210151283 A KR20210151283 A KR 20210151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weight
composite coating
zinc phosphate
coat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158B1 (ko
Inventor
나상조
윤진두
박의영
변영민
김호영
박종규
Original Assignee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주)동진금속
박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주)동진금속, 박종규 filed Critical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6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15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07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phosphates
    • C23C22/08Orthophosphates
    • C23C22/22Orthophosphates containing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07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phosphates
    • C23C22/08Orthophosphates
    • C23C22/12Orthophosphates containing zinc cations
    • C23C22/13Orthophosphates containing zinc cations containing also nitrate or nitrite an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7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산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15중량%;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0.5 내지 10중량%; 질산 3 내지 1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3 내지 10중량%; 및 증류수 35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금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내마모성 및 윤활성 등이 우수하고, 내식성 등의 표면물성 개선 및 피막결정의 미세화를 통해 기존 인산염 피막에 비해 우수한 밀착성 및 이형성 등을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Calcium-Based Zinc Phosphate Complex Film Coating Compositions With Durability and Releasing and Coating Treatment Meth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식성 등의 표면물성 개선 및 피막결정의 미세화를 통해 기존 인산염 피막에 비해 우수한 밀착성, 이형성 및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키는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 도금기술은 약 1950년 이후로 유용한 기술로서 개발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어 왔다.
이 기술에서는 발수성을 갖는 불용성의 분말상 또는 섬유상 재료, 예컨대 플루오르화흑연 및 4플루오르화에틸렌(PTFE)과 같은 플루오르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도금액에 젖음성, 분산안정성 및 공성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중요한 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가 주목되어 왔다.
실제로 1970년 이후 계면활성제에 대해 많은 제안이 이루어져 왔는바, 예컨대 일본 특개소 49-26133호 공보에는 보조제로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도금액의 pH에서 양이온성을 나타내는 계면활성제(즉, 소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무전해 복합 도금액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일본 특개소 49-5832호 공보, 특개소 52-56026호 공보, 특개소 52-56147호 공보, 특개소 52-130434호 공보 및 특개소 54-159343호 공보에는 복합 도금액에 이용 가능한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주로 전기 복합 도금액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공보에 제안된 계면활성제는 플루오르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하다면 플루오르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병용된다.
또한, 일본 특개소 54-159343호 공보에는 플루오르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화수소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성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한편, 미국특허 제4,997,686호 공보에는 무전해 복합 도금에 유용한 계면활성제의 조합에 관한 폭넓은 기재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체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의 다른 각종 계면활성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합 도금액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본래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인 것이 유리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플루오르계 계면활성제와 탄화수소계 및 규소계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전반이 본 기술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근년 도금 산업에서 무전해 Ni-P/PTFE 복합 도금기술이 한창 이용되어 온 결과, 현재 이용되고 있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은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한편, 인산염 피막은 철강, 알루미늄, 아연 등과 그 합금들의 금속상에 인산금속염의 무기결정체나 무정형의 피막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파카라이징 또는 본데라이징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인산염 피막의 적용분야로는 윤활성 및 내마모성을 요구하는 구동부품에 주로 적용되는 피막처리방법으로 처리방법 및 설비도 간편하고 생산비용도 저렴하여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내마모성을 요구하는 내연기관 부품에는 인산염 피막이 적용되고 있지만, 그 특성상 매우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내마모성 저하로 인한 제품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원소재를 질화 및 침탄과 같은 표면경화처리를 하면 생산단가 및 처리비용이 과대하게 발생되어 제품 신뢰성에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고내마모성 및 윤활성을 요구하는 내연기관 부품 등에 적용 가능하도록 내마모성 및 윤활성 등이 우수하고, 내식성 등의 표면물성 개선 및 피막결정의 미세화를 통해 기존 인산염 피막에 비해 우수한 밀착성 및 이형성 등을 갖는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산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15중량%;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0.5 내지 10중량%;
질산 3 내지 1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3 내지 10중량%; 및
증류수 35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도금체의 표면을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연마단계;
상기 연마단계가 종료된 후 알칼리용제를 이용하여 연마된 피도금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분을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단계가 종료된 후 피도금체의 표면을 산처리하는 산세단계;
상기 산세단계가 종료된 후 표면조정제를 이용하여 피도금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하는 표면조정단계; 및
상기 표면조정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피도금체를 인산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15중량%,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0.5 내지 10중량%, 질산 3 내지 1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3 내지 10중량%, 및 증류수 35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에 침지시켜 피막을 형성시키는 피막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내마모성 및 윤활성 등이 우수하고, 내식성 등의 표면물성 개선 및 피막결정의 미세화를 통해 기존 인산염 피막에 비해 우수한 밀착성 및 이형성 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처리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의 실시예 1의 표면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인산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15중량%;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0.5 내지 10중량%; 질산 3 내지 1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3 내지 10중량%; 및 증류수 35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피도금체의 표면을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연마단계; 상기 연마단계가 종료된 후 알칼리용제를 이용하여 연마된 피도금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분을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단계가 종료된 후 피도금체의 표면을 산처리하는 산세단계; 상기 산세단계가 종료된 후 표면조정제를 이용하여 피도금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하는 표면조정단계; 및 상기 표면조정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피도금체를 인산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15중량%,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0.5 내지 10중량%, 질산 3 내지 1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3 내지 10중량%, 및 증류수 35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에 침지시켜 피막을 형성시키는 피막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도금, 특정적으로 고내마모성 및 윤활성을 요구하는 내연기관 부품 등을 도금하기 위한 복합피막액 조성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산은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에 인산아연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인산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사용량은 10 내지 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아연은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에 인산아연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산화아연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사용량은 2 내지 1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칼슘계 인산아연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피막액 조성물에 피막 결정을 미세화하여 내마모성, 내식성 등과 같은 표면 물성을 향상시키는 칼슘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사용량 0.5 내지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질산은 복합피막액 조성물의 pH를 조절 및 복합피막 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3 내지 10중량%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teflon)은 복합피막액 조성물로 형성되는 인산아연 복합피막의 내마모성 및 윤활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3 내지 10중량%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증류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증류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사용량은 35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에 따른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15 내지 25중량부의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NaNO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질산나트륨은 촉진제로서 농도가 높으면 인산아연 복합피막의 생성량이 적어지므로 농도의 관리가 중요하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착화제로서 인산아연 복합피막이 용이하게 착화될 수 있도록 복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의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글리신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안정화제로서의 역할을 제공하기 위하여 암모늄 브로마이드(Ammonium Bromide, NH4Br)를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복합피막액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퍼지고 침투될 수 있도록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비정질 조직의 치밀함을 높여 광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아스코빈산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001 내지 0.1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그네슘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피막층의 용해 속도를 낮춤으로써 피팅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몰리브덴산염 칼륨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피막형성을 화학적으로 촉진하기 위하여 니트로벤젠설퍼네이트를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막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히드록실아민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의 착화성능, 밀착성 향상 및 복합피막액 조성물의 수명연장을 위하여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구연산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은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이 산화되어 물성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아스콜빅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막액 조성물, 특정적으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피막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기 복합피막처리 방법은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을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의 일 실시양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의 통상적인 피막처리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피막처리 방법은 피도금체의 표면을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연마단계;
상기 연마단계가 종료된 후 알칼리용제를 이용하여 연마된 피도금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분을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단계가 종료된 후 피도금체의 표면을 산처리하는 산세단계;
상기 산세단계가 종료된 후 표면조정제를 이용하여 피도금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하는 표면조정단계; 및
상기 표면조정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피도금체를 인산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15중량%,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0.5 내지 10중량%, 질산 3 내지 1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3 내지 10중량%, 및 증류수 35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에 침지시켜 피막을 형성시키는 피막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합피막액 조성물 제조한 후 약 하루 동안 정치하여 안정화시킨 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마단계는 피도금체 표면의 평활성을 부여하고, 산화물을 제거하는 작업으로서, 통상적으로 금강사(#120)를 사용하여 일정 압력하에서 실시한다.
또한, 상기 탈지단계는 피도금체를 70 내지 80℃의 알칼리용제에 15 내지 25분 동안 침지하여 디그리즈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세단계는 피도금체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 스케일을 산용액, 예를 들면 염화수소(HCl) 등을 사용하여 스케일 제거하고, 그 표면의 버(Burr)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조정단계의 표면조정제는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100중량부 기준으로, 테트라소디움 피로포스페이트 20 내지 80중량부; (1-하이드록시 에틸리덴)비스-포스폰산 테트라 나트륨 염 30 내지 60중량부; 탄산나트륨 60 내지 120중량부; 및 인산 트라이나트륨 2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피막처리단계는 산비가 7 내지 8, 90 내지 95℃의 온도범위로 유지되는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에서 4 내지 6분, 바람직하게는 약 5분 동안 침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지시간이 4분 미만이면 복합피막의 결정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공석이 적을 수 있고, 침지사간이 6분을 초과하는 경우 과잉시간 부여에 따른 결정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공석의 효과는 미비하여 생산성 및 에너지 사용량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마단계, 탈지단계, 산세단계, 표면조정단계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계의 후단에 각 단계가 종료된 피도금체를 세정하는 세정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산 17g, 산화아연 10g, 질산칼슘 7g, 질산 8g,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8g, 및 증류수 50g을 혼합하여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질산칼슘 3g 대신 수산화칼슘 3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질산칼슘 3g 대신 질산칼슘 1.5g과 수산화칼슘 1.5g을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질산나트륨 2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시트르산 8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암모늄 브로마이드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L-아스코빈산 0.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마그네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몰리브덴산염 칼륨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니트로벤젠설퍼네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히드록실아민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구연산나트륨 8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스콜빅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13를 모두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을 피막형성을 위한 도금조에 넣은 뒤 약 92℃의 온도 및 7.5의 산비로 유지하였다.
그 다음 도금조에 금속 피도체를 약 5분간 피막처리하여 인산아연 복합피막을 형성시켰다.
여기서, 상기 도금되는 금속 피도체는 금강사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마한 뒤 약 75℃의 온도로 유지되는 수산화나트륨에서 약 20분 동안 디그리즈하고, 이를 염화수소로 산세처리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 다음, 피막된 금속 피도체의 물성을 평가하여 표 1로 나타냈다.
여기서, 내식성은 피막이 형성된 금속 피도체를 용액(NaOH 5%)에 1분 동안 침적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결과를 확인하였고, 윤활성은 윤활성 테스터(MOBILITY TESTER)로 그 값이 0.10~0.14를 유지하는지 확인하였고, 밀착력 실험은 KS D 0254 실험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경도(Hv) 내식성 윤활성 밀착력 실험
실시예 1 494.2 100%백청 0.12 이상무
실시예 2 492.5 100%백청 0.12 이상무
실시예 3 494.4 100%백청 0.11 이상무
실시예 4 484.8 100%백청 0.13 이상무
실시예 5 498.5 100%백청 0.10 이상무
실시예 6 489.9 100%백청 0.12 이상무
실시예 7 484.8 100%백청 0.13 이상무
실시예 8 485.3 100%백청 0.13 이상무
실시예 9 486.1 100%백청 0.14 이상무
실시예 10 498.3 100%백청 0.13 이상무
실시예 11 489.8 100%백청 0.12 이상무
실시예 12 486.2 100%백청 0.11 이상무
실시예 13 481.7 100%백청 0.13 이상무
실시예 14 483.8 100%백청 0.13 이상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경도가 높고, 내식성, 윤활성 및 밀착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인산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15중량%;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0.5 내지 10중량%;
    질산 3 내지 1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3 내지 10중량%; 및
    증류수 35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2. 피도금체의 표면을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연마단계;
    상기 연마단계가 종료된 후 알칼리용제를 이용하여 연마된 피도금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분을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단계가 종료된 후 피도금체의 표면을 산처리하는 산세단계;
    상기 산세단계가 종료된 후 표면조정제를 이용하여 피도금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하는 표면조정단계; 및
    상기 표면조정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피도금체를 인산 10 내지 20중량%, 산화아연 2 내지 15중량%, 질산칼슘,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0.5 내지 10중량%, 질산 3 내지 1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3 내지 10중량%, 및 증류수 35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에 침지시켜 피막을 형성시키는 피막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처리 방법.


















KR1020200067687A 2020-06-04 2020-06-04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 KR10243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687A KR102435158B1 (ko) 2020-06-04 2020-06-04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687A KR102435158B1 (ko) 2020-06-04 2020-06-04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283A true KR20210151283A (ko) 2021-12-14
KR102435158B1 KR102435158B1 (ko) 2022-08-23

Family

ID=7893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687A KR102435158B1 (ko) 2020-06-04 2020-06-04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1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06A (ko) * 1995-06-14 1997-01-21 이승춘 수동운반용 화물 운송장치
JP2002206173A (ja) * 2000-11-09 2002-07-26 Nkk Corp 耐食性、成形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06A (ko) * 1995-06-14 1997-01-21 이승춘 수동운반용 화물 운송장치
JP2002206173A (ja) * 2000-11-09 2002-07-26 Nkk Corp 耐食性、成形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158B1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6553B1 (en) Producing metal member with enhanced corrosion resistance by salt bath nitriding
JP5865924B2 (ja) 窒化又は浸炭窒化された鋼製部材の耐蝕性表面の製造方法
CA2178146C (en) Electroless nickel cobalt phosphorous composition and plating process
US5897965A (en) Electrolessly plated nickel/phosphorus/boron system coatings and machine parts utilizing the coatings
JP2011506762A5 (ko)
CN106191761B (zh) 低温盐浴碳氮共渗剂及其在活塞杆表面处理中的应用
US8404097B2 (en) Process for plating a metal object with a wear-resistant coating and method of coating
JP3491811B2 (ja) 摺動部材及びピストン
KR20040058040A (ko) 화성 처리제 및 표면 처리 금속
JP3388510B2 (ja) 耐食、耐摩耗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35158B1 (ko) 이형성 및 내구성 기능이 부여된 칼슘계 인산아연 복합피막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처리 방법
JP2001192850A (ja) 摺動部品用表面処理液及び摺動部品の表面処理方法及び摺動部品
JPH0665751A (ja) 無電解複合めっき浴及びめっき方法
JPS63286585A (ja) チタンまたはその合金の化成処理液ならびに該化成処理液でのチタンまたはその合金の表面処理方法
US6569537B1 (en) Surface treatment method sliding member and piston
KR102232161B1 (ko) 무전해 니켈-인-이산화티타늄 도금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도금방법
JP4150785B2 (ja) 鉄または鉄合金の硫化処理法
JP4806722B2 (ja) 金属の塩浴窒化方法及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金属
JP3033455B2 (ja) アルミニウムの無電解ニッケルめっき方法
US9708693B2 (en) High phosphorus electroless nickel
JP3249059B2 (ja) 金属摺動部材用表面処理液および表面処理方法
GB2560969A (en) Electroless plating
JPH1046361A (ja) アルミニウム合金摺動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ピストン
KR20100100407A (ko) 내식성이 우수한 무전해 니켈 도금액을 이용한 무전해 도금방법
FR2559788A1 (fr) Bain pour le depot de cuivre par voie non electrolytique sur des substrats et son procede d'utili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