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701A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701A
KR20210150701A KR1020200067464A KR20200067464A KR20210150701A KR 20210150701 A KR20210150701 A KR 20210150701A KR 1020200067464 A KR1020200067464 A KR 1020200067464A KR 20200067464 A KR20200067464 A KR 20200067464A KR 20210150701 A KR20210150701 A KR 20210150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mage
display
unit
scree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0701A/en
Publication of KR2021015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7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60K37/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B60K2370/1526
    • B60K2370/52
    • B60K2370/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in front of a driver and configured to display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n a direction toward the driver and configured to display a second imag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images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is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o that a driver can recognize an image on which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superimpo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when there is a defective display unit, a normal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exhibits further improved visibility.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표시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이용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vehicle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vehicle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차량의 운전석 전면에는 주행과 관련된 정보와 각종 장치의 작동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클러스터(cluster)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과 관련된 정보로는 예컨대, 차속계, 구간거리계, 적산계, RPM(Revolution Per Minute) 속도계, 연료계 등이 있다. 한편, 장치의 작동상태 정보로는 예컨대, 브레이크(brake) 경고등, 시트벨트(seat belt) 경고등, ABS(Anti-lock Brake System) 경고등, TCS(Traction Control System) 경고등 등이 있다.A cluster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hat provides driving-related information and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to the driver. The driving-related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a vehicle speedometer, an odometer, a totalizer, a revolution per minute (RPM) speedometer, and a fuel gauge. Meanwhile, the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brake warning light, a seat belt warning light,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warning light, a traction control system (TCS) warning light, and the like.

차량의 고급화 및 다기능화에 따라 많은 차량 정보가 운전자에게 제공되고있으므로,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클러스터에 각종 정보를 최적의 레이아웃(layout)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표시해야 되는 정보의 양에 비해 클러스터의 정보 표시 면적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클러스터의 복잡성이 점점 증가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As a lot of vehicl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river according to the luxury and multi-function of the vehicle, a method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n an optimal layout on a cluster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is required. However, since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of the cluster is limited compared to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e complexity of the cluster gradually increas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10-2012-0032594호 '투명정보표시창을 구비한 자동차용 클러스터(Cluster for Vehicle Having Transparent Display)'등이 있다. 이 선행기술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의 정보 표시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의 과밀성을 해소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클러스터를 제공한다.As a related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there is 'Cluster for Vehicle Having Transparent Display', etc.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2594. This prior art provides a cluster for automobiles in which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of the cluster is expand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thereby resolving overcrowding of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luster and improving visibility.

한편,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하나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및 여타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one cluster display is controlled by one controller, and 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cluster display and other displays are controlled by one controller. .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부(first display unit, 100), 제1 화면제어부(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VN 디스플레이부(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unit, 120) 및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부(infotainment display unit, 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00 , a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 and an AVN display unit 120 . ) and an infotainment display unit (infotainment display unit, 140).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클러스터(cluster)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하는 이미지는 제1 화면제어부(10)에 의해서 제어된다. 여기서, 클러스터란 차량의 운행 중 운전자에게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량 등의 차량정보를 알려주는 계기판을 말한다.The first display unit 100 refers to a display displayed on a cluster, and the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is controlled by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 Here, the cluster refers to an instrument panel that informs the driver of vehicle information such as vehicle speed, engine rotation speed, and fuel amount while the vehicle is being driven.

제1 화면제어부(1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어한다. 여기서 이미지를 제어한다는 것은 제1 화면제어부(10)가 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제1 디스플레이부(100)에 전송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즉, 기존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진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제어부가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 Here, controlling the image means that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generates an image according to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m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100 to generate the image generat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 means to display That is,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one controller controls a cluster display mad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to display an image.

AVN 디스플레이부(120)는 차량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운전석 및 보조석의 등받이 후면 등에 위치할 수 있고,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 내비게이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The AVN display unit 120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the back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etc.,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audio and video reproduction and navigation.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부(140)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운전석 및 보조석의 등받이 후면 등에 위치할 수 있고, 오락 관련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infotainment display unit 140 may be located on the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the back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nd the like, and serves to provide various entertainment-related contents.

제1 화면제어부(1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뿐만 아니라, AVN 디스플레이부(120),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부(140)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ll images displayed by the AVN display unit 120 and the infotainment display unit 140 as well as the first display unit 100 .

다만, 위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선행기술은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고장난 경우, 예컨대, LCD의 백라이트(back light) 부분에 블랙아웃(black-out)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해야 하는 이미지를 다른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해줄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시스템 전체가 자동차용 기능안전성 국제표준을 충족시키기 어려우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재료 및 개발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nd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display unit 100 fails, for example, when a black-out phenomenon occurs in a backlight portion of the LCD, the first display An image to be displayed by the unit 100 cannot be displayed by another display unit.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entire display system to satisfy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functional safety for automobil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iderable materials and development costs are consumed in order to satisfy this.

이에,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와 투명 디스플레이가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고장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자동차용 기능안전성 국제표준을 보다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by allowing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and the transparent display to be controlled by separate control mean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system and reduce the failure rate,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functional safety for automobiles is better A main object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for a vehicle that can be easily satisfied.

또한, 본 개시는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및 투명 디스플레이가 물리적으로 이격됨으로써,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mai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vehicle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with improved visi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luster display by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and the transparent displa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 전방에 위치하여 제1 이미지(first image)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부(first display unit);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운전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이미지(second image)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부(second display unit);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contro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가 중첩된(superimposed)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고장인 디스플레이부가 있는 경우,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first display unit (first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first image (first image) located in front of the driver; a second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driver's direction and configured to display a second imag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spectively control the images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wherein the second display unit is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o that the driver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be able to recognize an image in which the superimposed (superimposed) image is recognized, and when there is a defective display unit, the normal display unit controls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as well It provides a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운전자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first display unit)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운전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second display unit)가 각각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고장인 디스플레이부가 있는 경우,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가 중첩된(superimposed)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iver and a second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driver's direction display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respectively. process;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faulty; and when there is a defective display unit, controlling the normal display unit to als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wherein the second display unit is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o that the driver Provided is a method for displaying a displa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image and an image in which the second image is superimposed can be recogniz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와 투명 디스플레이가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고장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자동차용 기능안전성 국제표준을 보다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re controlled by separate control mean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system and reduce the failure rat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automotive functional safe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atisfied.

또한,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및 투명 디스플레이가 물리적으로 이격됨으로써,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visi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안전 설계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안전 설계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functional safety design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functional safety design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rst, second, i), ii), a), b) may be used. These sign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signs.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

이하 도면에서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광학접착부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표현한 것이고, 디스플레이부 및 광학접착부의 두께 및 크기 등은 실제 구성과 다를 수 있다.The display unit and the optical adhesive shown in the drawings are somewhat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and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display and the optical adhesive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configuration.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의 (a)는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와 투명 디스플레이가 각각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b)는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및 기타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는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conventional cluster display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re controlled by separate control units, and FIG. 2B is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and other displays controlled by one control unit. On the other hand, it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transparent display is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 unit.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second display unit, 200), 제1 광학접착부(first optical adhesive unit, 150), 제1 화면제어부(10), 제2 화면제어부(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AVN 디스플레이부(120) 및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2 and 3 , the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00 , a second display unit 200 , and a first optical adhesive unit. , 150 ),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 the AVN display unit 120 , and all or a part of the infotainment display unit 140 .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운전자 전방에 위치하여 제1 이미지(first image, 105)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기존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하는 제1 이미지(105)는 제1 화면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를 제어한다는 의미는 화면제어부가 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설명에서 이미지를 제어한다는 표현은 위와 동일한 의미이다.The first display unit 10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iver and configured to display a first image 105 . The first display unit 100 may correspond to a cluster display included in an existing vehicle display device. The first image 105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may be controlled by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 Here, the meaning of controlling the image means that the screen control unit generates an image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mage to the display unit to cause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generated imag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expression controlling the image has the same meaning as above.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display unit 10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로부터 운전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이미지(second image, 205)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표시하는 제2 이미지(205)는 제2 화면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운전자가 제1 이미지(105) 및 제2 이미지(205)가 중첩된(superimposed)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차례대로 운전자 전방에 제2 이미지(205)와 제1 이미지(105)가 표시됨으로써 운전자는 제1 이미지(105)와 제2 이미지(205)가 중첩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The second display unit 20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100 in the driver's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a second image 205 . The second image 205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200 may be controlled by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 The second display unit 200 may be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105 and the second image 205 are superimposed. can That is, based on the driver, the second image 205 and the first image 105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front of the driver, so that the driver can view the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105 and the second image 205 are superimposed. can recognize

다만, 제1 디스플레이부(100)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이미지(105)와 제2 이미지(205)가 중첩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first display unit 100 or the second display unit 200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105 and the second image 205 are superimposed as one image.

제2 디스플레이부(200)를 구성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O-TFT: Oxide Thin Film Transistor)와 같은 투명전자소자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나,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폴리머 유기 발광 다이오드(POLED: 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TOLED: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ssion Diode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constituting the second display unit 200 includes, for example, a display using a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oxide thin film transistor (O-TFT) or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Diodes), 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OLED),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ssion Diodes (TOLED), and the like.

제1 디스플레이부(100)와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고 각각 별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전체적인 이미지에 대해 공간감 및 입체감을 느낄 수 있고, 그 결과 운전자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display separate images, the driver can feel the spatial and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overall image, and as a result, the driver's visibility This has an improved effect.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하는 제1 이미지(105)는 기능안전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이미지이고,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표시하는 제2 이미지(205)는 기능안전과 관련된 이미지일 수 있다. 예컨대, 기능안전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이미지는 클러스터의 배경화면, 미터 게이지(meter gauge), 지도 등과 같은 이미지가 될 수 있고, 기능안전과 관련된 이미지는 경고등 표시, 게이지 포인터(gauge pointer), 경로 안내 아이콘(route guidance icon) 등과 같은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다만, 제1 이미지(105) 및 제2 이미지(205)가 반드시 위와 같은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image 105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is an image not directly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and the second image 205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200 i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It can be an image. For example, an image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may be an image such as a background screen of a cluster, a meter gauge, a map, etc., and an image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is a warning light display, a gauge pointer, and a route guidance. It may be an image such as a route guidance icon. However, the first image 105 and the second image 205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by the first screen controller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ler 20 .

제1 광학접착부(15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를 서로 고정시킨다. 제1 광학접착부(150)는 투명하게 구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하는 제1 이미지(105)와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표시하는 제2 이미지(205)를 운전자가 중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optical adhesive unit 1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re fixed to each other. The first optical adhesive unit 150 is transparent, so that the driver overlaps the first image 105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image 205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200 It is desirable to make it recognizable.

제1 광학접착부(150)는 예컨대,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 투명 레진(OCR: Liquid Optically Clear Resin)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광학접착부(150)가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공기층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빛 반사 현상을 줄여주고, 이에 따라 빛 반사 현상에 의한 시인성 저하 문제를 보완해줄 수 있다.The first optical adhesive unit 15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transparent adhesive film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using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OCR: Liquid Optically Clear Resin). . Since the first optical adhesive unit 1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it may occur due to an air layer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ight reflection phenomenon, and thus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visibility due to the light reflection phenomenon.

제1 화면제어부(1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화면제어부(20)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 Similarly,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즉, 제1 화면제어부(10)는 제1 이미지(105)를 변경할 수 있고, 제2 화면제어부(20)는 제2 이지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제어부(10)와 제2 화면제어부(2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creen controller 10 may change the first image 105 ,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ler 20 may change the second image. Also,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re faulty.

자동차용 기능안전성 국제표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차량용 클러스터 장치에도 기능안전 설계가 필요하며, 여기서 기능안전 설계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일부가 고장인 경우,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는 설계를 말한다. In order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functional safety for automobiles, a functional safety design is also required for a vehicle cluster device, where functional safety design refers to a design in which a normal display unit responds to a failure situation when some of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re defective. .

따라서, 제1 화면제어부(10)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고장인 경우, 제2 이미지(205)도 제1 이미지(105)와 함께 제1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화면제어부(2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고장인 경우, 제1 이미지(105)도 제2 이미지(205)와 함께 제2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도록 제2 디스플레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는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Accordingly,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200 fails,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first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econd image 205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105 on the first display unit 100 . The unit 100 can be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display unit 100 fails,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second display unit 200 to display the first image 105 together with the second image 205 on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The display unit 200 may be controlled. That is,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control the normal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as well.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부(100)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고장인 경우, 예컨대, LCD의 블랙아웃 현상 또는 OLED의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고장나지 않은 정상인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105) 및 제2 이미지(205)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display unit 100 or the second display unit 200 fails, for example, even when a blackout phenomenon of the LCD or a burn-in phenomenon of the OLED occurs, the normal display unit that does not fail Both the first image 105 and the second image 205 may be displayed by using the .

한편,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는 각각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1 디스플레이부(1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서로 간에 킵-얼라이브 신호(keep-alive signal)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는 각각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정상 작동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서로에게 킵-얼라이브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둘 중 어느 하나의 화면제어부가 킵-얼라이브 신호를 송출하지 않으면, 신호를 송출한 화면제어부는 미송출 화면제어부가 제어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고장이라고 판단한다. 다만, 반드시 킵-얼라이브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화면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정보를 별도로 수신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each have a keep-alive signal (keep-)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first display unit 100 are faulty, respectively. alive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at is,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keep each other at a preset time interval when the display panels of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operate normally, respectively. - Transmit an ALIVE signal. At this time, if either screen controller does not transmit the keep-alive signal, the screen controller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determines that the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the image controlled by the non-transmitted screen controller is defectiv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re fault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keep-alive signal. can also be judged.

AVN 디스플레이부(120) 및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부(140)와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서의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Descriptions related to the AVN display unit 120 and the infotainment display unit 14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in the prior art, and thus will be omitted herei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기능안전 설계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시인성이 향상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by implementing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ith improved visibility and functional safety design.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안전 설계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functional safety design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경우 작동한다(S40). 즉,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는 각각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어한다.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각각 제1 이미지(105) 및 제2 이미지(205)를 표시하는 동안,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는 서로 간에 킵-얼라이브 신호를 송수신한다(S42).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는 둘 중 어느 화면제어부가 킵-얼라이브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 두 화면제어부 모두 킵-얼라이브 신호를 송출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1 화면제어부(10) 및 제2 화면제어부(20)는 계속해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킵-얼라이브 신호를 송수신한다. 둘 중 어느 하나의 화면제어부가 킵-얼라이브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신호를 송출한 화면제어부는, 신호를 미송출한 화면제어부가 제어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던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이라고 판단한다(S46). 이에 따라, 신호를 송출한 화면제어부는 고장인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48).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operat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 S40 ). That is,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control images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respectively. While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display the first image 105 and the second image 205, respectively,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 transmit/receive a keep-alive signal to and from each other (S42).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20 determine which screen control unit does not transmit the keep-alive signal (S44). When it is determined that both screen controllers transmit the keep-alive signal, the first screen controller 10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ler 20 continuously transmit/receive the keep-alive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either screen controller does not transmit the keep-alive signal, the screen controller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determines that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 controlled by the screen controller that did not transmit the signal is faulty (S46) . Accordingly, the screen control unit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control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normal display unit (S48).

위와 같이 기능안전 설계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다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난 디스플레이부의 이미지까지 함께 표시할 수 있으므로, 기능안전에 대한 국제표준, 예컨대 ISO 26262 등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functional safety desig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one display unit fails, an image of the other display unit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lfunctioning display unit, so that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functional safety, such as ISO 26262, can be more easily achieved.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제3 디스플레이부(third display unit, 300), 제1 광학접착부(150), 제2 광학접착부(second optical adhesive unit, 250) 및 제3 화면제어부(third screen control unit, 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a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00 , a second display unit 200 , a third display unit 300 , and a first optical adhesive unit. 150 , all or part of a second optical adhesive unit 250 and a third screen control unit 30 .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1 광학접착부(150)와 관련된 내용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irst display unit 100 ,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and the first optical adhesive unit 15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dditional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do.

제3 디스플레이부(300)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로부터 운전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 이미지(third image, 미도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3 디스플레이부(300)는, 운전자가 제1 이미지(105), 제2 이미지(205) 및 제3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차례대로 운전자 전방에 제2 이미지(205)와 제1 이미지(105)가 표시됨으로써 운전자는 제1 이미지(105)와 제2 이미지(205)가 중첩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The third display unit 30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200 in the driver's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a third image (not shown). The third display unit 300 may be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in order to allow the driver to recognize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105 , the second image 205 and the third image are superimposed. That is, based on the driver, the second image 205 and the first image 105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front of the driver, so that the driver can view the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105 and the second image 205 are superimposed. can recognize

다만,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제3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 이미지(105), 제2 이미지(205)및 제3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first display unit 100 ,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or the third display unit 300 corresponds to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105 , the second image 205 and the third image are superimposed. Images can also be displayed as a single image.

제2 디스플레이부(200)와 마찬가지로 제3 디스플레이부(300)를 구성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투명전자소자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나,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폴리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Like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the transparent display constituting the third display unit 300 includes, for example, a display using a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oxide thin film transistor, an activ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t may be made of a diode or the like.

한편, 제1 이미지(105)가 기능안전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이미지이고, 제2 이미지(205)가 기능안전과 관련된 이미지인 경우,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표시하는 제3 이미지는 공간감 표현(spatial expression)을 위한 이미지일 수 있다. 예컨대, 제3 이미지는 분할 깊이 GIF(split depth Graphics Interchange Format)를 이용한 가상의 선을 표현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제3 이미지가 위와 같은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화면제어부(30)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105), 제2 이미지(205) 및 제3 이미지는 용도 및 상황에 따라서 그 내용이나 형식이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image 105 is an image not directly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and the second image 205 is an image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the third image displayed by the third display unit 300 expresses a sense of space It may be an image for (spatial expression). For example, the third image may be an image expressing a virtual line using split depth graphics interchange format (GIF). However, the third imag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by the third screen controller 30 . That is, the content or format of the first image 105 , the second image 205 , and the third im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ituation.

제2 광학접착부(250)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를 서로 고정시킨다. 제2 광학접착부(250)는 투명하게 구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하는 제1 이미지(105),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표시하는 제2 이미지(205)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표시하는 제3 이미지를 운전자가 중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optical adhesive unit 25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such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are fixed to each other. The second optical adhesive unit 250 is transparent, and the first image 105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the second image 205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third display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driver to overlap and recognize the third image displayed by the unit 300 .

제2 광학접착부(250)는 제1 광학접착부(150)와 마찬가지로 투명 접착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 투명 레진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광학접착부(250)가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의 공기층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빛 반사 현상을 줄여주고, 이에 따라 빛 반사 현상에 의한 시인성 저하 문제를 보완해줄 수 있다.The second optical adhesive unit 25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adhesive film like the first optical adhesive unit 150 ,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using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Since the second optical adhesive unit 25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 it may occur due to an air layer between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ight reflection phenomenon, and thus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visibility due to the light reflection phenomenon.

제3 화면제어부(3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그 중 하나 또는 2개가 고장난 경우,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난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images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100,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are faulty, and when one or two of them are faulty, the normal display unit i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aulty display unit. can also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together.

제3 화면제어부(30)는 예컨대, 고성능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성능 GPU는 동시에 복수의 그래픽 이미지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도 복수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핀을 구비한다. 즉, GPU는 락스텝(lockstep) 방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연산 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3 화면제어부(30)는 제1 이미지(105), 제2 이미지(205) 및 제3 이미지를 상황 및 용도에 따라 독립적으로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30 may be configured using, for example, a high-performanc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high-performance GPU can generate a plurality of graphic image layers at the same time, and has a plurality of pins capable of physically transmitting a plurality of images. That is, the GPU may perform the same set of operations at the same time using a lockstep method.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third screen controller 30 may independently generate and transmit the first image 105 , the second image 205 , and the third ima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uses.

제3 화면제어부(30)는 고장판단부(failure determining unit, 32) 및 이미지처리부(image processing unit, 3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30 may include all or part of a failure determining unit 32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34 .

고장판단부(32)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영상정보의 오류를 검출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제3 화면제어부(30)가 고성능 GPU로 구성된 경우, 각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정보는 복수의 핀을 통해서 고장판단부(32)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고장판단부(32)는 영상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면 오류가 검출된 영상을 표시하던 디스플레이부를 고장이라고 판단한다. 고장판단부(32)는 오류정보를 이미지처리부(34)에 송신하며, 이로써 이미지처리부(34)는 어느 디스플레이부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100 ,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 detects an error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failure. When 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30 is configured with a high-performance GPU, image information of each display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through a plurality of pi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detects an error in the imag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 in which the error is detected is defective.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transmits error information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34 , whereby the image processing unit 34 can know which display unit has the failure.

이미지처리부(34)는 고장판단부(32)로부터 오류정보를 수신하고, 오류가 검출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부(100)의 영상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제1 이미지(105)도 표시하도록 제어된다. 제2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00) 또는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제2 이미지(205)도 표시하고, 제3 디스플레이부(300)의 영상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00)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제3 이미지도 표시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제1 이미지(105) 및 제2 이미지(205)도 표시하도록 제어된다. 제1 디스플레이부(1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의 영상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제1 이미지(105) 및 제3 이미지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의 영상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제2 이미지(205) 및 제3 이미지도 표시하도록 제어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34 receives the error information from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 in which the error is detected as well.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image of the first display unit 100 , the second display unit 200 or the third display unit 300 is controlled to also display the first image 105 . If there is an error in the image of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the first display unit 100 or the third display unit 300 also displays the second image 205 , and the image of the third display unit 300 is displayed. If there is an error, the first display unit 100 or the second display unit 200 is controlled to also display the third image. Meanwhile,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images of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the third display unit 300 is controlled to also display the first image 105 and the second image 205 . do. If there is an error in the images of the first display unit 10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lso displays the first image 105 and the third image, and the second display unit ( 200) and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images of the third display unit 300, the first display unit 100 is controlled to also display the second image 205 and the third image.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 중 하나 또는 2개가 고장인 경우, 예컨대, LCD의 블랙아웃 현상 또는 OLED의 번인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고장나지 않은 정상인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105), 제2 이미지(205) 및 제3 이미지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one or two of the first display unit 100 ,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fail, for example, when a blackout phenomenon of the LCD or a burn-in phenomenon of the OLED occurs. All of the first image 105 , the second image 205 , and the third image may be displayed by using a normal display unit that has not failed even in this case.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안전 설계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functional safety design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제3 화면제어부(3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경우 작동한다(S60). 즉, 제3 화면제어부(3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각각 제어한다.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300)가 각각 제1 이미지(105), 제2 이미지(205) 및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고장판단부(32)는 각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정보를 수신한다(S62). 영상정보를 수신한 고장판단부(32)는 영상정보에 대해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64). 오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고장판단부(32)는 계속해서 각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오류가 검출되면 고장판단부(32)는 오류가 검출된 영상을 표시하던 디스플레이부를 고장이라고 판단하고, 오류정보를 이미지처리부(34)에게 송신한다(S66). 오류정보를 수신한 이미지처리부(34)는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오류가 검출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68).Referring to FIG. 6 , 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30 operates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 S60 ). That is, 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images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00 , the second display unit 200 ,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 respectively. While the first display unit 100, the second display unit 200, and the third display unit 300 display the first image 105, the second image 205, and the third image, respectively,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of each display unit (S62).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receiving the image information detects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image information (S64). If no error is detected,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continues to receive image information from each display unit. When an error is detected,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32 determines that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 in which the error is detected is defective, and transmits error information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34 (S66). The image processing unit 34 receiving the error information controls the normal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 in which the error is detected (S68).

위와 같이 기능안전 설계를 제공함으로써, 하나 또는 2개의 디스플레이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다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난 디스플레이부의 이미지까지 함께 표시할 수 있으므로, 기능안전에 대한 국제표준, 예컨대 ISO 26262 등을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functional safety design as described above, even if one or two display units fail, the other display unit can also display an image of the defective display unit, so that international standards for functional safety, such as ISO 26262, can be more easily achieved.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와 투명 디스플레이가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고장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자동차용 기능안전성 국제표준을 보다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system and reduces the failure rate by controlling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and the transparent display by separate control means, thereby improving functional safety for automobiles. It has the effect of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more easily.

또한,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및 투명 디스플레이가 물리적으로 이격됨으로써, 기존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에 비해 화질이 향상되고,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re physically spaced apart, the image quality is improved and visi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cluster display.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 제1 화면제어부 20: 제2 화면제어부
30: 제3 화면제어부 32: 고장판단부
34: 이미지처리부 100: 제1 디스플레이부
105: 제1 이미지 120: AVN 디스플레이부
140: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부 150: 제1 광학접착부
200: 제2 디스플레이부 205: 제2 이미지
250: 제2 광학접착부 300: 제3 디스플레이부
10: first screen control unit 20: second screen control unit
30: third screen control unit 32: failure determination unit
34: image processing unit 100: first display unit
105: first image 120: AVN display unit
140: infotainment display unit 150: first optical adhesive
200: second display unit 205: second image
250: second optical adhesive unit 300: third display unit

Claims (15)

운전자 전방에 위치하여 제1 이미지(first image)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부(first display unit);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운전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이미지(second image)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부(second display unit);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contro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가 중첩된(superimposed)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고장인 디스플레이부가 있는 경우,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iver and configured to display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driver's direction and configured to display a second imag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s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respectively,
The second display unit is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superimposed,
The control unit, when there is a defective display unit,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normal display unit also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화면제어부(first screen control unit);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는 제2 화면제어부(second screen contro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화면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경우, 상기 제2 이미지도 상기 제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화면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도 상기 제2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first screen control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and
Including a second screen control unit (second screen control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fails, controlling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When the first display unit fails,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second ima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제어부 및 상기 제2 화면제어부는 서로 간에 킵-얼라이브 신호(keep-alive signal)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wherein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fault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keep-alive signal with each other. .
제 2항에 있어서,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AVN 디스플레이부(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unit); 및
오락 관련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부(infotainment display unit)를 더 포함하되,
상기 AVN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화면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VN display unit (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unit) performing audio and video playback and navigation functions; and
Further comprising an infotainment display unit (infotainment display unit) that provides a variety of entertainment-related content,
The AVN display unit and the infotainment display unit are controlled by the first screen controll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1 광학접착부(first optical adhesive uni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tical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so that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xes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o each other. A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optical adhesiv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운전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 이미지(third image)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3 디스플레이부(third display uni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3 화면제어부(third screen contro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3 화면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 또는 2개가 고장난 경우,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난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hird display uni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in the driver's direction and configured to display a third image,
The control unit is
a third screen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s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respectively;
The third display unit is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are superimposed,
When one or two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fails, 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controls the normal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lfunctioning display unit as well. a vehicle display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화면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영상정보의 오류를 검출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failure determining unit); 및
상기 고장판단부로부터 오류정보를 수신하고, 오류가 검출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처리부(image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a failure determining unit that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and detects an error in the imag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ailure; and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error information from the failure determination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norm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 in which the error is detected.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2 광학접착부(second optical adhesive uni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optical display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so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optical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are fixed to each other. A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tical adhesive unit.
운전자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first display unit)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운전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second display unit)가 각각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고장인 디스플레이부가 있는 경우,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가 중첩된(superimposed)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시방법.
A process in which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iver and a second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driver's direction to display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respectively ;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faulty; and
When there is a defective display unit,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normal display unit to als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is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o that a driver can recognize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superimpose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제1 화면제어부(first screen control unit)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제2 화면제어부(second screen control unit)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화면제어부가 상기 제2 이미지도 상기 제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화면제어부가 상기 제1 이미지도 상기 제2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시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failure is
a first screen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isplay unit is faulty, and a second screen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is faulty;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normal display unit to als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is malfunctioning,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isplay unit is defective,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second imag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제어부 및 상기 제2 화면제어부는 서로 간에 킵-얼라이브 신호(keep-alive signal)를 송수신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시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creen control unit and the second screen control unit transmit and receive a keep-alive signal to and from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faulty. Way.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제1 광학접착부(first optical adhesive unit)에 의해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시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play method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spaced apart and fix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first optical adhesive uni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운전자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디스플레이부(third display unit)가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시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displaying a third image by a third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in the driver's directio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faulty,
Includ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display unit is faulty,
The third display unit is configur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o that a driver can recognize an image in which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are superimpos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제3 화면제어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이루어지고,
정상인 디스플레이부가 고장인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 또는 2개가 고장난 경우, 상기 제3 화면제어부가 고장난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정상인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시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failure is
A third screen control unit is made by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are faulty,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normal display unit to also display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When one or two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fail, the third screen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normal display unit. A vehicle display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는 제2 광학접착부(second optical adhesive unit)에 의해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시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xed by a second optical adhesive unit.
KR1020200067464A 2020-06-04 2020-06-0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KR202101507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64A KR20210150701A (en) 2020-06-04 2020-06-0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64A KR20210150701A (en) 2020-06-04 2020-06-0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701A true KR20210150701A (en) 2021-12-13

Family

ID=7883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464A KR20210150701A (en) 2020-06-04 2020-06-0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070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1929A (en) * 2022-01-17 2022-03-1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theme automatic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KR20230037423A (en)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WO2023038428A1 (en)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vehicle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423A (en)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230037424A (en)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vehicle according to act and state of person
WO2023038428A1 (en)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vehicle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114161929A (en) * 2022-01-17 2022-03-1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theme automatic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0701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US10940759B2 (en)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device, control unit, and motor vehicle
US20140362448A1 (en) Hud fusion interface
US9073435B2 (en) Vehicle display systems with visual warning management
US9573469B2 (en) Mechanically reconfigurable instrument cluster
US10866873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3355096A1 (en)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US20170361710A1 (en) Clustered instrument panel in a transportation apparatus
US20160124224A1 (en) Dashboard system for vehicle
US20170168702A1 (en) Clustered instrument panel in a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2001914B1 (en) Error detection IC for Audio Visual system of vehicle
US20050179827A1 (en) Display system hav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viewing window
JPWO2020045328A1 (en) Display device
US7576708B2 (en) Display apparatus
JP7147370B2 (en) Display device
JP6375143B2 (en) In-vehicle meter
KR2017004704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form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0809963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1929486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JP2017128200A (en) Vehicula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N107054086B (en) Automobile liquid crystal instrument panel interconnected with HUD head-up display
JP6623786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KR20230034448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6881561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21026020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